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의 정확한 명칭은 알 수 없으나 위 캡처처럼 크로스오버 이스케이프 or 헤지 이스케이프 이후에 비하인드백을 연속해서 넣는 커맨드이고 앞의 동작은 제외하고 비하인드백 부분만 제자리에서만도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문제는 2k23, 2k24때와 현재 2k25에서 커맨드가 달리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게 맞는지 모르겠어서 여쭤봅니다.
구작 커맨드는 R2 + R스틱 ↙↘(비하인드백과 동일) + L스틱 ↖↗(비하인드백 이후 진행방향) 으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유투브에서 검색해보니 커맨드는 L스틱 부분이 누락된 R2+R스틱만으로 가능하다고해서 테스트해본 결과
일단 제대로 발동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크로스오버 R스틱 ↖↗ , 레그스루 크로스오버 R스틱 →←, 비하인드백 R 스틱 ↙↘ 이고 R2를 더해서하면 더큰 동작으로 이스케이프 모션이 나가는 기본 원리로 생각해보면 단순 R2 + 비하인드백 커맨드로는 비하인드백 이스케이프가 발동되어야하나 제자리에서는 그냥 비하인드백이 나가는것 같고, 헤지, 크로스오버 이스케이프와 연결동작으로 사용하면 위 캡처처럼 비하인드백 이스케이프가 나가는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찾아낸 방법으로는 헤지 or 크로스오버 이스케이프 이후에 R2 + R스틱 ↙↘ 커맨드를 두번 빠르게 입력하면 나가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해당 방법으로는
1. 제자리에서 바로 발동이 불가능하고
2. 두번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며
3. 반드시 사전 동작이 있어야 하는 점 때문에 단조롭다
라는 단점이 있어서 혹시 다른 방법으로 해당 콤보를 발동 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질문 드립니다.
현재 테스트 해본 무빙 비하인드백 모션은, 코비, 조던, 하든 모션입니다. 혹시 애니메이션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지도 궁금합니다.
(IP보기클릭)110.11.***.***
(IP보기클릭)211.234.***.***
선향동작 이후에 비하인드백 들어갈 타이밍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타이밍 속이는 수밖에 없겟네요. 커맨드는 불편하지만 어쩔수 있는것도 아니니.. 전작이 훨씬 합리적이엇던거 같은데 사기성이 짙어서 변경한건가 ㅠ | 24.11.08 14:53 | |
(IP보기클릭)112.214.***.***
좀 사기스럽기했죠 ㅎ 그래서 머레이 비하인드백도 너프 | 24.11.08 20:5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