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PS5소프트] AAA 게임이란 무엇인가? 영리한 시스템이 논쟁을 종식시킨다 [56]

2025.09.21 (10:21:33)
ID | 구분 | 제목 | 글쓴이 | 추천 | 조회 | 날짜 |
---|---|---|---|---|---|---|
1348118 | 공지 | 메타크리틱 점수 게시는 한 페이지 당 하나로 제한합니다. (60) | sickarl | 57 | 1062557 | 2014.03.25 |
234281 | 공지 | 글을 작성하기전에 반드시 확인해주십시오. (33) | 루리 | 55 | 1082210 | 2009.07.28 |
2340379 | PS5소프트 | nokcha | 15 | 13121 | 2025.09.21 | |
2340377 | PS5소프트 | 게이밍포럼 | 28 | 35196 | 2025.09.21 | |
2340375 | PS5소프트 | DiaBleu | 6 | 7670 | 2025.09.21 | |
2340374 | PS5소프트 | 이토 시즈카 | 19 | 8458 | 2025.09.21 | |
2340373 | PS5소프트 | 하드랜딩 | 12 | 14711 | 2025.09.21 | |
2340372 | PS5소프트 | Winter Love | 45 | 23105 | 2025.09.21 | |
2340370 | PS5소프트 | 이토 시즈카 | 5 | 2389 | 2025.09.21 | |
2340369 | 제작사 | 락스테디 차기작 | 8 | 16184 | 2025.09.21 | |
2340368 | 인터뷰 | roness | 16 | 9002 | 2025.09.21 | |
2340367 | PS5소프트 | 게이밍포럼 | 8 | 10527 | 2025.09.21 | |
2340366 | PS5소프트 | 일본신사게임홍보대사 | 4 | 2908 | 2025.09.21 | |
2340365 | PS5소프트 | 로메오카이 | 3 | 2332 | 2025.09.21 | |
2340364 | 기타 | 아마존슨 | 13 | 18262 | 2025.09.21 | |
2340363 | PS5소프트 | e에스트e | 6 | 4403 | 2025.09.21 | |
2340362 | 정보 | 따스한 가열로 | 6 | 3645 | 2025.09.21 | |
2340361 | PS5소프트 | 락스테디 차기작 | 29 | 17365 | 2025.09.21 | |
2340360 | PS5소프트 | 락스테디 차기작 | 3 | 3396 | 2025.09.21 | |
2340359 | PS5소프트 | 락스테디 차기작 | 28 | 22265 | 2025.09.21 | |
2340358 | PS5소프트 | 이토 시즈카 | 7 | 5162 | 2025.09.21 | |
2340356 | PS5소프트 | nokcha | 52 | 21887 | 2025.09.20 | |
2340355 | PS5소프트 | nokcha | 12 | 10580 | 2025.09.20 | |
2340353 | PS5소프트 | nokcha | 12 | 6411 | 2025.09.20 | |
2340350 | PS5소프트 | 뒤돌아 보지마 | 6 | 6214 | 2025.09.20 | |
2340349 | 정보 | 따스한 가열로 | 5 | 1367 | 2025.09.20 | |
2340348 | PS5소프트 | 게이밍포럼 | 11 | 13413 | 2025.09.20 | |
2340347 | PS5소프트 | 물곰탱 | 12 | 5745 | 2025.09.20 | |
2340346 | 제작사 | 따스한 가열로 | 2 | 2165 | 2025.09.20 | |
2340345 | 제작사 | 따스한 가열로 | 3 | 1894 | 2025.09.20 |
(IP보기클릭)39.115.***.***
AAA가 대규모 예산을 지칭하는 모호한 말이라 임의로 구분지어볼 순 있는데 이 글이 주장하는 것처럼 용량과 크레딧은 그 기준이 아닐듯.... 당연히 콘솔 세대별로 제작진수와 용량은 선형적으로 크게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는데 2006년 이후 데이터를 수집했다면서 100gb 이상에 1000명 이상이어야 aaa게임이다? 스카이림은 그럼 출시용량 6gb에 100명도 안되는 인원이 만들었는데 당대 최고규모의 게임이었는데 aaa게임은 커녕 aa게임도 아니겠네? 보더랜드4는 보더랜드3에 비해 제작비 2배 이상 들었고 국내에 대규모 마케팅 뿌리는거도 보면 명확하게 aaa게임인데 aa게임이라고 주장하는 황당한...
(IP보기클릭)211.36.***.***
- 게임 개발 시스템의 차이로 5000명이 깨작깨작 참여하여 2-3년 안에 만드는 게임과 1000명이 전적으로 참여하여 5-6년 만드는 게임중 더 큰 게임은 무엇인가요?? -스위치1에서 스위치2로 넘어가면서 용량이 엄청 늘고 있는데 (심지어 같은 게임도..) 용량이 그 게임의 규모를 단언할 수 있을 정도로 결정적인가요?? 멍청하고 바보같은 분류...
(IP보기클릭)115.31.***.***
용량은 적용된 압축기술에 따라 상대적이라서 이걸 기준으로 내세우는 건 어리석은 방법이죠. 특정 게임은 원음을 그대로 전달하기 위해 무압축된 오디오 파일을 제공하기도 하는데, 사운드트랙 단 하나에 수 GB에 달하기도 합니다.
(IP보기클릭)61.105.***.***
저건 AAA 맞음 투입된 인원, 개발기간, 제작비 뭐 하나 기준에 충족 안되는 게 없음 ㅋㅋㅋ
(IP보기클릭)223.39.***.***
닌텐도는 예산을 공개 안했는데 이걸 왜 멋대로 생각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당장 야숨 왕눈 개발처럼 아이디어 만드는데 시간을 많이 쏟는것도 다 인건비라 생각보다 aaa급 투자가 들어갔을 수도 있습니다
(IP보기클릭)14.138.***.***
(IP보기클릭)223.39.***.***
아나루마
닌텐도는 예산을 공개 안했는데 이걸 왜 멋대로 생각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당장 야숨 왕눈 개발처럼 아이디어 만드는데 시간을 많이 쏟는것도 다 인건비라 생각보다 aaa급 투자가 들어갔을 수도 있습니다 | 25.09.21 11:18 | | |
(IP보기클릭)118.235.***.***
닌텐도는 개발비용 공개한적이 없을걸요? 나오는것들 죄다 추측에 불과함. | 25.09.21 11:26 | | |
(IP보기클릭)118.235.***.***
참고로 저 지표에 따르면 위쳐3도 AA급임. 용량이 40G밖에 안되서. | 25.09.21 11:38 | | |
(IP보기클릭)118.235.***.***
더 재미있는건 몬헌 라이즈와 월드가 비슷한 AA급이라는거. 용량으로 AAA급 나누는게 얼마나 얼탱 터지는 건지 알수있음 | 25.09.21 11:46 | | |
(IP보기클릭)220.117.***.***
추정 개발비로만 따지면 대난투, 동숲, 마카, 젤다 전부 aaa급 게임들이에요;; | 25.09.21 12:00 | | |
(IP보기클릭)118.235.***.***
그것 빼고 여기저기 봤는데 다들 얼탱 터지는 구분법이라고 함. 가장 문제되는게 어떤 의미로 midi. Kei라는 단위는 왜 있는가. 압축안하고 풀 영상으로 올리면 aaa급? 크래딧에 개발자 이름을 전부 올리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대표격 이름만 올리는 경우가 상당수) 그거로 구분을 어떡해함? 이 대표적인 문제로 꼽힘 | 25.09.21 12:04 | | |
(IP보기클릭)1.213.***.***
(IP보기클릭)39.115.***.***
AAA가 대규모 예산을 지칭하는 모호한 말이라 임의로 구분지어볼 순 있는데 이 글이 주장하는 것처럼 용량과 크레딧은 그 기준이 아닐듯.... 당연히 콘솔 세대별로 제작진수와 용량은 선형적으로 크게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는데 2006년 이후 데이터를 수집했다면서 100gb 이상에 1000명 이상이어야 aaa게임이다? 스카이림은 그럼 출시용량 6gb에 100명도 안되는 인원이 만들었는데 당대 최고규모의 게임이었는데 aaa게임은 커녕 aa게임도 아니겠네? 보더랜드4는 보더랜드3에 비해 제작비 2배 이상 들었고 국내에 대규모 마케팅 뿌리는거도 보면 명확하게 aaa게임인데 aa게임이라고 주장하는 황당한...
(IP보기클릭)122.32.***.***
(IP보기클릭)61.43.***.***
(IP보기클릭)118.235.***.***
그래놓고 더미데이터 압축 등 최적화 안해서 용량 크면 욕함. | 25.09.21 13:54 | | |
(IP보기클릭)220.118.***.***
(IP보기클릭)211.36.***.***
- 게임 개발 시스템의 차이로 5000명이 깨작깨작 참여하여 2-3년 안에 만드는 게임과 1000명이 전적으로 참여하여 5-6년 만드는 게임중 더 큰 게임은 무엇인가요?? -스위치1에서 스위치2로 넘어가면서 용량이 엄청 늘고 있는데 (심지어 같은 게임도..) 용량이 그 게임의 규모를 단언할 수 있을 정도로 결정적인가요?? 멍청하고 바보같은 분류...
(IP보기클릭)220.87.***.***
(IP보기클릭)122.32.***.***
저 기사가 참조한 사이트 가보면 이렇게 표로 분류하고 있긴 합니다 | 25.09.21 11:16 | | |
(IP보기클릭)2.56.***.***
크레딧 숫자라면 모를까 게임 용량이 기준이 된다는건 좀 뜬금없긴 하네요 | 25.09.21 11:45 | | |
(IP보기클릭)118.235.***.***
레딧쪽에서도 얼탱 터진다는 이야기가 많네요. 주로 왜 KEI나 MIDI같은 분류를 왜하는지와 용량으로 구분한다는것 그리고 크레딧에 나오는 참여인 숫자 만으로 구분한다는게 말이 안되는듯. (크레딧에 개발자 전체 이름이 안나오는경우가 많음) | 25.09.21 12:01 | | |
(IP보기클릭)1.201.***.***
(IP보기클릭)116.39.***.***
(IP보기클릭)118.235.***.***
위쳐3이 용량 약 40g 되는데 그러면 AA급이라는거. 압축안하고 영상 많이 투입하면 AAA급인가? | 25.09.21 11:37 | | |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223.39.***.***
(IP보기클릭)115.31.***.***
용량은 적용된 압축기술에 따라 상대적이라서 이걸 기준으로 내세우는 건 어리석은 방법이죠. 특정 게임은 원음을 그대로 전달하기 위해 무압축된 오디오 파일을 제공하기도 하는데, 사운드트랙 단 하나에 수 GB에 달하기도 합니다.
(IP보기클릭)2.56.***.***
이건 AAA인가요?
(IP보기클릭)61.105.***.***
Kutna Hora
저건 AAA 맞음 투입된 인원, 개발기간, 제작비 뭐 하나 기준에 충족 안되는 게 없음 ㅋㅋㅋ | 25.09.21 12:54 | | |
(IP보기클릭)121.162.***.***
AAA가 꼭 성공 보증수표인건 아니라는 대표적 사례 | 25.09.21 13:11 | | |
(IP보기클릭)58.226.***.***
(IP보기클릭)39.7.***.***
(IP보기클릭)118.235.***.***
걍 쉽게 개발사의 개발비용으로 따지면 쉬움. 애시당초 AAA 겜은 대규모 개발비용과 그걸 위한 마케팅 비용 책정을 위한 규모임 | 25.09.21 12:17 | | |
(IP보기클릭)39.7.***.***
애초에 개발비로만 나누는게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여러 다른 분류법을 찾는 거임 거기다 대고 아무 문제 없으니 걍 개발비로만 분류해라고 해봐야 핀트를 벗어난 소리일뿐인 거 | 25.09.21 13:22 | | |
(IP보기클릭)118.235.***.***
애시당초 AAA급은 개발비에 따른 마케팅 비용산출을 위해 만든 급이에요. | 25.09.21 13:50 | | |
(IP보기클릭)118.235.***.***
거대 자본 투입했으니 그걸 최대한 회수하기 위해 거대 마케팅 비용을 투입하기 위한 그 비용에 대한 급을 쓰는걸 걍 유저들이 급나누기 하는 거임. | 25.09.21 13:52 | | |
(IP보기클릭)14.49.***.***
그러니까 그걸 개발비로만 나누는걸 문제가 있다고 생각해서 업계에서 다른 방법들을 찾는 거니까 찾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면 그냥 넘기시면 됩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겐 이것보단 이게 낫지 않나 이런저런 얘기하는게 의미가 있겠지만 아예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면 아무 의미없는 글이죠 | 25.09.21 13:59 | | |
(IP보기클릭)118.235.***.***
애시당초 업계에서 찾는것도 아님. 개발사들이 의논해서 협의점을 찾는것도 아니고 그냥 말그대로 마케팅 비용의 규모를 유저들이 맘대로 가져다가 하는거니까요 | 25.09.21 14:02 | | |
(IP보기클릭)118.235.***.***
애시당초 저 허쉬크래셔? 뉴스레터가 구분한 용량. 크래딧 이름 수로 구분하는것으로 규모를 산출하는것도 겜 개발업체에서 한게 아님 | 25.09.21 14:05 | | |
(IP보기클릭)39.7.***.***
AAA(트리플 A) 게임을 단순히 개발비 규모로만 분류할 때는 여러 문제가 생깁니다. 정리해보면: --- 1. 개발비만으로 품질이나 규모를 보장할 수 없음 개발비가 크더라도 제작 과정이 비효율적이면 완성도는 낮을 수 있음. 반대로 적은 비용으로도 창의적인 기획과 효율적인 엔진·툴 사용으로 AAA급에 준하는 완성도를 보여줄 수 있음. (예: 헬블레이드: 세누아의 희생은 인디에 가깝지만 AAA급 비주얼과 연출로 평가받음) --- 2. 지역과 환율, 인건비 격차 문제 같은 규모의 프로젝트라도 북미, 일본, 동유럽, 한국 등 개발 환경에 따라 인건비 차이가 큼. 예를 들어 1억 달러로 북미에서는 AAA라 부르지만, 인건비가 저렴한 지역에선 더 큰 규모의 인력을 운영할 수도 있음. --- 3. 마케팅 비용 배제 문제 실제 AAA 게임은 개발비뿐 아니라 마케팅·유통비가 비슷하거나 더 큼. 개발비만 보면 ‘중간급 게임’ 같아도, 마케팅에 수천만 달러를 투입해서 사실상 AAA급 대작으로 취급되기도 함. --- 4. 장르/플랫폼별 특성 무시 RPG, 오픈월드, FPS 같은 장르와 모바일/콘솔/PC 플랫폼별로 요구되는 제작비 규모가 다름. 인디나 AA 게임이 일부 장르에선 AAA만큼 큰 개발비가 필요하지 않음. → 단순히 비용 기준만으로는 장르 간 형평성이 깨짐. --- 5. 지속 서비스형 게임(GaaS)과의 혼동 AAA 게임 중 일부는 출시 이후 운영·서버비용이 크지만, 초기 개발비만 보면 중간급처럼 보일 수 있음. 반대로 한 번에 출시 끝나는 패키지형 게임은 초기 개발비가 높게 잡힘. --- ✅ 그래서 보통 업계에서는 개발비 + 제작 규모(스튜디오 크기, 인력 투입), 마케팅 규모, 시장 포지셔닝 등을 종합적으로 보고 AAA라 부르지, 단순히 개발비만으로는 잘 안 나눠요. | 25.09.21 15:11 | | |
(IP보기클릭)14.49.***.***
챗지피티도 업계에서 개발비만으로 분류하진 않는다네요 | 25.09.21 15:28 | | |
(IP보기클릭)118.235.***.***
편의상 영화 제작비니 게임 개발비니 부르는거지 엄밀히 따지면 총 제작비 총 개발비로 즉 예산 입니다. 마케팅비등이 포함 된거에요. | 25.09.21 17:36 | | |
(IP보기클릭)14.49.***.***
20님이 개발비를 토대로 마케팅비를 산정한다고 했으니 마케팅비를 제외한 개발비의미로 개발비를 언급한 거고 그에 맞춰서 말씀드린 겁니다. | 25.09.21 17:57 | | |
(IP보기클릭)223.39.***.***
님 gpt에 aaa급 게임 정의가 뭔지부터 확인해보세요. '개발비로만 aaa게임 정의하면 안되지?' 대충 이런 뉘앙스로 답정너 결론 지어놓고 글써달라고 한거같은데 | 25.09.22 16:33 | | |
(IP보기클릭)14.49.***.***
게임 업계에서 말하는 AAA(트리플 A) 게임은 공식적으로 딱 정해진 기준이 있는 건 아니야. 다만 업계와 언론에서 보통 다음 요소들을 종합해서 그렇게 부르지: 1. 개발비와 마케팅 규모 수백억~수천억 원 단위의 예산 투입. 개발 인력도 수백 명에서 천 명 단위가 동원됨. 마케팅에도 영화급으로 투자해서 전 세계 동시 발매를 노리는 경우가 많음. 2. 제작사 및 퍼블리셔의 규모 보통 대형 게임사(소니, 마이크로소프트, 유비소프트, EA 등)의 주력 타이틀. 회사의 대표작 또는 플래그십 IP로 자리매김. 3. 게임의 완성도와 분량 높은 수준의 그래픽, 사운드, 연출. 대규모 오픈월드나 장시간 즐길 수 있는 콘텐츠. 제작 기간도 보통 3~5년 이상. 4. 시장 목표 특정 지역이 아니라 북미, 유럽, 일본, 한국 등 글로벌 시장을 겨냥. 발매 시점부터 콘솔, PC 등 멀티플랫폼 동시 출시를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음. 정리하면, **AAA 게임은 “대규모 자본·인력·시간이 투입된 글로벌 메이저 게임”**이라는 업계의 관습적 분류야. 👉 참고로 그 위 개념으로는 AAAA 게임이라는 마케팅 용어도 최근 쓰이는데, 이건 "더 높은 예산과 품질을 목표로 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라는 의미일 뿐 업계 표준은 아니야. 혹시 원해? 내가 실제로 업계에서 예산이나 인력 규모로 AAA를 분류한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정리해줄까? | 25.09.22 16:55 | | |
(IP보기클릭)14.49.***.***
됐음? ㅋ | 25.09.22 17:07 | | |
(IP보기클릭)110.10.***.***
(IP보기클릭)211.204.***.***
(IP보기클릭)124.57.***.***
(IP보기클릭)180.83.***.***
(IP보기클릭)118.235.***.***
이게 맞음 | 25.09.21 14:14 | | |
(IP보기클릭)218.144.***.***
(IP보기클릭)1.232.***.***
(IP보기클릭)211.62.***.***
(IP보기클릭)175.124.***.***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58.233.***.***
(IP보기클릭)1.232.***.***
자꾸 aaa, aa이런걸 게임의 퀄리티라고 생각하네 개발비 얼마나 썼는지 기준으로 구분하는 거임 본문은 개발비 공개가 잘 안되는 aa이하 게임들을 공개된 정보로 분류하려는 시도를 한건데 아무 짝에도 쓸데없는 결과가 나와서 사람들이 욕하는 거고 | 25.09.21 18:31 | | |
(IP보기클릭)1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