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쓸랬는대 압축하기에 너무방대한양이므로...
이번에는 스텟과 무기 (근접)에 대해 조금 주절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탯은 그냥보면뭐
격투
사격
잠재
회피
방어
최대tp
등등으로 나뉘어져있는대
대부분은 관련 스텟이 높을수록 데미지라던가 효과가 더 좋아집니다.
격투는 근접무기 공격력
사격은 원거리무기 공격력
회피는 회피력
방어는 방어력
최대tp는 전투중 사용하는 텐션아츠와 오버클럭기어를 쓸수있는 tp의 최대양
이건 각종 디바이스라던가 스킬또는 레벨업으로 올릴수있고... 당연하지만 높을수록 좋음
이중에 문제는 잠재력 이라는 스텟인대
전투중 사용하는 거의모든 텐션아츠(tp소모아츠)의 공격력과 특정 지원아츠의 회복력등등을 담당하므로 이쪽도 상황봐서 필요하다면 많이 신경써줘야합니다. 상태이상의 확률도 영향을 준다는거같고
격투사격은 둘다 올리기보단 주력으로 쓰는쪽 하나를, (다른한쪽은 보통 지원이나 약체, 오라위주로 셋팅)회피셋팅을 할경우 회피력도 올려야하고...
방어력을올리면 뭐 그만큼덜아프고 그러지만 방어쪽은 앞에 먼저설명한 속성내성치라는 부분도있고 여튼 전부 높을수록 좋습니다.
장비따라 스텟셋팅도 조금 갈리는대 헤비아머류는 무거워서 그만큼 회피력이 떨어지는대신에 기본방어력이 매우높다던가 라이트아머는 가벼운만큼 방어력이낮다던가 등등.
장비에 따라서 달려있는 옵션도 다양하니 취향것 셋팅하시면 됩니다. 딜러의 경우 무조건적으로 텐션아츠가 강하기때문에 관련스텟(격투나 사격)과 함께 잠재력도 같이 올려줘야해요.
회피나 방어스텟을 완전히 포기하고 듀얼건의 고스트워커에 의존하는것도 있고 뭐 편하게 할려면 이쪽이 맞긴하지만 무기셋팅의 폭이 그만큼 단조로워짐.
회피스텟을 극도로 올려서 완전회피를 할경우 대부분 일반 적들상대로는 뭐 맞을일이 잘 없습니다. 이경우는 헤비아머 깡깡하게입고 댕겼을때 맞아도 기스조차 안나는거랑 뭐 별반차이없음.
문제는 회피만 극한으로 찍었을경우
오버드급의 강적을상대할때 적의 피통이 50가 되기전까지는 무적회피가 가능합니다. 그런대 50% 이하로 떨어지면서 폭주상태가 시작되면 그때부터 필중공격이 한번씩 나오게되므로 그거맞고 그냥 일격사 당해버리고 말아요... 이경우에는 적의 필중공격에 맞춰서 어설트라이플의 파워드 다이브 같은 모션에 무적시간이 있는 스킬로 넘기거나 무적판정이 있는 분신을 생성하는 고스트워크 등의 찐 무적기가 아니면 자력으로 생존이 불가능합니다. 그렇다고 깡깡한 헤비아머 탱커가 잘버티냐? 그것도 고난이도 오버드는 그냥 내성저하공격이 기본옵션으로 달고나오는 경우가 많아서 어어어하다가 갑자기 크게들어와서 누워버림... 정석 플레이일 경우 혼자서 무적무쌍을 하기위해서는 특정 아츠의 무적시간을 활용하지않고 단순 깡스텟만으로는 어림도없습니다. 그래서 4인 파티플레이 이긴한대 아군ai가 어림도없는 수준이라 그냥 도움이안되요.
그렇기 때문에 오버드사냥은 보통 특정무적기로 사냥하거나 극한의 디바이스 노가다로 완성된 풀 장비스팩으로 한방에 잡아버리는 방식을 사용합니다...아니면 돌의 캐 사기 디스크돔...
뭐 스텟설명은 이정도면 되는거같고 무기에대해 좀설명해 보겠습니다.
롱소드
초반부터 들고있는 무기로 평범하게 강력합니다. 뭐 이거저거할꺼없이 선택장애오면 이거쓰시면됩니다. 성능자체가 무난하게 좋은대 그렇다고 큰 단점도 없어요.있는단점도 하기에 설명할 듀얼건 셋팅을하면 사실상 똥파워 무적의 무기라고 볼수 있습니다.
엔딩이후 얻을수있는 초도 은하번장 이라던가 요도 뭐시기등등 특수한 전용? 무기도 준비되어있고 쓰기나름을 떠나서 셋팅만 잘하면 정말이만한것도없고 대충써도 강합니다.
게임 초반에 대부분이 물리속성 무기를 장비하고있는대 소드마그넘 으로 적의 물리내성을 깎아먹기도좋고 블레이드사이클론 이라던가 진선풍도 등등 주변 광범위하게 쓸어담기도 좋고 아츠 자체가 tp수급도 용이하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중반부 부터 히트속성 버닝 시리즈 콤보로 넘어가도 좋고 개사기급 오라인 어그레시브모드는 뭐 이게임 최강급 오라 스킬 이고...
앵화난무 습득 이후부터는 다른 속성무기를 들고 셋팅해도되고... 무엇보다 키즈나 퀘스트로 얻는 강력한 아츠인 앵화난무와 진 선풍도의 입수시기가 스토리 중반쯤이라는 큰 장점도있지요.
자체적으로 강화지원스킬이 없는 단점이 있는대 그 부분은 사격무기쪽에서 보완합니다. 보통 듀얼건 쓰고 크로스리로드 + 고스트워커 쓰면서 무적무쌍하는경우가 많긴합니다만.
듀얼건을 사용하지않을경우, 어그레시브모드의 디메리트인 방어력 저하를 극복해야하므로 회피나 방어에 투자해야하는 경우도 있는대... 뭐 이 부분은 개인의 커스터마이징에 따라서...
앵화난무에 브레이크 기능이 있는것도 장점이기도 하지요.
쉴드
당연하게도 탱킹용 장비입니다. 게임자체적으로 탱커가 필요한가? 라고 묻는다면 초중반까지는 유용합니다. 오버클락기어 트리플리케스트 이런거 까지 들아가거나 그러면 ai는 이런걸 사용하질못하니 탱커가 아무의미가 없어지지만...
일단 초중반쯤에는 깡깡한 탱커가 있는편이 진행에 수월하므로 한명쯤은 드는편이 좋습니다. 회피도 깡깡함도 뭣도안되는 딜러들은 탱커뒤에 숨어서 얌전히 적들의 사이드나 후방을 노리고 ㅌㅌ 할뿐.
키즈나 아츠로 린의 드럼배쉬와 루의 마인드스톰이 둘다 강력한대 습득시기가 너무늦은 단점이 있어요. 둘다 엔딩이후에 습득가능.
기본적으로 도발하고 다운시키고 다운+격투콤보 추가데미지 넣는 기술을 써주고 뭐 적당적당히 쓰기에 나쁘진않습니다.
물리, 히트속성을 올려주는 자체 강화아츠도 있어서 적의 두가지 내성약체에 대해 기본적으로 해제가 가능한것도 장점이고 엔딩후에는 마인드스톰과 드럼배쉬로 딜,탱,힐 세가지 포지션을 전부잡을수도있고.
사격무기의 선택에따라 완전 딜러형, 탱커형, 힐 보조형등으로 셋팅하는 맛이 있는 무기라 볼수있내요.
스카웃할때 초중반에 단단한탱커하나 만들어서 블레이드스카웃에 보내놓으면 다른사람들한태 도움되거나 그런경우도 있지요(보통은 트레헌120%)
나이프
이쪽은 나이프 자체가 주력이라기 보다는 사용하는 사격무기의 보조적인 느낌의 근접무기. 기본적으로 사격력을 올려주는 풀스팩덕분에 사격의 극을 보겠다면 필연적으로 선택하게되는 무기입니다. 풀스팩 자체가 사격력, 잠재력 , 에텔내성업등 사격공격력에 특화된 오라이기때문에 나이프를 든다는건 그냥 나 총질하겠소! 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나이프 자체 공격아츠들은 그냥 좀 심심한 성능들인대 대신에 에텔내성저하 디버프를건다거나 상대방의 강력한 오라에 대해 오라시간을 단축시키거나 벗겨내는 디버프등을 가지고있어서 보조적인 면에서도 유능합니다. 그외에 강화스킬쪽으로도 물리내성업, 디버프해제, 아군전원 회복, 잠재력 상승, 회피력상승 tp부여 등등등 힐러쪽 능력도 가지고있어서 리커버리 오라를 들고 힐러로 사용해도 충분한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게임자체적으로 에테르관련 아츠와 스킬 무기가 후반부에 강력해 지는대 에테르내성 저하 디버프를 가지고 있다는것도 장점이고 고성능 힐링스킬 라운드 리커버리를 게임 초반에 습득가능한것도 큰 장점입니다.
공격을 포기하고 잠재력과 회피만 찍고 힐러 포지션으로 스카웃보내놓으면 생존형 힐러로 게임 초중반부에 나름 사랑받는 타입의 캐릭터를 만들수도 있거나 합니다. 비슷한 힐러타입인 포톤세이버 에 비해서 ai로 둬도 힐역할을 잘하는편이라 ai힐러가 필요하거나 만들고싶다면 이쪽이 좋아요.
쟈벨린
이쪽은 볼트,물리내성을 낮추고 해당속성으로 공격하는 한방한방이 조금 묵직한? 느낌의 무기입니다. 텐션아츠중 하나가 사격콤보라는 좀? 스러운 옵션이 있다거나 사용가능한 최강아츠가 탑승했던 돌이 파괴되었을때 맥시멈 데미지를 뽑는다거나 뭐... 좀 매니악한 성능의 무기이긴합니다만 캐스트와 더블리캐스트 속도를 올려주는 스피드스타, 인게임 3대 반사스킬중 하나인 라이진 등등 준수한 오라를 탑제하고있으며 적의 파워를 다운시키는 약체기 라던가 파워드 트리거를 사용하여 바렛트챠지 ㅡ 아크혼(또는 볼텍스)등의 tp를 사용하지않는 기본 격투아츠로도 강력한 한방을 뽑을수있는 무기입니다.
볼트내성을 낮추는게 주력이기도해서 무기자체를 볼트속성으로 셋팅하는게 유리한 편이며(물리내성도 낮출수있지만 이쪽은3레벨, 볼트는5레벨) 둘다 전투에 유용하므로 상황에 맞춰 쓰기도 좋습니다. 유일한 단점이라면 텐션아츠 두개가 전부 뭔가 나사빠진듯한 성능이라는것 정도.
볼텍스에 인게임에 몇없는 브레이크 기능이 있다는것도 장점이내요.
듀얼소드
이쪽은 위치적 특효라던가 (배후, 사이드) 사격콤보 라던가 hp가 줄어들수록 이라던가 대부분 아츠에 조건이 붙어있어서 사용이 조금 어렵다는 느낌입니다. 물론 조건을 잘 맞추면 강한 무기인것은 맞지만 계속해서 움직이는적들을 상대로 위치를잡는다던가 뭐 그런게 쉽지만은않고 hp가 줄어들수록 성능이 상승한다던가 라는 위험도 감수해야하고 격투무기이면서 사격무기콤보 달성조건도 있는 설명만봐도 조금 난이도가 있는 무기입니다... 그래도 일단 듀얼소드인만큼 히트수가 많은편이며 게임특성상 배율이 높은 단타아츠보다 배율은 낮더라도 히트수가 많은 아츠쪽이 강하므로 공격력만 보자면 상위라고 볼수는 있습니다. 파워다운의 약체기를 보유하고있고 희소가치인 브레이크 아츠도 있으며 오버엣지 이후에 킬링머신을 키고 극딜하기시작하면 나오는 딜량도 굉장한편입니다. 추가적인단점으로는 연타계가많다보니 모션동작이 길어서 빠르게 아츠를 연사해야하는 오버클락기어 시에 약간의 불편함을 느낄수 있습니다...
쌍검에 뭔가 로망이 있으시다면...
포톤세이버
이쪽은 딜+서브힐러 같은 느낌으로 사용할수 있는 무기입니다. 게임초반부에 물리무기 투성이인 근접무기중에 유일하게 빔 속성으로 사용할수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유성검 ㅡ 유성론도 ㅡ 유성앵화 연결만으로 쉽게 데미지와 tp를 땡겨올수있으며 별다른 조건없이 그냥 순서대로 눌러만줘도 아츠최대효과를 다볼수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강력한 텐션아츠인 스타라이트비트를 사용하면 적의 중력내성을 떨굴수 있으며 이때 사용무기의 속성이 중력인 포톤세이버라면 최대의 효과를 낼수있습니다.(중력무기 구하는게 조금... ) 대부분의 아츠가 격투콤보 연결특효기 때문에 유성검3종 ㅡ 스타라이트비트 연결만으로도 무난하게 데미지를 뽑아낼수있습니다. 스타라이트 비트의경우 키즈나 아츠이지만 나름 빠른시기에 습득가능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게임 중반부터 최대출력이 가능한것도 나름 큰장점이지요.
빔내성을 떨구는 약체기를 가지고있으며 3대 반사오라 겔럭시 크로스에 빔공격력 상승 옵션까지 있어서 무리해서 중력 세이버를 구하지않고 그냥 평범하게 빔세이버 +빔내성 약체아츠 + 겔럭시크로스 셋트로 싸워도 강력합니다.
강화기에 스타힐, 스타 큐어를 가지고있는대 오라 '스타필드'사용후에 전체화가 가능하므로 회복, 디버프해제 요원으로서도 유능합니다. 단 이경우에는 오라를 먼저 사용해야 힐과 큐어가 전체화 되기때문에 아츠순서가 엉망진창인ai의 경우에는 효율적으로 사용하지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외에 자신의 hp와 tp를 바꾸는 아츠라던가 빔내성상승 오라, 스파이크필드+파데미지시 바렛트 챠지오라 라던가 여러모로 유용한 오라도 많이 가지고 있으므로 범용성있게 사용하기 좋은 무기라고 생각합니다.
이부끗
(IP보기클릭)59.2.***.***
(IP보기클릭)121.145.***.***
아마 수정하지않았을까 싶내여. 사실 스위칭 리로드 그거자체가 이미 버그였어서 ㅋㅋㅋ 이거랑 또 그 머시기냐 람제트 메거진증가랑... | 25.03.20 02:20 | |
(IP보기클릭)59.2.***.***
람제트도 궁금하군요 저는 그 성능을 DLC선물이라 생각했지만요 ㅋㅋ 아무튼 실행가능 메세지 떴으니 오랫만에 혹독한 행성 미라로 떠나봐야겠습니다 얼마나 변했을지 궁금하네요 | 25.03.20 02:25 | |
(IP보기클릭)125.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