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보호종으로 불나방이 지정 되었습니다. 지금은 불나방의 개인 사육은 불법임을 안내 드립니다.
코로나가 한창이던 시기 강원도 북부에서 꿈에만 그리던 불나방 Arctia caja를 채집 했습니다.
바로 표본을 해도 괜찮았지만 어떻게든 알을 받고 사육을 해보기로 마음먹고 사육을 했었습니다. 이후 해당 사육 자료는 귀찮다는 이유로 정리도 안하고 방치했습니다.
그리고 2024년
불나방이 보호종 2급으로 지정된다는 소식을 듣고 어.. 이거 사진 올리면 신고 당하는거 아닌가? 했으나
'어차피 겁나 귀한 종이라 해도 상관 없겠지?'
하고 그냥 업로드 했습니다. 물론 이후 국립생태원 등과 통화를 해서 여러 자료와 데이터를 공유 했습니다.
개인적으로 너무 귀한 곤충의 보호종 지정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고 보호종의 취지에도 맞지 않습니다.
보호종의 지정 요인은
1. 개체 수 및 멸종 위험도:
-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자연적 또는 인위적 요인으로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들어 멸종 위기에 처한 종입니다.
-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현재의 위협 요인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 가까운 장래에 멸종 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종입니다.
2. 유전적 다양성:
-
개체 수가 많더라도 유전적 다양성이 낮아 절멸될 가능성이 높은 종은 보호 대상으로 지정될 수 있습니다. 유전적 다양성이 낮으면 환경 변화나 질병에 취약하기 때문입니다.
3. 서식 환경 및 위협 요인:
-
서식지 파괴, 환경 오염, 기후 변화, 외래종 유입, 밀렵 등 다양한 위협 요인에 의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는 종이 보호 대상으로 고려됩니다.
4. 생태계 내 역할:
-
해당 곤충이 속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 보호의 필요성이 더욱 커집니다. 예를 들어, 특정 식물의 수분을 돕거나, 다른 생물의 먹이가 되는 등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곤충이 이에 해당합니다.
5. 학술적 및 심미적 가치:
-
희귀하고 독특한 특성을 지니거나, 학술 연구에 중요한 가치가 있는 종도 보호 대상으로 지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아름다운 외모를 가지고 있어 사람들에게 심미적 즐거움을 주는 곤충도 보호의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습니다.
해당 내용에 잘 맞는 곤충은
두점박이사슴벌레: 제주도에서 흔하다는 이유로 일부 메니아 혹은 유튜버등이 보호종 지정이 옳지 못하다 라고 하는데 제주도에만 서식한다는 특이성과 특이한 외형과 대만에도 분포하는 점이 지구 과학적으로도 가치가 있는 종입니다.
꼬마잠자리:습지가 육지로 변해가는 과정에 있는 한정된 환경에 서식하며 한국에서 가장 작은 잠자리라는 점에서 정서적 상징성도 있습니다.
서식지의 인위적인 간섭이 쉬운곳에 서식합니다.
-
수염풍뎅이:넓은 하천강변등에서 나오며 사대강으로 망가진 환경을 되돌리는 과정에서 많은 개체수가 복구 되어 볼려면 볼수있는 곤충이 되었습니다.
물론 이전의 서식지는 보호되기 전에 공원을 조성하며 이전 서식지에서는 거의 보기 힘들어 졌습니다.
-
닻무늬길앞잡이: 해안사구 환경 변화에 매우 민감안 종으로 이전 인천 해안가에서 날파리처럼 많았으나 조개구이집이 들어서며 지금은 한정된 공간에서
발견되며 서식지중 한곳이 예능프로그램에 나오며 캠핑장이 들어서며 최근 서식지 한 곳도 사라졌습니다.
-
뚱보주름메뚜기: 과거에는 서울인근에도 분포했으나 척박한 석회암지대에서 주로 발견되는 특이한 생태를 가지고 있어 지금은 제천 영월등지에서 쉽게 볼수있지만 사람의 손이 닿기 쉬운곳에 서식해 인위적인 서식지 파괴에 취약합니다
붉은점모시나비:기린초를 기주로 삼으며 울창한 숲이 아닌 돌산에서 주로 서식합니다. 원시적인 호랑나비과로 붉은점모시나비가 속한 Parnassius속은
세계적으로 많은 곤충수집가들이 좋아하는 분류군이며 이 속의 나비 이야기로만 하룻밤은 뚝딱 보낼만큼 네타거리가 많은 나비입니다.
서식지에서는 엄청 많은 개체수가 있지만 한정된 서식공간등을 이유로 보호종으로 지정 되었습니다.
외에도 잘 지정된 보호종도 있고 애매한 보호종도 있지만 바로 확인되는 사진이 있는 종들 입니다.
그렇다면 불나방은 어떨까요?
불나방이 많았던 몽골
불나방의 영명은 Garden tiger moth라고 불리며 정원 초지 등에 주로 서식하며 땅을 가만 나두기 싫어하는 우리나라에서 난계발에 취약한 자연 환경입니다.
또한 불나방의 기록을 보면 북반구에 넓게 분포하며 북방계 초지에 서식 함을 알 수있습니다. 즉 불나방은 사라져 가는 북방계 고산 초지를 보호할 수있는 곤충입니다.
불나방이라는 명칭은 여러 매체에서 다룰 정도로 대중성이 있고 해외에서 역시 인기가 많은 곤충이며 다양한 굿즈도 존재 합니다. 또한 불나방의 학명 Arctia caja는 1758년 이명법을 처음으로 확힙한 칼폰 린네의 자연의 체계(Systema Naturae) 제 10판에 나온 오랜 역사를 가진 곤충으로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정서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곤충이라 할 수있습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경기도 권에서도 보이던 불나방의 국내 기록은 2000년대 이후 거의 전무합니다. 그만큼 국내 서식이 매우 드문 곤충으로 보호종으로 써 실효성이 별로 없는 곤충이기도 합니다. 이후 기관과 통화 했을때 4년간 빡새게 조사해서 한마리 발견 했다 합니다..
뭐 어쨌던 운좋게 잡은 불나방을 그냥 산란을 받았습니다.
부화 직전의 불나방 알입니다. 하찮습니다.
갓 부화한 불나방의 1령 유충입니다. 배추를 먹입니다.
좀 자랐습니다. 기주 특이성이 적기때문에 민들레,뽀리뱅이등을 먹입니다. 배추값이 아깝고 농약 뭍은 배추로 왕창 죽여먹어서 바꿨습니다.
위협하면 몸을 말지만 독은 없습니다. 강아지풀 같은 촉감입니다.
거의 다 컸습니다.
번데기입니다.
우화해서 기어 올라옵니다.
조금씩 펴집니다.
완벽하게 우화한 불나방
조금씩 개체마다 다른 무늬 패턴이 특징입니다.
손으로 만지며 위협하자 경판 뒷면 붉은 강모를 새우며 위협액을 내뿜습니다. (한발밖에 못씁니다)
많은 부분을 생략 했지만 먹이 식물만 단순하고 온도 조절 타이밍과 습도 조절등이 어려워 다른 나방이나 나비에 비해 조금 성가신 곤충입니다.
일단 국내 첫 사육 성공이라 자축만 하고 말았는데 다음에 합법적으로 사육 기회가 생기면 좀더 사육 방식을 메뉴얼화 해 더 많이 대량 사육에 성공 하고 싶습니다.저 불나방들은 이후 깨끗한 표본으로 제작 했습니다.
표본을 위해 사육한걸 반려동물이 해야 할지 의문이지만 네네치도 깨끗하게 우화한 장수풍뎅이를 표본하니까 반려동물이겠죠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1.png](https://i3.ruliweb.com/img/25/09/24/1997a6e848b59dddb.pn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2.png](https://i1.ruliweb.com/img/25/09/24/1997a70315259dddb.pn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3.jpg](https://i3.ruliweb.com/img/25/09/24/1997a75f95a59dddb.jp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4.jpg](https://i3.ruliweb.com/img/25/09/24/1997a79fe8559dddb.jp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5.jpg](https://i2.ruliweb.com/img/25/09/24/1997a7b169a59dddb.jp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6.jpg](https://i2.ruliweb.com/img/25/09/24/1997a7d688459dddb.jp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7.jpg](https://i1.ruliweb.com/img/25/09/24/1997a7facb559dddb.jp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8.png](https://i3.ruliweb.com/img/25/09/24/1997a837acb59dddb.pn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9.png](https://i2.ruliweb.com/img/25/09/24/1997a92851159dddb.pn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10.png](https://i1.ruliweb.com/img/25/09/24/1997a9306c159dddb.pn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11.png](https://i3.ruliweb.com/img/25/09/24/1997a97797e59dddb.pn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12.png](https://i2.ruliweb.com/img/25/09/24/1997a9d3bdd59dddb.pn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13.png](https://i1.ruliweb.com/img/25/09/24/1997a9e48db59dddb.pn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14.jpg](https://i2.ruliweb.com/img/25/09/24/1997aa36d5c59dddb.jp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15.png](https://i2.ruliweb.com/img/25/09/24/1997aa6e06659dddb.pn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16.png](https://i1.ruliweb.com/img/25/09/24/1997aa87a7f59dddb.pn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17.png](https://i1.ruliweb.com/img/25/09/24/1997aa7b39659dddb.pn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18.png](https://i3.ruliweb.com/img/25/09/24/1997aaa359659dddb.pn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19.png](https://i1.ruliweb.com/img/25/09/24/1997aabb5d359dddb.pn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20.png](https://i2.ruliweb.com/img/25/09/24/1997aace2f659dddb.pn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21.jpg](https://i1.ruliweb.com/img/25/09/24/1997aad494659dddb.jp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22.jpg](https://i1.ruliweb.com/img/25/09/24/1997aadcc9859dddb.jp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23.jpg](https://i3.ruliweb.com/img/25/09/24/1997ab10aa159dddb.jp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24.jpg](https://i3.ruliweb.com/img/25/09/24/1997aae32d859dddb.jp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25.jpg](https://i3.ruliweb.com/img/25/09/24/1997aae4e1959dddb.jp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26.jpg](https://i3.ruliweb.com/img/25/09/24/1997aae763059dddb.jp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27.jpg](https://i2.ruliweb.com/img/25/09/24/1997aaec8bb59dddb.jpg)
![[곤충]국내 최초 불나방 증식 성공_28.jpg](https://i1.ruliweb.com/img/25/09/24/1997ab0cb6a59dddb.jpg)
(IP보기클릭)211.46.***.***
(IP보기클릭)222.101.***.***
(IP보기클릭)211.51.***.***
맞습니다. 영원히 함깨에요
(IP보기클릭)121.133.***.***
와 이건 저도 좀
(IP보기클릭)58.120.***.***
비유적인 표현인줄 알았는데 진짜 불나방이 있었구나
(IP보기클릭)211.46.***.***
(IP보기클릭)220.121.***.***
쉽게 말하자면 번데기에서 변태한 갓지은 밥마냥 불나방을 인위적으로 '곤충 표본'으로 영구 박제 했다는 소리 아닌가요?... | 25.09.24 23:59 | |
(IP보기클릭)211.51.***.***
맞습니다. 영원히 함깨에요 | 25.09.25 19:42 | |
(IP보기클릭)121.133.***.***
밤나비연구소
와 이건 저도 좀 | 25.10.14 18:26 | |
(IP보기클릭)118.235.***.***
아니 뭐야 방생 엔딩이 아녀¿? | 25.10.15 03:59 | |
(IP보기클릭)118.220.***.***
(IP보기클릭)211.51.***.***
불나방 검색해도 다른불나방만 잔뜩 나오죠 사진 나와도 국외자료고 | 25.09.25 19:42 | |
(IP보기클릭)222.101.***.***
(IP보기클릭)211.51.***.***
어른이 되었으니 | 25.09.25 19:43 | |
(IP보기클릭)58.120.***.***
비유적인 표현인줄 알았는데 진짜 불나방이 있었구나
(IP보기클릭)36.69.***.***
저도...처음 알음;; | 25.09.25 11:00 | |
(IP보기클릭)211.51.***.***
좀더 흔해졌으면 좋겠습니다. | 25.09.25 19:43 | |
(IP보기클릭)112.185.***.***
(IP보기클릭)220.124.***.***
적게 낳는 종은 그만큼 생존율이 높은거고 많이 낳는 종은 더 떨어집니다. 종바종이에요 | 25.09.27 14:06 | |
(IP보기클릭)112.161.***.***
(IP보기클릭)220.124.***.***
간만에 보고싶어 작년에 몽골에 다녀왔습니다. | 25.09.27 14:14 | |
(IP보기클릭)211.47.***.***
(IP보기클릭)220.124.***.***
보통 나방맨들에게 저정도면 대형 나방으로 분류됩니다. ㅎㅎ | 25.10.14 18:00 | |
(IP보기클릭)211.35.***.***
(IP보기클릭)220.124.***.***
취미로 수집하는면도 있지만 기록을 남김과 표본으로 확인할수있는 요소도 있어 남기는 편입니다. 개인적으로 곤충을 반려동물보다는 탐구 대상으로 생각 합니다. | 25.10.14 18:02 | |
(IP보기클릭)211.206.***.***
(IP보기클릭)220.124.***.***
뭐든 잘먹는것도 한국 특징인가요 ㅎㅎ 동일속중 한반도에서는 북한에만 기록이 있는 백두불나방은 너무 척박하고 고도 높은곳에 서식해서 눈에 보이는 거의 모든 식물을 섭식한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 25.10.14 18:03 | |
(IP보기클릭)125.135.***.***
(IP보기클릭)220.124.***.***
저런 날개 작은 메뚜기가 국내 여러종이 있으니 관심 있으면 밑들이메뚜기도 검색해보세요. | 25.10.14 18:04 | |
(IP보기클릭)125.135.***.***
이건 논에서 많이 봤던 메뚜기네요. 전 이쪽은 벼메뚜기 유충이라고 생각했어요 ㅋㅋㅋ | 25.10.14 18:08 | |
(IP보기클릭)220.124.***.***
논에서 봤으면 밑들이는 아닐꺼에요 보통 산지에서 나옵니다. | 25.10.14 18:29 | |
(IP보기클릭)223.39.***.***
(IP보기클릭)220.124.***.***
Arctia속 불나방의 가슴에서 나오는 위협액은 메톡시피라진으로 휘발성이 강한 악취를 풍겨 다른 곤충이 아닌 조류와 같은 척추동물를 내쫒는데 사용한다고 합니다. 특이한점은 다른 곤충의 위협액과 달리 나방의 채내에서 합성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 25.10.14 18:06 | |
(IP보기클릭)110.35.***.***
악취군요 감사합니다 | 25.10.14 20:59 | |
(IP보기클릭)39.120.***.***
(IP보기클릭)220.124.***.***
농업해충목록에서 불나방중에는 미국흰불나방만 해충으로 분류 되어있습니다. 해충도 몇 종 유별난 해충을 빼면 실질적으로 농가에 피해를 주는 해충은 몇 종 없어요... | 25.10.14 18:29 | |
(IP보기클릭)110.47.***.***
(IP보기클릭)220.124.***.***
그러고보니 할로우나이트에 나온 캐릭터 실존 곤충 대조해보기 같은것도 했었는데 ㅋㅋㅋ | 25.10.15 04:46 | |
(IP보기클릭)116.122.***.***
(IP보기클릭)116.122.***.***
근데 희귀종을 많이 관찰하셨네요. 제가 본 희귀종 중에서는 곤충류는 없고, 해양생물 하나가 전부에요 | 25.10.14 18:48 | |
(IP보기클릭)220.124.***.***
상기 설명했듯이 보호종은 의외로 대부분이 관찰하려 마음만 먹으면 관찰 가능한 종들입니다. | 25.10.15 04:47 | |
(IP보기클릭)175.115.***.***
(IP보기클릭)220.124.***.***
그런 불나방 큰손이면 빠르게 청산하고 해외 채집 갈거같습니다 ㅋㅋ | 25.10.15 04:48 | |
(IP보기클릭)211.118.***.***
(IP보기클릭)220.124.***.***
나름 엄청나게 엄청난 경험입니다. | 25.10.15 04:48 | |
(IP보기클릭)203.149.***.***
(IP보기클릭)220.124.***.***
저건 맛 없어보여요... | 25.10.15 04:50 | |
(IP보기클릭)110.35.***.***
(IP보기클릭)220.124.***.***
이전에 작성한 곤충관련 글 한번 오른쪽 갔는데 저 말고 곤충으로 오른쪽은 못본거같습니다. | 25.10.15 04:50 | |
(IP보기클릭)58.227.***.***
사오정이 이 기사를 좋아합니다.
(IP보기클릭)218.152.***.***
얘는 독나방 | 25.10.16 10:28 | |
(IP보기클릭)211.176.***.***
(IP보기클릭)220.124.***.***
독병으로 날아 들어가면 좋은데.. | 25.10.15 04:51 | |
(IP보기클릭)211.235.***.***
(IP보기클릭)220.82.***.***
어제 아파트에서 고추잠자리 찍었는데 꼬마잠자리인가? 그건 아니겠죠?
(IP보기클릭)220.82.***.***
주위에 습지와 연못이 크게 있긴합니다. | 25.10.15 09:47 | |
(IP보기클릭)220.124.***.***
꼬마잠자리는 500원 만합니다 ㅎㅎ | 25.10.15 14:23 | |
(IP보기클릭)220.82.***.***
그렇군요! | 25.10.15 14:26 | |
(IP보기클릭)1.227.***.***
(IP보기클릭)220.124.***.***
틈나면 사진을 찍는데 귀찮아서 못찍은 종이 많습니다. | 25.10.15 14:24 | |
(IP보기클릭)175.115.***.***
(IP보기클릭)220.124.***.***
암컷은 불에 잘 안모이고 수컷은 꽤 잘 모입니다. | 25.10.15 14:24 | |
(IP보기클릭)119.195.***.***
(IP보기클릭)220.124.***.***
맞습니다 ㅋㅋ | 25.10.15 14:25 | |
(IP보기클릭)180.70.***.***
(IP보기클릭)118.46.***.***
(IP보기클릭)175.112.***.***
(IP보기클릭)220.124.***.***
고작 이정도로 교수는 못됩니다 ㅎㅎ | 25.10.15 20:02 | |
(IP보기클릭)175.112.***.***
(IP보기클릭)180.80.***.***
(IP보기클릭)61.101.***.***
(IP보기클릭)122.40.***.***
(IP보기클릭)220.124.***.***
카테고리가 애매해요 ㅋㅋㅋ 자작으로 가야하나.. | 25.10.16 07:53 | |
(IP보기클릭)114.203.***.***
(IP보기클릭)220.124.***.***
하지만 이후 더 키우면 불법이였던걸요 ㅎㅎ | 25.10.16 07:51 | |
(IP보기클릭)24.157.***.***
(IP보기클릭)220.124.***.***
wooly bear라고 불리는 저런 투톤컬러 불나방유충이 북미,케나다에 불나방 외에 다양하게 있습니다. 다른 종일수도있고 이 종일수도 있겠내요. | 25.10.16 07:52 | |
(IP보기클릭)209.171.***.***
압 유니크한 특징이 아니었군요 ㅎㅎ 다음에 또 보면 사진 찍어봐야겠습니다 | 25.10.16 08:27 | |
(IP보기클릭)113.30.***.***
(IP보기클릭)220.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