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하드웨어] [기획] 삼성, 소니의 그림자를 밟다(1부) [16]


profile_image


profile_image (351670)
5 | 16 | 4230 | 비추력 721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16
1
 댓글


(IP보기클릭)106.101.***.***

BEST
그래도 소니라는 반면교사가 있어서 다행인건지..
25.07.11 10:43

(IP보기클릭)125.128.***.***

BEST
삼성전자 역시 이재용 회장의 사법 리스크 이후, 최고경영진의 의사결정은 더욱 신중해졌고 조직 전체에는 방어적 분위기가 확산됐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실제로 삼성에서 이직한 대기업 임원은 "삼성은 내부에서 실험하거나 과감한 도전을 시도하기 어려운 구조로 점점 경직되고 있다. 이는 과거의 성공 경험이 오히려 변화의 발목을 잡고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 이재용 회장 사법리스크 있기전에는 뭔가 과감한걸 많이 했었다는 것 처럼 오해 할 만한 내용인데..
25.07.11 11:18

(IP보기클릭)118.235.***.***

BEST
애초 기사내용이 과거의 소니니까
25.07.11 11:20

(IP보기클릭)118.235.***.***

BEST
서사를 진행하려면 우선 소니가 어떻게 망가졌는지를 시작해서 어떻게 일어났는지까지 다 알려주는게 좋죠. 선생님의 말은 이미 내용을 다 알고 있는 사람에게 쓰는 방법입니다.
25.07.11 12:11

(IP보기클릭)118.235.***.***

BEST
그리고 무너지는것보단 그 무너지는걸 피하려는걸 이 중심이니까 지금 소니를 이야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소니가 엔터사업으로 부활했다고 그걸 따라가야할 이유는 없기때문이죠
25.07.11 12:13

(IP보기클릭)106.101.***.***

BEST
그래도 소니라는 반면교사가 있어서 다행인건지..
25.07.11 10:43

(IP보기클릭)61.77.***.***

이재용 한 단어로 설명 끝
25.07.11 10:46

(IP보기클릭)59.28.***.***

ㅋㅋㅋㅋ 저 기자 놈은 대체 언제적 소니를 기억하고 기사를 쓴 건지 소니는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선정한 전세계 '지속가능 100대 기업'에서 1위에 선정됐다고 1일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세계 5500여개의 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인적 자본, 사회적 자본, 환경, 사업 모델과 혁신 정도를 종합해 장기적 관점의 거버넌스 사례·역량을 평가, 순위를 선정했다. 소니는 사업 모델 및 혁신 부문 7위, 인적 자본 부문 13위, 사회적 자본 부문 20위, 환경 부문 74위에 오르면서 총 100점 만점에 78.8점을 받아 지속가능 1위 기업으로 뽑혔다. 소니는 요시다 켄이치로 소니 사장 겸 CEO(최고경영자)가 2018년 취임한 이후 '장기 지속가능성'을 최우선 과제로 두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분야에 지속해 투자하고 있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25.07.11 10:59

(IP보기클릭)118.235.***.***

BEST
InThisMoment
애초 기사내용이 과거의 소니니까 | 25.07.11 11:20 | | |

(IP보기클릭)59.28.***.***

인픽션
연재 기사 6부 제목이 '소니의 길을 피하려면' 임. 오히려 현재 소니 상태를 보면 '소니의 길을 따르려면'이라고 해야죠. 저 기자놈은 아직도 소니가 가전 사업으로 망한 줄 아니까 저따구 제목이 나오는 거죠. '일본에서 배운다' 되새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쿄에 거점 마련했다 매일경제 원문 기사전송 2025-04-02 21:33 최종수정 2025-04-03 15:17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일본에 새로운 경영 거점을 마련한다. 또 주요 경영진을 이끌고 일본 도쿄와 오사카를 잇달아 방문해 현지 주요 파트너사 최고경영자(CEO)와 신년 하례회를 연다. 지난달 중국 방문에 이어 글로벌 광폭행보를 보이는 모습이다. 특히 이건희 선대회장처럼 ‘일본에서 배운다’는 경영 기조를 재현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미래사업기획단을 통해 일본의 주요 전자기업을 집중적으로 연구한 바 있다. 특히 ‘일본 전자 산업의 쇠퇴와 부활’을 핵심 주제로 삼고, 소니와 히타치 제작소 사례를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의 경영위기 극복 과정에서 사업 재편 방식과 신사업 발굴 전략, 체질 개선 사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바 있다. 히타치는 1920년 설립 이후 2010년 전후로 그룹 전체의 경영위기를 맞았지만, 비대한 사업구조를 재편하면서 부활에 성공한 사례다. 특히 히타치는 디지털 서비스, 철도, 송배전 장비, 반도체 제조장치 등으로 사업을 집중하며 경쟁력을 되살렸다. 1946년 창립한 소니 역시 한때 핵심이던 전자제품에서 한걸음 물러나 영화·게임·음악 등 콘텐츠와 소프트웨어 중심의 사업구조로 변신하면서 위기를 벗어났다. 이 두 회사는 지금도 글로벌 시장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삼성전자가 주목하는 벤치마킹의 대상이 됐다. 삼성전자는 이런 기업들의 경영 DNA를 배우는 한편, 일본 현지에서 인맥과 거점을 다시 다지는 데에도 속도를 내고 있는 셈이다. | 25.07.11 12:00 | | |

(IP보기클릭)118.235.***.***

BEST
InThisMoment
서사를 진행하려면 우선 소니가 어떻게 망가졌는지를 시작해서 어떻게 일어났는지까지 다 알려주는게 좋죠. 선생님의 말은 이미 내용을 다 알고 있는 사람에게 쓰는 방법입니다. | 25.07.11 12:11 | | |

(IP보기클릭)118.235.***.***

BEST
InThisMoment
그리고 무너지는것보단 그 무너지는걸 피하려는걸 이 중심이니까 지금 소니를 이야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소니가 엔터사업으로 부활했다고 그걸 따라가야할 이유는 없기때문이죠 | 25.07.11 12:13 | | |

(IP보기클릭)1.229.***.***

전통적인 가전기업 소니는 많이 쇠퇴했어도, 소니픽쳐스 플스의 미디어기업 소니는 제2의 전성기라고 봐도 될정도로 잘나가지 않나?
25.07.11 11:14

(IP보기클릭)183.108.***.***

하드웨어가 주력이었다면 지금은 엔터테인먼트 + 부업이 가전제품 이렇게 변하지 않았나
25.07.11 11:16

(IP보기클릭)125.128.***.***

BEST
삼성전자 역시 이재용 회장의 사법 리스크 이후, 최고경영진의 의사결정은 더욱 신중해졌고 조직 전체에는 방어적 분위기가 확산됐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실제로 삼성에서 이직한 대기업 임원은 "삼성은 내부에서 실험하거나 과감한 도전을 시도하기 어려운 구조로 점점 경직되고 있다. 이는 과거의 성공 경험이 오히려 변화의 발목을 잡고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 이재용 회장 사법리스크 있기전에는 뭔가 과감한걸 많이 했었다는 것 처럼 오해 할 만한 내용인데..
25.07.11 11:18

(IP보기클릭)118.235.***.***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어디서 이런 듣보들을 찾아서 퍼오는건지 ㅋㅋㅋ
25.07.11 11:29

(IP보기클릭)222.99.***.***

그림자씩이나 밟았다고?
25.07.11 12:04

(IP보기클릭)211.234.***.***

소니가 아이튠즈나 안드로이드 같은 글로벌 플랫폼 구축에 실패했던 것 -> 이거 모바일에는 맞는 말이지만 게임기 쪽에서는 PSN이라고 성공했습니다. 물론 거치형 콘솔 특성상 서구 선진국 시장에 국한되는 한계가 있기는 합니다만. 서구 선진국을 잡은 것도....
25.07.11 12:07

(IP보기클릭)49.165.***.***

삼전이 소니에 비교당할 건 아니긴한데, 유일하게 선전하는게 MX 하나밖에 없어서 문제지 메모리, 팡드, 넷사, 가전 다 내리막길 걷고있음
25.07.11 12:18

(IP보기클릭)121.150.***.***

인텔따라가는 중 아님??
25.07.11 18:25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2275215 기타 사쿠라모리 카오리P 3 4963 2025.07.15
2275212 하드웨어 시무라오바상 8 9368 2025.07.15
2275209 하드웨어 시무라오바상 12 5613 2025.07.15
2275207 하드웨어 시무라오바상 1833 2025.07.15
2275206 이통사 시무라오바상 1 1994 2025.07.15
2275205 하드웨어 오때이 2 2978 2025.07.15
2275204 하드웨어 시무라오바상 7 2004 2025.07.15
2275203 하드웨어 시무라오바상 645 2025.07.15
2275171 하드웨어 오덕살맨 1 1702 2025.07.15
2275170 하드웨어 오덕살맨 2 2959 2025.07.15
2275168 하드웨어 FE3 3670 2025.07.15
2275167 하드웨어 뒤돌아 보지마 1 2851 2025.07.15
2275161 이통사 D.VA/송하나 593 2025.07.15
2275155 하드웨어 AI시리즈 7 5561 2025.07.15
2275154 하드웨어 AI시리즈 1162 2025.07.15
2275152 하드웨어 브크브 6 3408 2025.07.14
2275140 하드웨어 오덕살맨 3 2330 2025.07.14
2275133 하드웨어 맨하탄 카페 7 7109 2025.07.14
2275126 하드웨어 루리웹-7381532742 11 8980 2025.07.14
2275125 기타 운김 1554 2025.07.14
2275122 하드웨어 사쿠라모리 카오리P 2 1910 2025.07.14
2275120 하드웨어 사쿠라모리 카오리P 2 3798 2025.07.14
2275107 기타 사쿠라모리 카오리P 22 8364 2025.07.14
2275104 하드웨어 오덕살맨 9 8802 2025.07.14
2275091 하드웨어 오덕살맨 13 8036 2025.07.13
2275088 하드웨어 스텔D 22 15214 2025.07.13
2275085 하드웨어 오덕살맨 17 19035 2025.07.13
2275084 하드웨어 Landsknecht™ 15 10507 2025.07.13
글쓰기 65533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