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 3줄 요약>
1. 식인BL은 BL 업계에서도 개씹마이너
2. 르웰린 소설은 BL 업계내에서는 흥행작이 맞음(메이저흥행작이라고 하면 글쎄)
3. 르웰인은 식인BL소설인가? 아님, 식인 연출을 서브연출로 사용한 어두운 분위기의 BL소설일 뿐임
<식인 BL이 BL업계에서 메이저한 장르인가? 에 대한 답변>
**식인BL은 BL 안에서도 ‘마이너 중의 마이너’**야.
폭력성·고어·금기 요소가 강해서 공식 플랫폼에서 크게 흥하기가 어렵고, 대체로 지하/동인/해외 인디 작품 위주로 소비돼.
하지만 완전히 없던 건 아니고, 식인·포식자 테마가 포함된 BL 중에서 비교적 유명하거나 언급이 자주 되는 작품들은 있어.
단, 대부분 본격 ‘식인’만을 메인으로 한 작품이 아니라,
식인 요소(포식 욕망/육식 본능/괴물화)가 중요한 테마로 들어간 다크BL이라는 점을 참고해줘.
🔥 식인/포식 요소로 ‘메이저급 인지도’를 얻은 작품들
1. 《킬링 스토킹》(Killing Stalking) – 쿠기
-
장르: 사이코 호러 BL
-
식인 장르의 ‘본격 식인’은 아니지만, 포식자와 희생자 구조, 극단적 폭력·집착 묘사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흥한 다크BL -
식인/고어BL 팬덤에서도 가장 많이 언급되는 “근접 장르”
2. 수인·괴물공 BL 중 일부 유명 작품들 (반식인/포식 욕망 계열)
대표적으로:
-
《몬스터즈》(Monstrous) 계열 해외 인디 BL코믹
-
《Beast of Blood》(해외) — 괴물공이 인간을 먹는 세계관
-
《The Carnivore》(커미션 기반 웹코믹)
이런 작품들은 직접적인 식인이 나오거나, 먹고 싶은 욕망 자체가 서사의 핵심이라 해외 팬덤에서는 꽤 유명해.
3. 픽시브·트위터 중심의 ‘식인 커플링 지하명작들’
-
특정 CP(커플링)의 대규모 2차창작에서 식인·포식 모티프가 대유행하는 경우가 있었어.
(예: 도굴자 × 괴물, 수인 × 인간, 좀비 × 인간, 흡혈보다는 훨씬 하드한 포식자 설정 등) -
이건 독립 작품이 아니라, **팬덤 내에서 유명한 ‘식인 AU’**가 거대한 규모로 퍼진 케이스.
4. 국내에서는 네이버·리디 등에서 공식 연재된 “식인BL”은 사실상 없음
-
고어/식인 규정상 정식 출판·리디 연재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메이저 플랫폼 흥행작”은 존재하지 않아.
📌 정리하면
-
식인BL은 마이너 장르 확실함
-
하지만 포식자/식인 모티프가 들어간 다크BL 중
“킬링 스토킹”은 BL 전체에서 메가히트했고,
그 외에는 주로 해외 인디나 픽시브 지하층에서 유명한 작품들이 있음.
<해당 소설은 흥행작인가 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
다만 여기서 말하는 ‘흥함’이 일반적인 메이저 작품처럼 대중문화 전면을 장악했다는 뜻보다는, BL/웹툰 시장 내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낸 작품이라는 의미야.
✅ 흥했다는 근거들
-
“르웰린 정찬”은 네이버 시리즈에 연재되어 있고, 작품 정보 페이지에 ‘관심 53.1만’이라는 수치가 기재돼 있어. (네이버 시리즈)
-
웹툰 플랫폼 레진코믹스 등에서도 연재된 기록이 있어. (레진코믹스)
-
단행본 형태로 출판됐다는 정보도 존재해. (교보문고)
-
라디오드라마 혹은 보이스드라마 형식으로 제작된 콘텐츠가 존재해: 유튜브에 “메이킹 녹음현장” 영상이 존재함. (YouTube)
⚠️ 다만, “메이저급 흥행작”이라고 단정짓기엔 약한 부분
-
‘메이저급’이라는 말은 통상적으로 출판사·미디어 믹스·애니화·TV방영 등 대형 산업구조가 연계된 수준을 의미하는데, 르웰린 정찬의 경우 이 범주에 ◯ “애니화”나 ◯ “TV방영” 등의 정보는 확인되지 않아.
-
또한 식인BL 또는 특수 설정 BL이라는 마이너 취향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서, 일반 대중층보다는 BL 팬덤·웹툰 팬덤 내에서의 인기라는 범위로 국한돼 있을 가능성이 높아.
-
“관심수·판매수·조회수” 등 구체적인 비교 데이터가 메이저 작품들과 직접적으로 비교 가능할 정도로 공개돼 있지는 않아.
🎯 정리하자면
네 말대로 “식인BL인데 메이저라니 말도 안돼”라는 감각이 맞아 — 하지만 “완전히 무명 수준”도 아니고, BL·웹툰 팬덤 내에서는 상당히 입지 있는 작품으로 볼 수 있어.
즉:
-
BL시장 내에서 “흥한 작품” → ✔ 가능성이 높음
-
전체 만화시장 혹은 대중문화 전면에서 “메가히트” 수준 → ✖ 가능성이 낮음
<식인 요소가 있음에도 흥행작이 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한 답변>
좋아. “식인 BL 요소가 분명히 있는데도 어떻게 업계 내 흥행작이 되었는가”
이 부분만 정확하고 담백하게, 창작 산업 구조 기준으로 분석해줄게.
감정이나 상식 언급 없이, 작품이 가진 강점 + BL 시장의 구조적 특성만으로 설명한다.
🔍 1. 식인 요소는 “메인 장르”가 아니라 “양념적 서브 테마”였기 때문
BL 업계에서 진짜 식인이 메인 서브젝트가 되면 대부분 판매가 가라앉음.
하지만 르웰린은 다음 조건을 충족했음:
-
식인이 장르 정체성 그 자체가 아니라,
캐릭터의 성향·세계배경·공포적 분위기를 강화하는 장치로 사용됨 -
관계성의 중심은 로맨스·심리전·집착·호러 분위기
-
식인 묘사는 “직접적 고어”가 아니라 서사적 위험 요소 수준
즉, ‘식인BL’로 소비된 게 아니라 ‘다크 로맨스/서스펜스 BL’로 소비됨.
장르적 접근성이 훨씬 넓어짐 → 시장 진입장벽이 낮아짐 → 흥행 가능.
🔍 2. 독자층이 확실한 “다크BL 시장”이 이미 형성되어 있었음
BL 시장엔 실제로:
-
집착공
-
사이코패스/스토커 공
-
인외 or 괴물공
-
스릴러/서스펜스 BL
-
범죄·고어 라이트 요소
이런 장르를 선호하는 견고한 소비층이 존재함.
이들은
“금기 요소 + 안정적 서사 완성도 + 매력적인 관계성”
조합을 좋아하는 경향이 강함.
르웰린은 바로 이 시장의 취향에 정확히 맞아떨어진 케이스.
즉, ‘식인’이라는 단일 요소보다
다크 로맨스 전체의 패키지가 소비층에 맞았기 때문에 흥행이 가능함.
🔍 3. 공 캐릭터(르웰린)의 서사적 매력도가 매우 높았음
식인 요소가 있든 없든, BL 업계가 흥행을 판단할 때 가장 중요한 건 공·수의 매력 구조임.
르웰린은 다음 특성을 갖춤:
-
위험하지만 품위 있는 페르소나
-
‘교양 있는 살인마’라는 서사적 갭 모에
-
수에게만 기울어지는 비틀린 로맨스
-
폭력성 대신 “우아함 + 광기”의 조합
-
인간적 약점이 드러나는 드라마성
이 조합은 BL에서 극히 강한 흡입력을 만듦.
식인 요소가 캐릭터의 광기·집착을 더 “설득력 있게 만드는 장치”가 되어
오히려 매력 요소로 기능함.
🔍 4. 실제 고어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았기 때문에 규제·유통 장벽이 낮았음
식인BL의 가장 큰 문제는 플랫폼 심사와 규제.
하지만 르웰린은:
-
직접적인 신체 훼손 묘사 ↓
-
식인을 성적 fetish로 취급하지 않음
-
제한적 표현만 사용
-
고어·폭력 묘사는 장르 톤 유지 수준
덕분에
-
시리즈·리디·레진 같은 메인 BL 유통망에서 연재 가능
-
미디어믹스(웹툰·보이스드라마) 제작도 가능
즉, “식인 요소 때문에 막히기 쉬운 문”을 표현 방식의 조절로 잘 피한 것이 큼.
🔍 5. BL 업계는 “특정 금기 요소가 들어가서 망한다”보다 “완성도가 높으면 소비된다” 쪽이 강함
BL 독자층의 특징 중 하나:
-
스토리 완성도
-
캐릭터 매력
-
관계성 긴장감
이 세 가지가 뛰어나면,
일부 금기 요소(잔혹·인외·범죄)는 장르적 허용범위 안에서 소비됨.
르웰린은 이 세 요소의 균형이 좋았기 때문에
식인 요소가 있음에도 완성도가 장르적 불호를 압도한 케이스.
🔍 6. 호러/스릴러 감독 같은 “고급 장르 연출”이 BL안에서 신선하게 먹힌 사례
르웰린은 일반적인 BL 문법보다
서스펜스·심리전·호러 문학 문법을 적극적으로 차용했음.
-
공포 분위기 조성
-
식탁 장면·정찬 연출
-
긴장→해소 구조
-
클래식한 고딕 호러 분위기
이런 연출이 BL 안에서는 독보적이었기 때문에
“충격요소보다 스타일과 연출이 먼저 소비됨.”
이 ‘새로움’이 흥행 원동력임.
🎯 결론
식인BL이 성공한 게 아니라, 다크 로맨스 BL이 잘 만들어졌고
그 안에서 식인 요소가 “센스 있는 서사 장치”로 기능했기 때문에 흥행했다.
즉:
-
식인BL이 메이저가 된 것이 아니며
-
르웰린은 식인BL임에도 흥한 게 아니라
식인 요소를 세련되게 재배치한 덕에 업계 내 흥행이 가능했던 작품임.
아무리 생각해도 내 상식선에서 BL도 마이너인데 식인이란게 메이저가 될수 있나???? 라는 의문으로 지피티한테 물어봄
결론은 카제나는 그냥 레퍼런스 조차도 ㅂㅅ같이 해온 케이스라는 것
(IP보기클릭)219.248.***.***
메이저로 할 수 있는 긍정적인 식인 묘사의 최대치는 드라큘라 정도일듯
(IP보기클릭)125.128.***.***
애초에 여기서도 설명이 나오네 '상업적 이용이 불가하다' 내가 궁금했던건 BL에서 식인이 메이저인가 라는 부분이기때문에 상업적이용이 불가능한 초초초초초 마이너는 대상이 아니었음 애초에 처음알았다 저런세상이있다고 ㄷㄷㄷㄷㄷ
(IP보기클릭)125.128.***.***
2차창작 동인지가 아무리 팔려도 메이저플랫폼장사하는 웹툰에 비할바 아닌것처럼 독자풀에서 엄청나게 차이가 남 마이너장르 취향독자들이 아무리 자기복제를 많이 한다고 해서 그게 메이저만큼의 파급력을 가지냐 하면 그정돈 아니지 음지의 작품을 대중성도 받아들일수 있을정도로 순화해서 나오는 작품정도가 받아들여짐 -> 물론 이쯤돼면 베이스가 된 마이너장르의 흔적은 거의 대부분 없어지긴 함
(IP보기클릭)58.124.***.***
(IP보기클릭)125.128.***.***
그건 또 뭐래.............ㄷ | 25.11.16 00:26 | | |
(IP보기클릭)175.127.***.***
https://namu.wiki/w/%EB%8F%99%EC%9D%B8%20%EC%84%B8%EA%B3%84%EA%B4%80#s-3.6 국내에선 오메가버스 만큼이나 동인녀들에게 인기 소재임 포크라고 미맹인 존재로서 맛을 못느끼며 사는데 단 한명 케이크란 상대에겐 달콤한 케이크 맛을 느낌. 그래서 처음엔 스킨쉽에서 체액을 먹는것에서 이성을 잃고 식인까지 가는 세계관 | 25.11.16 00:29 | | |
(IP보기클릭)125.128.***.***
애초에 여기서도 설명이 나오네 '상업적 이용이 불가하다' 내가 궁금했던건 BL에서 식인이 메이저인가 라는 부분이기때문에 상업적이용이 불가능한 초초초초초 마이너는 대상이 아니었음 애초에 처음알았다 저런세상이있다고 ㄷㄷㄷㄷㄷ | 25.11.16 00:32 | | |
(IP보기클릭)175.127.***.***
상업적 이용가능이냐와 메이저랑 마이너는 다르지 않나? 오히려 상업적 이용 불가능을 자기들끼리 파고먹는게 얼마나 흔한데? | 25.11.16 00:33 | | |
(IP보기클릭)125.128.***.***
2차창작 동인지가 아무리 팔려도 메이저플랫폼장사하는 웹툰에 비할바 아닌것처럼 독자풀에서 엄청나게 차이가 남 마이너장르 취향독자들이 아무리 자기복제를 많이 한다고 해서 그게 메이저만큼의 파급력을 가지냐 하면 그정돈 아니지 음지의 작품을 대중성도 받아들일수 있을정도로 순화해서 나오는 작품정도가 받아들여짐 -> 물론 이쯤돼면 베이스가 된 마이너장르의 흔적은 거의 대부분 없어지긴 함 | 25.11.16 00:37 | | |
(IP보기클릭)175.127.***.***
그런데 그렇다고 그걸 향유하는 팬층에서 쉽게 받아지는가 가 아닌, 일반인 대상의 작품에서 레퍼런스를 구하면 꽤나 주제가 어그러질텐데? 예를들어 백합물을 조사한다고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를 들고온다면, 일반 백합물보다 IP관련 매충이 높다고 '백합에서 메카닉은 메이저' 라고 하면 안되듯 말이야 | 25.11.16 00:43 | | |
(IP보기클릭)125.128.***.***
난 애초에 식인BL이라는 장르가 BL업계에서 메이저인가 라는 부분이 궁금해서 AI한테 물어본거라 딱히 그런거까지 신경쓰지 않음 그리고 그부분에서 이미 지피티는 메이저플랫폼에 올리지 못하는 하위장르는 마이너다 라고 박아버렸기 때문에 난 거기에 따라갔던 거임 나로서도 충분히 동의하는 부분이고 | 25.11.16 00:45 | | |
(IP보기클릭)125.128.***.***
그리고 수마를 들고왔느데 수마는 애초에 메인장르는 메카닉 서브장르로 백합을 들고온거라 막상 그걸 백합물이 메인인 작품이다 라고 하면 전혀 다른 이야기지 들고오는 놈이 바보 아니냐 ㅋㅋㅋㅋ | 25.11.16 00:46 | | |
(IP보기클릭)175.127.***.***
지피티에게 물어보는거면 오히려 더더욱 틀린거지. 향유하는 동인녀들의 내용을 모르는, 말그대로 메이저 작품에서 BL만을 다룬거면 말이야. 게임같은것도 인디게임팬들 이야기에 AAA게임 이야기하면 또 전혀 다르잖아? | 25.11.16 00:48 | | |
(IP보기클릭)175.127.***.***
그걸 네가 하는거라니까. 네가 하는 레퍼런스가 'BL에서 이거 메이저 아님' 이라도 단정지을게 아니라고. | 25.11.16 00:49 | | |
(IP보기클릭)125.128.***.***
일단 너랑 나랑 동인계와 메이져계에 대한 인식이 다른것같음 난 아무리 동인계에서 유명하다고 해도 메이저계에서는 먹히지 않는다고 생각하기때문에 지피티의 의견에 동의했던거임 | 25.11.16 00:50 | | |
(IP보기클릭)175.127.***.***
메이저계 이야기 하면 '동인물 요소를 조금 가져다쓴 메이저'가 저 수성의마녀를 '백합요소 추가한거 들고오는게 바보짓'이라는거랑 뭐가다름? | 25.11.16 00:52 | | |
(IP보기클릭)125.128.***.***
결국 니가 하고싶은 말은 그럼 식인 BL이 BL업계에서 메이저다 라고 말하고 싶은거임? 어쨋든 나는 AI의 논리지만 하나의 근거를 가져왔으니 너도 식인BL과 케이크버스가 메이저플랫폼에 버금가는 파급력을 가지고 있다는걸 뒤받침하는 근거를 보여줬으면 함 그게 아니면 난 아직 너의 의견을 받아들이기 힘듬 | 25.11.16 00:52 | | |
(IP보기클릭)175.127.***.***
나무위키에 세계관이 정리 되어있는것만 해도 그렇고 그냥 구글 검색창에 '케이크버스'라고 쳐봐. 단순 백합물보다 더 많이 뭐가 나올정도야. | 25.11.16 00:55 | | |
(IP보기클릭)125.128.***.***
내가 원한 답변이 아니구만 | 25.11.16 01:42 | | |
(IP보기클릭)58.124.***.***
내가 챗gpt도 아니고 네 맘에 드는 말만 할리 없잖아? | 25.11.16 14:15 | | |
(IP보기클릭)125.128.***.***
최소한 그렇게 말하는 근거 하나라도 가져올줄 알았지 공부해라가 뭐냐 공부해라가...... | 25.11.16 14:20 | | |
(IP보기클릭)58.124.***.***
누가 공부하라고 했나. 동인녀들에게 메이저한 세계관을 설명하는 나무위키문서와 구글 검색량으로 말하는건데 그거가 근거가 안된다면 BL장르나 동인장르에 대한 이해를 하고싶지 않은거잖아? 네가 말하는게 NTR장르 이야기하면서 정작 레퍼런스로 들고온게 드라마 '사랑과 전쟁'이고 선택한 이유가 '시청률 높은 메이저 장르이기에 선택했다' 라는거랑 뭐가다르냐고 | 25.11.16 14:29 | | |
(IP보기클릭)125.128.***.***
일단 계속 말이 헛도는것같아서 내가 왜 ai한테 질문을 했는가 부터 잡고 가보려고 함 1. 난 BL을 극혐함, 보추물정도가 수비범위임 2. 카제나에서 식인 연출이 떴고 현재 커뮤니티에서는 이게 BL업계에서는 흔한 거다! 라면서 BL업계까지 도매금으로 패는 현상을 봄 -> 거기서 나온 소설명이 본문의 소설 3. BL ↗도 모르는 나라서 처음엔 그런가? 하면서 믿었지만 아무리 BL이라도 식인이 메이저연출이 될수 있는건가? 라는 의문이 생김 -> 여기서 내가 생각한 메이저는 메이저플랫폼 연재작들을 의미함, 리디북스, 카카오페이지, 네이버 등 실제로 작품퀄리티를 검사하고 판매하는 사이트 4. 그래서 AI한테 저 소설을 중심으로 리서치를 부탁했고 해서 나온 결과가 그거임 난 동인업계를 무시하고자 하는게 아니라 식인 BL이라는 작품이 메이저플랫폼에서 인기가 있는지가 궁금한거임 애초에 내가 존나 씹덕인데 동인업계를 무시하는건 나 자신을 부정하는 일임 NTR이야기 했는데 난 ntr도 쩡정도에서만 보는 입장이라 bl과 마찬가지로 생각해본적이 없음 그런 사람이 의문을 풀려면 ai가 아무래도 빠르지 않을까? 레퍼런스도 확실하게 가져오고 ㅇㅇ 난 그래서 너가 확실한 데이터 정보를 알려주길 기대하고 있었음..... 근데 계속 이해안되는 비유를 들어 이야기해서 오히려 이해가 안됨 | 25.11.16 16:43 | | |
(IP보기클릭)58.124.***.***
네가 이해를 안하려고 하는거 뿐이잖아 씹덕이야기 하는데 메이저 작품만 한정해서 이야기 하면 말이야. | 25.11.16 16:48 | | |
(IP보기클릭)125.128.***.***
BL업계에 대해 알고 싶지 않다는 말은 인정함 근데 굳이 그렇게까지 스스로 모든걸 리서치해서 내가 식인BL을 조사해야할 정도의 일인가 싶음 너도 니가 싫어했고 전혀 관심없었던, 관심을 가지기도 싫은 장르가 이유없이 욕먹는것에 의문점이 생겼을때 그렇게까지 스스로 확실하게 조사해서 그 장르를 비호해줄꺼임? | 25.11.16 16:49 | | |
(IP보기클릭)125.128.***.***
너도 내 말을 이해하고자 하는 생각이 없네....... 씹덕은 메이저 아님? 씹덕은 상업적이용이 불가한 마이너만 빠는게 씹덕은 아니잔아 | 25.11.16 16:50 | | |
(IP보기클릭)58.124.***.***
반대로 상업적 이용가능한것만 '메이저다'라는것도 이상하잖나? 그렇게 따지면 2차창작 상당수가 상업적이용불가인 우마무스메도 네 말에 따르면 마이너가 됨? | 25.11.16 16:53 | | |
(IP보기클릭)58.124.***.***
반대로 의문점이 생겼을때 누군가 지적해준걸 '난 이해못하겠는데?' 하며 틀린거 취급하는건 맞음? 그것도 레퍼런스가 헛소리도 분명히 하는 AI인데? | 25.11.16 16:54 | | |
(IP보기클릭)125.128.***.***
난 앞서 댓글에서 메이저플랫폼이라는 부분에서 조사라고 분명히 적어놨음 니가 지금 하는건 그저 말꼬리 계속 무는 물타기일뿐임 우마무스메에 대해 지금 언급한것도 내가 그부분은 메이저플랫폼에서 이미 출시한 게임이라 마이너가 아니다 라고 설명하면 넌 자신의 말이 옳았다! 라고 그저 스스로 이겼다고 충족시키기위한 말일 뿐임 그리고 본계로 앞뒤자르고 글 싸지르는거 진짜 좀 추하다 | 25.11.16 16:59 | | |
(IP보기클릭)58.124.***.***
난 이게 본계인데 뭔 또 본계 타령이냐 | 25.11.16 17:00 | | |
(IP보기클릭)125.128.***.***
누가봐도 니가 쓴글이 아까 베스트 올라가있드만 찔리냐? 난 그냥 내 의문점을 해소하고싶은 마음이 다였고 이렇게까지 니 말 꼬투리 당하면서 그 '씹덕'에 대한 정의같은걸 하려고 한게 아님 그리고 그 의견을 그냥 주위에 풀었고 그래서 AI라고 말머리까지 붙였느데 굳이굳이 들어와서 내 글은 AI가 작성했으니 ㅄ이다! 라고 욕먹을건 없다고 생각함 본계는 차단했고 이 부계도 곧 차단할꺼니까 대충읽고 말아라 | 25.11.16 17:02 | | |
(IP보기클릭)58.124.***.***
누가봐도라니. 혼자 찔리고 그러는거 안우습냐. 유게에서 AI욕하는거 한두개가 아닌데 그게 다 내 본계라고? | 25.11.16 17:03 | | |
(IP보기클릭)220.70.***.***
(IP보기클릭)125.128.***.***
| 25.11.16 00:27 | | |
(IP보기클릭)219.248.***.***
메이저로 할 수 있는 긍정적인 식인 묘사의 최대치는 드라큘라 정도일듯
(IP보기클릭)125.128.***.***
피빠는거랑 식인이랑 같다고하니까 뭔가 이상하긴한데....ㅋㅋㅋㅋ 틀린말도아닌듯ㅋㅋㅋㅋ | 25.11.16 00:39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