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질문] 레진킷난이도가 많이 높은가요? [10]




(690241)
0 | 10 | 5699 | 비추력 11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댓글 | 10
1
 댓글


(IP보기클릭).***.***

간단하게 말하자면... 지옥이죠. 레진이라보니가 부품 수축이나 휨 현상이 있어서 그거 일일이 다 잡아야하고. 조립시 가이드 핀이 없기에 가조립때는 마스킹테이프로 고정하고, 도색하고 조립 할 땐 핀바이스로 구멍뚫고 황동선 박아서 고정심켜야합니다.
14.08.22 20:24

(IP보기클릭).***.***

인잭션저럼 품질이 균일하지도 않고, 게이트도 엄청 두껍고, 기포도 많고, 사출색도 없어서 색도 일일히 지정해줘야하고 핀바이스로 타공하면 좌우 안맞아서 고생하는경우도 있고, 정말로 어렵습니다
14.08.22 20:51

(IP보기클릭).***.***

일단 기본공구류가 니퍼,아트나이프에서 모형용 줄,사포,핀바이스(구경별로 있는 게 좋아요.), 퍼티, 황동봉(이것도 크기별로 구비하는 게좋죠.) 그리고 레진 다듬을 때의 냄새가 고역이죠. 그리고 휘어진 부품 복구하는 것도 골치 아프고요.
14.08.22 21:17

(IP보기클릭).***.***

원형사 별로 또 리케업자 별로 품질 차이가 심합니다. 좋은품질 기준으로 얘기를 해보자면... 1. 파팅라인, 게이트 제거: 파팅라인은 아무리 품질이 좋아도 사포질 노가다를 해야 하며 게이트는 보통 1cm 정도의 굵기를 자랑 합니다. 게이트 제거시 조심하지 않으면 부품이 박살날 수도 있고요 2. 조립: 끼우는 것 만으로 절대 조립이 되지 않고 일반 플라스틱 접착제로는 접착이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보통 록타이드 같은 순접을 사용 하는데 이것 만으로는 무게나 충격을 견디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부품에 드릴로 구명을 뚫고 황동봉 등의 심제를 박아주는 작업을 해야 조립이 가능 합니다. 3. 도색: 간혹 컬러레진 이라는 부품별로 색이 되어있는 물건이 있긴 하지만 대부분 그런거 없고 회색이나 누런색 이라 도색을 해야 합니다. 게다가 일반 모형 도료를 그냥 칠해면 쉽게 벗겨진다는 문제가 있는데 레진프라이머 서페이서나 메탈프라이머서페이서를 반드시 도포한 다음 색을 올려야 합니다.
14.08.23 11:37

(IP보기클릭).***.***

품질이 나쁜 경우는... 1. 기포가 심해서 에폭시퍼티 등으로 일일이 매꿔줘야 합니다. 2. 부품이 뒤틀려있는 경우가 있는데 잘 삶아서 복구해야 합니다. 3. 끈적끈적한 이형제가 발려져 있는 경우가 있는데(요즘은 드문편) 정말 열씨미 씻어야 합니다. 4. 미성형 등의 이유로 부품이 반쯤 사라져 있거나 몰드 등이 없는 경우가 있는데 자작을 하셔야 합니다. 5. 가는 부품이 박살난 상태로 들어있는 경우가 있는데 잘 복원하시거나 자작 하셔야 합니다. 6. 게이트속에 묻혀서 부품이 사라지다 시피하는 경우가 있는데 자작하는 기분으로 게이트를 깍아내셔야 합니다.
14.08.23 11:41

(IP보기클릭).***.***

단점만 너무 나열하는거 같은데... 장점을 좀 말해보면 1. 남들은 가질 수 없는 굉장히 귀한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리케가 대량으로 되지 않는 이상 보통 국내에 10개도 없습니다. (해당 아이템이 나중에 반다이에서 나오는 경우라도 RG정도로 나오지 않는이상 레진의 디테일이 더 좋은편) 2. 열변형에 강하고 도색이기 때문에 탈색도 덜해 보존성이 좋습니다. 3. 제작과정이 힘들기 때문에( 보통 PG나 덩치큰 MG를 완전도색으로 만드는 수준의 작업을 하시면 됩니다. 못할 짓은 아님) 완성시의 만족감이 좀 큽니다.
14.08.23 11:53

(IP보기클릭).***.***

프라모델에 비해서 들어가는 노력이 상당합니다. 개중에는 비교적 간단한 것도 많으니 우선 시작은 그런걸로 하시고요. 부품수 100여개 넘어가는 메카닉 레진은 초보는 절대 손도대지 마시길 바랍니다. 감당못해요.
14.08.23 13:01

(IP보기클릭).***.***

레진은 모든 공정중 표면정리가 90%를 차지합니다. 도색은 10%미만.
14.08.23 13:12

(IP보기클릭).***.***

정말 많은 분들이 너무나 정성껏 댓글을 달아주셨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14.08.23 16:10

(IP보기클릭).***.***

위에서 언급안된 아주 기초적인 특성 설명인데요. 일단 프라처럼 핀으로 끼워 맞추는 스냅핏 방식이 아니고 부품간 접착면을 순접으로 붙이는 방식입니다 (이 정도는 당연히 아실지도^^;;;) 무게가 나가는곳은 황동선으로 보강작업도 해야하고... 이하 생략...
14.08.23 19:51


1
 댓글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30570983 공지 질문은 이야기 게시판에 작성해 주세요. _[RULIWEB] 11 56400 2017.12.31
30570983 공지 _[RULIWEB] 11 56400 2017.12.31
30570982 질문 요고 3 27185 2017.12.31
30570978 질문 Glider-X 2 26292 2017.12.30
30570976 질문 GP01코우 우라키 4 48985 2017.12.30
30570975 질문 비오네 2 41009 2017.12.30
30570974 질문 피자맛붕어빵 2 27731 2017.12.30
30570973 질문 simsimhaee 4 53292 2017.12.30
30570970 질문 루리웹-2798814422 4 29873 2017.12.30
30570969 질문 루리웹-4947157564 4 28892 2017.12.29
30570967 질문 드옹 8108 2017.12.29
30570965 질문 통치꽁조림 6850 2017.12.28
30570964 질문 가라핏카츄우 18407 2017.12.28
30570963 질문 박정우 1 4891 2017.12.28
30570962 질문 곤충들의아버지파브르 7090 2017.12.28
30570959 질문 simsimhaee 5207 2017.12.28
30570956 질문 피자맛붕어빵 3820 2017.12.28
30570954 질문 울집앞레간자 4036 2017.12.28
30570951 질문 앸시스 6432 2017.12.28
30570949 질문 스펑스 4632 2017.12.27
30570946 질문 우윙~ 4625 2017.12.27
30570945 질문 해리찡 5376 2017.12.27
30570944 질문 루리웹-8195862010 7364 2017.12.27
30570943 질문 드옹 4827 2017.12.27
30570942 질문 루리웹-1010863314 2459 2017.12.27
30570941 질문 피자맛붕어빵 1883 2017.12.27
30570940 질문 Scale97 1028 2017.12.27
30570939 질문 Dok9 3539 2017.12.27
30570938 질문 뚜앗뚜앗 카루고스 1269 2017.12.27
글쓰기 45697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