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스트리밍 게이밍 플랫폼 ‘스태디아(STADIA)’ 를 서비스 중인 미국의 거대 IT 기업 구글이 오늘(한국시간 2일) 중대 발표를 전했다. 바로 스태디아 내부에서 독자적인 게임 제작을 진행하던 SG&E 팀을 폐쇄하고, 이와 관련된 모든 자체 게임 제작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중단하겠다는 것.(포스트 링크)
구글 스태디아는 지난 2019년 GDC 를 통해 처음 대중에 모습을 드러낸 뒤 2019년 말부터 일부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FHD 와 4K 및 여러 사용 제한의 차이가 있는 두가지 구독권으로 독자 컨트롤러와 함께 출시되었으며, 한국은 서비스 대상에 들어가지 않아 아직까지 정식 서비스를 개시하지 않았다.
또한 구글은 GDC 2019 에서 구글이 자체적인 게임 제작 스튜디오를 설립하고 스태디아 독점 타이틀을 제작, 출시할 것이라는 소식을 전한 바 있다. 플랫폼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독점 게임을 확보하는 전략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모든 유무형 게임 플랫폼 홀더들이 취하는 전략으로서, 구글 또한 독자적인 게임을 근시일 내에 공개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2019년 구글 스태디아 발표
그러나 이번 발표, 필 해리슨(Phil Harrison) 구글 부사장의 명의로 된 블로그 포스트는 그런 독자 게임 제작 프로젝트를 모두 폐기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스태디아가 출시된지 1년이 조금 지났지만 지금까지 유의미한 점유율을 확보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구글이 스태디아 프로젝트에 투자를 줄이고 있음이 명확하기 때문이다. 한편 스트리밍 게임 플랫폼의 경쟁상대라 할 수 있는 Xbox Game Pass(구 xCloud)가 공격적인 게임 확보와 기존의 결제 체계와 결합하여 높은 성과와 상당한 경쟁력을 발휘하고 있는 점과 크게 대비된다.
유비소프트 재직 당시 제이드 레이몬드의 프로필 사진.
이와 더불어 발표된 또 하나의 갑작스런 소식은 바로 제이드 레이몬드(Jade Raymond) 부사장과의 결별이다. 제이드 레이몬드는 유비소프트에서 ‘어쌔신크리드’ 1편의 프로듀서를 맡으며 유명세를 얻었고, 이어 ‘와치독’ 과 스플린터셀 차기작 등 유비소프트의 대표작들의 초기 제작에 참여하여 화려한 커리어를 쌓았다. 이후 2014년에는 EA 모티브 스튜디오의 설립자 겸 총괄이 되었으나 2018년 퇴사, 그후 구글에 합류했다.
GDC 2019 스태디아 발표 당시의 제이드 레이몬드.
구글에서는 스태디아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그녀에게 부사장 직함과 함께 구글이 직접 제작하는 게임 타이틀과 그 제작부서를 총괄하는 역할을 맡긴 것으로 알려졌다. 그녀는 2019년, 구글 스태디아를 처음 공개한 2019 GDC 에서 주요 발표자 중 하나로 나서 구글이 스태디아를 위한 독자적 타이틀을 직접 제작하고 있음을 알리기도 했다.
그런 그녀가 구글을 떠난 만큼 구글은 자체 제작 프로젝트를 아예 포기했다고 추측해볼 수 있다. 이 발표와 더불어 필 해리슨은 “스태디아 게이머들은 여전히 ‘스태디아’와 ‘스태디아 프로’ 를 통해 새로운 서드파티 타이틀을 만나볼 수 있을 것” 이라며 “우리는 계속해서 이 산업을 앞으로 나아가게 하게 하고자 한다. 우리의 목표는 플레이어들과 우리 파트너에게 최고의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고 전했다.
아라알아 사펑 때문에 떴다고 하기는 뭐한 게
해상도 고정이라 옵은 상위라도 큰 메리트 없어요.
모드도 안되고.
싸펑가지고 전보다 크게 홍보가 된 것도 아닐 뿐더러
오히려 GFN에는 그 외 지원 안되는 게임이 꽤 됩니다.
그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사양 안가리고
게임이 가능하다는 게 가장 크죠 | 21.02.02 12:17 | | |
혼유혼유 다 장사하자고 하는건데 스트리밍으로 벌어들이는 수익으론 해결이 안되서 미래는 안될듯. 마소처럼 그 서버를 다른 곳에도 활용해서 수익을 낸다면 모를까. 그리고 스트리밍은 독점경쟁이라 가입자가 엄청많지 않으면 수익으로 이어지지 않아서 규모가 제일큰 마소가 버티고 있는이상 다른곳은 게임도 얼마 없는 악순환에 명맥유지도 안될걸요. 패키지는 한번팔면 땡이지만 스트리밍은 서버를 계속 유지해 줘야해서 지속적인 수익이 발생해야 하거든요. | 21.02.03 17:10 | | |
구글 자본금 꽤 많을텐데 이렇게 빨리 접는 거 보면
대체 얼마나 비전이 안 보였던 걸까;;;
그나저나 필 다음에 또 어느 회사에서 쓴다면 그 경영진은 정말 뇌가 없는 게 분명 할 듯..
플3하고 엑원 말아먹는 걸 보고도 쓴 시점에서 이미 구글도 제 정신은 아니었던 거 같지만.
애초에 현재의 통신 인프라 상태로 스트리밍 플레이는 조작 경험이 좋지 않아서 절대 성공 못함. 왜 자꾸 이쪽으로 시도를 하는지 모르겠다. 제공하는 회선도 안정적으로 빨라야하고 사용자의 회선도 안정적으로 빨라야 하는데 양쪽 컨디션이 맞는 경우가 얼마나 되는지 확인해보면 지금으로썬 절대 성공 못한다는걸 알 수 있는데.. 나중에 통신망이 어떤 지역에서도 안정적이고 빠른 시대가 오면 그때나 가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