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질문] RTX 5080 이면 플스 6보다 좋을까요? [20]


profile_image_default


(4801399)
3 | 20 | 2449 | 비추력 10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20
1
 댓글


(IP보기클릭)114.201.***.***

BEST
가걱차이…가 당연히 비교하면 차이크죠
25.10.12 19:18

(IP보기클릭)112.158.***.***

BEST
플스5 프로는 압도적이라는 말도 미안할 정도로 상대가 안되고요, 4K 60프레임은 깡 4K는 힘든 게임들이 많지만 DLSS와 FG 조합하면 충분합니다. DLSS4 가 다른 업스케일링 기술과는 퀄리티와 성능이 말도 안되게 좋아서 깡 4K와 차이도 크게 없고 반짝임 같은 것도 타 업스케일 기술보다 압도적으로 좋아요. PS6 와의 비교는 그때 가봐야 알겠지만 특정 부분에선 비슷하거나 PS6쪽이 열세일 것 같습니다.
25.10.12 19:38

(IP보기클릭)61.77.***.***

BEST
플스 6이 300만원으로 나온다면 지금 5080 넣은 pc보다 성능 좋을지도 모름
25.10.12 19:28

(IP보기클릭)1.232.***.***

BEST
4천짜리 아반테N하고 1.2억짜리 bwm m4 중에서 뭐가 빠른가요~
25.10.12 20:16

(IP보기클릭)58.224.***.***

BEST
PC 견적을 내셨다는 걸 봐서 직접 조립해서 유지하는 유저는 아니신 것 같은데요. PC는 콘솔처럼 심플하지가 않고요, 5080 넣고도 발열이나 소음쪽으로 내가 관리할 수 있어야 편안합니다. 부품종류와 조합이 거의 무한대이고요. PC쪽은 문제가 생겨도 어느 정도 잘 다룰 수 있다고 생각될 때 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5080이면 성능은 당연히 좋습니다.
25.10.12 20:31

(IP보기클릭)114.201.***.***

BEST
가걱차이…가 당연히 비교하면 차이크죠
25.10.12 19:18

(IP보기클릭)61.77.***.***

BEST
플스 6이 300만원으로 나온다면 지금 5080 넣은 pc보다 성능 좋을지도 모름
25.10.12 19:28

(IP보기클릭)58.140.***.***

雪の足跡
콘솔과 pc의 개념을 모르고 말씀하시는데요. 콘솔은 보급을 우선하기 때문에 노멀 콘솔은 손해를 보면서 팔고 그 손해를 소프트웨어 판매로 매꾸는게 일반적입니다. 즉, 가격만으로 pc의 그래픽 카드와 단순하게 비교할 수 없습니다. 성능은 당대의 하이엔드 pc에 준하는 수준으로 나오거나 그 이상으로 나옵니다. 이건 지금까지 콘솔이 나왔을 때의 성능만 봐도 알 수 있는 사실입니다. 플4 시점 부터 pc가 콘솔의 성능을 압도하기 시작했지 그 전세대에서는 콘솔이 비교 우위를 가져간건 사실이기 때문이죠. 패미컴 시절에는 말 할 필요도 없고요. 3d게임이 시작되는 플스1, 새턴 시절에 pc에서는 3d 게임의 개념조차 없었습니다. 플3시절에야 비슷하게 따라왔는데 이때도 콘솔보다 떨어지는 퍼포먼스를 보였죠. 당시 하이엔드 글카가 gtx7800이 하이엔드 였는데 이 카드로 언챠3, 라오어1 같은게임 택도 없습니다. 플4 시점에서야 pc가 가뿐히 넘어서기 시작했는데. 이것도 1~2년 흘러야 가능한거지 출시일 시점으로 비교하면 비슷한 수준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금세대인 엑시엑이나 플5봐도 깡스펙만 2070~2080 수준으로 하이엔드급 수준으로 나온것 만 봐도 알 수 있죠. 플4 프로도 4070 이상 급인데요 뭐 ㅎㅎ 그리고 실제 깡스펙과 아웃풋 되는 퍼포먼스는 다른데요. 동일 스펙이라도 콘솔이 그 이상을 보여줍니다. 왜냐? 콘솔의 특성상 최적화에 유리하여 로스율 없이 모든 성능을 쥐어 짤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겁니다. 또, 콘솔은 최소 7년이상 버텨야 하기 때문에 성능이 어느정도 보장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이엔드급으로 나올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차세대 콘솔은 최소 5080이상이라고 생각하는게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고. 현재 유출되는 차세대기 성능도 차세대 엑스박스의 성능이 5080 수준이라 추정되는 지금. 300만원 드립은 콘솔과 pc의 생태계를 전혀 모르 무지한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5.10.12 23:57 | |

(IP보기클릭)118.235.***.***

수수화염
개념적으로 맞는 말이긴 한데 플5시대인 지금이 어쩌면 콘솔 최고 암흑기인것도 사실입니다. 플스5가 잘 팔린건 엑박의 망조 덕에 반사이익을 본거지 플5가 잘 나온 콘솔이라서가 아니라는게 제 판단입니다. 언리얼엔진5 등의 엔진관련 최적화 이슈가 특히나 피시쪽에 워낙 많이 것도 한 몫하지만요. 다만 엔비디아와 암드 소니진영의 기술격차는 전례없이 큰 수준입니다. 이게 상당수의 유저가 여전히 저사양 피시를 쓰거나 FHD급 디스플레이에 머물러 있어서 그나마 눈에 덜 띈거지 체감 퍼포먼스에서 엔당 글카는 뛰는 사람 위를 혼자 나는 새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초격차가 납니다. 그리고 그나마 그 격차가 줄어들 수 있는(모방을 통해)상황에서 나오는 콘솔이 플스6가 될 것이구요. 거기엔 엔비디아가 글카에 관심이 점점 줄어드는 것도 한 몫 할겁니다. 플스5는 출시하고 조금 있다 나온 3000번대 RTX카드에 의해 성능면에서 완패하고 들어간 콘솔임은 변함없는 팩트죠. | 25.10.13 09:12 | |

(IP보기클릭)210.122.***.***

수수화염
옛날이야 콘솔은 저해상도 TV에 맞춰서 돌아가지만 PC는 고해상도 모니터라서 필요한 성능 차이가 심했기 떄문이지 지금과 큰 차이 없습니다. 플스1의 대표작인 파판7을 비교해보면 플스1에서 240P로 30프레임으로 돌아갈때 PC 버전은 부두1 달고 480P 60프레임으로 돌아갑니다. 물론 플스1과 부두1의 차이가 2년 정도 나긴 하지만 둘의 성능 차이를 감안하면 양쪽이 천지개벽할 차이는 아니라는거죠. 플3때는 7800이 들어갔지만 플3 출시 시점에는 이미 PC게임은 8800이 나와서 멀티플랫폼 게임은 PC가 더 잘돌아갔고 플4때는 플4발매 하기도 전에 PC는 플4프로 성능의 글카를 플4와 같은 가격에 살 수 있었습니다. 플5때도 이미 PC로는 3000번대가 나온 상황이라 성능상으로는 크게 메리트가 없었구요. 그리고 2020년정도부터 소니가 PC로도 게임을 발매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드디어 멀티플랫폼이 아닌 특정 콘솔만을 위해서 개발한 게임들 일명 콘솔최적화가 된 게임을 PC로 발매했을때 얼마나 성능이 필요할것이냐를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있게 되었는데 플5성능이 이정도다 라고 예측했던 사양으로 PC를 맞추고 동일한 게임을 PC와 플5에서 돌리면 PC에서 더 잘돌아갑니다. | 25.10.13 13:14 | |

(IP보기클릭)58.140.***.***

요시에탄마리오
플스1 시절에 PC 3D게임에 개념조차 없었을 뿐더러 드림캐스는 퀘이크3 한달만에 이식해 버릴 정도였죠. 플3가 출시된 시점에서 8000시리즈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플5 프로도 가성비 면에서 PC보다 우위인데 플4 가 나오기 전에 플4프로 수준의 글카를 같은 가격으로 맞출 수있었다고요?ㅎㅎㅎㅎㅎㅎ 콘솔이 최적화가 좋기 때문에 동일한 사양의 PC보다 좋을 수 밖에 없는데 PC가 더 잘돌아갔다는 허무맹랑한 말을 하시면 할 말 없습니다. 자기만의 세계에 빠져사는것도 나쁘지 않죠. | 25.10.14 06:04 | |

(IP보기클릭)210.122.***.***

수수화염
같은 게임이라고 해서 동일한 퀄리티로 돌아가는줄 아시나봅니다. ㅎㅎ 퀘이크3 드캐판은 폴리곤 개수가 심하게 너프되었고 30프레임에 해상도도 기껏해야 480P가 최대인 반면 PC판은 당시 주로 쓰이던 모니터가 이미 800x600을 넘어서 1024*768도 많이 쓰이던 시대입니다. 퀘이크3 발매시 이미 나온 지포스 256으로도 1024*768에서 60프레임이 넘게 나오는걸로 나오네요. 그리고 플1나 새턴으로 발매되었던 바하시리즈나 세가게임의 상당수가 당시 1년정도의 텀을 두고 대부분 PC로도 이식해서 발매되었습니다. 말씀대로 3D게임의 개념조차 없었다면 그런 게임들이 PC로 발매되었을리가 없겠죠. 그리고 플3 출시가 2006년 11월 11일 , 지포스 8800이 2006년 11월 08일로 8800이 며칠 더 빠릅니다. 게다가 플3은 국내 정식발매가 반년 넘게 걸린 반면 PC부품은 발매 후 바로바로 수입되기 떄문에 국내 체감은 더 빨랐고 플3 정발도 전에 이미 8600GT등의 저가형 모델도 발매되었고 8600GT의 성능은 7900GTX를 넘어섰기 때문에 당시 플3의 성능은 PC유저들에게는 그냥 애매한 수준이었습니다. (심지어 플3에 들어간건 7900중에 최하위 모델이었구요.) 플4프로의 GPU는 GCN 2세대 아키텍쳐를 기반으로 4세대의 기능 중 일부를 흡수한건데 플4 발매하기도 전에 이미 GCN 2세대를 기반으로 심지어 플4프로보다 더 높은 사양으로 플4와 같은 가격에 Rx 290이 발매되었습니다. 뭐 글카 가격만 플4가격이니 가성비 좋은건 아니라고 하실수도 있으니 그 당시 대충 플4랑 비슷한 가격에 i3 + 750ti 조합으로 맞춰서 위쳐3로 플4랑 성능 비교하는 자료 유정게에 있으니 찾아보시면 나올겁니다. 플5프로도 지금 대략 7500F에 5060Ti 정도 맞추면 대충 백만원 언저리로 나오니 가성비가 PC에 비해 크게 좋은편은 아니라고 봐야죠. 5060Ti가 플5프로에 비해 약간은 부족할 수 있으나 그리 큰 차이는 아니구요 디지털 파운드리도 5060Ti정도면 플5프로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언급했으니까요 사람의 기억력은 한계가 있으니까 기억력에 의존하지 마시고 뭔가 주장을 하려면 객관적인 근거라도 언급하시는게 어떨까요? | 25.10.14 09:02 | |

(IP보기클릭)58.140.***.***

요시에탄마리오
죄송한데요. 드캐가 pc에서 돌아가는 퀘이크3보다 잘 돌아간다고 한적이 없습니다. 제가 말하는건 당시에 빠른 속도로 가뿐하게 이식될 정도로 드캐성능이 좋았다는거라는 말씀드리는 겁니다. 플레이스테이션은1 출시 당시에는 pc게임보다 확실히 성능에서 압도했습니다. 그당사 플스1은 3D 가속 기능이 탑재된 전용 게임기였기 때문에 3D 게임을 매우 효율적으로 구동할 수 있었던 것에 비해 당시의 PC는 3D 가속 기능이 없거나 초보적인 수준이었고, 소프트웨어만으로 3D를 구현했기 때문에 콘솔에 비해 성능이 낮았습니다. 논점을 흐리시는데요. 제가 말하는건 바이오하자드1이 pc로 1년간격을 두고 출시되었는지를 말하는게 아닙니다. 1994년 플스1 출시당시 pc게임서의 3d게임이 있었느냐를 말하는 겁니다. 둠2도 풀3d가 아니라 2.5d그래픽으로 구현된 게임이었을 정도로 제가 기억하기로는 전무하다 싶었고요. 그래서 실제로 집안에서 새턴으로 돌아가는 버파를 봤을 때 사람들이 충격 그 자체였습니다. 왜냐? pc에서는 볼 수 없는 화려한3d그래픽이었거든요. 지포스 88000이 플스3의 지피유를 뛰어넘는 성능인건 맞으나. 셀프로세서와 합쳐져서 나온 독점게임들의 퀄리티를 보자면 단순히 지피유만으로 플3의 성능보다 좋았다라고. 하기에는 어렵습니다. Rx 290 성능이 플포4 프로보다 뛰어난건 맞지만 최적화가 좋지 않았기에 실제 퍼포먼스는 그에 미치지 못했고요. 750ti는는 플4보다 성능이 떨어지고 실제 퍼포먼스는 더 떨어집니다. 갓오브워를 예로들면 GTX 750 Ti는 이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최소 사양에 가깝습니다. 최신 드라이버와 적절한 설정을 사용하면 720p 또는 900p 해상도, 낮은 그래픽 옵션으로 플레이 가능한 수준입니다. 1080p 해상도로 30프레임을 목표로 구동되는 플4랑 비교가 확실히 되는거죠. 7500F에 5060Ti 두개만 맞춰도 76만원 이상이고 본체풀로 맞추면 플5프로 보다 비쌀 것 같은데 어떻게 비슷한 수준의 가격이라고 하시는거죠? 5060ti가 프로보다 좋은건 ai성능이겠죠 실제 테라플롭스는 프로가 더 높습니다. | 25.10.14 13:27 | |

(IP보기클릭)210.122.***.***

수수화염
드캐판 이식이 빠른건 세가와 마소가 서로 친했고 드캐가 Windows CE를 운영체제로 쓰면서 개발환경이 PC랑 비슷했기 떄문이지 성능 이슈는 아닙니다. 반대로 드캐게임들도 상당수가 PC로 발매되었는데 그렇다면 PC도 드캐 정도의 게임은 가뿐하게 돌릴정도로 성능이 좋았다고 말씀하시는거네요. 플스1 발매 직후에는 PC에 3D게임이 생소했을지 몰라도 딱 반년 후에는 NVIDIA의 첫 그래픽카드가 출시되었고 이 그래픽카드 전용으로 새턴 게임의 상당수가 이식되었습니다. 이는 세가의 차세대 게임기(드캐일수도 혹은 오락실용이었을수도)에 납품하기 위해 NVIDIA가 세가와 접촉중이었고 둘간의 협력의 결과물로 세가가 해당그래픽카드를 위해서 전용으로 게임을 이식해주었지요. 그 이후로도 세가의 오락실용 게임 상당수가 PC로도 이식되었구요. (이것들은 NV1전용은 아니고 범용) 암튼 3D게임이라는 개념이 PC로는 늦게 도입되었을지 몰라도 도입 직후에 보여준 성능은 플스1/새턴과는 압도적인 성능 차이를 보여주었다는겁니다. 그리고 플3는 셀의 FLOPS 성능 + 7800의 FLOPS 성능을 둘다 합쳐도 8800보다 떨어집니다. 독점 게임들은 그냥 한정된 사양에서 그래픽이 좋아보이게 만든거라서 그걸 그대로 PC로 이식해도 사양 별로 안먹는다구요. 갓오브워PC판은 4년이나 늦게 PC판이 나온 만큼 그래픽 퀄리티를 더 끌어올려서 발매한 만큼 사양이 더 오른거구요. 그리고 위에 백만원 언저리라고 한건 자세히보니 5060Ti 8GB였네요. 16GB제품이 대략 10만원 정도 더 비싸니 그래도 110만원 정도면 7500F + 5060Ti 16GB 완제품 구입 가능할걸로 보입니다. 그리고 소니에서 직접 밝힌 PS5 Pro의 스펙은 16.7Tflops로 5060Ti의 23.7Tflops에 비해서는 한참 낮은 수준입니다. 물론 AMD와 NVIDIA의 글카를 1:1로 비교할 수는 없지만요. (PS5 Pro가 33Tflops로 알고 계셨다면 그거는 RDNA3를 썼다는 루머 떄문이며 마크써니가 직접 밝힌 바로는 RDNA2를 기반으로 RDNA3의 기능 일부를 흡수했다고 합니다) | 25.10.14 15:12 | |

(IP보기클릭)58.140.***.***

요시에탄마리오
뭔 소리를 하시는거예여..갓오브워 pc판은 리메이크 버젼이 아니라 단순 이식작인데 퀄리티를 끌여올렸다는게 뭔 말이?? 중요한건 750ti로는 최소사양으로 간신히 돌아간다는데 이게 이해가 어려우세요? | 25.10.14 19:09 | |

(IP보기클릭)112.158.***.***

BEST
플스5 프로는 압도적이라는 말도 미안할 정도로 상대가 안되고요, 4K 60프레임은 깡 4K는 힘든 게임들이 많지만 DLSS와 FG 조합하면 충분합니다. DLSS4 가 다른 업스케일링 기술과는 퀄리티와 성능이 말도 안되게 좋아서 깡 4K와 차이도 크게 없고 반짝임 같은 것도 타 업스케일 기술보다 압도적으로 좋아요. PS6 와의 비교는 그때 가봐야 알겠지만 특정 부분에선 비슷하거나 PS6쪽이 열세일 것 같습니다.
25.10.12 19:38

(IP보기클릭)1.232.***.***

BEST
4천짜리 아반테N하고 1.2억짜리 bwm m4 중에서 뭐가 빠른가요~
25.10.12 20:16

(IP보기클릭)58.224.***.***

BEST
PC 견적을 내셨다는 걸 봐서 직접 조립해서 유지하는 유저는 아니신 것 같은데요. PC는 콘솔처럼 심플하지가 않고요, 5080 넣고도 발열이나 소음쪽으로 내가 관리할 수 있어야 편안합니다. 부품종류와 조합이 거의 무한대이고요. PC쪽은 문제가 생겨도 어느 정도 잘 다룰 수 있다고 생각될 때 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5080이면 성능은 당연히 좋습니다.
25.10.12 20:31

(IP보기클릭)122.43.***.***

단순 성능 비교를 하자면 당연히 PC의 5080시스템이 더 높겠지만 게임기는 게임을 돌리기 위해 최적화된 시스템으로 제작되므로 단순 비교를 하기가 힘들겁니다...PS6는 개발중으로 아직 나오지도 않은걸 감안한다면 체감 성능은 비슷하지 않을까 싶네요.
25.10.12 20:37

(IP보기클릭)118.235.***.***

플6가 약간 더 좋을 걸로 보입니다. 스펙이 엇비슷하면 콘솔의 게이밍 환경이 거의 무조건 좋다고 전 단언합니다. (저 5080유저임) 예상이긴 하나 5080정도의 스펙으로 보여집니다.2년뒤라 이정도는 충분히 냅니다. 다만 지금 5080사면 사실상 한세대 뒤의 성능을 미리 맛보는거고(패스트레이싱) 그 때 맞춰서 글카만 바꿔주면 계속 앞서나갈순 있급니다. 물론 그럴려면 보드와 파워 시퓨 다 최상으로 맞춰놔야겠죠; 돈이 여유가 있고 게임을 미친듯이 좋아한다면 지금 5080업글하는걸 추천하고 그정돈 아니다 싶으면 걍 천천히 기다리는것도 즐거움일테죠.
25.10.13 08:57

(IP보기클릭)223.38.***.***

80급으로 나온적은 한번도 없었고 Ps5 pro가 4070급정도 되니 Ps6 는 5070정도 예상
25.10.13 09:19

(IP보기클릭)222.98.***.***

5080이면 ps6보다 좋을거 같긴 한데 그때되면 60시리즈 나오고 70시리즈 얘기도 슬슬 나올때라 돈 더 쓸 확률 삼만 퍼센트
25.10.13 09:42

(IP보기클릭)211.230.***.***

플스6 스펙은 내년에 최종결정이 날텐데 아마도 우위 또는 비슷한 성능일거라 예상해서 783D, 4080을 중고로 샀네요
25.10.13 14:45

(IP보기클릭)218.153.***.***

당연한 이야길.....
25.10.13 14:48

(IP보기클릭)163.180.***.***

플스6 비싸봐야 150 언더 일텐데 ㅋㅋㅋ 330만원 짜리랑 비교하다뇨
25.10.13 16:55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30604912 질문 엑돌이 290 12:59
30604910 질문 여자가쉽게마음을주면안돼 535 2025.10.13
30604909 질문 misina 1 306 2025.10.13
30604908 질문 고민중독자 3 2449 2025.10.12
30604907 질문 chan4158 315 2025.10.12
30604904 질문 여자가쉽게마음을주면안돼 448 2025.10.12
30604903 질문 루리웹-4307254 487 2025.10.12
30604902 질문 어나두 1 426 2025.10.11
30604901 질문 크렌베리파이 267 2025.10.11
30604900 질문 여자가쉽게마음을주면안돼 351 2025.10.11
30604899 질문 보물섬™ 171 2025.10.11
30604898 질문 루리웹-0302828867 305 2025.10.11
30604897 질문 CaCl2 281 2025.10.10
30604895 질문 루리웹-1905205001 692 2025.10.10
30604894 질문 루리웹-6978291152 349 2025.10.10
30604893 질문 unravel_ 361 2025.10.09
30604892 질문 彼女の手に觸 476 2025.10.09
30604891 질문 NAHAN 1 535 2025.10.08
30604890 질문 a브라한링컨과델리앞니 1 595 2025.10.08
30604889 질문 ToyMaker 1 660 2025.10.08
30604888 질문 철민이형 604 2025.10.07
30604887 질문 하얀샛별 390 2025.10.07
30604886 질문 ㅇㄹㅇㄷ 663 2025.10.07
30604885 질문 홍철씨날버리지마 1 505 2025.10.07
30604884 질문 CELL은 세포 1 460 2025.10.07
30604883 질문 나빛 662 2025.10.05
30604882 질문 이제야게임에정을붙이는1인 573 2025.10.05
30604881 질문 루리웹-9577274492 489 2025.10.04
글쓰기 392270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