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유머] 수능 상관없이 계속 공부해야 하는 과목.jpg [92]


profile_image


profile_image (1064539)
122 | 92 | 28314 | 비추력 1695793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92
1
 댓글


(IP보기클릭)121.183.***.***

BEST
고등학생, 대학생 가르칠 때 느낀 건데, 요즘 애들 문해력 떨어지는 건 맞는데 배우면 다들 잘 함 패널들이 말하는 것처럼 평소 접하는 게 많이 달라져서 글에 익숙하지 않고 어휘력이 부족해진 게 큰 것 같음
25.11.13 15:09

(IP보기클릭)58.120.***.***

BEST
그건 공부해서 되는게 아니더라고
25.11.13 15:07

(IP보기클릭)218.146.***.***

BEST
나는 도덕 같아..
25.11.13 15:05

(IP보기클릭)118.235.***.***

BEST
하지만 공부하면 시늉이라도 하게 되자너. 시늉조차 안하는게 당당한 시대에는 시늉이라도 하는게 양반임.
25.11.13 15:11

(IP보기클릭)123.142.***.***

BEST
머가 우선순위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일단 국어 능력 뛰어나면 사회생활하는데 꽤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는 하더라. 회의시간이나 아니면 그냥 평상시 대화에서도 누군가가 아.. 그 머더라.. 할때 언어능력 뛰어난 사람이 그에 알맞은 단어 딱 말해주면 엄청 능력뛰어난 것처럼 느껴짐. 그러면서 아이디어 물꼬를 트는경우도 엄청 많고.. 나중에 그때 회의사 대화 떠올릴 때도 그 사람이 해결해준 상황이 제일 많이 떠오름... ㅇㅇ..
25.11.13 15:09

(IP보기클릭)58.141.***.***

BEST
가르치지 않으면 그나마도 안되긴해.......
25.11.13 15:10

(IP보기클릭)125.140.***.***

BEST
와 근데 적확하다 라는 말은 어렵긴 하다
25.11.13 15:07

(IP보기클릭)218.146.***.***

BEST
나는 도덕 같아..
25.11.13 15:05

(IP보기클릭)58.120.***.***

BEST
부거
그건 공부해서 되는게 아니더라고 | 25.11.13 15:07 | | |

(IP보기클릭)58.141.***.***

BEST
張星彩
가르치지 않으면 그나마도 안되긴해....... | 25.11.13 15:10 | | |

(IP보기클릭)118.235.***.***

BEST
張星彩
하지만 공부하면 시늉이라도 하게 되자너. 시늉조차 안하는게 당당한 시대에는 시늉이라도 하는게 양반임. | 25.11.13 15:11 | | |

(IP보기클릭)39.122.***.***

<NULL>
그렇지... 아예 배우지도 못한 사람은 혼낼수도 없지... 일단 가르치고 어기는 사람을 혼내야지... | 25.11.13 15:13 | | |

(IP보기클릭)58.120.***.***

<NULL>
관찰해본 결과 시늉을 하게 만드는건 학습보다 동조압력이더라고 불법인 길빵은 당당하게 하면서 상사보다 먼저 퇴근하는 건 쉽지않음인 많은 직장인들의 예시를 생각하면 됨 문제는 이 동조압력도 좀만 가하면 따르는 부류가 있고 아닌 부류가 있기 때문에 동조압력빨을 잘 안받는 사람이 많은 시기면 보편윤리같은건 사실상 의미를 잃었다고 봐야됨 | 25.11.13 15:21 | | |

(IP보기클릭)118.235.***.***

張星彩
동조압력을 가장 안전한 방법이 교육이자너. 몽둥이질하면 가장 빠르고 확실하게 동조압력이 생기겠지만 그만큼 부작용도 크자너. 그러니 교육을 통해서 동조압력을 안전하게 만들 수 밖에 없지. 그리고 동조압력은 한 방향으로 집중되어야 더욱 강하게 발생하자너. 도덕을 각자 알아서 배우게 하면 동조압력이 약하지만, 공교육 같은 방식으로 방향을 집중시키면 강해지니까. 도덕을 공교육에서 가르쳐야할 이유는 분명하지. 그리고 도덕을 공교육으로 가르치려면 국어가 필요하고. | 25.11.13 15:26 | | |

(IP보기클릭)106.101.***.***

<NULL>
이 시늉이라는 단어도 숭늉을 잘못말한거냐는 말 들어보고 눈앞이 캄캄해짐 | 25.11.13 15:36 | | |

(IP보기클릭)58.120.***.***

<NULL>
아 내가 말하고 싶은건 막줄이 핵심임 지금은 가르칠 도덕이 없어 동조압력빨을 잘 안받는 수백만 수천만의 인간들이 각자의 정의 각자의 윤리를 만들어서 그걸 기준으로 타인에게 압력을 가하고 다님 누군가는 여성에게서 인권을 박탈하는게 정의라고 말하는 한편 반대편에선 남자가 여자의 심기를 건드리면 죽을죄라고 말함 얘들이야 극단적이니까 대부분 손가락질할거라 생각하고 넘어갈 수라도 있지 양쪽 횡단보도까지 거리가 1km가 넘어가는 2차선 도로에선 무단횡단해도 된다라던가 외딴섬에 너무 늘어난 길고양이때문에 천연기념물 지정받은 동물들이 끔살당하니까 밥에 쥐약을 타야한다라던가 콘솔도 팩도 생산판매는 커녕 AS조차 제조사가 안받아주는 고전게임기는 에뮬로 해도 된다라던가 대부분의 인구가 태어난 데서 반경 20km를 벗어나지 않고 농사나 짓다 죽던 시절에 비해 너무나도 많은 인류가 너무나도 다양한 행위를 판단해야 하는 시기인데 각자의 필요에 의해서 기준을 깨부수는 놈들과 영원히 옛 기준(=에 맞춰살던 자기 졷)대로 살기를 강요하는 놈들밖에 없음 이게 잘된 일인지 잘못된 일인지에 대한 판단도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옳고 그름을 가르치는 게 우리가 어릴적 생각하던 것만큼 쉬운 일이 아니라는 건 확실하지 | 25.11.13 15:44 | | |

(IP보기클릭)118.235.***.***

張星彩
문제가 다양하지 않던 시절이 있었나? 그 때에도 도덕은 존재했고, 오히려 문제가 다양했던 시대에 도덕이 대두되는거자너. 그리고 도덕을 ㅈ대로 사용하는 사람이 많으니까 공통의 도덕을 다시 바로 세워서 그런 사람들을 견제해야지. ㅈ대로 쓰는 사람들이 많으니 ㅈ대로 두자고 할 수는 없자너. 길에 꽁초를 버리는 사람이 많다고 그냥 냅두면 깨진 유리창 효과로 더 악화될 뿐이자너. 적절한 조치를 해야 그나마라도 안하는 거자너. 적절한 조치가 도덕의 교육이라는 거지. | 25.11.13 15:51 | | |

(IP보기클릭)58.120.***.***

<NULL>
그렇게 생각한다니까 물어보는건데 넌 어떤 도덕을 가르칠 건지 정할 수 있음? 내가 적은 것들을 포함해 모든 건수 하나하나에 답을 제시하라는게 아니라 도덕적인 가치 판단을 할 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대원칙이 있는지 물어보는거야. 중세 유럽의 대원칙은 성경에서 시작했고 조선의 도덕은 유교에 그 바탕을 두고 있었는데 지금은? "더 많은 사람들이 주장하는 대로 하는것이 더 옳다"? "돈의 액수만 맞으면 대부분의 잘못은 용서받을 수 있다"? 옳다 옳지않다 이전에 지금 사회가 이렇게 흘러가는 건 부정할 수 없지? 보편윤리라는건 구성원 개개인과는 독립된 무언가가 기준을 정해서야 비로소 의미를 갖는건데 지금은 80억 지구는 고사하고 대한민국 5천만명을 따르게 할 기준도 누가 설정할 수 없음. 왜냐? 위정자는 자기 물러나면 알 바 아니라서 이해관계대로 도덕을 주물러댔고 미디어는 돈 등의 이유로 혼란만 가중시켰고 사람들은 적응했느냐 적응하지 못했느냐의 차이만 있지 딱히 답을 이끌어내지 못했거든. 그 대원칙을 누군가가 제시하지 못하면 지금 시대에 할 수 있는 최선은 가지고 있는 도덕적 기준이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여서 그 안에서 합의점을 찾고 그 안에서 지켜지는 보편성에 만족하는 것 정도밖에 없어. | 25.11.13 16:15 | | |

(IP보기클릭)118.235.***.***

張星彩
보편윤리“였던” 중세유럽의 대원칙이나 조선의 도덕은 그러했니? 성경과 유교 경전이 구성원 개개인과 독립되어있었남? 그렇다면 성경과 경전 해석을 두고 갑론을박이 왜 생겼겠어. 보편 윤리, 대원칙이 절대적이고 불변의 진리일 필요는 없음. 그러면 좋겠지만 그럴 수가 없으니까. 그러면 차선의 진리라도 보편 진리로 만들어야지. “절대적이고 불변의 진리를 만들 수 없으니 보편 윤리는 필요 없다.”와 “현재로써 이런 보편 윤리가 그나마 현실적이다.”는 다르자너. “공교육으로 도덕을 가르치기, 보편 윤리 형성하기를 해야 하느냐, 아니냐”에 대해 논하는 것과 “어떤 보편 윤리를 가르쳐야 하는가?”는 다른 이야기지. 후자는 실무적인 내용이 되버리자너. 그러면 “다른 교육과정처럼 관련 학계와 시민단체의 의견을 참고해 결정해야 한다.”같은 원론적인 답 밖에 할 수 없지. 실제로도 이보다 더 좋으면서 현실적인 대안이 없으니까. | 25.11.13 16:32 | | |

(IP보기클릭)58.120.***.***

<NULL>
음...내가 개개인하고 독립되어있었다 한건 교황청과 조선 조정 얘기였어. 당시의 기준들이 절대적이고 안지키면 죽고 그랬다는게 아니라 위에서 하나 딱 정해서 내려주면 이제 그걸 받아들이느냐 안받아들이느냐의 차이일 뿐이지 어쨌든 도덕적인 선에서의 "국룰"이 존재했다는 얘기지. 그게 멀쩡하든 병1신같았든. 근데 지금은 네 말대로 "관련 학계와 시민단체의 의견을 참고해 결정"하잖아. 어디에도 하나의 원칙, 하나의 결론이 없어. 지금은 따지고 보면 석기 시대 언저리 정도로 도덕적 판단의 기준을 정하는 능력이 개개인에게 분산돼 있어. 정의가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건 왕조가 바뀌면 전 왕조가 악마화되고 하면서 으레 있는 일이었지만 지금은 80억이 각자의 정의를 마치 마비노기 지향색처럼 가지고 있다고(물론 안그런 데도 있으니까 전부는 아닐거임) 관련 학계와 시민단체의 의견을 참고해서 도덕교육을 안해갖고 이렇게 된게 아니라는 점은 너도 잘 알거임. 보편윤리가 제기능을 못하면 못하는 이유를 생각해봐야 하고 그 작동할 원동력을 사회가 제대로 주고있는가 하는 부분을 주목하면 답이 나오는 거 같다는 거지 지금 방식대로 도덕 교육과정을 만들 때 제대로 된 의사결정 과정을 거쳐 진행했으면 관여한 학자들이나 단체 회원들 모두 불만인 점이 최소 하나씩은 있을 거임. 그건 타협점이라고 할 수 있지만, 다른 방향에서 말하자면 지구상에 그 누구도 그것을 완전히 옳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이기도 하고. 궁극적으로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사회적인 동조압력을 형성할만큼 굳건한 게 아니라는 뜻임. 나는 보편 윤리가 필요없다고 주장할 생각은 없어. 이제와서 야생으로 돌아가기엔 너무 늦은 인류가 살아갈 사회 시스템이 제대로 돌아가려면 법 이상으로 도덕의 역할이 중요해. 근데 지금같은 상황에서 지금같은 방식으론 도덕과 윤리에 큰 힘이 실릴 수 없다는 얘기를 하는거야. | 25.11.13 16:59 | | |

(IP보기클릭)125.185.***.***

張星彩
공부해선 안될수 있는데 잘 가르치면 되지.. 싸이코패스적 뇌구조를 타고난 사람도 잘 가르치면 정상인이랑 거의 똑같은 삶을 사는게 가능한거 감안하면, 정상인 범주라면 잘 가르치면 무조건되야 됨.. 보통은 집안이 개판이든 친구가 개판이든해서 제대로 못배워서 그런거지. | 25.11.13 17:29 | | |

(IP보기클릭)218.148.***.***

부거
도덕 1표.. 일단 배우기라도 하면 타인에게 무례하게 굴거나 문제를 만들었을 때 적어도 자기가 못된 짓 했다는건 알고있는거니까 | 25.11.14 08:53 | | |

(IP보기클릭)125.140.***.***

BEST
와 근데 적확하다 라는 말은 어렵긴 하다
25.11.13 15:07

(IP보기클릭)118.235.***.***

제로・무라사메
나는 고등학생때 유게에서 배웠는데 유게를 더 열심히 해봐! | 25.11.13 15:31 | | |

(IP보기클릭)125.140.***.***

괘안나?
내가 님보다 유게 출석일과 레벨은 높지만 허수라고 생각하고 더 열심히 정진 하겠읍니다 | 25.11.13 15:34 | | |

(IP보기클릭)58.120.***.***

제로・무라사메
난 한국에서 쓰는건 본적없고 일본 게임하다가 처음봄 | 25.11.13 15:44 | | |

(IP보기클릭)223.39.***.***

적확은 소설 보다 알았음 오타인지 알고 검색해봤는데 있는 단어다라구..
25.11.13 15:08

(IP보기클릭)58.236.***.***

한여아
ㄹㅇ 맨날 정확하다가 나올 타이밍같은데 적확 적확만 나와서 아니 무슨놈의 오타가 왜 여기서만 이렇게 많아? 하면서 검색해보니까 진짜 있는단어임(머쓱) | 25.11.13 15:11 | | |

(IP보기클릭)182.210.***.***

한여아
적중확률 이런거임? | 25.11.13 16:39 | | |

(IP보기클릭)118.235.***.***

한여아
우리보다 한자문화가 짙은 일본에서는 적확이하는 표현 엄청 많이 씀 | 25.11.13 18:07 | | |

(IP보기클릭)125.185.***.***

크라브마리나
정확, 적확 둘다 애초에 유의어로 분류될 정도로 뜻이 비슷함.. 적확이 좀 더 확실하게 정확하다 라는 의미정도로 사용되서, 정확하다 쓸 상황에서, 정확함을 더 강조하고 싶으면 적확하다 쓰면 됨. | 25.11.13 18:51 | | |

(IP보기클릭)123.142.***.***

BEST
머가 우선순위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일단 국어 능력 뛰어나면 사회생활하는데 꽤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는 하더라. 회의시간이나 아니면 그냥 평상시 대화에서도 누군가가 아.. 그 머더라.. 할때 언어능력 뛰어난 사람이 그에 알맞은 단어 딱 말해주면 엄청 능력뛰어난 것처럼 느껴짐. 그러면서 아이디어 물꼬를 트는경우도 엄청 많고.. 나중에 그때 회의사 대화 떠올릴 때도 그 사람이 해결해준 상황이 제일 많이 떠오름... ㅇㅇ..
25.11.13 15:09

(IP보기클릭)121.183.***.***

BEST
고등학생, 대학생 가르칠 때 느낀 건데, 요즘 애들 문해력 떨어지는 건 맞는데 배우면 다들 잘 함 패널들이 말하는 것처럼 평소 접하는 게 많이 달라져서 글에 익숙하지 않고 어휘력이 부족해진 게 큰 것 같음
25.11.13 15:09

(IP보기클릭)61.47.***.***

입사시험(공시, NCS, 뭔SAT등) 뚫기도 해야하고 직장 들어가서 의사소통, 문서작성 등등 업무수행 하려면 국어를 놓을수가 없긴 할듯.
25.11.13 15:09

(IP보기클릭)155.190.***.***

보건 체육이 아니었구나
25.11.13 15:09

(IP보기클릭)106.253.***.***

모국어 즉 국어를 잘하면 기본적으로 다른 과목도 베이스가 탄탄해서 금방 잘 하더라
25.11.13 15:10

(IP보기클릭)118.235.***.***

궁극적으로 보면, 예전에는 전화번호 100개씩 외우고 다녔는데 이제 필요 없어진 것 마냥 단어라는 것도, 필요 없으면 안쓰는 거라고 생각함 지금은 과도기라 충돌이 있을 뿐이지 뭐..
25.11.13 15:10
파워링크 광고

(IP보기클릭)223.38.***.***

비바[노바]
그치만 국어 능력이 떨어진다는건 문법 문장력 그리고 그 말을 자기가 써도 되는지 안되는지 파악하는 능력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단순히 단어를 아냐 모르냐의 문제가 아니게 됨.. | 25.11.13 15:15 | | |

(IP보기클릭)121.135.***.***

루리웹-0791761412
그 단어를 모르니 능력이 떨어지는거지... 결국은 얼마나 많은 단어를 아느냐 자체의 문제로 귀결됨 | 25.11.13 15:20 | | |

(IP보기클릭)58.76.***.***

비바[노바]
하지만 사회는 최소 3대에 걸친 세대가 겹쳐져서 생활하고 있고 자기세대에서 안쓴다고 해도 다른 세대와의 교류를 위해 어휘가 필요하다고 생각함. 우리세대 안쓰니까 그건 사어고 필요없다? 그건 이기적인 생각임. | 25.11.13 15:23 | | |

(IP보기클릭)125.185.***.***

비바[노바]
시대의 변화가 과거보다 빨라진건 맞지만, 다른 세대는 안 그랬는것 처럼 이야기 하는 것도 말이 안 됨.. 물론 문제를 어떻게 설정하냐의 문제가 있긴 하지만, 20년 전에도 이말 똑같이 나왔는데, 20년전과 지금의 문해력 차이가 많이 난다고 나오는건 학습의 문제가 있든, 시대변화가 빨라서든 뭔 문제가 있는건 확실하니 문제의 해결책을 찾을 필요는 있음. | 25.11.13 18:57 | | |

(IP보기클릭)125.185.***.***

비바[노바]
문제가 있는게 명백한데, 그 문제를 그래도 최선을 다해서 해결할 생각 안하고, 그냥 시대가 바껴서 그럴 뿐이라는건 교육적 관점에서 무책임한거지. 예를 들어 정말 시대가 바뀌는게 빨라서인게 유일한 문제점이라면, 국어 수업시간을 지금보다 늘려서라도 그 부분을 보완하고, 또 기존 세대에게도 새로운 세대의 언어를 이해할수 있도록 사회적 교육할 방법을 찾아야 하고. | 25.11.13 18:59 | | |

(IP보기클릭)58.239.***.***

모르는 건 괜찮은데, 모른다고 인정하기에 앞서 쟤가 이상한 말 한다고 비난부터 때리는 놈들이 문제인 거 같아….
25.11.13 15:11

(IP보기클릭)218.235.***.***

통째로 외우니 세부적인건 없는건가
25.11.13 15:11

(IP보기클릭)106.101.***.***

국어는 중대사항이긴함 여전히 서류로 정보가 오가기때문에
25.11.13 15:11

(IP보기클릭)113.190.***.***

유행어는 알든말든 표준어쪽은 조금은 알긴해야지....젊은애들도 이제 사회진출하려면
25.11.13 15:11

(IP보기클릭)221.150.***.***

내가 애들 가르칠 때도 한 말. 독서가 좋은 이유. 시험 볼 때 가장 시간 많이 필요한 부분. 문제 지문 읽는 시간. 문제풀 때 필요한 가장 기초. 문제가 요구하는 것을 읽어내기.
25.11.13 15:12

(IP보기클릭)119.71.***.***

수학은 왜 수학을 선택한 사람들의 이유도 알려달라고 ㅋㅋㅋㅋ
25.11.13 15:12

(IP보기클릭)220.87.***.***

나15
수학이 사실 사람 사고력과 논리력 키우는데 직접적인 수단이라서 그럼 말 그대로 사람 두뇌를 키우는게 수학임 | 25.11.13 15:13 | | |

(IP보기클릭)211.234.***.***

나15
나 고등교육이상 배울거에요 하면 수학 필수임 | 25.11.13 15:13 | | |

(IP보기클릭)119.71.***.***

TeKan
저기서 저 사람들이 이야기한걸 보고 싶어서 그럼ㅋㅋ | 25.11.13 15:15 | | |

(IP보기클릭)211.234.***.***

나15
그야 가아라처럼 되려면 수학을 공부해야지 | 25.11.13 15:16 | | |

(IP보기클릭)39.7.***.***

나15
국어는 표현수단이고, 수학은 논리수단이니까. 내가 아무리 말을 잘한다 하더라도, 내가 1을 생각 하고 있는데, 그걸 남에게 전달했는데도 남이 1이라고 생각 못한다면, 반쪽짜리야. | 25.11.13 15:16 | | |

(IP보기클릭)118.235.***.***

웅히히
그 예로 난 사학과인데 Kruskal Wallis검정을 몰라서 이해 못한 논문이 있음. | 25.11.13 15:16 | | |

(IP보기클릭)219.240.***.***

난 수학이라고 생각해. 대학 가려고 보는 수능. 순수 인문계열이 아닌 이상 대학에서 고등학교 과정 이상의 수학은 기본기거든.
25.11.13 15:12

(IP보기클릭)106.101.***.***

언어가 안되면 다른 것도 공부 못함
25.11.13 15:13

(IP보기클릭)175.196.***.***

수학은 왜 필요한지 내용은 있나?
25.11.13 15:13

(IP보기클릭)221.147.***.***

에이 사바사겠지
25.11.13 15:13

(IP보기클릭)218.233.***.***

그냥 책을 안읽어서 그럼 소설이라도 읽는게 좋긴하지
25.11.13 15:13

(IP보기클릭)211.234.***.***

학문에서 보면 기본은 수학인데 살아가는 생활에서의 기본은 국어 라고생각함 수학 아무리 잘해도 풀이를 해설이 국어를 못하면 못하더라..
25.11.13 15:14

(IP보기클릭)220.78.***.***

단어 문해력 생각하니깐 국어 공부가 필요한 것이 확 다가오네
25.11.13 15:15

(IP보기클릭)49.161.***.***

사실 과목 상관없이 뭐든지 꾸준히 공부하는게 좋지. 국어도 사회도 과학도 수학도 다 필요한거니
25.11.13 15:15

(IP보기클릭)118.235.***.***

영어는 너무 당연해서 안 꼽는건가?
25.11.13 15:17

(IP보기클릭)211.234.***.***

루리웹-7472624883
그정도는 이제 학부생단위에서도 다 끝내는거 취급이라 이제 1학년때부터 영어강의하는 대학 많음 ㅋㅋㅋ | 25.11.13 15:18 | | |

(IP보기클릭)211.181.***.***

루리웹-7472624883
영어도 국어 베이스로 하는거니까 그런거 같음 저거 예시로 들면 intermittent인데 뜻이 간헐적 이라고 적혀있으면 뭔 뜻인지 몰라서 문장에서 활용 못하는 경우가 많음 | 25.11.13 15:19 | | |

(IP보기클릭)211.234.***.***

루리웹-7472624883
영어는 아에 못해도 문제는 없음 특출난 능력이 있는 사람중 영어 못한다고 하면 번역가나 통역가를 붙여주지 영어배우라곤 안하니까 | 25.11.13 15:20 | | |

(IP보기클릭)118.42.***.***

루리웹-7472624883
외국어는 대체 수단도 많고 필요없는 경우도 많아서 필수적인 기초 학력으로는 못 봄. 그냥 가지면 좋은 유틸리티지. | 25.11.14 01:12 | | |
파워링크 광고

(IP보기클릭)106.243.***.***

단어야 그 세대마다 쓰는 게 다르니까 그렇다 치는데.... 에/의 틀리는 거 좀 그만 하면 좋겠어 틀딱커뮤인 여기서도 이제는 에라고 잘못 쓰는 사람들이 더 많아졌더라
25.11.13 15:17

(IP보기클릭)118.235.***.***

이미 기성세대에서도 경험했던 문제고 다른 영역에서도 나옴. 제일 오래된 사건인 훈민정음에 있었던 여린히읗, 쌍이응 등이 사라진 예시고, 1989년 있읍니다를 있습니다로 발음대로 고친 것, 90년대 초중반까지 존재하던 ㅚ 와 ㅙ 발음을 둘다 ㅙ로 바꾼것, 그밖에도 이중모음을 단모음의 연속발음으로 변형시킨것을 인정하는 등 이미 이전부터 한글 망친다vs좀 편하게 쓰자 와 같은 갈등은 많아왔고 그게 지금으로 이어진 것일 뿐이라 생각함. 아마 추측건데 어떻하지 와 같은 혐오스런 오자도 인정되지 않을까 싶응
25.11.13 15:18

(IP보기클릭)220.72.***.***

손절도 손해보고 끊는 뜻인데 손을 떼다는 저차원적 뜻으로 쓰는애들이 대부분
25.11.13 15:21

(IP보기클릭)175.116.***.***

사회. 역사나 인문학은 평생 배워야한다.
25.11.13 15:22

(IP보기클릭)39.7.***.***

국어 공부 안해도 책을 꾸준히 읽으면 되는 거긴 한데
25.11.13 15:26

(IP보기클릭)118.220.***.***

뭉뚱그려 국어라고만 표현했는데 국어라기보단 언어 독해 공부인것 같음 긴 지문을 보고 얼마나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길 수 있는지를 공부해야하는거 (NCS나 좀 친다 싶으면 PSAT 같은거) 사실 일반인 입장에선 이걸 별도로 공부하기보단 그냥 매일 신문이나 매월 시사매거진 같은거 한권씩 읽어두면 꽤 도움됨 수학도 미적분 이런것도 좋지만 기본적인 통계공부를 강력 추천 이건 어느 회사나 기본 통계지식이 있어야 자료분석을 하고 보고서에 해당수치를 넣어 설득가능한 보고서를 만들 수 있기 때문 그리고 별도로 회계공부 기본적으로 회계 기초공부는 해두는게 진짜 도움 많이 된다. (원가 회계까지는 아니더라도 기본 적인 재무회계 정도는 배워두는게 좋음)
25.11.13 15:28

(IP보기클릭)58.227.***.***

유투브를 보고 자란다고 해도 실제로 문서를 작성하는 회사에서 일하려면 국어공부는 필수지 오타나 맞춤법은 둘째치고 보고서에 제곧내 이런 말을 쓰면 안되잖어
25.11.13 15:29

(IP보기클릭)203.234.***.***

별개 얘기인데 유희열 표절 뒤로 찍은 영상인가?
25.11.13 15:29

(IP보기클릭)220.82.***.***

국어공부 중요하지 국어공부하다가 단어의 유래도 찾아보고 국어 공부하다보면 이게 무슨 뜻일까 해석하다가 한자도 찾아보고 여러 방면에서 실생활에는 국어공부가 기초적으로 되어 있어여할듯
25.11.13 15:30

(IP보기클릭)14.55.***.***

다른 과목을 이해하려면 국어를 잘 해야하는건 맞으니깐 무슨 뜻인지를 알아야 공부를 하던 의문을 가지던 하것지..
25.11.13 15:31

(IP보기클릭)211.234.***.***

애들이 책을 너무 안읽긴 함.
25.11.13 15:41

(IP보기클릭)118.223.***.***

일단 예전 세대들은 책도 많이 읽었지만 , 전문 월간잡지 , 조간석간신문 , 등도 많이 읽었음. 한자어에 기반한 문자 전달 매체들이 많았고 어쩔 수 없이 익숙해지게 됨, 방송국에서는 장학퀴즈 같은 기초학력에 기반한 퀴즈 프로그램도 많았음. 최근엔 공교육에서 강제하지 않고 자율에 맡기는 터라, 개개인의 학력차이가 심함. 그래서 '요즘 1020 들은 문해력이 떨어져' '요즘 1020들도 똑똑해요' 같은 양극화도 심화됨
25.11.13 17:00

(IP보기클릭)49.173.***.***

가장 중요한건 추론 능력이라고 생각함. 문해든 수학이든 다른 어떤 문제든 이걸 맞닥트렸을 때 주변의 단서나 증거들을 이용해서 그 문제가 뭔지 추론하는 능력이 가장 중요해진 것 같음. 옛날에도 정보의 홍수라고 했는데 이제는 정보의 과잉이라 그 사이에서 자기가 원하는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선 개개인이 똑똑해져야 해. 인간에게 요구되는 지능 수준이 점점 높아지고 있어.
25.11.13 17:02

(IP보기클릭)110.14.***.***

난 0순위 : 국어, 그다음이 수학, 도덕, 한국사같음
25.11.13 17:40

(IP보기클릭)183.109.***.***

수학은 문제해결능력을 키워주기때문에 포기하지 않는게 좋다.
25.11.13 18:14

(IP보기클릭)211.63.***.***

당연히 수학과 영어임 어떤 분야를 하든지 깊게 들어갈수록 수학과 영어가 가장 큰 장벽임
25.11.13 18:14

(IP보기클릭)106.101.***.***

어휘력 어쩌고 저쩌고 하는 단어들 사실 다 한자어임
25.11.13 18:48

(IP보기클릭)203.239.***.***

그러니 표절했지
25.11.13 19:17

(IP보기클릭)223.38.***.***

평가사 신입으로 들어온 20대 후반 애들 그래도 전문직인데 '관철'이 무슨 뜻인지 몰라서 회의중에 나오니까 서로 쳐다보고 어리둥절해 함.
25.11.13 19:34

(IP보기클릭)58.235.***.***

행복한감평사
진짜??? | 25.11.14 01:22 | | |

(IP보기클릭)218.154.***.***

평생배워야 한다면 국어와 금융지식 아닐까 수학 영어는 일정수준까지만 올리면 되니
25.11.13 19:41

(IP보기클릭)112.181.***.***

모르는게 문제가 아님. 모르면 알아보고 공부하면 되는걸 갖고 모르는게 정상이고 단어쓰는걸 배려가 없는 것처럼 발광하는게 문제임.
25.11.13 20:56

(IP보기클릭)112.147.***.***

근데 옛날에 한자 쓰시던 분의 눈으로 보면 요즘 나이든 세대(40대 이상)도 문맹이나 다름없음.
25.11.13 21:33

(IP보기클릭)118.42.***.***

우르르
지금 30대 중반~40대 초반이 문해력 최고 세대인데... OECD 1위는 당연했고 그 이상으로 비정상적으로 높은 세대임; | 25.11.14 01:20 | | |

(IP보기클릭)211.226.***.***

몰라도 괜찮은 건 사용자가 없는 사어정도지 어디가서 자기 생각을 명확하게 표현하려면 어휘력은 확실히 중요하다고 봐 예전엔 구태여 신문보고 공부했는데 이젠 접할 수 있는 기회도 많이 없네...
25.11.13 21:34

(IP보기클릭)59.7.***.***

솔직히 저기서 말하는 가치들이 저 과목을 공부한다고 갖춰지는게 아님 저걸 갖추려고 공부하는건 아무 쓸데 없음 차라리 외국어를 파면 여행갈때 도움이라도 되지
25.11.13 22:01

(IP보기클릭)218.39.***.***

뭔가 말을 하거나 글을 쓸때 어려운 단어를 쓰면 그 사람이 존나 똑똑해보이더라. 난 그래서 국어 잘 하는 사람이 있어보여서 부러워.
25.11.13 22:20

(IP보기클릭)118.42.***.***

KOS-MOS
사실 상대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상대가 가장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전달하는게 똑똑한거.. | 25.11.14 01:23 | | |

(IP보기클릭)118.235.***.***

그냥 문해력 딸리는게 맞은데 유튜브같은 영상물을 봐서 그렇게 된건 아닌것 같음 군 복무 시절때 이른바 저학력 부대원들도 대충 저거랑 비슷한 증세 보엿음
25.11.14 04:04

(IP보기클릭)106.101.***.***


25.11.14 04:22

(IP보기클릭)86.97.***.***

요즘은 책 안읽는 애들이 너무 많지
25.11.14 04:28

(IP보기클릭)117.111.***.***

공부 문제가 아니라 단어들이 한자로 이뤄져있는데 한자교육이 없는데 뜻을 알리가 있나? 난 왜 한자교육이나 병음교육을 안하는지 잘 모르겟는데 단어 한국 정확 배분 등교 식사 청소 야채 좌회전 상하좌우 전부 다행 전부다 한자어인데
25.11.14 06:38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73096806 1 중일 대치속 일본 여론 근황 (93) R̸̊̀̄͌̎͂̽͊́͒̅͂́́ 186 26851 18:20
73099119 2 노벨피아) 소설 연금화는 좀 피하긴 해야됨 (104) 인버스FX마스터 85 9638 21:16
73099696 3 무협지 음식은 맛대가리 없다는 유튜버.jpg (89) 지정생존자 125 13683 21:54
99362 핫딜 [네이버] 참도깨비 포차우동 10인분 (7,900원/네멤무료) (25) 아조씨 20 19558 10:52
1875495 할 생각 뚝 떨어지는 고인물 무빙 (49) 감동브레이커 128 44923 25.11.13
1875494 미성년자 술 판매시 판매자 처벌 부분 정상화 됨.jpg (68) 루리웹-7696264539 230 34061 25.11.13
1875493 아파트 입구에서 딸아이를 쳐다보던 모르는 남자 (37) VICE 198 40083 25.11.13
1875492 2024년 출시 자체가 개웃긴 게임 (23) 모츠루 65 31326 25.11.13
1875491 에티오피아 아내가 한국에서 참지 못하는것 (71) ❤️코멧코❤️ 210 40554 25.11.13
1875490 살인교사혐의로 의심받는 격투기 코치 (29) 로젠다로의 하늘 142 35210 25.11.13
1875489 강아지들 귀엽다 꼭봐라.gif (31) 멍-멍 138 27997 25.11.13
1875488 역수입) 900년넘은 짭퉁.jpg (27) 루리웹-7696264539 75 35024 25.11.13
1875487 K-POP 데몬 헌터스) 공식굿즈 공개 (31) 루리웹-019534197 44 22735 25.11.13
1875486 대구의 낙후된 시설을 본 구미 사람.manga (120) 루리웹-3187241964 182 41994 25.11.13
1875485 운전면허시험 도로주행 난이도 최상.jpg (45) 루리웹-7696264539 96 33466 25.11.13
1875484 엠씨몽 인스타 근황 (223) RideK 404 49348 25.11.13
1875482 원펀맨 최신 근황 ㅋㅋ (15) 사격중지 53 28945 25.11.13
1875481 민희진 입장문 올렸네 (61) 루리웹-0202659184 234 38037 25.11.13
1875480 수능 상관없이 계속 공부해야 하는 과목.jpg (92) UniqueAttacker 122 28254 25.11.13
1875479 기독교 전례때문에 영구 박제 당한 사람 (63) 빡빡이아저씨 54 19532 25.11.13
1875478 남극기지에서 탈출하는 남극대원 (23) 보추의칼날 98 21380 25.11.13
1875477 자식버린 애미가 자식 위한답시고 한 소리 (32) 슬리핑캣 108 21544 25.11.13
1875476 중세의날 역병의사 옷을 입고 온 아이 (35) Yoci yo 115 30690 25.11.13
1875475 한국 때문에 망했다는 중국 게임 회사. jpg (50) 짠공장 230 59511 25.11.13
1875473 코요태 신지 결혼 준비 근황 (85) 울프맨_ 161 70951 25.11.13
1875472 무지개 다리 너머 기다리는 친구 (39) ❤️코멧코❤️ 137 21631 25.11.13
1875471 대한민국 육군 유튜브 썸네일 근황.jpg (30) 루리웹-7696264539 84 30823 25.11.13
1875469 ???: 영화가 3시간 15분은 너무 길다고 왜 아우성들이지? (46) dokaza 119 28161 25.11.13
1875468 47억 빌려 잠적한 채무자 찾아내 폭행한 채권자들 집유·벌금형 (57) 루리웹-4751089588 126 32911 25.11.13
1875467 수능 감독관에게 의자 제공하지 않았던 이유.jpg (54) 루리웹-4751089588 87 28003 25.11.13
1875466 반다이 임원이 사리사욕 채우고 있다고 의심되는 시리즈 근황 (58) roness 91 32396 25.11.13
1875465 골때리는 일본 30년전과 지금 비교 (77) 유게고수가될꺼야 103 34934 25.11.13
BEST 뉴스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BEST 유저정보
콘솔
PC
모바일
취미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