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달 전, 매직 더 개더링 커맨더 유저들을 구경할 때의 일입니다.
머니 더 거덜링을 같이 하는 사람부터가 바깥에 안 나오는 친구놈밖에 없는 마당에
프리컨 덱(대충 커맨더용 스타터 덱이라는 뜻)을 사기도 애매하다 보니,
어째 매더개보다는 다른 게임 얘기를 할 때 대화에 끼게 되더라고요
아무튼 정확히 기억나지는 않습니다만, 들은 것들 중 원피스 카드게임에
소재 고갈 문제가 대두된다는 말을 들은 것 같습니다. 디지몬 카드게임에도 비슷한 문제가 있다고도 했고.
어째 검색 결과가 안 나오고 너무 대화량이 많은 곳이라 다시 묻기도 그렇거니와,
관련 커뮤니티에는 언급이 안 보였던 것 같은데...
구체적인 현황을 알 수 없더라도 의미있는 화젯거리가 아닌가 싶습니다.
이게 그 비디오 게임의 '콘텐츠 소모 속도' 비슷한 얘기잖아요?
모든 TCG는 언젠가 카드 소재가 고갈될 날이 오고, 특정 IP를 소재로 한 카드게임은
IP 캐릭터를 카드로 만드는 만큼 필연적으로 그 기간이 오리지널 IP 카드게임보다 빠를 수밖에 없다는 거.
원피스랑 디지몬도 20년을 넘긴 현재진행형 IP인데 이 얘기가 나온다는 겁니다.
신디지카는 5년차기라도 하지 원피카는 3년차일 텐데, 그 소재를 벌써 많이 써먹었다고...?
아무튼 제가 하고 있는 마블스냅도 얼마 전(판타스틱 4)에야 특정 캐릭터의 새 카드를 도입했던 데다,
매달마다 새 카드를 내야 하니까 진짜 듣도보도 못한 캐릭터들이 다 튀어나온다고요ㅋㅋㅋ
그 때문에 매직 더 개더링만 해도 본격적으로 마법 스킨만 씌운 SF 소재들을 쓰기 시작했고
콜라보에도 열을 올리고 있는 거 아니겠습니까....
-그리고 이건 오늘 본 확실한 소식.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tg&no=519660
매직 온라인 개발자가 디스코드로 이런 발언을 한 모양입니다.
"매직 온라인에서 파이널 판타지 관련 이벤트를 열려면 (저작권자에게) 로열티를 지불해야 한다"
이에 유저들이 "그래서 매직 더 개더링 아레나에서 일일 할인 목록에 파이널 판타지 카드가 안 나오고,
과거 세트로 드래프트 이벤트를 열 때마다 죽어도 반지의 제왕 세트만 빠져 있는 거였나?"라고 추측하기도 했고
"그러면 유니버스 비욘드(콜라보)는 결국 매더개를 더 구리게 만든다는 거지?"라고 뼈있는 말을 던지기도 했네요
역대급 매출이라며 공식에서 방방 떴던 파이널 판타지 세트였지만 결국 저작권을 빌려온 이상 저런 단점이 있었다는 겁니다
즉 1년 정규 세트의 절반을 콜라보에 쏟아부은 매직 더 개더링도
콜라보 카드가 잘 팔린다고 좋아하기에는 그에 상응하는 댓가를 치루고 있으리라는 얘기
원피카나 건담카처럼 모기업의 IP를 그대로 쓰는 경우라면 모르겠지만,
확실히 바이스 슈발츠같은 콜라보 위주 TCG는...
소위 고고한 백조마냥 매출을 최대한 뽑기 위해 피눈물나는 노력을 하고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이 2가지 소식을 종합해보자면 2020년대 TCG가 IP팔이의 시대라 한들, IP팔이가 꼭 좋지만은 않다는 느낌이 드네요
물론 기존 오리지널 TCG들은 TV 애니메이션의 시대도 끝나가면서
기존의 방식대로는 주목을 끌기 어려우니 여러모로 개고생하고 있다지만... 참...
(IP보기클릭)211.215.***.***
거기에 반다이 카드겜 특유의 주역상품 얼굴마담 몰아주기(유희왕으로 치면 블매나 백룡)가 다분해서 디지카는 그레이몬 카드게임. 원피카는 루피카드게임 같은 식으로 똑같은 녀석인데 카드의 효과와 색만 바꾼. 매번 보는 놈들 또 보는 현상이 발생하기 쉽죠.
(IP보기클릭)182.210.***.***
반다이 운영도 예로부터 시원치않기도했고..
(IP보기클릭)211.215.***.***
사실 이건 고질병이라기보단 상품판매를 위한 안전책이죠. 원피카를 예시로 들면 팩 커버가 루피인 팩과 이젠 이름 들으면 누군지 알런지도 가물가물한 가이몬이 커버면. 당연히 전자의 팩이 팔릴테니 그런샘이죠, 유희왕의 팩 커버나 지정 테마가 드전마기사 이런거와 같은 면모고요. 다만 반다이 카드겜은 이런 방식 중에서 유독 메이저 픽을 반복해서 안전빵을 노리는 타율이 많은 것 뿐이고요
(IP보기클릭)211.215.***.***
(IP보기클릭)211.215.***.***
원피스는 이 소재고갈이 가파른게 하나의 거대한 강에서 메인인 물고기와 가재, 피라미 등이 잡히긴 해도 한정적일수가 있는데 다른 멀티 ip는 이 소재를 가져오는 방식이 강에서 잡는게 아니라 여러군데의 어장에서 끌어올수 있죠. 여기서 차이가 생길수 밖에 없습니다. | 25.09.18 21:43 | |
(IP보기클릭)211.215.***.***
수준김피카츄
거기에 반다이 카드겜 특유의 주역상품 얼굴마담 몰아주기(유희왕으로 치면 블매나 백룡)가 다분해서 디지카는 그레이몬 카드게임. 원피카는 루피카드게임 같은 식으로 똑같은 녀석인데 카드의 효과와 색만 바꾼. 매번 보는 놈들 또 보는 현상이 발생하기 쉽죠. | 25.09.18 21:48 | |
(IP보기클릭)182.210.***.***
수준김피카츄
반다이 운영도 예로부터 시원치않기도했고.. | 25.09.18 21:51 | |
(IP보기클릭)121.165.***.***
둘 다 소재고갈이 위기라고 가정할 때, 어찌보면 원피카로 이 정도까지라도 끌어온 게 대단했다고 해야 하는 걸까요 그리고 인기 카드에 몰아주는 거 반다이 고질병이었군 | 25.09.18 23:07 | |
(IP보기클릭)211.215.***.***
WALLnut
사실 이건 고질병이라기보단 상품판매를 위한 안전책이죠. 원피카를 예시로 들면 팩 커버가 루피인 팩과 이젠 이름 들으면 누군지 알런지도 가물가물한 가이몬이 커버면. 당연히 전자의 팩이 팔릴테니 그런샘이죠, 유희왕의 팩 커버나 지정 테마가 드전마기사 이런거와 같은 면모고요. 다만 반다이 카드겜은 이런 방식 중에서 유독 메이저 픽을 반복해서 안전빵을 노리는 타율이 많은 것 뿐이고요 | 25.09.18 23:11 | |
(IP보기클릭)121.173.***.***
(IP보기클릭)118.235.***.***
부제 빨리 뗀 게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스는 스타 덕에 CCG판 히오스 루트도 가능해지기는 했고... | 25.09.19 12:12 | |
(IP보기클릭)222.107.***.***
(IP보기클릭)118.235.***.***
이번에 우리들의워게임 커버는 역대 극장판 컨셉이었죠. 하긴 고전 게임들은 아직 부스터 컨셉으로 안 나왔던가 | 25.09.19 12: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