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 도전 레벨 8 공략/팁입니다.
미숙한 부분이 많으니 잘못된 점이나 보완할 점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보스 도전은 레벨을 내릴 수가 없어서... Lv1~7은 본계정으로는 공략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일단 Lv8 만 대상으로 작성해 보았습니다.
개요
보스 도전은 다이시그라프와 일반 적 몇기를 상대하는 모의 작전 전투입니다.
보스에게 준 데미지에 따라 도전 점수를 얻고, 얻은 점수에 따라 보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보상은 달성한 도전 랭크에 따라 1회에 한 해 주는 샤드와 베이직 정보 코어가 있고
작전 1번당 달성한 도전 랭크에 따라 주는 [도전 마크] 재화가 있습니다.
[도전 마크]로는 상점에서 매월 액서스 권한이나 매주 베이직 정보 코어 등을 얻을 수 있습니다.
Lv8 탁월 랭크를 달성하고 나면 매주 3회 자율을 돌려서 얻는 도전 마크로
상점에서 [사브리나 마인드맵 아카이브], [액서스 권한], [베이직 정보 코어], [차세대 RAM(64)]를 모두 사고도 남게 됩니다.
참고로 Lv1~7에서 도전 랭크 “탁월”을 달성하면 다음 레벨로 넘어갈 수가 있습니다.
다음 레벨 0점 보상이 현재 레벨 최고점 보상보다 항상 많으므로, 클리어하기 어려운 상태이더라도 레벨을 넘기는 게 이득입니다.
Lv6, Lv8 에서 전투 구성이 달라지는데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Lv1~5 는 1번의 전투만 있고 레벨에 따라 일반 적(잡몹) 구성이 달라지지만 보스 패턴은 동일합니다.
일반 장갑 대신 [사역] 스킬을 맞는 것만 잘 하면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Lv6~7 부터는 2번의 전투로 보스 2기를 상대해야 하는데, 첫 전투 및 보스는 Lv1~5 와 같습니다.
두번째 전투는 오른쪽 격리된 공간에서 임무를 수행하면서 보스를 상대해야 합니다.
임무는 총 2번 주어지며 실패하면 그대로 전투가 끝나버리므로 임무 달성을 최우선으로 해야 합니다.
혹여 제대로 육성한 게 1제대뿐이라면 첫번째 보스를 전력으로 상대하고 다음 전투는 대충 하고 결산하면 됩니다.
Lv8 도 전투가 2번이지만, 첫 전투는 Lv6~7의 두번째 전투처럼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고 두번째 전투는 새로운 보스를 상대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하겠습니다.
보스를 처치하지 못하더라도 도전 점수를 얻으므로, 이를 이용해서
교전 1에서 점수만 적당히 얻고 교전 2에서 보스를 잡거나, 반대로
교전 1에서 보스를 잡고 교전 2에서 점수를 최대한 얻어서 랭크를 달성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교전 1(첫번째 전투)이 끝나면 “일시 정지”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1제대가 사용한 공용키, 무기를 2제대 인형들에게 넘겨줄 수 있습니다.
또, 당연하지만 인형의 작전 능력이 높으면 쉬워지므로, 보스 도전이 초기화되기 직전인 일요일에 몰아서 하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작전 이탈 혹은 철수를 해도 도전 권한이 소모되지 않습니다.
그러니 얼마든지 도전하다가 잘 안된다 싶으면 재시작을 하거나 이탈을 해서 처음부터 다시 할 수 있습니다.
보스 설명
상대하는 보스는 각각 다이시그라프 Lv50, Lv55 이며 흙먼지 전선 공방전의 보스와 유사합니다.
Lv50 다이시그라프
Lv50 다이시그라프의 약점은 경량탄 / 산탄 / 전도 / 산성입니다.
표준탄이나 연소, 탁류, 빙결 등의 약점이 없어 안정 지수를 깎기가 다소 까다롭습니다.
안정 지수 1점마다 받는 피해 -3% 패시브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딜을 제대로 넣으려면 빠르게 안정 붕괴를 시켜야 합니다.
가장 멀리 있는 1명을 1번 공격하는 스킬입니다.
제대 작전 능력이 높다면 지열 타일을 생성하는 것은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랜덤하게 1명 근처에 일반 장갑을 투척합니다.
범위 피해라서 아군끼리 붙어있지 않게 해야 합니다.
일반 장갑을 회수하면서 범위 피해 데미지를 줍니다.
이 회수 데미지를 맞으면 보스에게 [전력 증폭] 이라는 정화 불가 버프가 걸리므로 신경써서 피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보스를 중심으로 십자 범위로 데미지를 주는 스킬입니다.
데미지 자체는 크지 않지만, 한 명이라도 맞을 경우 보스 방어력이 크게 올라가므로 가능한 피해줘야 합니다.
문제는 보스가 이동을 하고 스킬을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2~3칸 이동을 하여 스킬을 사용하므로 그냥은 회피가 대단히 어렵습니다. 심지어 벽 너머 임무 구역에 있는 유닛을 노리기도 합니다.
이를 파훼하려면 이동력 디버프를 걸어서 스킬을 피하기 쉽게 하거나, 걸린 방어 버프를 정화(해제)해야 합니다.
이동력 디버프는 사브리나, 베프리, 그로자가 가지고 있습니다.
버프 정화는 고유키를 세팅한 경구, 토로로나 베프리 2스킬, 대연 1스킬로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제대 작전능력이 월등히 높다면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Lv55 다이시그라프
Lv55 다이시그라프의 약점은 경량탄 / 장갑탄 / 전도 / 산성입니다.
첫번째에 비해 그나마 중량탄 약점이 있어 마키아토나 모신나강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스킬 구성은 마치 Lv1~5의 보스와 교전 1의 보스를 합쳐놓은 것과 같은데,
체력 100% 피해를 입히는 스킬을 가지고 있어 매우 강력합니다.
Lv50과 마찬가지로 안정 지수 1점마다 받는 피해 -3% 패시브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동 감소와 관련된 내용이 없는 것은, 이동을 하지 않아서 그런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동력 0)
Lv50과는 반대로 가장 가까이 있는 1명을 공격합니다.
이때 [징벌 표식]을 부여하는데, 2스택이 되면 체력 100% 피해를 받으므로 2~3명이서 번갈아가며 맞아줘야 합니다.
즉사가 아니라 체력 상한의 100% 피해이므로 보호막이 있다면 맞아도 살 수 있지만,
1차로 위 스킬의 피해를 받은 다음에 징벌 표식의 데미지가 들어오므로 사망할 위험이 높습니다.
Lv1~7의 첫 보스의 스킬과 같습니다.
시작시와 장갑 회수 다음 턴에 일반 장갑이 2개 배치되며, 이 장갑과 보스 사이 일직선 상에 인형을 배치해서
사역 공격을 일반 장갑 대신 맞아야만 보스가 버프를 얻거나 안정 지수를 회복하지 않습니다.
특히 [중장 역장] 버프는 정화 불가이므로 반드시 대신 맞아야 합니다.
일반 장갑이 아닌 [밀명 장갑]을 가장 멀리 있는 1명 근처에 투척합니다.
Lv50과는 다르게 랜덤이 아닌 ‘가장 멀리 있는’ 1명이므로 떨어뜨릴 위치를 대강 제어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이 [밀명 장갑]이 매턴 주위 3x3칸에 데미지와 함께 무작위 디버프를 건다는 점입니다.
일반 장갑과는 다르게 공격하여 없앨 수 있지만, 곤란한 위치에 떨어진 게 아니라면 냅두고 보스를 공격하는게 낫습니다.
모든 일반/밀명 장갑을 회수하면서 피해를 줍니다.
Lv50과 마찬가지로 회수 데미지를 맞으면 보스가 [전력 증폭]이라는 정화 불가 디버프를 얻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보다 강화된 십자 감옥입니다. 범위도 1칸 늘어난데다가 공격력 버프도 2개나 추가되어 있습니다.
다행히 보스가 이동하지 않으므로 피하는 건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다만 직후에 [저지] 스킬을 맞지 않기 위해서는 배치에 신경써야 합니다.
전 맵에 체력 상한의 100% 피해를 주는 스킬입니다.
이 스킬을 맞지 않으려면 아래와 같이 일반/밀명 장갑 뒤에 숨어야 합니다.
따라서 전투 시작시부터 일반/밀명 장갑 근처로 조금씩 이동하면서 스킬 타이밍에 인형을 장갑 뒤에 배치할 수 있도록 조절해야 합니다.
징벌 표식과 마찬가지로 보호막이 있다면 맞아도 살 수 있습니다.
전선 명령 임무
보스의 [전선 명령] 스킬에 의해 진행되는 별도 미션으로, 수행해야 하는 임무는 3종류이며 랜덤입니다.
임무를 실패하면 모든 캐릭터들이 사망하면서 전투가 끝나버립니다.
만약 수행하기 어려운 임무가 걸렸다고 한다면 재시작을 하는 게 방법일 수도 있습니다.
임무는 3턴마다 돌아오는데 전투가 총 8턴이므로 2회 수행하게 됩니다.
전송 포인트로 인형을 이동시키고 전송을 하면 임무가 시작됩니다.
이후 임무 조건을 달성하면 퇴각 구역이 나타나며, 퇴각 구역에서 행동 종료를 하면 보스 구역으로 전송됩니다.
퇴각 구역은 임무 조건을 달성해야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위치는 동일합니다.
아래는 랜덤 임무 3종류에 대한 설명입니다.
Lv6~7의 임무와 상이합니다.
적 2기 이상을 처치하는 임무입니다.
범위 피해 스킬을 이용하거나 턴마다 1명씩 처치하면서 퇴각 구역 방향으로 이동하면 됩니다.
왕배벼룩은 사망시 폭발하여 범위 피해를 주므로 피해를 받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또는 3칸 범위에 유닛이 있으면 자폭하므로, 데미지를 조금 받아도 괜찮다면 왕배벼룩 근처에 유닛을 배치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임무 구역으로 진입시 왕배벼룩의 경계가 풀리고 퇴각구역이 표시되는 경우가 있는데, 실제로는 경계가 풀리지 않으므로 버그로 생각됩니다.
디너게이트를 회복시키기와 길을 막고 있는 골리앗 처치를 각각 해야 하는 임무입니다.
힐러가 벽 너머에서 디너게이트를 회복시키고, 임무를 수행하는 유닛이 골리앗을 처치하는 것이 베스트입니다.
만약 힐러가 임무를 수행하는데 골리앗을 죽이기 힘들다면 벽 너머로 데미지를 줄 수 있는 스킬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경구의 2스킬, 베프리와 롯타의 3스킬 등이 있습니다.
어느 쪽이든 적절한 타이밍에 임무를 완수할 수 있도록 유닛을 벽 근처에 배치해야 합니다.
만약 힐러가 수오미라면 결전기 타이밍이 안 맞거나 힐량이 부족할 수가 있어서 이를 생각해서 제대를 편성하거나 움직여야 합니다.
아니면 그냥 이 임무가 걸리면 재시작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적 1명을 안정 붕괴 시키는 임무입니다.
처치가 아닌 안정 붕괴이지만, 철벽 이지스는 도발 스킬로 적을 1턴 묶어버리므로 잘못하면 실패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1턴에는 경계 범위에 걸리지 않는 위치에 대기하다가, 2~3턴에 퇴각 구역으로 이동하면서 안정 붕괴시키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임무 구역으로 진입시 철벽 이지스의 경계가 풀리는 듯한 연출이 나오는데, 실제로는 경계가 풀리지 않으므로 버그로 생각됩니다.
제대 편성
Lv8 기준, 첫번째 전투에는 임무를 수행할 이동력이 높은 유닛과 이동력 디버프를 걸거나 버프를 정화하는 유닛이 각각 필요합니다.
임무를 수행하는 유닛은 대연 혹은 베프리가 좋습니다.
대연은 이동력이 워낙 출중하여 임무에 따라서는 1턴만에 끝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베프리는 대연 만큼은 아니지만 이동력이 좋고, 단일/범위 각각 강력한 스킬을 가지고 있어 임무를 수행하기에 좋습니다.
만약 벽 건너편에서 보조해줄 수 있는 경구나 베프리 같은 유닛이 있다면 수오미도 임무 수행이 가능합니다.
두번째 전투 Lv55 보스의 경우 중량탄 약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마키아토 혹은 모신나강을 편성하면 좋습니다.
그리고 제대 각각 힐러가 필요합니다.
크세니아, 수오미를 추천하며 수오미가 없다면 콜펜이나 치타를 사용해야 합니다.
제가 이번에 Lv8을 깨면서 사용한 제대 편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베프리를 1제대에 배치
Lv55 보스가 체력 100% 공격 스킬을 가지고 있으므로 수오미를 2제대에 배치
수오미와 궁합이 좋은 마키아토도 2제대에 배치.
1 제대 힐러로 크세니아를 배치, 크세니아와 궁합이 좋은 샤크리를 1제대에 배치
다만 1제대에 이동력 디버프를 거는 유닛이 임무를 수행할 베프리 이외에는 없어서 다소 아쉬운 편성입니다.
사브리나를 1제대에, 모신나강을 2제대에 배치할 수도 있었지만 무기를 돌려쓰기 위해 이렇게 편성하였습니다.
[하트 시커]를 베프리와 사브리나가 돌려 쓰고, [스모시크]를 마키아토와 모신나강이 돌려 씁니다.
참고로 대연이나 경구가 있다면 모신나강 → 대연, 사브리나 → 경구와 같이 편성하는 게 좋습니다.
대연의 1스킬이 경량탄이라서 1제대에 배치하면 좋고, 2제대에는 탱커보다는 딜러가 더 좋기 때문입니다.
제대 스펙은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 크세니아: 6돌 / [.380 Curva] Lv45 / 뉴럴 강화 4 - 진급 6
- 샤크리: 0돌 / [로빈슨] Lv54 / 뉴럴 최대 - 진급 6
- 모신나강: 0돌 / [스모시크] Lv60 / 뉴럴 강화 4 - 진급 0
- 베프리: 0돌 / [하트 시커] Lv56 / 뉴럴 최대 - 진급 6
- 수오미: 1돌 / [수오미] Lv50 / 뉴럴 최대 - 진급 6
- 마키아토: 0돌 / [스모시크] Lv60 / 뉴럴 최대 - 진급 6
- 토로로: 0돌 / [모델 알파] Lv57 / 뉴럴 최대 - 진급 6
- 사브리나: 1돌 / [하트 시커] Lv56 / 뉴럴 강화 3 - 진급 0
교전(전투) 턴별 행동 예시
교전(전투) 별로 턴별 행동 예시를 스크린샷과 짤막한 설명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다만 아래 내용은 어디까지나 예시이고, 인형의 작전 능력이나 세팅 또는 보스나 적의 행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점이 매우 많고
실수도 포함되어 있어서 참고만 하시면 좋겠습니다.
OT-8-1 레벨8·교전Ⅰ
시작시 임무를 수행할 인형을 전송 포인트와 가깝게 배치하는게 좋습니다.
임무 구역으로 전송된 후에도 이동력을 소모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디너게이트 임무가 걸릴 수 있으므로 힐러는 벽과 가깝게 배치하는게 좋습니다.
1턴:
베프리는 임무를 수행하러 이동
나머지는 십자 감옥이 닿지 않는 범위로 이동하여 보스를 공격
디너게이트 임무가 걸렸으므로, 크세니아가 디너게이트 힐을 하러 벽 방향으로 이동
2턴:
크세니아 디너게이트에 힐을 해서 임무 조건 달성
베프리는 3턴 [십자 감옥] 스킬을 고려하여 보스에게 이동력 디버프 부여하고 복귀
나머지는 일반 장갑 투척에 같이 맞지 않도록 유닛 간 거리 조절하면서 보스를 공격
3턴:
십자 감옥 + 일반 장갑 투척에 같이 맞지 않도록 유닛 간 거리를 조절하면서 보스를 공격
베프리는 보스를 공격하려면 십자 감옥 범위에 들어가야 하므로, 공격하지 않고 전송 포인트 출현 위치와 가까운 곳에서 행동 종료.
4턴:
베프리는 임무를 수행하러 이동, 3스킬로 왕배벼룩 2기 처치
크세니아로 모신나강에게 힐 + 버프.
나머지는 회수 스킬을 피하기 위해 일반 장갑 근처에서 벗어나며 보스를 공격
참고로 베프리의 리몰딩 지수가 5점이고 스킬을 쓰면 1점이 남는데
2기를 맞췄으므로 2점이 회복되고 다음 턴에 1점이 회복되면서 3스킬을 쓸 수 있는 4점이 채워집니다.
5턴:
베프리 2턴과 마찬가지로 퇴각 구역에서 3스킬을 사용하면서 임무 완수
나머지는 십자 감옥이 닿지 않는 범위로 이동하여 보스를 공격
보스의 체력이 얼마 남지 않았으므로 가시곰은 무시
이후에는 임무가 없으므로 보스 스킬/패턴에 주의하면서 보스에게 최대한 데미지를 주면 됩니다.
OT-8-1 레벨8·교전Ⅱ
사역과 징벌 표식을 받아줄 유닛을 일반 장갑 근처에 배치하고 시작합니다.
나머지 유닛 배치는 크게 상관 없습니다.
1턴:
사브리나가 먼저 [징벌 표식]을 받도록 보스 가장 가까이 붙기
동시에 사브리나와 수오미는 일반 장갑 앞에 서서 사역 공격을 받을 준비
나머지 유닛은 각각 일반 장갑 근처로 이동하면서 보스를 공격하거나 스킬을 사용
수오미의 경우 보스의 안정 지수를 깎기 위해 결전기가 아닌 1스킬을 사용
습관이 되어서 수오미를 가장 마지막에 움직였는데, 결전기를 사용하는게 아니므로
사브리나 - 수오미 - 토로로 - 마키아토와 같이 공격력이 약한 유닛부터 보스를 공격하는게 좋습니다.
2턴:
십자 감옥을 맞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장갑 근처로 유닛들을 이동
Lv50 보스와 달리 십자 감옥의 범위가 5x7인 것에 주의
사브리나는 [징벌 표식]을 2번 받지 않도록 최대한 뒤로 이동
수오미는 [징벌 표식]을 받도록 보스 가까이로 이동하되, 이동력 6을 계산해서 다음 턴에 장갑 2칸 뒤로 갈 수 있는 위치로 이동
3턴:
저지 스킬 범위를 확인하고 장갑 뒤로 유닛들을 이동
수오미가 [징벌 표식]을 받지 않도록 뒤에 배치
4턴:
십자 감옥을 맞지 않는 범위에서, 장갑 회수를 피하기 위해 장갑과 멀리 떨어진 위치로 유닛들을 이동
수오미는 사브리나 대신 징벌 표식을 받도록 보스 가까이 배치
이때, 5턴에 떨어지는 일반 장갑이 1턴때와는 반대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유닛 이동에 신경써야 합니다.
5턴:
5턴부터는 1~4턴과 동일하게 행동하면 됩니다.
제대의 작전능력이 탁월하다면 2~4턴에 끝날 수도 있습니다.
(IP보기클릭)39.126.***.***
(IP보기클릭)58.234.***.***
드디어 떴군요. 덕분에 사브리나 풀돌 갑니다
(IP보기클릭)39.126.***.***
(IP보기클릭)1.213.***.***
(IP보기클릭)58.234.***.***
드디어 떴군요. 덕분에 사브리나 풀돌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