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bilibili.com/video/BV1wgnpzqEFB
https://www.bilibili.com/video/BV1YMnWzoExG
https://www.bilibili.com/video/BV1FNJ9zEE17
사용기기: 원플러스 15 (LPDDR5X 9600)
+ 퀄컴 QRD는 LPDDR5X 10667이어서 성능이 실기기 보다 잘 나옴
빅코어 전성비
미들코어 전성비
긱벤치 6 멀티코어 전성비
(SME2 지원으로 인한 점수 증가폭 높음)
리뷰어는 차력쇼의 대표적인 14900K를 언급하며
실사용에 쓰이지 않는 현세대 칩셋의
벤치마크 점수용 전력/클럭 세팅의 비판과 걱정을 함
GFX 벤치마크 아즈텍 GPU 전성비
3DMark 스틸노마드 GPU 전성비
원신 980P 수준 벤치마크
CPU 의존도: 보통, GPU 의존도: 보통
스타레일 760P 수준 벤치마크
CPU 의존도: 낮음, GPU 의존도: 높음
스타레일 990P 수준 벤치마크
CPU 의존도: 낮음, GPU 의존도: 높음
명조 860P 수준 벤치마크
단 17PM은 718P 수준
1883 x 864 = 1,626,912
1588 x 718 = 1,140,184
CPU 의존도: 높음, GPU 의존도: 보통
왕자영효 벤치마크
CPU 의존도: 낮음, GPU 의존도: 낮음
(IP보기클릭)220.77.***.***
기커완은 실제로는 쓰지도 않는 명령어로 뻥튀기 된 벤치마크 점수를 굉장히 안좋게봄 https://meeco.kr/mini/40772333 타 사이트지만 한번쯤은 볼만한 이야기임
(IP보기클릭)125.208.***.***
그런사람이 정작 와일드라이프 버리고 스틸노마드만 쓰겠다니 입장이 와리가리네요
(IP보기클릭)118.32.***.***
기커완은 긱벤치 최고 점수가 뭐가 중요하냐고 하지만 안드로이드 업체에서는 정말 중요함 아이폰 쓰는 유저들에게 안드로이드 폰을 써야 하는 이유를 설명해야 하는데 어떻게 설명할거임 배터리타임이 어쩌고 기능이 어쩌고 하면서 길게 늘어 놓는거 보다 긱벤치 점수 보여주고 안드로이드 폰 성능이 아이폰 보다 더 좋아 끝 이거만큼 확실한 셀링포인트가 없음 중국폰 긱벤치 조작 터진것도 죄다 저게 이유고 인텔 14900도 amd에 시장 뺏기는 상황에서 인텔 cpu를 그럼에도 사야하는 이유를 유저들에게 설명하기 위해서 벤치 딸 쳤던거임. 결과가 사망이었지만. 여튼 이제 안드로이드가 아이폰 보다 좋다는 긱벤치 때문에 안드폰 업체들은 마케팅 할 때 큰 힘을 얻었음. 어쩔 수 없음. 장사해야 하니까는
(IP보기클릭)211.219.***.***
다른 테크 분석가 의견으로는 전력 효율은 A19 프로가 조금 더 좋은 수준이라고 함 물론 저효율인 만큼 드라마틱한 향상은 스냅보단 낮은 편 그래도 스냅이 나쁘게 나온 건 아니라고 보긴 하지만 기기마다 세팅된 게 다르다 보니 스냅의 성능이 마구 다를 것 같아보이네요 잘하면 맞춤형으로 나오는 갤럭시용이 더 잘나올지도 모름
(IP보기클릭)220.77.***.***
샤오미는 이상한데서 찐빠를 내는 회사라 평균보당 아래로 나올거 같은...ㅋㅋ
(IP보기클릭)121.165.***.***
(IP보기클릭)125.183.***.***
고클럭에서 전성비 구려지는걸 생각해서 폰 제조사에서 세팅해서 나오기 때문에 전력/전압 때문에 칩셋이 죽는다는 말 나오기 전 까지는 큰 문제가 아님 ex) 갤럭시 = 최적화/라이트모드 ex) 중국폰 = 성능이 아닌 균형이 기본 모드 다만 CPU 코어 하나만 떼어놓고 봤을 때 전성비가 애플 진영보다 부족한 건 아쉬운 부분이 맞긴 함 하지만 이건 애플이 너무 잘 해서 비교 되는 게 큼 | 25.09.25 17:39 | | |
(IP보기클릭)121.165.***.***
8엘리트 때 생각하면 전혀 세팅 안하고 나오고 있고 실제로 그거때문에 발열이야기가 갤럭시고 중국폰이고 끊임없이 나왔었음. 게다가 스마트폰 플랫폼에서 감당 안되는 발열량 때문에 그로인한 쓰로틀링이 엄청하게 심하게 왔기 때문에 실제로 큰 문제가 되는 세팅임. | 25.09.25 17:53 | | |
(IP보기클릭)220.77.***.***
기커완은 실제로는 쓰지도 않는 명령어로 뻥튀기 된 벤치마크 점수를 굉장히 안좋게봄 https://meeco.kr/mini/40772333 타 사이트지만 한번쯤은 볼만한 이야기임
(IP보기클릭)125.208.***.***
天ノ川沙夜
그런사람이 정작 와일드라이프 버리고 스틸노마드만 쓰겠다니 입장이 와리가리네요 | 25.09.25 17:22 | | |
(IP보기클릭)125.183.***.***
참고용 GFX 벤치마크 아즈텍 GPU 전성비를 본문에 추가 했습니다. | 25.09.25 17:27 | | |
(IP보기클릭)168.78.***.***
스틸노마드랑 솔라베이는 지금 폰겜들하고는 거리가 먼 애들인데 왜 하는지 잘 모르겠는데. | 25.09.25 17:57 | | |
(IP보기클릭)168.78.***.***
애초에 그냥 폰으로 고사양 겜이 안 나오는 이유가 다 있음. 사람들이 다 최신폰 쓰는 것도 아니고 쪼끄만 화면으로 그래픽이 좋아 봤자.... | 25.09.25 17:58 | | |
(IP보기클릭)121.174.***.***
최신벤치니까... | 25.09.25 21:35 | | |
(IP보기클릭)211.219.***.***
(IP보기클릭)220.77.***.***
0M0)
샤오미는 이상한데서 찐빠를 내는 회사라 평균보당 아래로 나올거 같은...ㅋㅋ | 25.09.25 17:25 | | |
(IP보기클릭)211.219.***.***
天ノ川沙夜
다른 테크 분석가 의견으로는 전력 효율은 A19 프로가 조금 더 좋은 수준이라고 함 물론 저효율인 만큼 드라마틱한 향상은 스냅보단 낮은 편 그래도 스냅이 나쁘게 나온 건 아니라고 보긴 하지만 기기마다 세팅된 게 다르다 보니 스냅의 성능이 마구 다를 것 같아보이네요 잘하면 맞춤형으로 나오는 갤럭시용이 더 잘나올지도 모름 | 25.09.25 17:33 | | |
(IP보기클릭)223.38.***.***
아키텍처가 서로 다른 칩이기는 하지만 l1 l2캐시나 slc 용량 차이가 큰 걸 생각하면 a19 칩들의 전성비가 여전히 좀 더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 이번엔 일반과 프로 사이의 slc 용량 차이가 전작의 12 vs 24를 넘는 12 vs 32이더군요. | 25.09.26 15:09 | | |
(IP보기클릭)118.32.***.***
기커완은 긱벤치 최고 점수가 뭐가 중요하냐고 하지만 안드로이드 업체에서는 정말 중요함 아이폰 쓰는 유저들에게 안드로이드 폰을 써야 하는 이유를 설명해야 하는데 어떻게 설명할거임 배터리타임이 어쩌고 기능이 어쩌고 하면서 길게 늘어 놓는거 보다 긱벤치 점수 보여주고 안드로이드 폰 성능이 아이폰 보다 더 좋아 끝 이거만큼 확실한 셀링포인트가 없음 중국폰 긱벤치 조작 터진것도 죄다 저게 이유고 인텔 14900도 amd에 시장 뺏기는 상황에서 인텔 cpu를 그럼에도 사야하는 이유를 유저들에게 설명하기 위해서 벤치 딸 쳤던거임. 결과가 사망이었지만. 여튼 이제 안드로이드가 아이폰 보다 좋다는 긱벤치 때문에 안드폰 업체들은 마케팅 할 때 큰 힘을 얻었음. 어쩔 수 없음. 장사해야 하니까는
(IP보기클릭)122.35.***.***
결국 레퍼런스 보드같은 칩셋 이외의 조건을 통일한 조건에서 게임 지속성능 벤치같은 실사용에 가까운 테스트를 해야하죠 현실적으론 굉장히 아려운 이야기 | 25.09.25 21:27 | | |
(IP보기클릭)125.183.***.***
그렇긴 하죠 애플도 긱벤치(추정) 가지고 자기들이 가장 빠른 CPU다 뭐다 광고하는데 ARM, 퀄컴, 디멘시티도 거기에 따라갈 수 밖에 없다고 생각 합니다. | 25.09.26 12:25 | | |
(IP보기클릭)121.174.***.***
(IP보기클릭)223.39.***.***
(IP보기클릭)121.141.***.***
Spike 전력으로 호들갑떠는 건 좀 그렇지 않음? 저게 지속 평균이 22W인거랑 0.01초 0.02초 단위로 22W 찍히는 거랑은 천지차인데. 스마트폰 쪽은 PC 쪽이랑 측정 방식/단위가 다른가?
(IP보기클릭)125.183.***.***
실 사용 시 순간 반응성을 위해서 0.X초 단위로 쓰이는 구간이긴 하지만 액체질소 냉각해도 지속적으로 못 쓸 부분을 전성비 엄청 구려지면서 까지 (성능 20% 증가에 전력은 100% 증가) 우리 클럭 X.XGHz 까지 올렸어요 성능 XX% 향상 됐어요 라고 광고 하는 게 조금 짜치는 부분이긴 합니다. 그래도 요즘은 전성비 XX% 향상 됐다고 꼬박꼬박 적어놔서 대충이라서 실성능이 어느정도 향상 됐구나를 알 수 있어서 14900K 처럼 엄청 욕 먹을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25.09.26 12:36 | | |
(IP보기클릭)118.235.***.***
측정 주기가 궁금하네요. 저런 순간 Peak 측정치는 100ms 10ms 1ms 100us 단위로 확 바뀌는데. | 25.09.26 12:38 | | |
(IP보기클릭)125.183.***.***
댓글 오타가 있었네요 대충이라서 -> 대충이라도 아마 긱벤치 6에서 20W를 찍었으니 10초 정도는 20W를 먹는다고 할 수 있겠네요 22W는 액체질소를 부으니 겨우 찍히는 peak 겠고요 | 25.09.26 12:49 | | |
(IP보기클릭)125.183.***.***
자세히 보니까 20W를 10초도 유지 못했고 액체질소 부어도 12W 수준만 유지 가능하네요 이러면 최대 클럭에서 10%는 낮춰서 돌려야 하는 거고요 (애플칩도 전성비 측정을 위해서 액체질소를 쓰긴 함) 긱벤치6는 최신 칩에선 3초 돌리고 5초 쉬고 이런 식이어서 20W 수준에서 액체질소 부어가면서 전성비 측정이 겨우 가능했나 봅니다. | 25.09.26 13:2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