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뉴스 기사

[기사 제목]

한 손에 들어오는 휴대용 게임 PC, '리전 고' 체험기

조회수 15815 | 루리웹 | 입력 2023.12.14 (20:20:00)
[기사 본문]

개인적으로 최근 출시되고 있는 휴대용 게임 PC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고 있었다. 그 형태가 2000년대에 대두됐던 UM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초소형 컴퓨터)와 유사했기 때문이다. 당시 UMPC를 직접 사용했던 사람으로서 다재할 뿐 다능하진 못했던 UMPC의 결말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이들 휴대용 게임 PC들도 그렇게 되진 않을까 하는 생각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지난 11월 1일, UMPC 혐오자(?)인 기자도 주목할 만한 휴대용 게임 PC가 국내에 출시됐는데, 바로 레노버 '리전 고'다. 공식 소비자가는 109만 9,000 원. 관심이 있다고 선뜻 구매하기엔 꽤나 비싼 가격에 망설이고 있었는데, 정말 감사하게도 제품을 대여 받아 체험해볼 수 있었다.

img/23/12/14/18c67c28ee251ad6b.jpg

레노버 리전 고


img/23/12/14/18c67c690d751ad6b.jpg

하드 케이스를 열면 이렇게 게임기처럼 생긴 휴대용 PC가 들어있다


리전 고는 AMD 라이젠 Z1 익스트림 프로세서와 AMD RDNA3 아키텍처 그래픽, 16GB LPDDR5X 메모리, 최대 1TB PCle Gen4 SSD 저장장치를 탑재해 고사양을 요구하는 게임도 어느 정도 타협하면 안정적으로 즐길 수 있을 정도로 준수한 처리 성능을 자랑한다. 운영체제로는 윈도우 11을 탑재해 다양한 컴퓨팅 활동을 호환성 걱정 없이 자유롭게 즐겨볼 수 있기도 하다. 다재하면서도 다능할 수 있는 충분한 조건을 갖춘 셈이다.

여기에 터치가 가능한 8.8인치 디스플레이, 본체와 분리 가능한 컨트롤러를 적용해 모니터, 마우스, 키보드 등 별도 입출력 장치가 없어도 리전 고 자체만으로도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게임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해상도는 2560x1600, 144Hz 주사율, 최대 500니트 밝기, DCI-P3 97% 색재현율을 지원해 밝은 곳 어두운 곳 가리지 않고 선명한 화면을 보여준다.

리전 고의 크기와 무게는 41 x 299 x 131 mm, 854g으로, 휴대용으로 분류되는 기기치곤 꽤나 크고 무거운 무게를 자랑한다. 스마트폰이나 닌텐도 스위치처럼 들고 사용하는 것은 손에 다소 무리가 갈 정도인데, 현세대 휴대용 게임기의 대표 주자인 닌텐도 스위치 OLED가 13.9 x 242 x 102 mm, 420g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얼마나 크고 무거운지 이해가 될 것이다.

이 무거운 기기를 꼭 들고 게임을 해야겠다면 양팔을 지탱할 발판적인 무언가가 필요하다. 팔꿈치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는 양팔에 무리가 가서 오래 플레이하기 어렵다. 기기 뒷면에는 프리 스탑 힌지로 만들어 진 접이식 스탠드가 기본 탑재돼 있으니 바닥에 세워두고 플레이하는 것을 권장한다.

img/23/12/14/18c67c849a851ad6b.jpg

8.8인치 디스플레이와 좌우에 붙어있는 컨트롤러가 눈에 띈다


img/23/12/14/18c67c84b9451ad6b.jpg

뒷면. 시원하게 뚫어 놓은 상단 열기 배출구와 하단 리전 로고가 새겨진 프리 힌지 스탠드가 눈에 띈다


발열 제어 및 소음 억제는 훌륭하다. 최대 성능으로 두고 사용하면 약 60dB 이상(일반 대화 소리 수준) 소음이 발생하지만, 장시간 고사양 게임을 플레이해도 끄떡 없을 정도로 발열을 잘 잡아준다. 소음이 거슬린다면 저소음 모드로 두고 사용하면 되는데, 이 경우 냉각 성능은 떨어지지만 25dB 이하로 조용하게 팬이 돌아간다.

배터리는 49.2Whr로, 작은 편은 아니지만 워낙 크고 강력한 성능을 뒷받침 해야 하기에 전원이 그리 오래 유지되진 못한다. 대신 30분 만에 배터리를 최대 70%까지 충전할 수 있는 초고속 충전, 그리고 충전하면서 사용해도 배터리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파워 바이패스 모드를 지원해서 장시간 밖을 돌아다녀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큰 문제 없이 사용 가능하다. 기기 위아래로 USB-C 4.0 포트를 1개씩 총 2개 제공하므로 충전하면서 추가 액세서리를 사용할 수 있기도 하다.

img/23/12/14/18c67cd543e51ad6b.jpg

위 아래 USB C 포트를 활용하면 이런식으로 데스크탑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성능을 체감해보기 위해 엘든링을 플레이 했는데, 60프레임 이상을 유지하며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했으며, 한 번 충전으로 약 1시간 20분 정도 게임을 즐길 수 있었다. 물론 최고 옵션으로 플레이한 것은 아니고 어느 정도 최적화를 거쳤다. 리전 고가 아무리 고성능이라고 해도 내장 그래픽에 불과하기 때문에 고사양 게임을 풀옵션으로 즐길 순 없다. 기자의 경우 1920x1200 해상도, 화면 주사율 60Hz, 퍼포먼스 모드, FSR ON(AMD 업스케일링 기술)으로 설정했다.

저전력 설정으로 세팅하면 더 오랜 시간 즐길 수 있겠지만, 당연하게도 고사양을 요구하는 게임은 원활한 플레이가 불가능하다. 저전력 설정은 캐주얼 게임, 고전 게임, 스트리밍 게임, 동영상 시청, 인터넷 서핑, 문서 작업 등 저사양으로도 충분히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경우 사용하면 좋다.

img/23/12/14/18c67e068e951ad6b.jpg

나름 고사양을 요구하는 액션 게임 '엘든링', 큰 불편함 없이 원활한 플레이가 가능했다


리전 고의 양 컨트롤러는 분리가 가능하다. 마치 닌텐도 스위치처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 중 오른쪽 컨트롤러는 세워서 마우스처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꽤 신기했다. 리전고 오른쪽 컨트롤러로 사용하는 마우스 모드의 정식 명칭은 FPS 모드로, 실제로 슈팅 게임에 활용하면 편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마우스의 형태는 아니고 마치 총의 손잡이처럼 생긴 세워서 사용하는 형태인데, 생각보다 어색하지 않고 금방 익숙해질 수 있었다.

img/23/12/14/18c67e14a6651ad6b.jpg

양쪽 컨트롤러는 분리가 가능하다


FPS 모드로 에이펙스 레전드를 직접 즐겨봤는데, 실제로 반동 제어에 상당한 도움이 됐다. 총 손잡이처럼 생겨서일까? 개인적으로 일반 마우스보다 더 안정적인 기분이 들 정도였다. 마우스 없으면 즐길 수 없는 게임, 스타크래프트 1도 즐겨봤는데 키보드 없이 마우스만으로 CPU와의 대전에서 무난히 승리할 수 있었다. 세워 잡는 방식이 어색할 순 있어도 포인트 정확도에는 큰 문제는 없는 느낌이다.

img/23/12/14/18c67e2794951ad6b.jpg

오른쪽 컨트롤러에 마우스 밑부분에서 보던 익숙한 그것이 보인다


img/23/12/14/18c67e27b3751ad6b.jpg

함께 동봉된 베이스 모듈을 장착하면


img/23/12/14/18c67e27d2b51ad6b.jpg

모양은 조금 괴상하지만 마우스로 쓸 수 있다


img/23/12/14/18c67e27f1f51ad6b.jpg

이렇게 잡고 쓴다



FPS 모드로 에이펙스 레전드 사격장에 가봤다. 나름 정확하게 쏠 수 있고, 느낌 있다.



키보드 없이 FPS 모드로만 스타크래프트 1 플레이. 이겼다.


리전 고는 비교적 고성능을 요구하는 AAA 게임도 원활하게 구동이 될 정도로 강력한 성능을 가졌으며, 윈도우 11를 운영체제로 사용하기 때문에 게임 외에도 평소 PC로 즐기던 인터넷 서핑, 동영상 시청 등 다양한 콘텐츠를 즐겨볼 수 있다는 큰 장점을 지녔다. 언제 어디서든 장소를 가리지 않고 원하는 콘텐츠를 즐기고 싶은 이들에게는 딱 좋은 제품이다.

단점이 있다면 비싼 가격에 비해 나사 빠진 구석이 여럿 있다. 리전 고는 최대 2560x1600 해상도와 144Hz 화면 주사율을 지원하는데, 사실 배터리와 그래픽 성능이 그걸 제대로 소화할 능력이 되지 않는다. 8.8인치 디스플레이가 휴대용치곤 큰 편에 속하긴 하지만 2560x1600 해상도를 온전히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크진 않다. 화면 주사율 144Hz는 게임 플레이 시 프레임이 144은 커녕 대부분 100 이하로 나오기 때문에 크게 와닿지 않는다. 해상도와 화면 주사율을 조금 포기하고 배터리 성능을 강화하거나 제품 가격을 낮췄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자체 소프트웨어가 빈약하다는 문제도 있다. 리전 고는 리전 스페이스라는 앱을 통해 Xbox, 스팀, 에픽게임즈, GOG 등 주요 게임 스토어를 통합 관리하며 여기에 설치한 다른 게임을 추가하여 일종의 라이브러리를 구축해 사용할 수 있다. 이 앱을 통해 마치 게임기처럼 게임을 골라 즐기라는 것인데, 아직 앱이 제대로 최적화되지 않았는지 컨트롤러 키씹힘 현상이 잦았고, 컨트롤러만으로는 직관적인 메뉴 선택이 되지 않아 답답해서 결국 화면 터치나 마우스를 사용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img/23/12/14/18c67e59dc151ad6b.jpg

리전 스페이스 앱. 게임기처럼 쓰기엔 생각보다 컨트롤러와 궁합이 좋지 않다. 답답해서 터치로 누르게 된다.


컨트롤러는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신기하지만, 분리했을 때 메리트가 뭐냐고 한다면 딱히 없다. 닌텐도 스위치처럼 분리했을 때 추가 기믹으로 이득을 보는 것이 딱히 없기 때문이다. 딱 스탠드로 세워둔 채 즐길 때 유용한 정도다. 또 컨트롤러에 배치돼 있는 추가 커스텀 키는 인체공학적이지 못해 조작하다보면 얼떨결에 실수로 누르기 일쑤였다.

마우스 모드인 FPS 모드는 정밀한 에임 조작이 필요할 때 사용하면 편리하지만 켜는 순간 리전 고의 컨트롤러를 키보드로 인식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키 매핑을 전부 다시 해야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게임에 사용하고자 한다면 매핑을 따로 해줘야 하며, 잡는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에 오른쪽 컨트롤러의 일부 키를 포기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 극히 한정된 상황이 아니면 FPS 모드보다 그냥 터치나 트랙패드를 활용하는 것이 좀 더 편한 경우가 많다. FPS 모드는 아이러니하게도 게임보단 인터넷 서핑이나 문서 작업을 할 때 더 유용했다.

img/23/12/14/18c67e8658051ad6b.jpg

컨트롤러 여기저기에 배치돼 있는 커스텀 키는 실수로 눌리기 일쑤다. 사실 딱히 분리해서 쓸 일이 많지 않기도 하다.


사실 단점이라고 언급한 부분들은 리전 고를 게임기로 봤을 때 느껴지는 것들이고, 그저 휴대가 편리한 고성능 소형 PC로 여기며 사용하면 딱히 문제가 없다. 보통 게이밍 노트북 하면 무게가 2~3Kg 정도 나가는데, 리전 고는 800g 대의 무척 가벼운 무게를 보여준다. 이 정도 크기와 무게로 마우스, 키보드, 모니터 등 추가 입출력 장치 없이 언제 어디서든 준수한 성능의 게임 PC를 사용할 수 있다는게 얼마나 좋은가. 물론 마우스와 키보드를 챙기면 더더욱 좋다.

리전 고는 휴대용 게임기를 원하는 사람에겐 다소 애매한 기기가 될 수 있다. 성능은 차고 넘치지만 들고 즐기기엔 크고 무겁고, 소프트웨어가 영 좋지 못해서 이것저것 세팅을 신경 써줘야 할 부분이 많아 그다지 편리하진 않다. 반면 휴대가 가능한 소형 PC를 찾고 있다면 꽤나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배터리 유지 시간이 짧아 충전이 불가능한 환경에서 오래 사용할 수 없다는 점만 빼면 성능에 불만을 품을 구석이 없을 정도로 정말 좋은 기기라고 느껴졌다.

긍정적
- AAA급 게임도 원활하게 돌아가는 훌륭한 성능
- 가방에 쏙,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즐기는 컴퓨팅
- 분리형 컨트롤러에 마우스가 기본 탑재. 다재다능한 컴퓨터

부정적
- 짧은 배터리 유지 시간
- 휴대용으로 즐기기엔 꽤나 무거움
- 인체공학적이지 못한 컨트롤러 디자인

안민균 기자   ahnmg@ruliweb.com




관련게임정보 목록

관련 정보

기     종

PC

발 매 일

장     르

가     격

제 작 사

기     타



댓글

목록보기

댓글 | 46
1
 댓글


(IP보기클릭)5.178.***.***

BEST
"키보드 없이 FPS 모드로만 스타크래프트 1 플레이. 이겼다."
23.12.14 20:54

(IP보기클릭)223.39.***.***

BEST
휴대용 기기가 무게하고 배터리를 포기하면 그건 더이상 휴대용이 아닌게 아닌지
23.12.15 04:28

(IP보기클릭)211.198.***.***

BEST

완전히 일치하는 건 아니겠지만 이런 형태의 마우스가 있긴 했었습니다. 왜 사라졌는가 하면... 아무래도 불편해서 그런게 아닐런지
23.12.14 20:35

(IP보기클릭)121.136.***.***

BEST
암만봐도 거치용같음.. 휴대는 무리.. 좋은제품이긴 한데
23.12.14 23:38

(IP보기클릭)121.158.***.***

BEST
1시간20분은 넘 짧...
23.12.14 21:11

(IP보기클릭)125.186.***.***

컨트롤러 세워서 버티컬 마우스로 쓰는거 좋은데, 왜 저런 마우스는 안나올까..
23.12.14 20:22

(IP보기클릭)211.198.***.***

BEST
킁카킁카.

완전히 일치하는 건 아니겠지만 이런 형태의 마우스가 있긴 했었습니다. 왜 사라졌는가 하면... 아무래도 불편해서 그런게 아닐런지 | 23.12.14 20:35 | | |

(IP보기클릭)211.34.***.***

킁카킁카.

펭귄 마우스라고 이렇게 생긴 것도 있긴 했습니다. | 23.12.14 23:24 | | |

(IP보기클릭)118.235.***.***

킁카킁카.
손목 보호 마우스로 구글에 치면 꽤 나옵니다 | 23.12.15 01:20 | | |

(IP보기클릭)219.248.***.***

AWCY
저도 이게 생각 났는데, 이 마우스는 불편한게 레이저 포인터 위치가, 앞쪽 길게 튀어나온 부분에 있어, 정밀한 조준을 하기 어려웠습니다. | 23.12.15 04:09 | | |

(IP보기클릭)118.235.***.***

킁카킁카.
터널증후군방지마우스도 쓰는게 비슷해요. 안나오는게 아니라 안찾아보신듯 | 23.12.20 14:12 | | |

(IP보기클릭)118.235.***.***

신팀덱 사고 남는돈으로 외식하는게 나을듯..
23.12.14 20:47

(IP보기클릭)5.178.***.***

BEST
"키보드 없이 FPS 모드로만 스타크래프트 1 플레이. 이겼다."
23.12.14 20:54

(IP보기클릭)182.229.***.***

PoP Star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태어난 이상... | 23.12.15 15:10 | | |

(IP보기클릭)121.158.***.***

BEST
1시간20분은 넘 짧...
23.12.14 21:11

(IP보기클릭)223.39.***.***

BEST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안야아냐
휴대용 기기가 무게하고 배터리를 포기하면 그건 더이상 휴대용이 아닌게 아닌지 | 23.12.15 04:28 | | |

(IP보기클릭)126.235.***.***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안야아냐
닌텐도는 유저중 아동층이 많기 때문에, 애들이 백화점 가서 '엄마 나도 스위치 사줘!'라고 했을때 사줄까 말까 고민할 정도의 가격을 정하고 거기에 스펙을 맞추는 회사입니다. 위 제품이 109만원인데 현시점에서는 아무리 대량생산 하더라도 50만원 밑으로는 못나올텐데 무리한 요구가 아닐런지 | 23.12.15 14:08 | | |

(IP보기클릭)180.66.***.***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얀티누스
umpc의 딜레마죠.. 성능과 화면크기 챙기려다가 무거운 무게랑 베터리 조루를 감수하는..gpd win mini정도가 휴대용의 무게랑 크기 마지노선 같더군요. | 23.12.20 00:23 | | |

(IP보기클릭)76.232.***.***

크다. 대신 좋다
23.12.14 21:20

(IP보기클릭)121.165.***.***

하드웨어 구성이나 마감은 첫제품 치고 준수한데 전용 소프트웨어나 완성도가 매우 안좋다는 평이..
23.12.14 22:06

(IP보기클릭)210.123.***.***

리전고 : 큰 화면, 퀵스텐드, C포트 2개 로갈리 : 소프트웨어, 스피커 스팀덱 : 트랙패드 가 합쳐진게 나와야함..
23.12.14 22:53

(IP보기클릭)183.96.***.***

현진영씨가 광고하면 딱이겠는데
23.12.14 23:18

(IP보기클릭)115.95.***.***

해쨍이
ㅋㅋㅋㅋㅋㅋ 그러네요. | 23.12.15 20:53 | | |

(IP보기클릭)121.136.***.***

BEST
암만봐도 거치용같음.. 휴대는 무리.. 좋은제품이긴 한데
23.12.14 23:38

(IP보기클릭)121.142.***.***

패드신박하네
23.12.15 00:32

(IP보기클릭)222.121.***.***

패드 접합부쪽 유격이 꽤 있다더군요 그리고 크기가 너무 커서 휴대용으로 쓰기는 부담스럽다는 평이 많아서 ㅡㅡ
23.12.15 01:50

(IP보기클릭)211.35.***.***

배터리, 무게 이게 휴대용에선 젤 중요한거라는거 모두 잊지 맙시다. 이래봤자 사놓고 후회하겠지만.
23.12.15 09:11

(IP보기클릭)220.120.***.***

큐브용
베터리 진짜 난공불락의 요새같음. 다음 퀀텀점프는 차세대 베터리가 나오면서 시작될듯. | 23.12.15 10:24 | | |

(IP보기클릭)118.235.***.***

큐브용
사놓고 후회 하고 있습니다 개무거움. 드는거 하나는 자신 있었는데 이거는 좀. ㅠㅠㅠ | 23.12.16 22:55 | | |

(IP보기클릭)1.218.***.***

GPD는 이제 명함도 못내미네
23.12.15 09:33

(IP보기클릭)222.121.***.***

루리는 바보다
랩탑형 UMPC는 거의 GPD만 남은 상황이라 은근히 수요 있습니다 | 23.12.15 12:18 | | |

(IP보기클릭)121.163.***.***

루리는 바보다
gpd는 키보드가 달고 자신만의 길을 가는지라 오히려 괜찮음 다른 umpc 업체들이 죽어나가죠 | 23.12.19 10:12 | | |

(IP보기클릭)180.66.***.***

루리는 바보다
이번에 나온 윈미니는 7인치에 키보드 달려있는데도 무게가 꽤 가벼운 편인지라 휴대성 생각하면 그만한 umpc가 없어 보입니다. | 23.12.20 00:24 | | |

(IP보기클릭)118.235.***.***

루리웹-6548126572
맘에 드는 폼팩턴데 발열이 좀 아쉽더라고요.ㅠㅠ | 23.12.20 12:39 | | |

(IP보기클릭)211.209.***.***


리전고를 가볍게 소화할수 있는 팔뚝
23.12.15 10:05

(IP보기클릭)39.7.***.***

pc는 맥밖에 없어서 로갈리 샀는데 확실히 좋긴 한데 스위치보다 손에 안잡히긴해요 로갈리하다 스위치하면 휴대용은 무게가 너무 중요하단걸 알았어요
23.12.15 10:12

(IP보기클릭)112.175.***.***

약간 느낌이 들고 다닐수 있는 거치형 느낌이랄까요? 어디든 들고가서 편하게 TV에 꽂아서 게임할수 있는...;;; 가끔 2박 이상 할때면 플스에 하던 게임 있으면 들고 가서 했는데 그때 편한 느낌이랄까..;; 그래도 요즘 umpc가 끌려서 하나 사고 싶긴하다는;;
23.12.15 14:12

(IP보기클릭)223.39.***.***

구매해서 사용중인데 확실히 무겁습니다 책상에 앉아사 거치해놓고 사용하는게 팔건강에 좋긴합니다
23.12.15 16:01

(IP보기클릭)223.39.***.***

루리웹-6280901305
하지만 제법 큰 화면으로 언제 어디서든 pc 게임을 할 수 있다는건 큰 장점이죠 상당히 만족하면서 쓰고 있습니다 | 23.12.15 16:03 | | |

(IP보기클릭)195.181.***.***

루리웹-6280901305
진짜 화면 원툴이죠. 저도 화면 크기 하나보고 리전고를 선택했습니다. | 23.12.18 09:48 | | |

(IP보기클릭)175.208.***.***

들고 하기보다는 거치해놓고 쓰기 좋아보이네요 침대 거치대에 걸어놓고 누워서 게임하기는 괜찮을듯
23.12.15 17:43

(IP보기클릭)106.146.***.***

아니 스타 대체 어캐 이겼능교...
23.12.16 10:28

(IP보기클릭)175.211.***.***

이게 한손에 들어온다고? 최홍만인가ㄷㄷ
23.12.16 21:01

(IP보기클릭)112.165.***.***

괴작이네 먼가 하나같이 다 어설프네
23.12.17 02:40

(IP보기클릭)1.240.***.***

스위치2 가 나오면 게임 끝 입니다.
23.12.17 20:23

(IP보기클릭)182.222.***.***

90만원대로 내려오면 사고싶다.
23.12.17 20:23

(IP보기클릭)222.121.***.***

이건 암만봐도 과유불급 같은데 무게가 ㄷㄷㄷ
23.12.18 10:12

(IP보기클릭)119.65.***.***

아니 이걸로 진짜 스타가 가능하다고 ㄷㄷㄷ?
23.12.19 07:31

(IP보기클릭)125.135.***.***

한 손에...?
23.12.19 11:38

(IP보기클릭)223.62.***.***

스팀덱도 아야네오도 로그얼라이도 원엑플도 잘 참았다ㅠㅠ 두세대 정도 더 지나면 무게 발열까지 어느정도 잡히려나... 아직은 존버중ㅇㅇ...
23.12.20 16:10

(IP보기클릭)59.4.***.***

아싸 오늘 스팀덱oled 도착~
23.12.21 21:02


1
 댓글




목록보기
BEST 뉴스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BEST 유저정보
콘솔
PC
모바일
취미
BEST 게시글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