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모니터도 모니터 나름이고 tv도 tv나름이라서 정답이 있는 문제는 아닙니다.
그리고 저도 전문가는 아닌지라 제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도 분명히 있을거구요.
잘못된 부분은 지적해 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지나치게 기술적인 부분은 저도 잘 알지도 못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이해도만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가급적 언급을 자제하도록 하고,
"콘솔용"이라는데 포커스를 맞춰서 적겠습니다.
1. 모니터와 tv의 특성
최근들어 모니터와 tv의 경계가 많이 허물어지기는 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공중파 튜너 유무의 차이밖에 없는 경우도 있구요.
다만 전통적(?)인 분류대로 하자면,
모니터는 고성능(당연히 고가)일 수록 원본을 그대로 재현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프로 디자이너 같은 사람들이 사용하기에는 이점이 아주 중요합니다.
내 모니터에 나오는대로 디자인해서 생산파트에 넘겼는데 내가 의도했던 색상이 안나와 버린다면 큰 문제니까요.
쉽게 말하면 "쌩얼"을 적나라하고 자세하게 보여준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최고급 모니터를 사서 겜을 해봤는데 왠지 5년된 tv보다 그래픽이 더 안좋아 보인다"<-- 이런 후기가 등장하게 됩니다.
반면에 TV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판매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봤을때 보기좋은 화면을 뿌려주는 데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전문가용 기기가 아닌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세세하게 손대지 않더라도 볼만한 화면을 보여주는 걸 목표로 제작된다는 뜻입니다.
즉.. 밝기나 색감을 자동으로 조정해준다던지, 원본의 프레임이 띄엄띄엄 할경우 일정한 알고리듬을 이용해 프레임을 추가해 준다던지 하는 기능들이 있어요.
그래서,
"큰맘먹고 비싼돈 주고 최신형 고급tv를 샀는데 영화를 틀었더니 왠지모르게 영화같지가 않고 드라마나 다큐멘터리 느낌이더라"
"방에서 모니터로만 하다가 거실 tv에 연결해보니 왠지 움직임이 훨씬 더 부드러워 보인다"
이런 후기들을 보게 되는 거에요.
이게 프레임 보간기능 때문입니다. 영화는 초당 24프레임으로 제작되는데, 이걸 강제로 보간해서 프레임을 늘려버리니까 "영화느낌"이 죽어버리는거지요.
즉...셀카찍을때 필터넣고 뽀샵질하고 하는 것처럼, tv는 원본보다 좋은 화면을 보여준다는 겁니다.
(물론 이건 어떤 측면에서는 원본을 '왜곡'시키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콘솔용으로는 무조건 tv가 좋은가 하면 그게 또 그렇지는 않습니다.
이런저런 후처리에는 시간이 들기 마련인데,
영화나 드라마는 영상과 음성 싱크만 맞으면 입력신호를 조금 늦게 처리해도 상관이 없지만,
사용자와의 사이에 실시간으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게임에서는
tv에 영상신호가 입력되 후 실제로 화면이 출력되기까지에 시간차가 많이 발생한다면 여러가지로 곤란하게 됩니다.
특히, 화면을 보고 빠른시간 내로 반응해야 하는 리듬게임류, 격투게임류 등에서는 치명적일 수도 있습니다.
이걸 "인풋랙" 이라고 합니다.
(한가지 참고로, '인풋랙'과 '반응시간'은 다른 스펙입니다. '반응시간'은 LCD디스플레이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잔상현상과 관련된 스펙이어서 인풋랙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근데 이 '인풋랙'스펙은 제조사에서 공개적으로 밝히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 리뷰어들이 개별적으로 측정한 데이터를 참고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나마 최근에는 tv제조사들도 저런 후처리를 가급적 줄여서 인풋랙을 줄이는 설정을 탑재하는 경우가 많은데,
보통은 외부입력기기를 게임기로 설정하거나 화면모드를 '게임모드'라는 설정을 할 경우 인풋랙이 확연히 줄어들게 됩니다.
2. 차세대 게임기는 hdmi 2.1이 없으면 제성능이 안나온다던데?
아주 거짓말은 아닌데 그렇다고 맞는말도 아닙니다.
차세대 콘솔이 hdmi 2.1을 지원하는건 사실이고,
hdmi 2.1이 스펙상 4k 120fps 또는 8k를 지원하는 것도 사실이긴 합니다.
그러나....
콘솔최적화를 아무리 감안한다 하더라도, 차세대 게임기의 성능으로는 4k 60fps도 될까말까 합니다.
즉,
이건 마치 PS3(4가 아닙니다!)가 1080p를 지원한다고 설레벌쳤던 것과 마찬가지라는 소립니다.
소니나 MS 둘다 사기로 고소당하고 싶진 않을테니, 극히 일부게임에서 4k 120fps나 네이티브 8k를 지원할 수도 있긴 하겠지만,
hdmi 2.1이 실제로 필요한 스펙으로 등장하는건 차세대가 아닌 차차세대에서도 될까말까한 일이라고 생각하시는게 맞을겁니다.
즉, "이 물건은 다른건 다 좋은데 hdmi 2.1을 지원 안하니 안살래"라는 생각을 하실 필요는 전혀 없다는 뜻입니다.
3. FHD? WQHD? 4K? UHD? 뭐가 좋은가
이것도 학술적인 정의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간에 혼선이 있는 부분이지만, 일단은,
720p=1080i=일반HD
1080p=2k=FHD
2160p=4k=UHD
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UHD는 FHD의 2배가 아니라 4배입니다. 길이가 아니라 면적단위이기 때문에 그래요. 가로x세로니까 같은 면적에 화소의 수가 4배가 들어갑니다.
그럼 흔히 WQHD라고 하는 1440p는 뭔가하면, 720p의 4배입니다. WQHD를 비정규4k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종종 있던에, 오히려 비정규 2k에 가깝습니다.
문제는,
게임기는 가전기기라서 범용 영상포맷인 FHD와 UHD를 기준으로 제작된다는 겁니다.
그래서, 콘솔 게임기 용도로 1440p=WQHD는 부적절한 디스플레이입니다.
마찬가지 이유로, 16:9 비율에서 벗어나는 화면비를 가지는 모니터 또한 콘솔용으로는 부적절합니다.
3. 사운드문제
소리가 안나는 tv는 없습니다.
근데 소리가 안나는 모니터는 많아요.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다 하더라도, 모니터 내장 스피커는 대부분 그저 이 모니터는 소리도 난다 수준일뿐
음질면에서 매우 처참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반면에 tv는 소리 부분도 어느정도는 신경을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tv는 가전기기기 때문에 av용 홈시어터에 연결도 어느정도는 고려되어서 나오는 경우가 많지만
(spdif 광출력 포트와 hdmi arc 정도는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모니터는 그런 고려가 아예 없는 경우가 많아서 arc기능이 없거나 기껏해야 3.5파이 스테레오짹 정도가 끝인데,
써보신 분은 알겠지만 그거 쓸만한 물건이 못됩니다. 화이트 노이즈가 작렬하는 경우가 많죠.
즉... "플스 새로 사다 모니터에 연결했는데 소리는 어떻게 듣지?"라는 멘붕에 빠질 일이 없다는 뜻입니다.
4. 한줄요약
콘솔전용으로 쓰려면 모니터보다는 4k tv를 사라.
(IP보기클릭)223.39.***.***
생각보다 인풋렉이란게 중요합니다. 집에 있는 티비에 암만 게임모드해서 달려도 모니터 반응속도를 못따라가요. 특히 몬헌이나 디비전 같이 화면 휙휙 돌려가며 때리는 게임들은 답이 없는.. 저는 그런 게임들은 모니터로 하고 케쥬얼한 게임들은 TV로 합니다 .. 마인크나 동숲~
(IP보기클릭)182.214.***.***
모니터와 tv 선택에 있어서 쓰신내용도 물론 중요하지만 저위의 내용은 왠만한 루리웹유저면 다 아는내용입니다 간단하게 tv가 크고 후보정이 있어서 화면빨이 모니터보다 우위다 다만 이점으론 모니터가 잔상및 인풋랙에서 우위를 점하겠지만 사족으로 tv도 많이 좋아졌다 그러므로 tv 를 사라 이게 루트거든요 근데 정작 중요한건 저위의 쓰신 내용이 아니에요 모니터와 tv의 차이점은 자신이 어떤게임을 주로 하느냐의 차이가 큽니다 fps 게임 tv 대형화면으로 해보시면 적이 안보여요 시청거리가 멀기때문에 이런게임을 하는 사람들은 죽었다 깨어나도 모니터 써서 가까운 시청거리를 유지해야합니다 이해하기 쉽게 극단적인 예를 들면 철권 하는데 상대 패턴만 보면 되고 그게 한눈에 안들어올리가없죠 이런게임은 tv가 좋습니다 당연히 레이싱 스포츠겜들도 그렇겠죠 헌데 스탯봐야하고 아이템설명봐야하고 스킬설명봐야하고 이런겜하려면 tv로 하면 눈알이 빠지겠죠 멀리서 보려고하면 안보이니까요 이런겜은 시청거리가 짧은 모니터가 유리합니다 이런이유들로 모니터와 tv선택에 있어서 자신이 어떤스타일의 게임을 좋아하는지가 위에 쓰신내용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IP보기클릭)222.237.***.***
물론 잘 쓰시는 분들도 많긴 합니다만 저는 다른 디스플레이 없는 상태에서 프로젝터만 구입한다는 분들은 말리는 편입니다. 인풋랙도 인풋랙이지만 램프 수명 문제라던지 설치장소 선정 스크린 사운드연결 등등 신경쓸 부분이 너무 많은데다 사용편의성도 많이 떨어진다는 생각이거든요.
(IP보기클릭)222.237.***.***
정답입니다 ^^*
(IP보기클릭)222.237.***.***
프로젝터도 쓸까말까 좀 망설였는데요, 저도 프로젝터 쓰고는 있지만, 이게 편의성 면에서 많이 부족한 부분이 있는데다가, 아예 게임용은 전제를 하지 않고 제작되어서 인풋랙이 심각한 물건들이 많아요. 프로젝터를 게임용으로 쓸때 장점은 딱 하나 화면이 크다는 것 뿐인데, 가끔 생각날때 틀어서 대화면 감상하는 것 정도로는 괜찬은 용도지만 게임용 메인 디스플레이로 사용하기에는 좀 그렇습니다. 그래서 뺐어요
(IP보기클릭)223.62.***.***
(IP보기클릭)222.237.***.***
취향은 존중합니다. | 20.09.24 14:59 | |
(IP보기클릭)58.123.***.***
ㅇㅇ 더쇼 해본분들은 다 알아여 | 20.09.24 15:05 | |
(IP보기클릭)182.215.***.***
모니터로 하다가 티비로하니 타이밍이 안맞긴힌더군요. | 20.09.24 18:01 | |
(IP보기클릭)106.244.***.***
(IP보기클릭)222.237.***.***
정답입니다 ^^* | 20.09.24 14:55 | |
(IP보기클릭)203.251.***.***
(IP보기클릭)222.237.***.***
프로젝터도 쓸까말까 좀 망설였는데요, 저도 프로젝터 쓰고는 있지만, 이게 편의성 면에서 많이 부족한 부분이 있는데다가, 아예 게임용은 전제를 하지 않고 제작되어서 인풋랙이 심각한 물건들이 많아요. 프로젝터를 게임용으로 쓸때 장점은 딱 하나 화면이 크다는 것 뿐인데, 가끔 생각날때 틀어서 대화면 감상하는 것 정도로는 괜찬은 용도지만 게임용 메인 디스플레이로 사용하기에는 좀 그렇습니다. 그래서 뺐어요 | 20.09.24 14:58 | |
(IP보기클릭)203.251.***.***
프로젝터 메인쓰고있는데 게임용으로 아주 잘쓰네요; 축구게임도 인풋렉 심각하지 않던데 | 20.09.24 15:01 | |
(IP보기클릭)222.237.***.***
물론 잘 쓰시는 분들도 많긴 합니다만 저는 다른 디스플레이 없는 상태에서 프로젝터만 구입한다는 분들은 말리는 편입니다. 인풋랙도 인풋랙이지만 램프 수명 문제라던지 설치장소 선정 스크린 사운드연결 등등 신경쓸 부분이 너무 많은데다 사용편의성도 많이 떨어진다는 생각이거든요. | 20.09.24 15:05 | |
(IP보기클릭)182.214.***.***
모니터와 tv 선택에 있어서 쓰신내용도 물론 중요하지만 저위의 내용은 왠만한 루리웹유저면 다 아는내용입니다 간단하게 tv가 크고 후보정이 있어서 화면빨이 모니터보다 우위다 다만 이점으론 모니터가 잔상및 인풋랙에서 우위를 점하겠지만 사족으로 tv도 많이 좋아졌다 그러므로 tv 를 사라 이게 루트거든요 근데 정작 중요한건 저위의 쓰신 내용이 아니에요 모니터와 tv의 차이점은 자신이 어떤게임을 주로 하느냐의 차이가 큽니다 fps 게임 tv 대형화면으로 해보시면 적이 안보여요 시청거리가 멀기때문에 이런게임을 하는 사람들은 죽었다 깨어나도 모니터 써서 가까운 시청거리를 유지해야합니다 이해하기 쉽게 극단적인 예를 들면 철권 하는데 상대 패턴만 보면 되고 그게 한눈에 안들어올리가없죠 이런게임은 tv가 좋습니다 당연히 레이싱 스포츠겜들도 그렇겠죠 헌데 스탯봐야하고 아이템설명봐야하고 스킬설명봐야하고 이런겜하려면 tv로 하면 눈알이 빠지겠죠 멀리서 보려고하면 안보이니까요 이런겜은 시청거리가 짧은 모니터가 유리합니다 이런이유들로 모니터와 tv선택에 있어서 자신이 어떤스타일의 게임을 좋아하는지가 위에 쓰신내용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IP보기클릭)222.237.***.***
동의합니다. fps게임 주로 하는 분들은 모니터를 선호하시드라구요. 근데 제가 fps는 아예 안하기땜에^^; | 20.09.24 15:00 | |
(IP보기클릭)223.39.***.***
생각보다 인풋렉이란게 중요합니다. 집에 있는 티비에 암만 게임모드해서 달려도 모니터 반응속도를 못따라가요. 특히 몬헌이나 디비전 같이 화면 휙휙 돌려가며 때리는 게임들은 답이 없는.. 저는 그런 게임들은 모니터로 하고 케쥬얼한 게임들은 TV로 합니다 .. 마인크나 동숲~
(IP보기클릭)222.237.***.***
그래도 최근 출시되는 국내 대기업 tv들은 인풋랙 많이 좋아졌드라구요. | 20.09.24 15:01 | |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222.237.***.***
아, 그 물건 스펙 괜찮아 보이긴 하더라구요. OLED중에 50인치 이하로 출시되는건 그거 하나뿐이죠 아마? | 20.09.24 15:13 | |
(IP보기클릭)118.235.***.***
네 책상 위의 한계같은 스펙인 48인치가 상당히 인기죠. | 20.09.24 15:16 | |
(IP보기클릭)59.26.***.***
(IP보기클릭)222.237.***.***
ㅇㅇ 근데 그건 개인차도 좀 있을 거에요. 센스 좋으신 분들은 인풋랙이고 뭐고 다 씹어먹고 자체보정(?)을 하시드라구요. | 20.09.24 15:14 | |
(IP보기클릭)211.187.***.***
(IP보기클릭)39.7.***.***
(IP보기클릭)203.237.***.***
(IP보기클릭)211.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