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루틴 생성, Calm 온보딩 확대, SmartThings Find 링크 공유 기능 등 새로운 도구 도입
삼성전자는 자사의 글로벌 커넥티드 생활 플랫폼인 SmartThings에 최신 업데이트를 도입하며, AI 기반 자동화 도구 강화, 제품 온보딩 범위 확대, 연결 기능 개선 등을 통해 전 세계 사용자들에게 더욱 향상된 스마트 홈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번 업데이트는 Android와 iOS 모두에서 스마트 홈을 더욱 쉽게, 개인 맞춤화된 방식으로 즐길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AI 기반 루틴 생성으로 자동화를 더욱 쉽게
이번 업데이트의 핵심은 자연어를 활용해 자동화 루틴을 손쉽게 만들 수 있는 AI 기반 기능인 루틴 생성 어시스턴트입니다. 예를 들어 “집을 나가면 모든 조명을 꺼줘”와 같은 문장을 입력하면, 사용자는 각 기기나 설정을 수동으로 지정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맞춤 루틴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대형 언어 모델(LLM)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 홈 자동화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추며, 초보자에게는 쉽게, 숙련된 사용자에게는 더욱 효율적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더욱 똑똑한 일정 설정 및 실행 확인 기능
지연 동작(Delay Actions) 기능을 통해, 하나의 루틴 안에서 단계별로 시간 차를 두고 동작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굿모닝” 루틴을 만들고, 오전 7시에 침실 조명을 켠 뒤 15분 후 커피메이커를 작동시키고, 30분 후 음악을 재생하면서 커튼을 여는 등의 동작을 연속적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루틴 실행 확인(Confirm to Run Actions)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루틴 실행 전 확인 절차를 추가할 수 있어, 예를 들어 보안 모드가 외출 시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설정돼 있어도 다른 가족 구성원이 아직 집에 있는 경우 실행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Calm 온보딩, 58개국으로 확대
삼성전자는 제품 구매부터 사용까지의 과정을 간소화하는 Calm 온보딩 프로그램을 58개국으로 확대합니다. 삼성닷컴 또는 삼성스토어에서 지원 제품을 구매하면, SmartThings 앱이 해당 제품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등록 및 연결해줍니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Calm 온보딩 지원 국가는 기존 14개국에서 58개국으로 확대되었으며, 갤럭시 워치와 버즈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까지 지원 범위가 넓어졌습니다. 한국과 영국에서 삼성닷컴을 통해 구매한 일부 제휴사 제품도 Calm 온보딩을 지원하며, 향후 글로벌 확대도 계획 중입니다.
SmartThings Find, 위치 공유 기능으로 추적 편의성 강화
6,70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한 글로벌 위치 서비스인 SmartThings Find는 이제 위치 공유 링크(URL) 기능을 지원합니다. 갤럭시 사용자들은 SmartTag의 위치를 링크 형태로 공유할 수 있어, 친구나 가족(심지어 iOS 사용자도 포함)이 가방, 반려동물, 여행 가방 등 태그가 부착된 물품의 위치를 더욱 쉽게 추적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가족이나 외부 활동이 많은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며, 공동 물품의 위치 공유를 간편하게 합니다.
iOS 스마트워치에서도 SmartThings 기능 제공
이제 iOS 사용자도 Apple Watch에서 사용할 수 있는 SmartThings 위젯을 통해 조명, 에어컨, 루틴 등의 기능을 손목에서 바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외출 중에도 스마트 홈을 빠르고 쉽게 제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삼성전자 SmartThings 미국 총괄 마크 벤슨(Mark Benson)은 “이번 SmartThings 업데이트를 통해 누구나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스마트 홈을 쉽게 구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라며, “앞으로도 SmartThings는 사용자들이 기기를 관리하는 데 시간을 덜 들이고, 가족과 더 많은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혁신을 이어가겠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SmartThings는 전 세계 사용자에게 더욱 스마트하고 개인화되며 직관적인 연결 생활 환경을 제공하여 스마트 홈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www.smartthings.com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P보기클릭)211.234.***.***
잘쓰고 있음 음성으로 컴퓨터 커고 끄고 조명제어하고 공기청정기부터 에어컨까지 좀 복잡하긴 한데 그마나 스싱이 쓸만 한듯
(IP보기클릭)116.124.***.***
이 기사내용은 단순 음성인식리모컨 추가개념에서 IOT유저라면 풀오토메이션으로 모든걸 자동화해서 사용하는데 이게 서버가 필요하다보니 (HA, HB) 이걸 서버없이도 풀오토메이션을 구축할수있게 본격적인 IOT를 사용하는 유저 확대가 기대가 되네요 사실대다수의 유저들은 IOT가 아니라그냥 리모컨 하나 추가하는 수준으로만 사용하다보니.. DIY의 영역입니다 아직도.
(IP보기클릭)211.234.***.***
잘쓰고 있음 음성으로 컴퓨터 커고 끄고 조명제어하고 공기청정기부터 에어컨까지 좀 복잡하긴 한데 그마나 스싱이 쓸만 한듯
(IP보기클릭)116.124.***.***
머리크기지구
이 기사내용은 단순 음성인식리모컨 추가개념에서 IOT유저라면 풀오토메이션으로 모든걸 자동화해서 사용하는데 이게 서버가 필요하다보니 (HA, HB) 이걸 서버없이도 풀오토메이션을 구축할수있게 본격적인 IOT를 사용하는 유저 확대가 기대가 되네요 사실대다수의 유저들은 IOT가 아니라그냥 리모컨 하나 추가하는 수준으로만 사용하다보니.. DIY의 영역입니다 아직도. | 25.07.10 16:50 | | |
(IP보기클릭)222.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