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5민랩 NPP 팀 입니다.
창공의 에이스들의 컨셉 증명판을 제작할 때 가장 큰 문제는 아이디어를 구현할 인원이 없었다는 점 입니다. 팀 구성원들은 물론 수년간 게임 개발에 전념을 해 온 베테랑 개발자들이지만, 자신의 개발 영역(예를 들어 이 글을 쓰고 있는 저의 경우 게임 디자인) 이외의 업무에 대해서는 사실 초보자나 다름 없으니까요.
때문에 팀은 컨셉 증명판을 제작할 때 생성형 AI를 적극 사용하기로 결정합니다. 물론 팀 내부에서도 AI 사용에 대한 여러 우려와 부정적인 시선에 대해서는 알고 있습니다. 기계가 숙련된 인류를 몰아낸다는 러다이트 적인 사고에서 부터, 지엽적으로는 (최근 Sora 2 공개에서도 나타났듯) 저작권 침해 문제 등이 있지요.
개인적으로 AI를 도입하는데 있어서 진짜 문제는 위의 내용들 보다는 다른 부분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AI를 이용해 인건비를 줄이려는 시도를 하는 높으신 분들은 실제로 그 일을 해 본 경험이 없거나, 현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무지한 경우가 대부분이죠. 실제 눈요기 거리의 숏폼 영상을 제외하고 AI의 결과물은 상업적인 용도의 퀄리티를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AI 관련 인플루언서들도 AI의 결과물을 숙련된 전문가의 결과물이라기 보다는 인턴이나 신입의 결과물 정도로 평가하곤 하죠.
하지만 이건 바꿔 이야기 하자면, 결과물의 수준이 예측 가능한 인턴을 거의 무한대로 사용할 수 있단 의미이기도 합니다.
창공의 에이스들의 컨셉 증명판을 기획할 당시, 팀 내부에서는 AI 도입을 하더라도 2.5 MM(Man/Month) 인원에 약 12주 정도의 개발 기간이 들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실제로는 약 3주, 그마저도 핵심 기능 구현에 1.5주, 나머지 1.5주는 폴리싱을 하는데 소요 되었습니다. AI 도입시 예상한 것 보다도 4배, 아마도 그냥 모든 작업을 개발자가 한다고 가정했다면, 그 보다 훨씬 더 높은 효율을 보여준 것이죠.
게임 개발에 AI 도입은 필연적 입니다. 다만 여전히 AI가 모든 개발자들을 대체 할 수 있다고 생각은 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창공의 에이스들의 컨셉 증명판을 개발할 때 AI가 이 정도의 효율을 낼 수 있었던 것은 다음과 같은 조건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 * 게임 구현과 AI에 적합한 기술(JS/React)을 선정할 수 있었다.
- * 만들고자 하는 게임의 형상이 매우 구체적으로 정의되어 있었고, 이를 통해 AI에게 구체적인 지시를 내릴 수 있었다.
- * AI가 생성한 코드와 아트 에셋에 문제가 있을 경우 이를 수정할 수 있는 개발자가 있었다.
많은 게임 개발자와 플레이어들이 생성형 AI에 대해 부정적인 것은 아마 chatGPT가 처음 공개된 이후 보여 준 기존과 다른 여러 파급력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물론 혼란스러운 상황은 계속 유지가 될 것이지만, 게임의 퀄리티에 대한 기대가 계속 높아지면서 개발 비용이 폭증하는 문제는 이미 현실이 되었습니다. 잘못된 AI의 사용으로 인한 피해를 감수하자는 입장은 아니지만, 아마 근 시일 내에 스팀 같은 플랫폼에서 AI 사용 여부를 표시하는 경우는 사라지지 않을까요?
(IP보기클릭)175.206.***.***
(IP보기클릭)125.138.***.***
(IP보기클릭)14.52.***.***
(IP보기클릭)118.219.***.***
저런 사람들이 정말로 불법이고 도둑질이라고 생각하면, 댓글만 적지 마시고 고소해서 신고하세요 어차피 본인도 LLM이니 번역이니 AI 기술 잘만 쓰고 있잖아요 | 25.10.11 17:53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