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뉴스 기사

[기사 제목]

리버스 : 1999, 그 아방가르드함에 대하여

조회수 13148 | 루리웹 | 입력 2023.10.30 (16:01:10)
[기사 본문] 중국의 개발사 BLUEPOCH가 개발하고 국내에서는 하오플레이가 서비스하는 모바일 타이틀 ‘리버스 : 1999’가 지난 10월 26일부터 국내 서비스에 돌입했다. “SO YOU HAVE A MOTHER”라는 PV의 기묘한 대사로 일부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지만, 실제 게임 플레이가 보여주는 분위기는 진중하고 무겁고. 한편으로는 축축했다.

새로운 구시대, 아방가르드 RPG를 표방한 ‘리버스 : 1999’는 말 그대로 전위적이고 살짝 급진적이다 싶을 정도로 힙스터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주는 타이틀이다. 유려한 아트워크와 이펙트를 보여주는 한편, 다른 모바일 수집형 RPG 타이틀이었다면 하지 않았을 몇 개의 선택들이 빛을 발한다.




● 스토리가 이끄는 플레이 경험 - 고증과 소재를 아방가르드하게 전하는 방법들

‘리버스 : 1999’의 정체성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비주얼 노벨 쪽의 경험이 가장 중심에 자리하며, 여기에서 캐릭터의 수집과 육성 그리고 전투에 이르는 전반적인 경험이 뻗어나가는 식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전투나 육성은 이야기를 감상하는 과정에서 플레이어를 막아서는 역할 혹은 진행을 의도적으로 막는 장치처럼 사용되기도 한다.

이야기와 연출이 중심이 되는 타이틀이므로 ‘리버스 : 1999’는 독특한 설정과 세심한 연출이 더해지면서 플레이어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어떤 이유로 인해 하나의 시대가 삭제되며, 그 안에 있던 사람들도 사라지는 ‘폭풍우’라는 현상이 벌어진다는 설정은 리버스 : 1999의 분위기를 한층 무겁게 만든다.

거꾸로 올라가는 비로 시작되는 폭풍우. 여기서 살아남는 것은 마술을 쓸 수 있는 마도학자 뿐이며, 그 시대의 일반인은 시간과 함께 사라진다는 설정이다. 따라서 리버스 : 1999의 초중반부 이야기는 사라지는 시대에 대한 기억들과 그 시대를 살아가는 인물이 서사의 중심에 자리한다.

img/23/10/30/18b7f53eff45104c1.jpg

거꾸로 내리는 비, 폭풍우. 그리고 시대의 종말


그리고 조금 더 나아가면, 주인공인 ‘버틴’에 대한 이야기로 넘어간다. 버틴의 과거를 돌아보는 한편, 버틴이 속한 집단 ‘재단’에 대한 내부의 이야기가 중심이 된다. 여기에 앞서 버틴이 구조했던 다른 시간대의 마도학자들이 엮이며 이야기는 대단원을 맞이한다.

스토리와 연출이 중심이 되고 있기에, 게임 내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는 것은 이야기를 감상하고 연출을 확인하는 것이 된다. 조금 극단적인 예가 될 수 있겠지만, 3분 정도의 전투를 진행한 다음 10분 정도 이야기를 연속해서 보게 되는 경우도 있을 정도다. 짧은 이야기의 연속이 아니라, 긴 이야기의 흐름을 가지고 있고 이 과정에서 전투나 수집보다는 육성의 결과로 이야기를 감상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mg/23/10/30/18b7f542ea95104c1.jpg

이야기를 보는 데에 방점이 찍혀있다


기본적으로 주어지는 네 명의 캐릭터를 육성하는 것 만으로도 이야기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해둔 것을 보면, 개발진이 보다 근본적으로 어디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지를 명확하게 볼 수 있는 지점이다.

스토리 전반의 대사는 꽤 많은 텍스트량을 자랑하는 한편, 여러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는 연출을 더하고 있다. 현재 기준으로 총 4장까지 마련된 스토리 중에서 여러 연출을 선보이고 있지만, 가슴 한켠을 후벼파듯이 다가오는 직접적인 장면을 넣기도 했다. 독특한 화풍의 일러스트와 색감. 그리고 캐릭터들이 가져오는 매력이 전부 어우러지며 안타까움을 낳는 장면이기도 하다.

더욱이 흥미로운 점은 ‘리버스 : 1999’가 가져온 소재들이 쉽지가 않다는 점에 있다. 게임 시작과 동시에 컷신으로 나오는 레굴루스의 장면을 보자. 영국 바다 한 가운데에서 로큰롤을 방송하는 해적. 로큰롤 + 해적이라는 다소 이질적인 그림이기도 한데, 이러한 장면은 1960년대 영국에서 실제로 있었던 일이다.

img/23/10/30/18b7f547a505104c1.jpg

실제로 바다에서 진행한 해적 방송이니까.. 로큰롤 해적인 것


아마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리처드 커티스 감독(러브 액츄얼리, 노팅힐 등이 대표작이다)의 2009년작 ‘락앤롤 보트(원제 : The Boat that Rocked)’를 보면, 직접적인 이해가 될 수 있다. 1960년대 말은 로큰롤의 절정기였지만, 영국 BBC에서는 하루에 한 시간도 되지 않는 시간만을 대중음악에 할애했다. 그렇기에 로큰롤에 열광하는 사람들은 비공식적인 경로를 통해서 로큰롤을 송출했다. 말 그대로 바다 위에서 경직된 체제에 저항하는 것. 해적 방송의 출현이다.

해적 방송은 당시 경직되어 있었던 사회에 던지는 물음이자, 저항의 의미를 가진다. 그렇기에 저항적인 예술성향을 의미하기도 하는 아방가르드라는 키워드와 접점이 이루어진다. 경직된 것에 대한 저항이자, 고정되어 있는 것에 대한 저항이다. 이후 ‘리버스 : 1999’가 보여주는 이야기를 고려하면, 여러 의미를 짚어볼 수 있을 것이다.

시간이 앞으로 흐르지 않고 사라지며 뒤로 감기며 퇴보하는 상황은 ‘폭풍우’로. 그 속에서 변하지 않고 고정된 채 침전해가는 것은 ‘재단’으로. 그 모든 것에 저항하며 본인의 길을 구축하는 주인공 버틴이라는 구조가 성립한다고 볼 있다. 해석은 각자 다를 수 있겠지만, 큰 틀에서 고정되고 역행하는 것을 마주하고 타파하는 것이 리버스 : 1999가 보여주는 이야기의 골자라고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img/23/10/30/18b7f57dfc85104c1.jpg

역행하는 시대에서 어떻게 저항하고 자신을 구축할 것인가? 라는 질문을 던질 수도 있을 것 같다


더불어 이야기의 소재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도 생각해볼 거리가 되기도 한다. 성 파블로프 재단의 부회장 ‘콘스탄틴’을 보자. 이 인물은 주인공 버틴을 장기말로 이용하려는 인물이며, 여러 의문을 남기고 있는 인물이기도 하다. 그녀는 계속해서 체스말과 함께 등장하고 이 과정에서 오프닝으로 퀸즈 갬빗을 택한다. 폰을 하나 버리고 전장의 중앙에서 직접적으로 판을 이끌어가기 위함이다.

이후 콘스탄틴과 대립하는 재단 내의 인물 ‘Z’는 체스가 아닌 바둑의 형태로 은유가 이루어진다. 체스가 왕을 잡는 것이 목적이라면, 바둑은 상대보다 더 많은 집을 짓는 것이 목적이다. 한정적인 장소(바둑판)에서 나의 영역을 더 많이 만드는 것이 게임의 목적이 되는 것이다. 상대를 제압한다는 최종 목적은 같지만, 서로의 방법론이 다르다는 것을 은유하기도 한다.

img/23/10/30/18b7f583bd05104c1.jpg

유닛으로 상대를 제압하는 인식을 보여주는 콘스탄틴


약간의 정치물처럼 다뤄지는 4장에서 체스와 바둑의 대립은 흥미롭게 다뤄진다. Z가 두는 바둑의 경우 사람 하나가 말에 해당한다. 그리고 더 많은 집을 짓는다는 바둑의 룰은 법안을 두고 투표하는 사람의 수를 뜻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따라서 유닛으로 누군가를 잡아내 탈락시키는 것이 아니라 내 집. 즉, 나의 의견에 동조할 수 있는 인물들을 늘려나가는 방식으로 갈등을 해결함을 의미한다. 4장의 이야기가 투표 장면을 보여주며 절정에 이르는 것을 생각하면, 완전한 승리를 위한 소모전이 아니라 흐름 속에서 비교우위를 구축하는 과정이 승리라고 말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거기서 나오는 차이는 4장의 마지막, 투표 장면을 긴장되는 것으로 승화시킨다.

리버스 : 1999의 이야기는 이렇듯 일반적인 모바일 수집형 타이틀의 이야기와는 조금 궤를 달리한다. 꽤 많은 은유와 비유. 여러 시각에서 해석할 수 있는 소재들이 즐비한 이야기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막대한 진입장벽이 되기도 한다.

img/23/10/30/18b7f5874975104c1.jpg

흐름 속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위치를 점거하고자 하는 Z. 두 인물의 차이가 체스와 바둑으로 그려진다


우선, 이야기 초반부부터 온전한 몰입을 제공하지는 못한다. 소재나 시대상이 살짝 무겁고 진지하게 다뤄지기 때문이기도 하며, 게임 시스템 내에서 고유명사들이 초반부터 쏟아져 나오는 측면도 있다. 게다가 이 고유명사나 설정 전반을 빠르게 알아듣기도 어렵다. 초반부 경험만을 보자면, ‘그래서 왜 자기들끼리만 아는 이야기를 하지?’라는 물음이 살짝 들 정도다.

초반부터 큰 사건이 벌어지는 것도 아니기에, 이야기로 플레이어를 몰입시키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기 마련이다. 하지만 어느 순간, 이야기는 안에 잠재된 것을 폭발시킨다. 2장에 이르러 슈나이더의 이야기가 마무리 되는 시점이 대표적이다. 그 전까지 삐걱대던 캐릭터 설정이 있기는 하지만, 2장 마지막에 도달하면서 그 아쉬움을 다 잊을 정도의 여운을 남긴다.

img/23/10/30/18b7f58f6555104c1.jpg

2장 종막부터 이야기 퀄리티가 올라가기 시작한다. 이렇게 해두고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아닌 게 아쉬울 정도


정리하자면, 리버스 : 1999는 이야기 전반을 구축하는 소재와 설정. 그리고 이를 풀어나가는 방식 모두 현재의 트렌드와는 다소 어긋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빠르게 승부를 봐야 하고 짧은 시간에 캐릭터의 매력을 전달하는 것이 추세라면, 예열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리버스 : 1999의 이야기는 그 존재 만으로도 이질적인 측면이다.

하지만 어느 시점을 넘어가면서 본인들의 정체성을 가감없이 드러낸다. 이 즈음 되면, 다소 난해한 이야기도 매력으로 작동한다. 여기에 유려한 일러스트와 연출까지 더해지면서 아방가르드함의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셈이다.

img/23/10/30/18b7f59212b5104c1.jpg

개인적으로 악마 같았던 연출이라고 생각하는 오렌지 씬




● 다소 퍼즐적인 전투 플레이 - 그런데 세심한 아트를 곁들인

리버스 : 1999는 그 본질적으로 가장 먼저 이야기가 앞서는 타이틀임은 부정할 수 없다. 따라서 전투 측면은 스토리를 보기 위해서 등장하는 적을 격파하며, 보스를 제거하는 플레이로 귀결된다. 이야기에 따라서 일부 적들이 등장하고 이를 뛰어 넘어야만 다음 이야기를 볼 수 있는 구조다.

전투가 중심이 되는 타이틀이 아니기에, 전투 자체의 반복 플레이보다는 어떻게 잠깐 동안의 전투에서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할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렇기에 리버스 : 1999의 전투는 약간의 퍼즐적인 플레이에 가깝게 설계되어 있다.

img/23/10/30/18b7f59589b5104c1.jpg

같은 카드를 이동하고 배치해서 더 높은 단계의 공격을 하는 것


플레이어는 전투 시작 시, 편성한 캐릭터에 따라서 총 7개의 스킬 카드를 지급받는다. 카드는 같은 종류 / 같은 별 수를 가진 카드가 옆에 있다면 하나로 합쳐지며, 별이 늘어나 더 강력한 공격을 수행할 수 있다. 카드를 합치거나 사용할 때마다 해당 캐릭터에 열정이라 불리는 포인트가 부여되고, 열정이 최대치에 도달했을 때 캐릭터만의 강력한 최종 술식을 사용할 수있는 구조다.

단순 명료한 전투 시스템이기는 하지만, 몇 가지 변수가 있다. 캐릭터들의 스킬 카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이동 시에는 액션 슬롯 하나를 사용하게 되므로 공격 기회가 1회 줄어든다. 하지만 이후 더 강력한 공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기회를 보면서 카드를 이동해 열정 포인트와 스킬 카드의 단계를 올리고 적을 효과적으로 제압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하지만 개발진은 여기서 몇 개의 변주를 더한다. 시스템 측면에서 단순한 만큼, 적의 패시브나 행동 방식을 복잡하게 설계하는 것이다. 어느 정도 진행하면, 플레이어는 스킬의 단계를 올리고 게이지를 쌓아서 진행하는 것만이 아니라 적의 능력이나 패턴을 파악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img/23/10/30/18b7f59e14e5104c1.jpg

약간 단순하다 싶은 룰은 적의 긴 특성과 패턴으로 복잡도를 더한다


즉, 결과적으로 전투 진입 시에 적의 상태를 먼저 살펴볼 수 밖에 없도록 만든다. 레벨 등을 올려서 대미지로 찍어 누르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지만, 적절한 레벨이라면 상성이나 적의 행동 양식을 파악하고 빈틈을 노리는 플레이가 필수적으로 다가오게 된다.

이를 이해하고 전반적으로 각 스테이지는 육성을 제대로 하기만 한다면 스토리 전체를 클리어하는 데에는 무리가 없다. 오히려 극한의 조건을 가지고 있는 전투 관련 튜토리얼이 실수 하나만으로도 실패하는 등 까다롭게 느껴질 정도다. 최적의 효율을 내기 위한 과정을 고민해야 하기에, 단순한 룰임에도 퍼즐과 같이 순서와 능력을 파악하는 과정이 수반된다.

img/23/10/30/18b7f5a1ac65104c1.jpg


전투에서 선보이는 아트워크는 단순하면서도 복잡한 운용을 해야 하는 리버스 : 1999에서 분위기를 환기하는 역할을 한다. 잘 꾸려진 최적화와 더불어 전투에서의 스킬 연출과 이펙트 등이 단편적인 전투 과정에서의 재미를 이끌어낸다.

자동 조작이 없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될 수는 있겠지만, 전투 시스템이 지향하는 바를 생각하면 최초 1회 클리어는 직접 진행하도록 해서 플레이 자체를 꼭 하도록 만들었다. 더불어 아직까지는 카드 간의 연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디버프 / 버프 정도가 연계의 중심으로 자리하고 있는 상태다. 변주를 가하는 것은 적의 특성일 뿐, 플레이어가 직접 전투 양상을 바꾸는 데에는 무리가 있다.

img/23/10/30/18b7f5a54505104c1.jpg


여기에 스토리 중심 타이틀이기에 스토리를 벗어나는 순간부터 원동력을 잃게 되는 문제가 있다. 스토리 이후에도 ‘가상 몽유’라 부르는 시스템을 통해서 전투 중심의 플레이로 전환을 노리고 있다. 그리고 이 지점부터 반복적인 플레이가 리버스 : 1999의 플레이를 지배한다.

가상 몽유 6지역부터는 클리어를 할 때마다 두 명의 캐릭터를 제외하게 되는데, 이는 곧 플레이어가 여러 캐릭터를 키워야함을 뜻한다. 따라서 기존에 가지고 있던 캐릭터와 함께 다수의 캐릭터를 육성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더 많은 캐릭터의 수집 / 육성 재화의 부족이라는 문제에 직면하기 마련이다.


img/23/10/30/18b7f5ad38a5104c1.jpg

아니 키울 건 많은데 왜 행동력 채워주는 사탕을 안주냐구우... 


이 즈음부터 스토리 중심의 게임 플레이 보다는 들어와서 할 것을 진행하고 자원을 쌓아가는 분재형의 플레이에 가까워진다. 전투 또한 첫 클리어를 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전투를 돌릴 수 없으므로 어쨌든 최초 1회는 클리어 해야만 한다. 그래야 추후 재화 수집도 반복 플레이가 한결 나아지기에, 추후의 반복 플레이에 부담이 줄어든다.

먼저 게임이 나온 중국 서버에서도 아직까지 이야기가 5장에 그친다는 점을 생각하면, 육성 재화를 모으고 조금씩 성장하는 플레이가 리버스 : 1999의 스토리 이후 플레이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밀도 있는 이야기를 보여주면서 플레이를 이끌고. 전투와 연출로 눈을 즐겁게 했던 것과는 별개로 이야기가 비는 타이밍에는 전형적인 분재 게임처럼 작동하게 된다.

img/23/10/30/18b7f5b145f5104c1.jpg

결국 스토리 외적으로는 여러 캐릭터를 획득하고 키우는 게임으로 귀결된다



● 아니 이걸 이렇게까지? - 힙스터함을 올리는 요소들

스토리 중심의 타이틀에서 캐릭터의 매력과 육성 시스템을 곁들인 리버스 : 1999는 플레이 양식이나 이야기의 무게감에서 자신만의 스탠스를 확고하게 가져간다. 이걸 전위적인 측면에서 아방가르드라고 표현할 수도 있고 남들과 다른 점을 계속 어필한다는 점에서 힙스터함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정점을 찍는 것이 캐릭터를 디자인하는 것 그리고 여기에 덧붙여지는 성우의 목소리 측면이다. 분명 수집형 타이틀이고 미소녀 일러스트가 눈에 들어오는 타이틀이지만, 캐릭터 디자인이 범상치가 않다. 전반적으로 노출도를 올리기보다는 아름답거나 특색있는 형태의 캐릭터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다.

img/23/10/30/18b7f5b5bde5104c1.jpg

그래도 레굴루스는 예쁘다. 중요하니까 한 번 더 말한다. 예쁘다


게다가 단순히 인간형 캐릭터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A 나이트’ 처럼 손과 칼. 그리고 망토만 있는 존재라거나. 넥타이를 착용하고 공중을 떠다니는 사과 -뉴턴이 모티브다- 등 다른 게임이라면 기괴하게 느껴질 수 있는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다. 심지어 나중에 나올 ‘피클즈’와 같이 개 모습의 캐릭터까지 생각하면, 수집형에서는 쉽게 내릴 수 없는 결정처럼 보인다.

여기에 성우들의 기묘한 열연도 언급을 할 필요가 있다. 이건 한국어 음성보다는 영어 음성에서 더 명확하게 나오는 특징이다. 영어 음성으로 게임을 플레이할 경우, 영국인인 레굴루스의 억양이 영국식으로 달라진다거나. A 나이트의 대사가 프랑스어로 나온다거나 하는 것들이 대표적이다. 캐릭터의 인상이 확연하게 달라질 수 있는 지점이다. 그렇기에 개인적으로는 영음을 추천하고 싶을 정도다.

img/23/10/30/18b7f5ba36d5104c1.jpg

졸지에 4장이 나온 A 나이트. 저를 A4 나이트라고 불러주시겠어요?


이 중에서 정점은 ‘존 티토’다. IBM 5100을 한 손에 들고 16진수로 말을 하는 캐릭터인데, 모든 대사가 다 16진수다. 대사가 대략 ‘486579446F6R2774746F7563686D65’이런식인데, 이걸 성우가 하나하나 다 읽는다. 컨셉 또한 미칠 것 같은데, 더빙으로 듣는 순간 정신이 멍해질 정도로 쉽지 않은 컨셉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듯 캐릭터와 스토리 중심의 게임임에도 세부적인 것들이 기묘한 인상을 풍기고 있는 상태다. 앞서 언급한 실제 역사를 비틀어 표현하는 것에 더해서, 억양까지 반영을 해버리는 디테일 전반은 개발진이 얼마나 힙스터에 가까운지. 그리고 얼마나 진심으로 이를 구현하려 했는지를 보여주는 요소다.

img/23/10/30/18b7f5bd8775104c1.jpg

더빙 중에는 제일 정신이 나갈 것 같은 대사다



● ‘리버스 : 1999’ - 그 아방가르드함에 대하여

정리하자면, 리버스 : 1999는 다른 수집형 타이틀에서 몇 가지 요소를 가지고 왔음에도 자신만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 시스템 측면에서는 그간 시장에서 서비스 되었던 타이틀과 완전한 차별화를 이뤄낸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 시스템을 기저에 두고 선보이는 스토리와 연출. 디테일한 캐릭터 디자인과 목소리 등은 다른 게임이 보여주지 못했던 일면에 도달해 있다.

이야기 전반으로 저항이라는 것을 키워드로 삼는 한편, 이 속에서 저항하며 살아가는 인물들을 중심에 내세운다. 이 모든 것들이 뒤섞여 만드는 게임의 분위기는 호불호가 강하게 걸리기는 하지만, 접근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는 각별한 작품으로 자리 잡을 여지를 남긴다.

수집형 측면에서도 뽑기 스택이 공유되거나 이월되는 등 편의적인 측면을 따라가고 있다. 따라서 스토리에 관심이 있는 플레이어라면 전반적으로 가볍게 즐길 수 있는 타이틀로 시장에 자리를 잡지 않을까 한다. 새로운 이야기를 전달하는 기간이 길다는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한 편의 비주얼 노벨을 감상한다는 측면에서 접근한다면 충분히 의미가 있는 타이틀이 되리라 생각한다.

img/23/10/30/18b7f5bfccb5104c1.jpg


img/23/10/30/18b7f5bfeb95104c1.jpg



정필권 기자   mustang@ruliweb.com




관련게임정보 목록

리버스 : 1999

기     종

아이폰/안드로이드

발 매 일

2023년 10월 26일

장     르

RPG

가     격

제 작 사

BLUEPOCH

기     타



댓글

목록보기

댓글 | 42
1
 댓글


(IP보기클릭)106.101.***.***

BEST

23.10.30 17:20

(IP보기클릭)106.251.***.***

BEST
어머니가 계셨구나!
23.10.30 16:12

(IP보기클릭)121.140.***.***

BEST
간만에 모바일게임중 디자인좋고 음악좋고 자동사냥도 없어서 잼나게 하고있긴한데 진심 사탕 드럽게 모자름..좀 자주 풀어줬으면..
23.10.30 16:31

(IP보기클릭)119.192.***.***

BEST
스토리좀 보다가..... 뭐라는지 하나도 모르겠고 중2병 스러워서 걍 삭제했는데......
23.10.30 18:56

(IP보기클릭)118.235.***.***

BEST
"분위기에 취한다"는 느낌을 제일 잘 표현한 게임인 듯
23.10.30 16:48

(IP보기클릭)106.251.***.***

BEST
어머니가 계셨구나!
23.10.30 16:12

(IP보기클릭)106.101.***.***

BEST
리리리리

| 23.10.30 17:20 | | |

(IP보기클릭)223.131.***.***

빨간머리바이킹 앤
so you have a mother! | 23.10.31 07:26 | | |

(IP보기클릭)121.140.***.***

BEST
간만에 모바일게임중 디자인좋고 음악좋고 자동사냥도 없어서 잼나게 하고있긴한데 진심 사탕 드럽게 모자름..좀 자주 풀어줬으면..
23.10.30 16:31

(IP보기클릭)220.71.***.***

시작언어를 뭘로 하느냐에따라 느낌이 다른듯.. 개인적으로 한국어로 시작해서 그런지 한국어가 가장 캐릭터와 잘 맞는 느낌이였음 작화 스토리 서브요소까지 개인적으로 아주 잘 만든 게임이라 생각함 사탕모자른것만 빼고...ㅋㅋ
23.10.30 16:40

(IP보기클릭)118.235.***.***

BEST
"분위기에 취한다"는 느낌을 제일 잘 표현한 게임인 듯
23.10.30 16:48

(IP보기클릭)222.103.***.***

#NURI
아방가르드 | 23.10.31 00:33 | | |

(IP보기클릭)218.50.***.***

당떨어진다고 ㅠㅠ
23.10.30 16:48

(IP보기클릭)121.139.***.***

별 기대 안하고 시작했는데, 이 게임 물건이였네요 ㅋㅋ 최근의 겜불감증을 한방에 날려준 게임이에요!! 스토리 연출 전투 뭐하나 빠지는것이 없어 푹먹중
23.10.30 16:49

(IP보기클릭)118.235.***.***

근래 제일 퀄리티 잘 뽑힌 게임인듯. 똥가루2에서 갈아탐ㅋㅋㅋ
23.10.30 16:56

(IP보기클릭)61.40.***.***

명일방주 같은 겜들의 은은한 아방가르드 함도 좋지만 이렇게 아방가르드 함을 전면에 내세운 힙스터적 갬성의 겜... 못 참거든요
23.10.30 17:02

(IP보기클릭)211.104.***.***

16진수는 뭔가했더니 Enter였네..ㅋ
23.10.30 17:13

(IP보기클릭)124.59.***.***

캐릭별 음성언어 선택기능이 들어갔으면 더욱 아방가르드 했을듯
23.10.30 17:25

(IP보기클릭)218.156.***.***

미친겜 너무 잘만들었음
23.10.30 17:55

(IP보기클릭)5.10.***.***

게임을 깊게 플레이해본 리뷰네요. 많은 부분에서 공감합니다. 디자인, 연출, 음악, 캐릭터만으로도 굉장히 개성적이고 환상 같은 분위기에 푹 빠질 수 있게하는 게임이라 이런 점에 흥미가 있다면 추천하고 싶은 게임이네요.
23.10.30 17:59

(IP보기클릭)183.102.***.***

게임이 생각보다 재밌어서 호감임 오래오래 하고싶다
23.10.30 18:04

(IP보기클릭)180.69.***.***

겜이 전투의 난이도는 어렵지 않은데 육성의 난이도가 높음 뭔 소리냐? 하면 필요한 재료/돈 파밍 하는데 소모되는 체력이 어마어마 하게 높아서 뭘 캐고 싶어도 얼마 못캠 느긋하게 먹으라는거 같은데 아 싫다고 빨리 먹고 싶다고~
23.10.30 18:20

(IP보기클릭)218.154.***.***

루리웹에 리버스 게임 게시판 많이들 놀러오세요. 심심하군요 ㅎㅎ https://bbs.ruliweb.com/game/86481
23.10.30 18:34

(IP보기클릭)119.192.***.***

BEST
스토리좀 보다가..... 뭐라는지 하나도 모르겠고 중2병 스러워서 걍 삭제했는데......
23.10.30 18:56

(IP보기클릭)118.235.***.***


주인공이 여캐라 그런지 살짝 백합물 느낌도 남
23.10.30 20:24

(IP보기클릭)1.221.***.***

방독면
살짝이 아니라 스토리 보면 대놓고임 | 23.10.31 08:17 | | |

삭제된 댓글입니다.

(IP보기클릭)106.102.***.***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3.14159265358979
70이 천장인데 이친구는 딴겜하다왓나 | 23.10.31 00:58 | | |

(IP보기클릭)125.132.***.***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3.14159265358979
초보뽑 30뽑에 6성확정이고 70뽑 천장이라 6성확정인데? 음 | 23.10.31 20:53 | | |

(IP보기클릭)113.30.***.***

nowaty
리세마라 얘기 아닐까요? 최적의 리세마라 루트가 10연챠 후 실패시 계삭이라..... | 23.11.04 01:44 | | |

(IP보기클릭)106.101.***.***

리뷰 보면 스토리 원툴 전투 노잼겜 같은데 무과금으로 엔딩보고 치우면 될까?
23.10.31 01:45

(IP보기클릭)106.102.***.***

자동...자동주세요..
23.10.31 07:24

(IP보기클릭)1.221.***.***

캐릭터마다 스킬 카드 연출이 너무 다름 특히 센츄랑 릴리아는 이게 6성? 하는 느낌이 들정도로 싸구려적
23.10.31 08:15

(IP보기클릭)119.70.***.***

솔직히 이런게임은 스토리가 가장 중요한데 굳이 스토리가 이런 정치학적인 스토리로 가야했나싶음 모바일게임특성상 진득하게보다는 맘편하게 라이트하게 하고싶은데 너무 딥하게 상황을 이해해야하고 어차피 모바일게임특성상 중간중간 전투가 섞이면서 몰입도 꺠지기 마련인데 세계관만 딥하게잡고 스토리는 좀 라이트했으면 좋았을거라 생각함 겜자체는 재밌고 맘에 듦 주기적으로 뽑기재화를 얻을 방법이 일퀘 주간퀘말고는 안보여서 케릭이 최소한 3개는뽑아야 제성능하는 구조의 게임이라 무과금 소과금이 성장하거나 플레이하기 힘들게 될거라 생각함
23.10.31 09:29

(IP보기클릭)175.123.***.***

스토리가 아주 딥 다크하던데 죽는건 기본이요 배신은 소양이로다
23.10.31 09:52

(IP보기클릭)14.47.***.***

스토리 중2병에 과금 존나맵고 게임진행방식이 너무 지루해서 삭제
23.10.31 10:03

(IP보기클릭)211.241.***.***

고유명사 남발에 지들만 아는 얘기를 처음부터 해대니 집중을 할수가 없었음. 서브컬쳐 못만든 컨텐츠의 특징이 드러나는 게임. 대사는 어려워도 의미가 뭘 뜻하는지는 알아야될거아냐
23.10.31 11:10

(IP보기클릭)223.39.***.***

인문학적 요소가 많이 녹아 있어서 흥미롭지만 그냥 씹오덕에겐 공부처럼 느껴져서 호불호가 갈릴 듯
23.10.31 11:37

(IP보기클릭)223.39.***.***

스토리도 흔하지 않은 참신한 소재라 재밌더군요. 전투도 전력적으로 팀을 구성하고, 스킬카드를 사용해야 해서 재밌더군요. 반면, 스킬 카드 그림을 보고 한눈에 효과와 매치시키지 못하는 점, 스킬 합치면 기능이 추가되는데 미리 공부를 해야 하며, 스토리와 전투 모두 하드해서, 모바일로 가볍게 즐기실 분은 불호일 것 같아요. 그래도 참신하고 잘 만들어서 저는 좋은 평점 주고 싶네요.
23.10.31 12:02

(IP보기클릭)121.141.***.***

정말 '잘'만들었음 스토리도 재미있고
23.10.31 13:52

(IP보기클릭)220.120.***.***

꽤나 잘만들었음. 초반에 리세가 너무 귀찮고 튜토리얼을 너무 지치게 만들었는데 시작하고 스테이지 밀다보면 정신없이 함. 파고들 요소도 많고. 다만 초반 튜토랑 리세의 진입장벽이 굉장히 씨게 다가옴. 리세 좀 편하게만 해줘도 더 좋을거 같은데.
23.10.31 14:40

(IP보기클릭)39.7.***.***

새싹브로콜리
아 그리고 육성에 들어가는 재화량이 어마무시한데 스테미너채우는 사탕을 드럽게 안줌. 뽑기재화로 충전해도 턱없이 모자름. | 23.10.31 20:58 | | |

(IP보기클릭)116.84.***.***

잠깐 해봤는데 오픈빨로 유저좀 있지만 취향 갈려서 결국 하는 사람만 하는 게임 될 듯...
23.10.31 17:21

(IP보기클릭)113.30.***.***

프리큐어
일본판은 소더비 이름이 사자비라서 일본인들이 건담관련 드립치며 놀줄 알았더니 아직은 그쪽 관련으로 매우 조용하더군요. 오픈빨조차 못받은 거 아닌가......;;; | 23.11.04 00:18 | | |

(IP보기클릭)113.30.***.***

분명 사전예약을 해서 공개 첫날에 설치를 했는데, 센츄리온이 너무 안떠가지고 1주일이나 지나서 이륙함 ㅠ_ㅠ 초반부 스킵 안되는 영상 둘에 첫 가챠는 소네트 고정(= 대부분의 가챠겜은 첫 10연챠에서 5, 6성 하나 랜덤으로 보장해줌. 심지어 대놓고 리세마라 하라고 원하는 결과 나올 때까지 무한으로 가상가챠 돌릴 수 있는 것도 존재.)이라 리세마라 친화적인 게임은 아닌 듯 합니다.;; 뭐, 게스트계정으로 무한도전하는 길이 막혀있는 니케나 원신보다는 할만 하지만 쌩으로, 순전히 운만으로 센츄리온 뽑으니깐 진짜 죽을 맛.....
23.11.04 00:16

(IP보기클릭)211.176.***.***

게임이 재미는 있는데 스테이지 다 클리어 하고 하드 다 클리어 하고 몽유 캐릭 레벨 때문에 한계와서 재료 수급 동전 수급 하는데 자동 돌리고 10~15분 이면 행동력이 없어서 그냥 겜 끄게 됨 좀 어이 없었음;;
23.11.04 10:05

(IP보기클릭)220.120.***.***

백색파괴광선
겜은 확실히 재미있긴한데 말이야. 진짜 아침에 행동력 오링내면 저녁까지 아무것도 할게 없음. 그 흔한 접속보상이나 푸시도 없고 방치형게임처럼 재화쌓이는게 있긴한데 진짜 조금 쌓임. 만약 한다면 서브게임으로 돌리기 좋음.(어차피 한번 밀어두면 15분컷임.) | 23.11.07 16:54 | | |

(IP보기클릭)118.37.***.***

커뮤 없이 막 즐겨도 충분한 게임. 역사지식이 많다면 더 즐겁게 즐길만한 게임. 리세타령만 하는 인간들 덕에 커뮤보면 더 짜증나는게임.
23.11.09 13:19


1
 댓글




목록보기
BEST 뉴스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BEST 유저정보
콘솔
PC
모바일
취미
BEST 게시글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