본문

뉴스 기사

[기사 제목]

매출 하락, 다음 분기에는 안정될 것- 엔씨소프트 2023년 1분기 실적발표

조회수 10052 | 루리웹 | 입력 2023.05.10 (10:20:00)
[기사 본문] 엔씨소프트는 금일(10일), 자사의 2023년도 회계연도 1분기 실적발표를 진행하고 구체적인 매출과 영업이익 등을 공개했다. 2023년 1분기(2023년 1월~2023년 3월말) 매출액은 4788억 원, 영업이익은 816억 원을 기록했다.

img/23/05/10/1880335ee175104c1.jpg



엔씨소프트의 2023년도 1분기 매출액은 지난 분기인 2022년 4분기 대비 13% 감소.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9%가 감소한 4788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지난해 1분기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영업이익은 816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지난 분기 대비 72%가 증가했으나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서는 67%가 감소한 수치다. 영업 비용 전반이 감소하면서 지난 분기 대비 증가했으나, 호황기를 기록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감소했다. 세전 이익은 1413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흑자전환 했다.

img/23/05/10/18803359be35104c1.jpg



게임별 매출 구성을 살펴보면, 여전히 대부분의 매출이 모바일에서 나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리니지 M을 시작으로 리니지 W까지 최근 모바일 타이틀만이 존재했기에 모바일 비중이 늘어난 상태다.

다만, 리니지 W의 매출 하향 안정화가 이어졌다. 매출액의 전체적인 수치는 꾸준히 감소 중이다. 이에 따라 모바일 게임의 매출액은 3308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 분기 대비 13%가 감소한 수치이며, 2022년 1분기 매출액과 비교해서는 49%가량이 줄어들었다.

특히, 리니지 W의 매출 감소가 크게 눈에 띈다. 리니지 W의 매출은 지난해 1분기 3732억 원에서 이번 분기 1225억 원으로 감소했다. 1년 사이에 70% 가량이 매출이 줄어든 셈이다. 리니지 W가 2021년 11월 발매되어 2022년 1분기에 실적이 온기 반영된 것을 생각하면 장기간 매출을 견인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엔씨소프트 측은 1주년 업데이트 대형 업데이트 이후 업데이트가 부재하면서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고 설명했다. 올해 2분기에는 대형 업데이트를 실시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서 매출 안정화를 달성할 것이라 덧붙였다.

이외 다른 타이틀의 매출액은 견고하게 유지 중이다. 리니지M의 경우 지난 분기 매출액 1128억 원에서 1301억 원으로 증가했고 견고하게 서비스를 이어가고 있다. 이외 리니지 2M은 국내 매출은 유지되고 있으나 해외 매출이 줄어들면서 731억 원을 달성했다. 블레이드 & 소울 2가 5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PC 온라인은 전반적으로 안정된 매출액을 보여주고 있다. 총 매출액 1043억 원을 기록했던 지난 분기와 달리, 12%가 감소한 914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이 줄기는 했으나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슷한 수치다. 여기에는 기존 타이틀의 대형 업데이트 효과가 줄어들었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다.

img/23/05/10/1880336172d5104c1.jpg



지역별 매출 비중은 전체적인 하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일부 지역의 매출액이 성장했다. 이번 분기 국내 매출액은 총 3037억 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63%를 차지한다. 매출액 자체가 줄어들기는 했으나 여전히 국내 매출 비중이 절반을 넘고 있다. 매출의 비중 자체는 지난해 1분기부터 현재까지 61%~64% 정도의 수치를 유지 중이다.

전체적으로 매출이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로열티 매출은 지난 분기 대비 9%가 증가한 423억 원을 기록한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에는 중국 길드워 2가 출시 이래 최고 분기 매출을 기록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img/23/05/10/188033641db5104c1.jpg



한편, 엔씨소프트는 이번 실적발표를 통해서 앞으로의 계획을 전했다. 올 하반기 TL을 비롯한 글로벌 신작을 선보일 예정이다. TL의 경우 5월 말로 예정된 CBT를 통해 콘텐츠를 공개하는 한편, 본격적인 출시 레이스에 돌입한다. 이후 게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추후 추가적인 공개를 예정했다.

비 MMO 장르의 모바일 게임도 순조로이 준비 중이다. 엔씨 측은 MMO 노하우를 접목하여 다양한 장르와 플랫폼을 통해 엔씨소프트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갈 것이라 밝혔다. 더불어 AI 기술 개발에 힘써왔다는 점도 강조했다. 엔씨소프트는 지난 3월 프로젝트 M을 통해 AI기술을 접목한 디지털 휴먼을 선보이며, 국내외에서 반응을 이끌어 낸 바 있다.

img/23/05/10/188033663955104c1.jpg


올해 하반기에는 AI 플랫폼을 오픈하여 임직원들이 AI 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힘쓸 예정이다. 그리고 게임 개발에 특화된 AI 기술을 통해 게임 콘텐츠의 질적인 성장을 이끌어내고자 한다는 말을 전했다.

아래는 실적발표 이후 진행된 질문 답변의 내용이다. 해당 질답은 컨퍼런스콜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애널리스트들의 질문에 엔씨소프트 경영진이 답변하는 시간을 가졌다.



● 국내에서 최근 대형 모바일 MMO 신작이 나왔다. 엔씨소프트 게임 들이 이에 대한 영향이 있었나.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매출 전망이 어떠한지 궁금하다.

= 현재 말씀주신 MMO 시장에서 여러 작품이 출시되고 경쟁이 심화되는 것에 대해서는 오히려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현재 상황에서도 저희 모바일 게임 세 가지 IP의 트래픽에는 별다른 큰 변화가 관찰이 되고 있지 않다. 저희는 이 추세가 2분기에도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저희 회사에 대한 매출 및 트래픽의 잠식 효과는 제한적이라고 말씀 드릴 수 있을 것 같다. 국내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는 MMO 장르가 절대적인 지배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로 생각하고 있다.


● 지스타에 참여한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실제 참여를 하는가. 그리고 그 때까지 TL이 나오지 않는 것인지. 아니면 독립적인 것인지 설명을 부탁한다.

= 잘 아시겠지만, NCing이라는 온라인 중심으로 개발 신작을 공개하는 활동을 해왔다. 올해는 지스타에 참가해서 이를 오프라인에서도 선보이고 고객들과 관련된 분들을 직접 만나는 기회를 생각하고 있다. 어떤 작품을 출품할 것인지는 논의 중이며, TL은 지스타 참가와는 무관하게 일정을 진행 중이라는 것을 말씀드린다.


● TL 이외에 말씀주셨던 모바일 게임의 일정을 업데이트를 부탁한다. TL 관련해서도 아마존 게임즈와의 차이와 갭이 있을 수 있는지 가능성을 공유해 달라.

= 저희가 기존부터 계속 말씀드린 것처럼, 올해는 전체적으로 TL을 포함해 5종을 출시를 예정했다. TL 외 MMO가 아닌 타이틀(non-MMO) 4종을 출시 예정하고 있다. non-MMO 타이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출시 일정을 순차적으로 공개를 드리겠다.

TL은 글로벌 퍼블리셔인 아마존 게임즈와 출시 일정을 조율 중이다. 시중에 알려진대로 하반기에 출시될 예정이다. 출시 일정은 전략적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파급력을 최대화 하기 위해서 조정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앞으로 관련해서 마케팅 활동을 아주 세부적으로 촘촘하게 준비가 되고 있다. 시장에서 이해를 하실 수 있도록 별도 이벤트를 통해 구체적인 일정을 공개할 예정이다.

img/23/05/10/1880336a1ca5104c1.jpg



● 모바일 타이틀이 2분기 업데이트를 예정했다. 그렇다면 2분기 마케팅 매출이 현재의 수준을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인지. 방향성을 설명 부탁드린다.

= 마케팅 비용에 대한 효율성은 작년부터 말씀드린 사항이다. 2분기부터는 1분기 보다는 마케팅 비용이 더 정상화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2분기부터 더 많은 업데이트와 사업 계획이 잡혀있기에 당연히 1분기 보다는 활발한 마케팅 비용 집행이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한다.

다만, 저희 기조가 마케팅 비용이 집행되는 데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매출로 이어지고 있고. 단기적인 매출이 아니라 여러 측면에서 효과성을 면밀히 검토하고 진행을 하고 있다. 그래서 2분기에서는 목표에 따라 마케팅비의 증가가 있을 것이라. 하지만 지난 해에도 효율적으로 집행한 것처럼, 1년 단위로 봤을 때에는 지난해와 비슷한 규모를 유지하지 않을까 한다.


● 올해 연간 집행 수준을 매출 대비 비율이나 절대치로 언급이 가능하면 언급 부탁드린다.

= 마케팅비 비중은 저희가 전년도 기준으로 7% 집행을 했다. 올해도 그 정도 목표로 하고 있다. 그게 절대적으로 얼마를 해야한다. 이렇게 정하는 것은 아니다. 사업부에서 판단하는 것이고 저희가 재무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아니다. 단기 매출도 중요하지만 여러 사업 목표에 연결이 되기 때문에 지난해 기준인 7% 정도로 집행하지 않을까 하는 예상이다. 하지만 무분별하게 어느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지는 않도록 하는 것이 전사적으로 공감대를 이루고 있는 상황이다.


● 현 시점에서 블록체인을 바라보는 회사 입장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주었으면 한다.

= 저희 회사는 지속적으로 AI 뿐만이 아니라 블록체인에서도 기술적인 측면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 상장도 되고 한 미국의 미스틴 랩이라는 회사에 투자한 사실도 이미 공개가 됐다. 전반적인 환경에서 시장 환경과 기술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따라가고 있다.

그전에도 말씀을 드렸습니다만, 블록체인 기술이 게이머에게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데에는 변함이 없지다. 하지만 P2E 차원에서의 접근 방식은 절대 아니며, 블록체인 기술을 해당 방식이 아닌 형태로 게임에 결합하는 데에는 여러가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게임 내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게임 내의 밸런스에 미치는 영향이 현재 시장 상황과 봤을 때에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그 점에 확신을 갖기 전까지는 대외적으로 게임에 적용하는 것은 생각하지 않고 있다.


● 다수의 경쟁작이 출시되었고 영향이 크게 미치지 않았다고 말씀주셨지만, 리니지 W같이 출시 얼마되지 않는 게임도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 같다. 4월에도 유의미한 경쟁작이 있었고 QoQ 하락세가 가파르게 일어나는 모습이 리니지 W에서도 보여지고 있다. 리니지 W의 매출 안정화를 어떻게 봐야하는지 가이던스를 부탁드린다.

= 가이던스라는 것 자체가 어떻게 보면 기존 저희 모바일게임과 비교해서 수치를 말씀하시는 것 같다. 예상보다 한 분기정도 지연 됐다고 생각한다. 트래픽 등은 변화가 없고 트렌드를 모니터링 하고 있다. 영향이 크지 않다는 것은 2분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을 것 같다. 안정화 단계라는 추세는 이전 게임과 비교했을 때, 한 분기 정도 딜레이 되면서 안정화 되었다고 보시면 될 것 같다.


● TL은 글로벌 출시작 치고는 노출이 안되었다는 생각이다. 글로벌 유저 대상으로 대규모 테스트 등 글로벌 노출도를 늘릴 수 있는 방법을 말씀해달라.

= 2021년 서구권에서 뉴월드라던지. 로스트아크와 같은 MMO가 흥행하면서 MMO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를 고무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상황에서 서구권에서 한국에서 출시된 게임 중 최고 성과를 내는 것이 목표다.

아마존 게임즈가 별도의 글로벌 테스트를 준비 중이다. 조만간 안내가 나갈 것이다. 엔씨소프트와 아마존게임즈가 같이 글로벌 테스트와 쇼케이스를 포함해서 적극적인 홍보를 계획하고 있다. 일정은 순차적으로 안내를 드릴 예정이다. 여러 경쟁 상황을 감안해서 타이밍 등을 조율하고 있다는 것을 말씀드린다.

img/23/05/10/1880336ff1b5104c1.jpg



● TL의 운영 관련해서 한국에서는 아무래도 P2W 게임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고 해외에서는 P2W을 좋아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운영 주체도 다를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 게임 출시부터 시작해서 콘텐츠 업데이트나 BM 등이 권역에 따라 다르게 운영될 계획인지. 아니면 같이 가는 것인지. 서버가 국내외 통합될 계획이 있는지 궁금하다.

= 5월 24일부터 30일까지 진행하는 CBT의 테스터 규모를 만 명 정도로 확대해서 생각하고 있다. 일주일 기간 동안 플레이가 가능한 분량의 콘텐츠를 모두 제공하는. 정식서비스에 필적하는 테스트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 답을 왜 드리냐 하면, 기존에 출시된 경우를 봐도 BM이 한국과 서구권이 같음에도 불구하고 매출이 양 쪽에서 비슷하게 일어나는 것을 경험했다. 이번 테스트에서도 유저들께 뭔가 유료 화폐를 지급하고 상품 구매 경험까지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CBT의 의미가 BM을 점검하고 피드백을 바탕으로 완성도를 극대화해서 끌어올리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TL 관련 팬덤을 확보하고 커뮤니티를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글로벌 전 지역에서의 서비스 기조는 동일할 것이며, 글로벌 시장의 특성이 있기에 거기에 맞는 보편성을 감안한 수익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그렇기에 모바일 게임과는 다른 매출 커브. 장기적으로 매출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을 기획하고 있다. 구체적인 상품 구성 이런 것은 CBT를 통해서 공개한 다음,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자 하고 있다.


● 블레이드 & 소울 2와 리니지 W가 다른 지역 출시할 예정으로 알고 있었다. 출시 시점이나 계획이 바뀌었다면 말씀 부탁드린다.

= 블소 2는 저희가 올해 3분기에 지역 확장. 해외 확장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를 말씀드리고. 출시 이후 블소 2가 많은 변화가 있었다. 컨트롤을 통해 전투의 재미를 끌어올렸고 콘텐츠도 많이 보강을 했다. 2년 가까운 현재까지의 콘텐츠를 새로운 지역에 출시하면서, 블소라는 IP의 가치를 다시 한 번 점검하고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리니지 W는 2권역. 그리고 콘솔 버전을 지금 준비하고 있다. 일정은 별도로 회사 차원에서 공지를 드릴 것이다.


● 아이온 2 관련해서 현재 모바일 시장을 바라봤을 때, P2W 타이틀도 늘었고 유저들의 피로도도 많이 쌓인 상황이다. 경영진이 아이온 2에 대해서 어떤 식으로 전략적으로 접근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경험을 할 수 있을지 말씀 부탁드린다.

= 아이온 2는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IP이고 회사 차원에서 중요하게 보고 있다. 아시는 것처럼 언리얼 5 기반의 차세대 MMORPG이고 저희의 개발력이 집약된 프로젝트다. 다시 한 번 PC MMO 시장을 곱씹어보면 좋을 것 같다. 리니지 1과 2가 나와서 지금과 똑같이. 엔씨가 시장을 개발하면, 시장에 비슷한 타이틀이 나온다.

그리고 2008년 리니지 1과 2가 됐을 때가 현재 모바일 시장과 비슷하지 않을까 한다. 그런데 동시기에 저희가 모객했던 층이 리니지 1과 2와는 달랐다. 오히려 성과는 국내에서 크게 달성하는 것은 물론, 해외에서도 크게 달성했었다.

그래서 같은 관점에서 지금을 보면, 리니지 1과 2로 포화된 시장에서 어떠한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느냐다. 하지만 2008년보다 시장이 지금이 더 크다. 다른 성격의 MMO를 수용할 수 있는 저변이 크고. 글로벌 시장에서 이러한 것이 존재하는 것은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품이 나온다고 하면,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게임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개발하고 있다. 모바일에서도 MMORPG 시장처럼 퀀텀 점프를 할 수 있는 타이틀이 나올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 TL 일정을 그래도 확실하게 찍어주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다 보니 장기적인 실적에 변수가 있는 것 같다. 매출 자체의 성장률이 약해보이는 것도 있는 것 같다. 1분기가 매출이 저점으로 생각을 해도 되는지. 이에 대해서 이야기를 부탁드린다.

= 조금 전에 말씀드렸던 리니지 W의 안정화 단계 진입. 기타 게임들의 트래픽 안정화를 가정하시면, 사실 매출이 저점인지는 확언을 드릴 수 없지만, 안정적으로 2분기와 3분기에 접근하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레거시 매출 기조가 감소하느냐는 아닌 것 같다. 이번 분기도 가장 큰 수익은 리니지 W였다. 이를 감안하면 2분기 매출이 여기서 더 떨어질 것이다. 이런 것은 아닌 것 같다.


● TL도 그렇고 아이온 2도 그렇고 글로벌 확장을 하고 있다. 다만, 서구권과 한국 게이머가 플레이 스타일이 다른 것으로 안다. 서구권 유저들에게 소구할 수 있는 콘텐츠 차이점이 있는지. 그리고 조금 더 젊은 층으로 라이트 유저를 흡수하기 위한 차별점이 있는가. 이러한 차이를 BM 뿐만 아니라 콘텐츠 플레이 방식에도 차이가 있다면 공유를 해주었으면 한다.

= 아이온 2에 관해서는 지금 말씀드리기 어려워 TL 위주로 말씀드리겠다. 저희의 강점인 PvP 콘텐츠를 유지하면서도 서구권 유저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PvE 콘텐츠를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글로벌 게이머들이 몰입할 수 있는 내러티브 콘텐츠를 갖추고 있다. 이 점이 포인트일 것 같다. 그리고 대규모 플레이어가 어우러지는 콘텐츠에서도 액션성을 극대화하는 콘텐츠를 많이 신경을 썼다.

기존에 어떤 공성전 외에도 개인형 던전. 그리고 길드 레이드. 월드 탐험 콘텐츠 등 다양한 플레이할 거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공성전만 하더라도 화려함에 비해서 조작하는 방식이 용이한 형태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플레이어간 경쟁보다는 커뮤니티에 기반한 콘텐츠가 많기에, 라이프 사이클을 길게 가져갈 것이라는 측면에서는 기존 게임 대비. 경쟁 게임 대비 우위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img/23/05/10/1880337995d5104c1.jpg



정필권 기자   mustang@ruliweb.com




관련게임정보 목록

관련 정보

기     종

PC/아이폰/안드로이드/PS4/XBOX ONE/PS5/XSX

발 매 일

장     르

가     격

제 작 사

기     타

댓글

목록보기

댓글 | 70
1
 댓글


(IP보기클릭)118.52.***.***

BEST

23.05.10 11:20

(IP보기클릭)61.82.***.***

BEST
'한국에서는 아무래도 P2W 게임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고' ㅋㅋㅋ 애널들 질문 수준
23.05.10 11:09

(IP보기클릭)118.235.***.***

BEST
다음 분기에 안정화 될것 = 이벤트를 빙자한 새로운 패키지 출시로 개돼지들 쥐어짬
23.05.10 11:31

(IP보기클릭)121.140.***.***

BEST
평생 나오지도 않을게임 맨날 주가방어용으로 광고만 해대고 ㅉㅉ
23.05.10 12:31

(IP보기클릭)14.4.***.***

BEST
네 다음 리니지
23.05.10 11:36

(IP보기클릭)223.38.***.***

TL 이나 어서 공개하라고
23.05.10 10:27

(IP보기클릭)61.82.***.***

BEST
'한국에서는 아무래도 P2W 게임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고' ㅋㅋㅋ 애널들 질문 수준
23.05.10 11:09

(IP보기클릭)218.146.***.***

Xaero
국내 스토어 인기순 보면 또 틀린말은 아닌 듯 1~10위권중 거의다 리니지 류게임이라 특히 1위도 리니지M이 군림하고 있고 가끔 물로켓으로 다른게임이 1위하긴 하지만 거의 장기집권 수준;; | 23.05.10 16:01 | | |

(IP보기클릭)121.146.***.***

머스크잼
그게 매출순임? 아니면 사용자순임? | 23.05.10 17:34 | | |

(IP보기클릭)175.201.***.***

머스크잼
구글 플레이 스토어 매출순위는 분면 순수한 유저층 매출도 있겠지만 무조건 프로모션 지분이 꽤 많이 될거라고 예상함 이미 실제 프로모션 있었던 전적도 있으니 지금 나이트 크로우가 1위하는 거 봐도 뭐... 킹리적 갓심이... | 23.05.10 19:41 | | |

(IP보기클릭)218.39.***.***

Xaero
리니지 7형제 줄세우기 끝났다는걸로 증명완료죠 | 23.05.10 21:59 | | |

(IP보기클릭)220.79.***.***

Xaero
모바일 아니어도 지금 한국에서 인기있는 PC MMO들도 대부분 현금강화요소, 가챠상품 있고 외국에서 p2w이라 부정적으로 평가받는 검사, 로아는 국내에선 혜자겜이라고 평가 받는데 틀린 말 한거 아님 | 23.05.11 00:19 | | |

(IP보기클릭)106.101.***.***

머스크잼
우리나라 사람들 성향이 기본적으로 경쟁적으로 성장하는 게임을 좋아해서. 리니지 아무리 욕해도 bm은 사실상 다른 모든 게임의 기본 수익 모델이 된 만큼 뛰어난 구상이었고. 게임성 자체는 rpg로썬 항상 준수하게 만들어왔음. 욕먹는거야 뭐... | 23.05.15 10:54 | | |

(IP보기클릭)118.235.***.***

Xaero
틀린말은 아닌거 같아요ㅋㅋ | 23.05.17 15:00 | | |

(IP보기클릭)118.52.***.***

BEST

23.05.10 11:20

(IP보기클릭)125.183.***.***

국내 2~30대한테 파는 게임이 없는데 맨날 소식 보면 몇천억 찍는 게 신기한 회사 ㅋㅋㅋㅋ
23.05.10 11:22

(IP보기클릭)211.234.***.***

루리웹-3252948527
엥? 주 이용자가 30대임. | 23.05.17 07:50 | | |

(IP보기클릭)125.183.***.***

캡틴아메리카
정상적인 게임을 안판다는 의미로 쓴거긴 해요 ㅋㅋ 그냥 돈놀이...검은사막이 그나마 20대 저격인데 그거 하나로 먹고 사는 게 아니라 다들 아시다시피... 리니지 쪽이 먹여살리는거니까 ㅋㅋ 리니지를 30대가 또 매출 담당해주는 건 아닐거 같아서 ㅋㅋ | 23.05.17 23:00 | | |

(IP보기클릭)118.235.***.***

BEST
다음 분기에 안정화 될것 = 이벤트를 빙자한 새로운 패키지 출시로 개돼지들 쥐어짬
23.05.10 11:31

(IP보기클릭)14.4.***.***

BEST
네 다음 리니지
23.05.10 11:36

(IP보기클릭)222.104.***.***

아~ 아직 nc가 있었구나 너무 쓰레기라서 보이지가 않았어~ 먄
23.05.10 11:45

(IP보기클릭)121.140.***.***

저돈 다 누가 쓰는거지.. 내 주변엔 저런거 하는 사람 한명도 없더만
23.05.10 12:09

(IP보기클릭)223.62.***.***

장동건
시기적으로는 90년대 pc 리니지 세대가 리니지 m으로 넘어가서 대박난건데 40대 중반에서 50대 초반 .. 5년전 기준으로 중소기업 사장님들이나 부장님들이 캐시카우였을걸로 추정하지 않을까요 .. 근데 그분들도 이제 슬슬 안하실 나이 세대교체 불가능한 bm 아닐까 싶습니다 어짜피 손가락에 꼽을 정도로 극소수 고래들이 매출 올리는 시장이니깐요 정확하게는 몰?루 | 23.05.10 17:14 | | |

(IP보기클릭)183.101.***.***

NC = 내 발작버튼
23.05.10 12:17

(IP보기클릭)39.7.***.***

난 블소할때 기억난다. 한창 빠져서 했는데 점점 pay2win이 되어버린 게임. 역시 엔시 답다고 느꼈지. 난 뭐 무과금 유저였으니까. 거기다가 리니지 같은 쟁요소.. ㅋㅋㅋㅋ 역시 그 후로 엔시게임은 무조건 거름.
23.05.10 12:30

(IP보기클릭)121.140.***.***

BEST
평생 나오지도 않을게임 맨날 주가방어용으로 광고만 해대고 ㅉㅉ
23.05.10 12:31

(IP보기클릭)39.117.***.***

옆동내 게임들 보고 느끼는게 없나?
23.05.10 13:02

(IP보기클릭)58.228.***.***

건강한게이머
차라리 눈마새처럼 그림으로라도 기대하게 해 줘 | 23.05.10 18:34 | | |

(IP보기클릭)60.112.***.***

2분기도 안 좋을 것 같은데... 뭐 큰 게 예정된 것도 아니고. 그냥 테슬라 머스크처럼 올해는 안 좋을 것이라고 차라리 말하지.
23.05.10 13:10

(IP보기클릭)211.58.***.***

23.05.10 13:14

(IP보기클릭)121.162.***.***

너넨 진짜 쳐망해라
23.05.10 13:38

(IP보기클릭)121.150.***.***

미네바 자비
받쳐주는 개돼지가 많아서 망하긴 어려울 듯... | 23.05.10 13:55 | | |

(IP보기클릭)104.28.***.***

정필권 기자가 보기에는 한국 게이머들은 P2W를 좋아하는 거구나
23.05.10 14:35

(IP보기클릭)211.235.***.***

그냥 콘솔로 플랫폼 확장한 리니지. 콘솔에서 매주 패키지 사가며 게임 할 사람이 얼마나 될까??진짜 욕심 버리고 배패나 스킨팔이로 수익 낼 생각으로 접근하면 이미지 세탁되고 중박은 칠거 같은데...nc는 안될껄??
23.05.10 14:45

(IP보기클릭)211.246.***.***


ㅈㄴ 경영진들 뭐가 문젠지도 파악 못하고 있고.. 리니지 BM을 그냥 국내 시장 때려박듯 외국 서버에다도 그대로 때려박으려고 하네 ㅋㅋㅋㅋㅋㅋㅋㅋ 그리고 뭐 TL 관련 팬덤 확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ㅈㄴ 진짜 대가리에 대규모화원 경작하고 있냐 ㅋㅋㅋ
23.05.10 15:06
파워링크 광고

(IP보기클릭)58.228.***.***

포이즌눈나
하이고 시발 의미없다 | 23.05.10 18:34 | | |

(IP보기클릭)223.38.***.***

네 다음 주가 안정 기사
23.05.10 15:34

(IP보기클릭)210.204.***.***

여기에 돈 붓는 호갱들이 있는한 끝이없다
23.05.10 15:57

(IP보기클릭)223.38.***.***

개빡치네 니들은 안정화 하지마.
23.05.10 16:18

(IP보기클릭)211.215.***.***

한국 게임 산업의 미래를 망치는 주범
23.05.10 16:49

(IP보기클릭)118.36.***.***

게임쪽 발전할라면 제일 망해서 없어져야 하는 회사 1순위
23.05.10 17:12

(IP보기클릭)124.49.***.***

누구맘대로 안정화? 너희는 앞으로 하락세야
23.05.10 17:52

(IP보기클릭)175.223.***.***


걍 ㅈ망해라
23.05.10 18:08

(IP보기클릭)61.79.***.***

고맙게도 나락가고 있구나 ㅋㅋㅋㅋㅋㅋㅋㅋㅋ
23.05.10 18:09

(IP보기클릭)1.220.***.***

꿈꾸는듯
23.05.10 18:24

(IP보기클릭)58.228.***.***

세상에 어느 지구에서 중세시대인데 다리가 있는 알 2개짜리의 안경이 있어?? 한 18세기라면 모를까
23.05.10 18:33

(IP보기클릭)112.146.***.***

언제 뒤지니
23.05.10 19:01

(IP보기클릭)121.178.***.***

가챠겜 본진에서 NC를 까면서 도덕적 자위를 하는 실시간 현장 ㅋㅋㅋ
23.05.10 19:28

(IP보기클릭)211.248.***.***

매출 안정? ㅋㅋㅋㅋ 응 니들 게임 안해
23.05.10 20:16

(IP보기클릭)121.141.***.***


23.05.10 20:39

(IP보기클릭)218.147.***.***

조 ㄲ ㅏ 고 ㄲ ㅓ ㅈ ㅣ ㅅ ㅔ 요
23.05.10 21:49

(IP보기클릭)1.219.***.***

리니지 시리즈로 단물 쭉 빨 동안 뭐 좋은 게임이라도 냈었어야지.. 그나마 평가 좋았던 블소IP도 자기네들 손으로 완전 나락 보내버렸고 김치 게이머들 추억의 게임 중 하나였던 트릭스터 IP 사와서 또 리니지로 만들고 평가가 좋을 수가 없지..
23.05.10 22:24

(IP보기클릭)211.250.***.***

안정화 되야지...하향 안정~
23.05.10 23:24

(IP보기클릭)121.165.***.***

진짜 우리나라 게임산업의 암덩어리 존재 진짜 쓰레기 회사 기업
23.05.11 00:11

(IP보기클릭)223.62.***.***

미래소년옹박
가장 큰 지분 차지하는 건 그런 쓰레기회사인걸 알면서 수천 수억씩 현질하는 개돼지들임. | 23.05.17 14:37 | | |

(IP보기클릭)121.150.***.***

담분기에 안정화 된다는 근거가 뭔지? 리니지3도 어차피 거기거 거긴데
23.05.11 00:25

(IP보기클릭)220.88.***.***

한국 게임계는 엔씨가 존재하는 이상 더 나아질 수가 없음. 왜냐, 쟤들은 저렇게 해서 돈버는데 우리도 똑같이 해서 쉽게 벌어야지 하고 생각하니까. 엔씨가 나아지는걸 기대? '이런 게임이 돈이 되나?' 같은 생각을 하는 자들이 있는 회사임. 시대가 변해도 그래픽 외엔 발전하는건 오로지 새로운 도박 형태일 뿐이지.
23.05.11 02:17

(IP보기클릭)1.242.***.***

한국게임 좀먹는 장본인 좀 뒤지세여
23.05.11 04:05

(IP보기클릭)220.78.***.***

LAQEA
개돼지들도 문제 | 23.05.13 17:06 | | |

(IP보기클릭)221.147.***.***

회사 자체가 게임 업계 주요 타겟층이 아닌 40대 중반 이상 눈먼 돈 많은 사장님들 뿐이다 이미지는 ㅈ박아서 신규 유저는 더 이상 모으기 힘들고 리니지 라이크 조차도 다른 회사들이 더 잘 만들기 시작하는데 무슨 근거로 매출이 나아질 것이라고 하는지 모르겠네 고이다 못해 썩어 버려서 회사 전체가 논리적인 생각 자체를 못하나 보네
23.05.11 04:12

(IP보기클릭)211.112.***.***

23.05.11 08:14

(IP보기클릭)175.210.***.***

응~ TL도 망해서 본격적인 내리막이야
23.05.11 08:31

(IP보기클릭)112.161.***.***

이제 오르지도 않지 엔씨야 이제가라
23.05.11 09:11

(IP보기클릭)211.234.***.***

뭐! 2분기? 같은 소리하네 ㅋㅋ TL 안봐도 비디오구만 아직도 북미 유럽쪽에 리니지 라이크가 통할거라 생각하냐? ㅋㅋㅋㄱ
23.05.11 13:33

(IP보기클릭)211.234.***.***

리니지W 콘솔 가튼 소리 쳐 하고 있네 ㅋㅋ
23.05.11 13:35
파워링크 광고

(IP보기클릭)172.226.***.***

이익 밖에 생각 안하는 모양이네...
23.05.11 14:32

(IP보기클릭)119.202.***.***

너네 게임은 재미없어 젤다를 했야지
23.05.12 08:00

(IP보기클릭)221.150.***.***

약 5년 전 대표가 스위치랑 젤다 야숨 전직원에게 준적 있지 않나? 그 때나 지금이나 게임 장르 라인업이 차이가 없는듯 돈에 환장한 회사야. 그 쯤 벌었으면 재미있는 게임 좀 만들어봐라 에혀..
23.05.12 13:34

(IP보기클릭)118.235.***.***

크로와카
대표도 자기네 회사 직원들한테 답답하겠지 사장이 최초로 만든 리니지를 역량부족으로 아직도 못넘어가는데 짜를수도 없고? | 23.05.17 12:30 | | |

(IP보기클릭)112.148.***.***

어차피 틀딱들만 하고 어린세대는 쳐다도 안볼건데 장기적으로는 사라질놈들 아닌가. 죽기전에 엔씨 주식 상폐되는 꼴 보는게 소원
23.05.12 15:14

(IP보기클릭)118.220.***.***

안정 - 바닥으로 떨어져서 그대로 안정
23.05.13 04:21

(IP보기클릭)223.33.***.***

이 회사눈 게임회사로 볼 이유가 없음 게임류 스킨 쓰는 도박회사지;;
23.05.14 13:42

(IP보기클릭)115.21.***.***

걍 하던데로 리지니 도장공장하지 뭘 자꾸 새로운거 만들라 그러냐.
23.05.14 23:14

(IP보기클릭)121.172.***.***

NC가 망해야 나라가 산다
23.05.16 15:35

(IP보기클릭)223.62.***.***

루리웹-7182
그것도 개돼지들이 다 디져야 가능성이 보임. | 23.05.17 14:38 | | |


1
 댓글




목록보기

뉴스 리스트






BEST 게시글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BEST 뉴스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BEST 유저정보
콘솔
PC
모바일
취미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