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뉴스 기사

[기사 제목]

에이수스, 7세대용 200 시리즈 메인보드·신기술

조회수 10817 | 루리웹 | 입력 2017.01.17 (17:14:46)
[기사 본문] 17일, 에이수스(ASUS)가 서초구에 위치한 모나코 스페이스에서 ‘에이수스 Z270 시리즈 메인보드 신제품 발표회’를 개최했다. 에이수스의 차세대 200 시리즈 메인보드를 소개하기 위해 마련된 이 자리에서는 독자적인 기술을 적용해 게이밍, DIY, 튜닝, VR 등에서 차별화된 경험을 선사한다는 신제품군이 공개됐다.

data/news18/01m/17/pc/asus1.jpg

data/news18/01m/17/pc/asus2.jpg

에이수스 코리아 지사장 데이비드 후는 “에이수스는 게이밍 산업에서 더 많은 포지셔닝을 갖기 위해 노력하고 있기에 오늘과 같은 자리는 매우 의미가 있다.”며, “200 시리즈의 새로운 메인보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주시면 감사하겠다.”고 행사의 서문을 열었다.

data/news18/01m/17/pc/asus3.jpg

다음은 커스텀 PC 전문 기업 프리플로우(PREFLOW)의 순서였는데, ‘익스트림 컴퓨팅 시스템 제조사’를 표방한 회사인 만큼 오버클럭킹을 할 때 중요한 안정적인 전압 공급에 있어 에이수스의 막시무스 IX 히어로 보드가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는 점을 강조했다.

data/news18/01m/17/pc/asus4.jpg

data/news18/01m/17/pc/asus5.jpg

인텔코리아 양철훈 이사는 7세대 코어 프로세서와 Z270 칩셋의 관계를 설명했다. 14nm에 최적화된 7세대 프로세서는 100 시리즈에서도 사용 가능하지만, 인텔 옵테인(Optane) 메모리를 쓰기 위해서는 200 시리즈, 그리고 오버클럭킹을 위해서는 Z270이 필수적이다.

data/news18/01m/17/pc/asus6.jpg

data/news18/01m/17/pc/asus7.jpg

Z270의 M.2 소켓에서 지원하는 옵테인 메모리 모듈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를 꼭 사용해야 하는 환경에서 메모리 용량을 줄여도 SSD에 가까운 성능을 제공한다. 또 7세대 라인업에서는 특별히 코어 i3에도 오버클럭킹 가능 제품이 등장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data/news18/01m/17/pc/asus8.jpg

2000년대 후반부터 타 벤더들과 다른 길을 걷고 있는 에이수스는 2010년대 들어선 스마트폰, 트랜스포머, 젠북, 스마트워치에 이어 로보틱스에 해당하는 젠보까지 발표한 상태다. 임직원 수는 전 세계 17000명, R&D 팀은 5500명 이상에 달하며, 2015년 매출은 140억 달러이다. 또 게이밍 콘셉트의 ROG 브랜드로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data/news18/01m/17/pc/asus9.jpg

data/news18/01m/17/pc/asus10.jpg

1989년 이후 5억 개의 메인보드를 출하하면서 메인보드 1위, 그리고 브랜드 그래픽 카드 1위를 기록한 에이수스는 포춘으로부터 존경 받는 기업, 인터브랜드에서 대만 내 가치 있는 브랜드로 선정된 바 있고, 4K 모니터, 프로젝터, 공유기 등에서도 주목 받고 있다.

data/news18/01m/17/pc/asus11.jpg

data/news18/01m/17/pc/asus12.jpg

한국 내 매출은 2016년 전년 대비 21% 성장했으며, 메인보드 외에 모니터와 유무선 공유지도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올해 목표는 콤포넌트 비즈니스를 유지하면서 토털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IOT/ICT 등 신규 사업 진출을 모색하는 것이다.

data/news18/01m/17/pc/asus13.jpg

data/news18/01m/17/pc/asus14.jpg

data/news18/01m/17/pc/asus15.jpg

에이수스의 2017년 라인업은 균형 잡힌 성능과 튜닝 편의성을 앞세운 프라임 시리즈, 하드코어 사용자들의 지지를 받고 있는 ROG 시리즈, 프로 게이밍 시리즈를 계승한 ROG 스트릭스 시리즈, 극한의 사용 환경을 충족하는 TUF 시리즈(구 세이버투스)의 4가지로 나뉜다.

data/news18/01m/17/pc/asus16.jpg

프라임 시리즈는 Z270, H270, B250으로 구성되며, USB 3.0/3.1, HDMI/DP/DVI, 옵테인 메모리, 크리스탈 사운드 3를 지원한다. M.2 포트는 2개가 제공되고, 대부분의 DDR4 메모리와 호환된다. H270 역시 대동소이하지만 포트 등에 조금씩 차이가 있으며, B250은 소형 시스템 구축을 위한 것이다.

data/news18/01m/17/pc/asus17.jpg

data/news18/01m/17/pc/asus18.jpg

data/news18/01m/17/pc/asus19.jpg

data/news18/01m/17/pc/asus20.jpg

data/news18/01m/17/pc/asus21.jpg

data/news18/01m/17/pc/asus22.jpg

data/news18/01m/17/pc/asus23.jpg

data/news18/01m/17/pc/asus24.jpg

data/news18/01m/17/pc/asus25.jpg

data/news18/01m/17/pc/asus26.jpg

data/news18/01m/17/pc/asus27.jpg

data/news18/01m/17/pc/asus28.jpg

data/news18/01m/17/pc/asus29.jpg

ROG 막시무스 IX 시리즈는 익스트림, 포뮬러, 히어로 외에 코드, 에이펙스가 추가되는데, 코드와 에이펙스는 추후 발매될 예정이다. 디자인 콘셉트는 엑소스켈레톤 아머(외골격 장갑)로, 메인보드를 보호하는 디자인이 차용되었고, 알루미늄 압출 가공 기법이 적용되었다.

data/news18/01m/17/pc/asus30.jpg

data/news18/01m/17/pc/asus31.jpg

또 아우라 싱크 기능을 탑재하여 보다 아름다운 RGB 튜닝이 가능하며, 3D 프린터 친화적인 설계로 3D 프린터를 이용해 사용자가 직접 스크류를 제작, 보드를 커스터마이즈 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겼다.

data/news18/01m/17/pc/asus32.jpg

data/news18/01m/17/pc/asus33.jpg

특수 설계 백 플레이트와 인산염 코팅으로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도를 더욱 강화환 코드는 기본적으로는 포뮬러와 유사하지만 쉴드, 백 플레이트, 워터 블록 등의 지원 여부에 따라 선택의 폭을 넓혔다.

data/news18/01m/17/pc/asus34.jpg

data/news18/01m/17/pc/asus35.jpg

data/news18/01m/17/pc/asus36.jpg

ROG 스트릭스는 세그먼트와 폼팩터에 따라 E, F, H, G, I로 구별되고, 이 중 새롭게 등장한 H와 I는 조금 늦게 출시된다. 또 H270과 B250 칩셋을 이용한 제품도 계획되고 있다. 디자인 콘셉트는 카타나로 히트 싱크 부위에 검흔이 나있으며, 아우라 라이팅을 지원한다.

data/news18/01m/17/pc/asus37.jpg

data/news18/01m/17/pc/asus38.jpg

data/news18/01m/17/pc/asus39.jpg

data/news18/01m/17/pc/asus40.jpg

data/news18/01m/17/pc/asus41.jpg

data/news18/01m/17/pc/asus42.jpg

data/news18/01m/17/pc/asus43.jpg

2개의 제품으로 구성된 TUF 시리즈는 오버클럭킹 효율이 떨어졌던 세이버투스와 달리 안정적인 오버클럭킹이 가능하고, 듀얼 LAN과 자체적인 쿨링 시스템을 탑재했다. 또 TUF 시리즈에 한해 고성능 GPU와의 QVL(인증 벤더 목록)을 제공하며, 아우라 RGB도 지원한다.

data/news18/01m/17/pc/asus44.jpg

data/news18/01m/17/pc/asus45.jpg

data/news18/01m/17/pc/asus46.jpg

data/news18/01m/17/pc/asus47.jpg

200 시리즈의 기술로는 한 번 클릭으로 오버클럭킹과 쿨링을 실현한 5웨이 옵티마이제이션, 고성능 오디오 칩셋, 소리로 방향 구분이 가능한 입체적인 사운드, 메인보드와 주변기기의 LED 색상을 연동시키는 아우라 싱크 등이 소개됐다.

data/news18/01m/17/pc/asus48.jpg

6세대와 7세대의 성능 차이는 약 8%에 불과하지만 오버클럭킹이 좀 더 잘 되는 7세대 프로세서의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수동 혹은 자동으로 시스템에 최적화된 튜닝을 찾아내며, 스트레스 테스트 기능이 추가되어 다양한 상황을 소프트웨어 상에서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data/news18/01m/17/pc/asus49.jpg

data/news18/01m/17/pc/asus50.jpg

또 베이스 클럭을 4.25배 높여 혹독한 상황에서 안정적인 오버클럭킹이 가능하며, 수냉 쿨링을 위한 CPU 펌프 커넥터와 워터 블록이 기본 탑재되어 있다. 앞에서 간단히 언급된 에이펙스는 오버클럭킹에만 집중하기 위해 부가 기능이나 일부 슬롯을 희생하고, 메인보드 크기도 바꾸었다.

data/news18/01m/17/pc/asus51.jpg

data/news18/01m/17/pc/asus52.jpg

data/news18/01m/17/pc/asus53.jpg

data/news18/01m/17/pc/asus54.jpg

data/news18/01m/17/pc/asus55.jpg

더불어 누구나 간단히 오버클럭킹을 할 수 있도록 K CPU와 Z270 메인보드에서 80% 확률로 5G까지 끌어 올릴 수 있는 프로파일을 만들었기에 원클릭으로 오버클럭킹에 도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data/news18/01m/17/pc/asus56.jpg

고음질 사운드를 위해 채택한 새로운 칩셋은 113dB의 SNR을 자랑하며, 소리의 방향을 시각화하는 소닉 레이더 3는 대규모 전투에서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 레이더 분할을 4-16개로 선택할 뿐 아니라 중요한 사운드를 방향으로 알려주는 기능이 추가됐다.

data/news18/01m/17/pc/asus57.jpg

data/news18/01m/17/pc/asus58.jpg

또 ROG 게임퍼스트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네트워크 리소스를 분배할 수 있게 해주고, 역시 ROG에 제공되는 램 캐쉬 II는 램 용량의 일부를 저장 장치의 캐쉬로 동작하게 한다.

data/news18/01m/17/pc/asus59.jpg

data/news18/01m/17/pc/asus60.jpg

여기에 3세대 5X 프로텍션 기술로 랜 가드, 플라스틱 자켓과 메탈 프레임으로 보호되는 PCI 슬롯, 내부의 불안정한 전력을 방어하는 ESD 가드, 그리고 케이스에 장착할 필요가 없는 스테인리스 스틸 I/O 쉴드 등이 소개됐다.

data/news18/01m/17/pc/asus61.jpg

data/news18/01m/17/pc/asus62.jpg

data/news18/01m/17/pc/asus63.jpg

data/news18/01m/17/pc/asus64.jpg

data/news18/01m/17/pc/asus65.jpg

아우라 싱크는 메인보드의 전용 소프트웨어로 부위 별로 원하는 색상이 빛나게 하거나 혹은 모든 구성 요소에 같은 패턴이 나타날 수 있도록 하며, 3D 프린트 프로젝트는 메인보드의 개인적인 튜닝을 꾀할 수 있게 해준다.

data/news18/01m/17/pc/asus66.jpg

data/news18/01m/17/pc/asus67.jpg

data/news18/01m/17/pc/asus68.jpg

아래는 질의 응답을 정리한 것이다.

● Z170에서 Z270으로 넘어가면서 소비자가 설정할 수 있는 오버클럭킹 요소에서 무엇이 달라졌나?

완전히 수동으로 설정한다면 거의 차이가 없다. 하지만 Z270 보드에서는 초보자를 위한 프로파일을 제공하고, 팬 익스퍼트가 향상되어 더욱 다양한 모니터링이 가능해졌다.

● 에이수스의 메인스트림급 메인보드에서도 5G 오버클럭킹이 가능한가?

메인스트림급인 Z270K나 P에도 프로파일 및 전원부가 구축되어 있어서, 쿨러만 좋은 것을 쓰신다면 4.9G 오버클럭킹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 소닉 레이더는 사용자가 설치를 해야 이용할 수 있는 것인가? 그리고 어떤 소리를 우선적으로 추적하나?

소프트웨어는 설치를 해야 하고, 가장 근거리에서 들리는 소리를 우선적으로 표시하지만, 소프트웨어 설정에서 특정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완벽한 것은 아니므로 참고용으로 쓰는 것이 좋을 것이다.

● ATX 사이즈의 메인보드는 기능 별로 세분화되어 있는데 반해 마이크로 ATX나 미니 ITX 제품이 별로 보이지 않는다.

Z170의 경우 ROG가 아닌 제품군에는 미니 ITX가 있었으며, Z270 역시 다양한 폼팩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장원 기자   inca@ruliweb.com




관련게임정보 목록

관련 정보

기     종

PC

발 매 일

장     르

가     격

제 작 사

기     타



댓글

목록보기

댓글 | 35
1
 댓글


(IP보기클릭)71.56.***.***

BEST
신제품 나왔으니까 사달라고요
17.01.18 02:58

(IP보기클릭)71.56.***.***

BEST
영어발음으로는 에이서스이긴 한데 아수스가 뭔가 더 정감 가는 콩글리쉬 느낌
17.01.18 02:59

(IP보기클릭)211.216.***.***

asus 가 에이수스였어..? 아수스가 아니라..?;;
17.01.17 21:57

(IP보기클릭)211.52.***.***

진짜.. 여태 아수스 아수스거리며 살았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7.01.17 23:17

(IP보기클릭)121.147.***.***

나도 영락없이 아수스인줄로만 알고 살아왔는데 ㅋㅋㅋㅋ 컬쳐쇼크 ㅋㅋㅋㅋ
17.01.17 23:21

(IP보기클릭)1.245.***.***

우린 에이수스다 에이수스로 불러달라 이런글 꽤 보긴한듯한데 그냥 아수스..
17.01.17 23:59

(IP보기클릭)49.166.***.***

역시 이름 어떻게 읽는지 하는 덧글 뿐이였어..
17.01.18 00:08

(IP보기클릭)220.92.***.***

예전부터 아수스 에이수스 아무데나 읽어도 되었는데...최근에는 아수스 대신 에이수스로 읽더군요.
17.01.18 00:30

(IP보기클릭)42.148.***.***

아서스! 그~~상대는?
17.01.18 00:31

(IP보기클릭)222.109.***.***

컴알못인데 누가 요약좀.;;;
17.01.18 01:57

(IP보기클릭)71.56.***.***

BEST
선도부
신제품 나왔으니까 사달라고요 | 17.01.18 02:58 | | |

(IP보기클릭)112.168.***.***

에이수스에서 공식 발음 영상이 올라왔었는데 에이수스가 어색한 사람들은 걍 아수스라고 불러달라고 하고 끝 결국 에이수스나 아수스나 그게 그거
17.01.18 02:57

(IP보기클릭)71.56.***.***

BEST
영어발음으로는 에이서스이긴 한데 아수스가 뭔가 더 정감 가는 콩글리쉬 느낌
17.01.18 02:59

(IP보기클릭)71.56.***.***

LuxDS
Shiny!는 RGB를 말하는 듯 싶은데 더 오래 쓸 수 있게!로 해놨네 ㅋㅋㅋ | 17.01.18 03:02 | | |

(IP보기클릭)153.133.***.***

아수스라하시는분들 아죠씨...
17.01.18 04:58

(IP보기클릭)63.97.***.***

이포메아
님 왜 시비죠? ㅂㄷㅂㄷ | 17.01.18 07:18 | | |

(IP보기클릭)153.133.***.***

repuien
저도 아죠씨라서요... | 17.01.18 08:34 | | |

(IP보기클릭)63.97.***.***

이포메아
Aㅏ.....죄송합니다 동지....ㅠㅠ; | 17.01.18 09:00 | | |

(IP보기클릭)121.139.***.***

미국인한테 Asia를 아시아라고 말하면 틀린 발음이고 에이시아라고 말해야 바른발음
17.01.18 09:06

(IP보기클릭)36.110.***.***

id9850
영어는 글을 보고 읽는게 아닌 그 단어의 발음법이 단어 만는 사람의 마음이기에 딱히 틀렸다 맞다 하기는 조금 그렇죠 한글은 누가 쓰던 누가 읽던 발음법이 다 정해져 있기에 잘못 읽는법이 없지만 영어는 그 단어를 모른다면 알파벳을 보고도 어떻게 읽는지도 모릅니다. 미국, 독일 차이만 봐도 Mercedes를 독일은 메르세데스 미국은 멀세이디라고 발음하니 발음에 딱히 맞다 틀리다 하는거보다는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듯이 한국에선 외국어 표기법에 따라 쓰면 그만입니다. Ikea를 이키아 아이키아 이렇듯 그냥 알파벳의 오류이며 한계죠 | 17.01.18 12:04 | | |

(IP보기클릭)58.224.***.***

샬바토레
틀린게 왜 없나요 그러면 표준 발음같은게 왜 있을까욥 같은 단어를 자기들 맘대로 부르면 아무하고도 대화가 안통할거 같은데 | 17.01.18 16:37 | | |

(IP보기클릭)36.110.***.***

몬헌
그러니까 단어를 만들면 그 표준 발음을 만들어야 한다구요 한글은 만들 필요가 없는데 말이죠 예를 들면 우리는 아무리 어려운 단어 처음보는 단어 전문적인 의학 용어 기술용어 등등 이라고해도 한글은 아무나 읽을수야 있지만 영어는 못읽습니다. 특히 저런 상호명이나 한국사람 영문 이름을 외국사람들이 잘 못읽는게 그런 이유입니다. 아서스 아수스 에이수스 등등 발음 할수있는 방법이 많고 발음은 에이수스 측에서 만든거지만 영문 알파벳만 가지고는 에이수스인지 모른단 말이에요. | 17.01.18 17:14 | | |

(IP보기클릭)211.209.***.***

예전에 에이수스 에이에스센터 가면 [안녕하세요. "에이수스"입니다] 라고 현수막 걸려 있었죠....
17.01.18 10:15

(IP보기클릭)223.33.***.***

그냥 아수스하자..
17.01.18 10:53

(IP보기클릭)211.225.***.***

존나 잘 모르겠다. 일해라!! 켄츠 할배!!
17.01.18 11:25

(IP보기클릭)175.210.***.***

역시 나만이 아니었어... 역시나 아재들이 숨쉬는 대지 루리웹...
17.01.18 13:38

(IP보기클릭)112.216.***.***

메인보드 얘들꺼 괜찮나요?
17.01.18 15:46

(IP보기클릭)175.209.***.***

❤️💛💚💙💜
??? 세계최고의 메인보드회사인데요 사실 품질은 기가바이트보다 asus가 좋죠 가격이 무개념안드로 메다 사실메인보드 빼고는 좀 거시기 합니다. | 17.01.23 15:25 | | |

(IP보기클릭)218.147.***.***

급식때 PC사랑에서 아수스라 그래서 아수스라고 부르는데 이젠 얘내가 에이수스라 하던데 그나저나 보드 라인업 너무 어중간한듯.. 히어로하고 코어인가.. 어중간한건 사기 꺼려짐..
17.01.18 16:30

(IP보기클릭)119.194.***.***

에이수스라는건 아는데 입에 안붙어서 그냥 아수스라고 부름..
17.01.18 17:35

(IP보기클릭)220.86.***.***

아니다 아수스다
17.01.18 18:44

(IP보기클릭)59.9.***.***

아몰랑 아수스
17.01.18 19:21

(IP보기클릭)180.70.***.***

에라이 아수스다 그냥!
17.01.18 19:36

(IP보기클릭)118.217.***.***

아수스해 에이수스 발음하기 귀찮어
17.01.18 20:44

(IP보기클릭)121.146.***.***

아수스 태블릿 2개 샀다가 내구성과 버그 때문에 진저리를 쳤지...
17.01.18 22:29

(IP보기클릭)122.38.***.***

여기 참관 했었는데 1080ti는 matrix와 poseidon으로 출시한다는 정보를 행사 진행자분께 들었습니다
17.01.18 22:53

(IP보기클릭)222.112.***.***

아몰랑 아수스!
17.01.19 07:16

(IP보기클릭)175.209.***.***

에이수스 인데 옛날부터 아수스라고 불러서 그냥 asus죠 옛날 3a asus, acer, aopen이였는데.. 지금 asus, gigabyte 양강에 msi, asrock, biostar정도만 남았습니다. ecs이런데 철수 예정이고 칼라플, evga 등이 있지만요 그냥 기가와 에이수스 사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1~2만원 아끼려다 정말 시스템이 맛이 갈 수 있습니다.
17.01.23 15:28


1
 댓글




목록보기
BEST 뉴스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PC/온라인
비디오/콘솔
모바일

BEST 유저정보
콘솔
PC
모바일
취미
BEST 게시글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게임
애니/책
갤러리
커뮤니티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