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뉴스 기사

[기사 제목]

IT 혁신은 계속된다, 유니티 코리아 송민석 대표 인터뷰

조회수 4343 | 루리웹 | 입력 2024.05.23 (00:00:00)
[기사 본문]

유니티 코리아는 22일, 국내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유니티 최신 핵심 기술 및 로드맵, 활용 사례를 선보이는 'U Day Seoul' 행사를 개최했다. 행사에서는 유니티의 미래 비전을 공유하는 것은 물론, 최근 유니티가 공개한 최신 버전 엔진 '유니티 6 프리뷰'를 소개하고, 개발자들에게 유니티 게임 개발 노하우를 전달하는 등 다양한 세션이 진행됐다.


유니티 6는 이전보다 최적화되고 안정된 개발 환경을 선보이는 것은 물론, 엔진에 AI 모델을 통합하여 콘텐츠 제작 과정을 간소화하고 확장된 기능을 제공하는 등 개발자가 보다 창작 활동에 집중할 수 있다는 강점을 지닌다. 생성형 AI로 무장한 유니티 6가 게임 산업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게 될 지 궁금해지는 가운데, 지난 2월 유니티 코리아 대표이사로 취임한 송민석 대표가 행사에 참석해 국내 기자들의 다양한 질문에 답을 전했다.


img/24/05/22/18fa0b64bfd51ad6b.jpg

유니티 코리아 송민석 대표이사


● 이번 유니티 6 프리뷰가 공개된 후 개발자들 반응을 보니 평이 꽤 좋던데, 어떤 부분이 개선됐고, 호평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송: 유니티 6에 대해 한국 개발자들의 평가가 좋다는 부분은 정말 기쁘다고 생각한다. 유니티 6의 주요 특징은 좀 더 대규모 콘텐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개선했다는 점이다. 렌더링과 라이팅 기술 관련해서 추가 및 보완하고, 아티스트들이 많이 쓰는 VFX 관련해서도 개선을 많이 했다. 멀티 플랫폼 지원도 강화됐다.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줄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 지금은 유니티 6로 이름이 바뀌긴 했지만 유니티 사용자라면 알다시피 기존 명칭은 LTS 버전, 롱 텀 서포트인데, 롱 텀 서포트라는 것이 기본적으로 안정화에 중점을 둔 버전이다. 유니티 6는 기능 추가는 물론 개선과 안정화에 포커스를 두고 있다고 봐주시면 될 것 같다.

● 작년의 런타임 요금제 사태로 이미지 타격이 좀 있었는데, 그런 부분은 신임 대표로서 어떻게 해결해 나갈 계획인지 궁금하다

= 한 번 잃은 신뢰를 어떻게 회복할 것이냐에 대한 부분은 뚜렷한 비법 같은게 존재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유니티의 핵심 목표는 개발자 지원이고, 개발자를 지원하는 데 보다 많은 노력을 쏟고 개발자 성공을 위한 정책들을 시행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선순환이 이어질 것이라 생각한다.

● 최근 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생성형 AI 기술을 유니티 엔진에 접목시키며 많은 크리에이터들이 보다 쉽게 양질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데, 회사 차원에서 유니티 엔진의 AI 기술 도입을 늘려갈 계획이 있는지?

= 과거 AI는 소수의 역량 있는 기업들만 투자했었는데, 이제는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을 정도로 진입 장벽이 낮아진 것 같다. 보편적인 기술이 되고 있는 만큼 누구보다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유니티가 AI를 지원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다.

= AI로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을 할 것이며, AI 기반으로 실행하는 환경 또한 제공할 예정이다. 유니티 6에서 이 부분을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콘텐츠 생산 능력에 도움을 주는 '뮤즈'와 AI를 실행할 환경을 제공하는 '센티스'가 있다.

= 뮤즈는 예술가들의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예술을 관장하는 신들'을 의미한다. 유니티의 뮤즈도 우리가 직접 뭔가 예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에게 영감과 재능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그런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뮤즈 얼리액세스 활성화 데이터를 봤더니 1등이 미국, 2등이 한국이더라. 미국이 독보적인 것은 당연한거고, 한국이 2등이라는 점은 상당히 고무적인 일 같다.

= 이처럼 한국 개발자들이 새로운 기술에 대해서 목 말라하고, 많은 시도를 하고 있다는 점이 개발자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좋은 동기 부여가 됐던 것 같다. 그래서 올해도 한국 개발자들에게 콘텐츠 개발 같은 것을 도움 줄 수 있는 다양한 정책들을 기획하고 실행해볼 예정에 있다.

● 다른 엔진 회사들도 AI에 집중하고 있는데, 유니티는 AI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향후 어떤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는가?

= 유니티는 AI를 접근성과 생산성, 두 가지 측면으로 보고 있다. AI에 대해 특별한 지식이 없더라도 게임 개발 하는 데 충분히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접근성을 재고하는데 우선적인 가치를 두고 있으며, 그에 따라 생산성을 기본적으로 제공해 드려야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유니티는 AI가 가지는 잠재력에 대해서 어느 회사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고, 관련해서 투자도 많이 하고 있다.

= 유니티는 더 많은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있을수록 세상이 나아진다고 믿고 있기 때문에 콘텐츠 개발자가 특정한 기술을 가지지 않더라도 AI 기반으로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반복적이고 생산적이지 못한 영역에 대해서는 AI가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핵심적인 콘텐츠 창작 능력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니티 AI의 목표라고 할 수 있겠다.


img/24/05/22/18fa0b6725551ad6b.jpg


● 최근 한국에서 MMORPG가 아닌 캐주얼 게임 매출이 커지고 있는 분위기인데, 유니티 엔진 측면에서도 이 같은 변화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지 궁금하다.

= 세계에서 제일 큰 시장은 북미 시장이라고 생각하는데, 북미 시장은 예전부터 지금까지 탑10에 캐주얼 게임이 많이 포진되어 있다. 반면 한국 시장은 특징적이라고 해야할까, MMORPG가 상위에 많이 랭크되고 대형화 되고 있는 경향이 있었다. 최근 장르가 다양화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한국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가 아닌가 생각이 든다. 좀 더 중소 게임 개발사들도 성공할 수 있다는 그런 활기를 불어 일으킬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든다.

= 안타까운 것은 캐주얼 게임 중 약진하고 있는 타이틀 중 상당수가 중국에서 만들어졌다는 부분인데, 한국 개발사들의 역량이 뛰어난 만큼 빠르게 캐치해서 한국만의 방식으로 캐주얼 게임을 개발해서 상위에 머무를 수 있는 기회가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 이런 캐주얼 타이틀들은 유니티로 만들어진 게임들이 많기 때문에 저희들이 그런 부분에 있어서 기술적인 부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노하우를 전수할 수 있는 방안들을 계속 기획하고 실행해 나갈 예정이다.

● 김인숙 전 대표가 꽤 오랜 기간 유니티 코리아를 이끌었는데, 신임 대표로서 부담감은 크지 않은가?

제가 유니티 코리아와 함께한 지 이제 9년 째인데, 유니티 코리아의 성장과 함께한 만큼 이미 내가 하던 업무를 계속 하는 것이라 생각해서 직무에 대한 부담감은 크지 않았다. 다만 최근 대외적인 변화에 맞춰 유니티의 핵심 가치인 게임 개발자 지원을 끊임없이 계속 진행할 수 있어야 된다는 점을 고민하고 있고, 개발자분들이 충분히 체감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하기에 그런 면에서는 부담감이 있다. 유니티 임직원들과 함께 더 많은 노력하고, 계속 정책을 시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


● 유니티 코리아 신임 대표이사로서 차후 어떻게 유니티 실적과 이미지를 개선해 나갈 계획인지 장기적인 플랜이 궁금하다.

= 아까 질문과 연결되는 것 같은데, 작년의 유니티 런타임 요금제 사태도 있었고, 그런 부분들을 해결하기 위해 커뮤니티에 좀 더 진정성 있는 모습으로 다가가는 것들이 제일 중요한 것 같다. 개발자 역량 강화에 온 힘을 쏟으면 개발자분들도 저희의 진정성을 알아주시고 차츰 신뢰를 회복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 런타임 요금제 사태로 인해 다른 엔진을 사용하거나, 자체 엔진을 개발해서 사용하는 개발사들도 늘어났다. 이런 변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하다.

= 그러한 상황에 대한 원인을 제공했다는 것에 대해서는 안타깝다. 그와 별개로 현상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면 어느 사업이든 1~2개 업체가 독식하는 것보단 다양한 선택지가 존재하는 것이 건강한 경쟁 관계가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질적인 소비자인 콘텐츠 개발자들에게 더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유니티도 자극을 받아 콘텐츠 개발에 더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많은 투자와 노력을 기울일 수 있는 상황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 산나비나 스컬처럼 유니티를 통해 좋은 게임이 많이 나왔다. 특히 메이드 위드 유니티 코리아 어워드 수상작 상당수가 메이저 게임사와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는데, 관련 커뮤니티 지원 등을 확장할 계획이 있는지 궁금하다.

= 잘 만들어진 게임은 메이드 위드 유니티 어워드 뿐만 아니라 대형 투자사나 퍼블리셔가 봐도 매력적으로 보이는 것은 당연하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유니티로 잘 만들어진 게임'이라는 것이다.

= 인디 개발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인 경우가 많은데, 인디 개발자들이 조금 더 나은 환경에서 개발할 수 있게, 더 적은 리소스로 더 좋은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계속 지원할 생각이다. 그게 유니티의 핵심 목표이기도 하다. 지금은 무엇을 구체적으로 하겠다고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 계속 논의를 하고 있다.

= 예를 들어 본사에서 진행 중인 크리에이터 스포트라이트라고 하는 프로그램을 한국에서도 해볼까 생각 중이다. 개발자가 나와서 본인의 게임을 개발할 때 유니티의 어떤 기능을 어떻게 잘 써서 개발했는지 발표하는 세션인데 반응이 좋더라. 게임 소개도 소개지만, 그 게임을 만드는 데 있어서 어떤 기능이 어떻게 도움이 됐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다른 개발자 입장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

= 또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그런 것들을 홍보하는 것들도 기획을 하고 있다. 모든 콘텐츠를 다 소개할 순 없겠지만, 좋은 콘텐츠가 있다면 상시적으로 계속 끊임 없이 소개하고, 개발자들과 함께 호흡할 수 있도록 계속 신경 쓸 예정이다.

● 유니티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려면 집중하고 확장해야 할 핵심 비즈니스 영역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유니티가 창업한 이후 중간중간 여러 가지 일이 있었지만, 엔진에 대해 최우선적으로 집중하는 것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조금 바뀌는 것이 있다면 좀 더 개발자나 시장의 피드백을 더 많이 반영하고자 노력하고자 한다. 시장의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반영해서 보다 많은 개발자들이 이번 신규 버전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오늘 유데이 행사를 진행했는데 본사 담당 몇 분이 와서 라운드 테이블을 진행하고 있다. 우리가 일부러 불렀다. 보통 한국 시장의 피드백은 유니티 코리아가 전달 하는데, 우리에게 전달 받지 말고 직접 와서 들어보라고 불렀다. 관련 고객들도 불러서 진실된 피드백을 달라고 말씀드렸다.

= 또 최근 전체적으로 콘텐츠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지고 있다. 인디도 이게 인디 맞아 할 정도로 큰 규모의 콘텐츠가 많이 나오고 있는데, 이렇게 콘텐츠 규모가 커지다 보면 엔진 뿐만 아니라 엔진 이외의 영역에서 다양한 고려를 해야할 필요가 있다. 유니티는 유니티 클라우드라는 제품군을 통해 개발자들이 최대한 본연의 창작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기능들을 선보이고 있다.

● 유니티 6는 최적화에도 신경을 쓴 것 같은데 얼마나 중요도를 뒀는지 궁금하다.

= 게임 개발에서 최적화는 엄청 중요한 영역 중 하나다. 게임을 진짜 오랫동안 대규모 자본을 투입해서 공들여 만들어도 최적화가 잘못되서 조기 종료되는 경우가 있을 정도다. 당연히 유니티 6도 최적화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모든 게임 프로젝트에 최적화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보편적인 성능 향상은 있지만, 결국 어떻게 개발하는 지에 따른 케이스 바이 케이스라고 할 수 있겠다.

● 유니티 6에서 멀티 플랫폼 지원을 강화했는데, 기존 유니티 엔진이 멀티 플랫폼을 동반하는 대형 프로젝트에 잘 쓰이지 않았다는 부분이 있는 만큼, 향후 전망에 대해 어떻게 보는지 궁금하다.

= 대형 프로젝트에 잘 쓰이지 않았다는 부분은 기술적인 부분보다는 다른 부분이 많이 작용했다고 생각한다. 약간 시장에서의 선입견이랄까. 유니티는 캐주얼 게임에 유리하다 이런 이야기가 있지 않나. 멀티 플랫폼하면 보통 AAA급 게임이 많은데, 그런 분위기가 조금 반영되지 않았나 싶다.

= 유니티도 멀티 플랫폼을 충분히 잘 지원한다고 생각하며, 유니티 6를 통해 앞으로 멀티 플랫폼 사례들이 많이 나올 것이라 기대된다.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 이번 프리뷰 버전은 한국어를 제대로 지원하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프리뷰 버전 뿐만 아니라 개발 문서 같은 부분도 한국어 번역 관련해서 개발자들의 요구가 많다. 어떻게 개선해 나갈 예정인지 궁금하다.

= 그 부분은 내부적으로 파악이 끝나는 대로 단계적으로 확장해 나갈 생각이다. 로드맵을 우선시하는 부분이 있다보니 언어 지원면이 조금 미진한 부분이 있었던 것 같다. 아까 뮤즈 사례를 말씀드렸다시피 한국이 활성화 면에서 2번 째에 해당하는 나라인 만큼, 그런 부분들을 좀 더 밀접하게 확장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개발 문서에 대해서는 4~5년 전부터 굉장히 힘을 쏟고 있는 부분인데, 아무래도 최신 기능에 관련된 부분이 미흡하지 않았나 생각한다. 현지화에 대해서는 충분히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을 것 같다. 좋은 지적 감사하고, 더 우선순위를 높여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겠다.

● 메타버스에 대한 열기가 식었다는 평가가 있는데, 메타버스에 대해 어떻게 전망을 보고 있는가?

= 개인적으로 메타버스는 새로운 것이 아니라 이미 흘러가고 있는 사회 현상을 정리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메타버스라는 걸 새롭게 해보자 라고 해서 메타버스가 나온 것이 아니라. 이미 사회는 이렇게 흘러가고 있는데 그것을 메타버스라고 이름 지은 것이다.

= 메타버스라는 것이 어떤 면에서 과장된 부분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무슨 말씀을 드리고 싶은 거냐면, 그러한 과장된 부분을 들어냈음에도 IT 혁신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메타버스를 대신할 또 다른 단어가 나올지는 모르겠지만, 여전히 혁신의 길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img/24/05/22/18fa0b6a39551ad6b.jpg


안민균 기자   ahnmg@ruliweb.com




관련게임정보 목록

관련 정보

기     종

온라인/PC/아이폰/안드로이드/SWITCH/PS5/XSX/VR

발 매 일

장     르

가     격

제 작 사

기     타



댓글

목록보기

댓글 | 17
1
 댓글


(IP보기클릭)110.70.***.***

BEST
유니티는 하나라도 좋으니 자체적으로 게임 만들어 봤으면 함 그래야 왜 언리얼로 갈아타는지 쬐금이해 할듯 urp만 해도 마젠탄 떠서 머리아프던데
24.05.23 06:56

(IP보기클릭)218.146.***.***

BEST
이거 진짜 맞는 말임 유니티는 고도엔진보다 게임 안만들어본 티가 남 언리얼도 고질적인 문제 많은데 유니티에 비하면 양반
24.05.23 11:25

(IP보기클릭)218.146.***.***

BEST
메타버스에 대한 평가가 정확하네 "원래 있었는데 주식투기꾼들이 부풀린 사회현상"
24.05.23 11:29

(IP보기클릭)211.110.***.***

BEST
유니티 망한거 아니었나요
24.05.23 07:54

(IP보기클릭)110.70.***.***

BEST
유니티는 하나라도 좋으니 자체적으로 게임 만들어 봤으면 함 그래야 왜 언리얼로 갈아타는지 쬐금이해 할듯 urp만 해도 마젠탄 떠서 머리아프던데
24.05.23 06:56

(IP보기클릭)106.252.***.***

칸유대위
2222222222222222222222 | 24.05.23 10:22 | | |

(IP보기클릭)122.211.***.***

칸유대위
만들고 있었는데 접었음... 기가야 프로젝트 ㅠ | 24.05.23 10:29 | | |

(IP보기클릭)211.238.***.***

칸유대위
거의 10년째 나오는 말 ㅋㅋ 난 이젠 포기함... | 24.05.23 10:30 | | |

(IP보기클릭)218.146.***.***

BEST
칸유대위
이거 진짜 맞는 말임 유니티는 고도엔진보다 게임 안만들어본 티가 남 언리얼도 고질적인 문제 많은데 유니티에 비하면 양반 | 24.05.23 11:25 | | |

(IP보기클릭)58.121.***.***

(/-_-)/
이건 뭐 지들도 답없는거 인정이잖아 ㅋㅋㅋ | 24.05.23 12:10 | | |

(IP보기클릭)122.211.***.***

칸유대위
결정적인 원인은 사측의 구조조정이긴 함.. 저때 기가야 팀 말고도 뭉탱이로 다 잘려나갔으니 | 24.05.23 13:49 | | |

(IP보기클릭)125.179.***.***

칸유대위
유니티가 2D 인디게임이 강하니까 작게라도 소규모 게임 같은거 만들어보고 이용자들한테 리소스를 공유한다거나 하면 좋을텐데. | 24.05.24 18:48 | | |

(IP보기클릭)221.158.***.***

접근성,편의성,확장성,수익가성비 예전엔 상대적으로 접근성과 수익가성비가 압도적으로 좋아서 유니티를 썼다지만 지금은 에휴...
24.05.23 07:25

(IP보기클릭)211.110.***.***

BEST
유니티 망한거 아니었나요
24.05.23 07:54

(IP보기클릭)211.36.***.***

니네 주가 계속 떨어지는거 보면 신뢰회복 하려면 한참 먼거 같다
24.05.23 08:04

(IP보기클릭)218.146.***.***

BEST
메타버스에 대한 평가가 정확하네 "원래 있었는데 주식투기꾼들이 부풀린 사회현상"
24.05.23 11:29

(IP보기클릭)106.101.***.***

과금의 혁신은 계속된다.
24.05.23 12:14

(IP보기클릭)119.199.***.***

틸로볼프
al인데 무슨 과금 애기임/ 얼만 쓰셔서 화났나요? | 24.05.24 18:29 | | |

(IP보기클릭)61.253.***.***

주식 52주최저가 찍길래 하따잡을려고 들어갔더니 최저가 갱신 랠리 뭐냐 아오 ㅠ..엔비디아 3주팔고 들어갔더니
24.05.24 09:39

(IP보기클릭)119.199.***.***

오호 정말 좋네요
24.05.24 18:29

(IP보기클릭)115.138.***.***

훤칠하시네
24.05.27 03:32


1
 댓글




목록보기
BEST 뉴스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BEST 유저정보
콘솔
PC
모바일
취미
BEST 게시글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