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면은 거거익선 :
기존에 사용하던 엘지 보급형 티비였던 65UN7850도 그렇게 작은 편은 아니었는데 확실히 20인치 차이는 상당하네요.
그런데 이 사이즈도 2주 정도 사용하니 '더 커도 되겠는데?'라는 생각이 듭니다.
참고 저희 집 시청 거리는 대략 2.3~4미터 정도 됩니다.
- 가격대비 화질은 훌륭함 :
당연하게도 일반 보급형 LED 65인치를 사용하다가 미니 LED 85인치로 가니 화질은 압도적입니다.
특히 OTT 4K 컨텐츠들이 유튜브에 올라와 있는 4K 테스트용 영상들 보면 정말 눈 돌아갈 만한 순간들이 종종 있더군요.
- 다만 화면 설정은 필수 :
기본 설정도 나쁘지는 않습니다만 그럼에도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화면 별 최적화 설정은 거의 필수적입니다.
특히 영상에 따라서 잔상이 어마 무시한 경우가 있어서 귀찮더라도 무조건 해야겠더군요.
뭔가 기본 설정 자체가 좀 더 최적화 되어 있어야 하지 않았나? 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 공중파 / 케이블을 볼 경우에는 더 애매 :
이게 업스케일링 기능 때문인지 화면이 수 cm는 커져서인지 명확히 모르겠지만 전체적으로 뭉개지는 느낌이 드는 경우가 꽤 있습니다.
좀 멀리 있는 인물들 얼굴이나 몇몇 디테일을 요구하는 장면들에서 특히 뭉개지는 경우가 있는데 가끔 그림처럼 보일 때도 있습니다.
- VA 패널의 특성?
그나마 영상 소스 자체가 고퀄일 때는 어떻게 설정으로도 무마가 되는데
공중파 / 케이블 등 소스 자체가 그닥인 경우는 뭔 수를 써봐도 빠른 배경에서 자막 주변부 그리고 고정 된 피사체 주변부는 무조건 깨집니다.
이건 본방을 볼 때도 발생하고 똑같은 영상을 OTT에서 볼 때도 동일하게 발생하더군요.
인터넷에서 검색해 찾아 본 동적 기능 등등을 조절해 봐도 약간은 나아지지만 아예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 리모컨은 서드 파티서 좀 만들어주면 좋을 듯
통합 리모컨은 그냥 포기하는 게 좋습니다. KT 셋탑을 이용하는데 결국은 리모컨 2개 사용하게 되더군요.
KT 셋탑으로 통합 리모컨 설정을 하면 TV 온/오프는 가능한데 이것도 진짜 애매한 게
끌 때는 셋탑 리모컨의 '티비 전원'을 이용해서 꺼야 티비와 셋탑이 정상적으로 꺼지고
켤 때는 셋탑 리모컨의 '셋탑 전원'을 이용해서 켜야 티비와 셋탑이 정상적으로 켜집니다.
둘 중 하나의 전원 버튼만으로 티비와 셋탑을 모두 켜거나 끄려고 하면 안 되는 경우가 꽤 많이 발생하더군요.
부가적으로 TCL 티비 리모컨에 번호키 없는 것도 개인적으로 불편했던 것이
저는 OTT 메인 계정에 비번을 걸어 두는데 상하좌우키를 이용해서 번호 입력을 해야 되서 무지 불편하더군요.
- 결론 :
가격대비 화질만 생각할 때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 듯 합니다.
다만 화면 설정의 최적화 / 편의성 / 공중파나 케이블 시청 비중(OTT로 볼 경우에도)들을 생각해 본다면
가격 더 주고 삼성 엘지로 가는 게 속 편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구입 전에는 딱히 신경을 안 썼던 부분들이 의외로 거슬리는 부분들이 꽤 있더군요.
(IP보기클릭)211.207.***.***
(IP보기클릭)218.152.***.***
일단 저도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을 해 보긴 했습니다만 개인차도 있다는 점도 감안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일단 기본 설정으로 본다는 가정 하에서는 공의 속도 등 상황에 따라 여러 개로 보일 때가 확실히 있습니다. 2. 1번의 답변에 연장선이라 볼 수 있는데 일단 설정을 만져주면 그래도 증상 완화는 확실히 있습니다. 물론 아예 없애버리는 수준은 절대 아니고 그래도 시청에 있어서 '이 정도면 볼만하네' 정도까지는 갈 수 있는데 서두에 말씀드렸듯이 이 설정에서 개인차도 있기 때문에 설정을 꽤 다양하게(?) 만져줘야 하더군요. 3. 솔직히 아직도 이게 업스케일 때문인지 아닌지 명확하게는 모르겠습니다만 제가 하도 공중파/케이블 방송에서의 뭉개짐이나 화질 깨짐 때문에 지인 집에서 3년 전 엘지 올레드 티비로 같은 장면을 비교해 본 적이 있는데 엘지 올레드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없지는 않았지만 확실히 더 잡아주는 느낌이었습니다. 다만 이 정도 수준의 현상을 감당하느냐 못 하느냐는 어떻게 보면 개인의 성향에 따라 다를 것 같은데 저 같은 경우는 정말 못 봐줄 정도는 아니었지만 다음에 티비를 구입 할 때는 이 부분에 대한 현상이 지금과 비슷하다면 같은 브랜드의 티비 구입을 고려해 보지 않을까 싶습니다. | 25.01.07 08:31 | |
(IP보기클릭)211.207.***.***
삼성 Neo QLED 플래그십과 비교해도 로컬디밍 개수, 최대 밝기의 우월함으로 충분히 경쟁력 있는 퍼포먼스를 보여줬으나, 확실히 업스케일 기술력은 아직 삼엘 수준까지 도달하지 못했나 봅니다 IPTV 시청비율도 꽤 높아 걱정이었는데, 관련 커뮤니티에서 정보 찾다보니, 셋톱박스 연결 케이블을 HDMI 2.1로 바꿔서 뭉개지거나 잔상 같은 현상은 조금이나마 부드럽게 만들 수 있다고 하더군요 (일단 케이블 가격이 13천원 근처에서 구매 가능하더군요, 믿져야 본전이니 케이블도 일단 구매하려고 합니다) 사실상 C855 구매쪽으로 결정된 상황이라, 답변 주신 업스케일(or 프레임 보간)의 한계로 인한 축구나 야구 시청 시 공이 여러 개로 보이는 분신술은 미리 각오하고, 설정으로 증상 완화에 힘 쓸 수밖에 없겠네요 답변 주신 마지막 구절에서 “이 부분에 대한 현상이 지금과 비슷하다면 같은 브랜드의 티비 구입을 고려해 보지 않을까 싶습니다.”라고 하셨는데, ‘같은 브랜드’가 ‘TCL이 아닌, 삼성과 엘지 같은 브랜드’라는 뜻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 25.01.07 13:23 | |
(IP보기클릭)218.152.***.***
맞습니다. 아무래도 케이블이나 공중파 보는 비중을 무시할 수 없다 보니 (물론 최소 6,7년 뒤가 되겠지만) 차후에 티비를 구입하는 상황에서도 지금과 비슷한 상황이라면 돈 더 주고라도 삼성이나 엘지를 생각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25.01.07 13:26 | |
(IP보기클릭)211.207.***.***
말씀 듣고 보니 갑자기 또 깊은 곳에서 무언가 요동치려고 하네요 “월등한 로컬 디밍과 밝기에 반값 수준의 가격에 만족하고, 케이블이나 지상파 시청 시 불편을 감수할 수 있니?”라고 스스로 물었을 때, 당당하게 “응, 당연하지!”라고 할 수 있어야 하는데, 자신있게 답하진 못하겠네요 삼성 제품으로 이동 시, 비슷한 가격으로 간다면 mini LED에서 QLED로 급을 낮춰야겠고, 비슷한 급(성능)으로 가려면 가격이 대폭 상승, 고민이 깊어지는군요 | 25.01.07 15:54 | |
(IP보기클릭)61.73.***.***
그래서 제가 자주 가는 커뮤의 티비 게시판에서도 항상 그 부분에 대해서 갈등하시는 분들이 믾습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tcl을 가성비 좋은 ott 머신이라는 생각을 깔고 고민하라고 말씀드리고 있죠 | 25.01.07 21: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