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껏 걍 계속 썼지만 어째선지
센티넬 소울게인 사진을 찍다가
하비미오 uv엘이디를 쓰는게 너무 불편했었습니다.
한손엔 폰카 한손엔 이걸들고 쌩 쇼를해가면서
라이트 들어온듯한 연출을 하는게 진짜 고역이어서
고민하다가 문득 예전에 로봇혼 퀀터 퀀텀버스트 버전에
uv 램프를 앞 좌우에 배치한걸 팔았는데
중국에서 비슷한 컨셉으로 팔던게 생각남
참고로 로봇혼 퀀텀버스트는 이래 생겼는데
저 앞 좌우에 있는게 uv 엘이디 스탠드입니다.
암튼 중국껀 이렇게 생겼고
나온지도 몇년 됐는데
기억한켠에 묻어두고 있다가 이번에 구매했고
저 365랑 395가 뭐지 하고 아무생각없이 있었습니다.
박스는 이렇게 나뉘어 있는데
좌측이 엘이디 모듈 4개가 있고
우측이 스탠드랑 컨트롤러가 있음
죄측 길죽한 박스 내용물
우측 스탠드와 조작부.
리모컨으로도 조작이 되는데 저 돌돌말린
usb 선의 파란 스위치로도 조작이 됩니다.
조작은 익숙한 패턴인데 브레스모드, 빠른 브레스모드,
점멸모드, 빠른 점멸모드 등등이 가능
이건 led 모듈인데 이때까지만 해도
왜 모양이 다른지 몰랐습니다
왼쪽은 위에 저렴한 하비미오 uv라이트
에서 본듯한 보라색 느낌
어둡게 보면 그 차이가 더욱 극명하게 나타나는데
오른쪽은 uv가 아닌 그냥 엘이디인가
싶을정도로 그냥 하얗습니다.
설명서인데
이걸보고 알아챘는데
타오바오 사진에 비교샷이 있듯이
365nm과 395nm에 대한 설명입니다.
파장에 대한 설명같은데
365는 효과가 좋고 빛 왜곡이 없는 대신 몸에 안좋고
395는 효과가 365에 비해 안좋고 인체에 비교적
안전한 대신 보라빛이 난다는 겁니다.
uv조명 쓰면서 좋으면서도 애매했던게
의도치않게 자꾸 보라색이 나는거였는데
이거땜에 uv램프 판매점 네이버샵 세군데정도
물어봤었는데 다 보랏빛이 난다고 하더라고요
이게 평소의 느낌
보랏빛이 도는.. 395 특유의 색감
하지만 보라색이 의도치 않게 섞여들어가는 느낌이 있고
제일 큰 문제는 아래에 나옴
이게 365인데
좀 빛이 약한듯 싶지만 조명차이땜에 그런거고
실제론 훨씬 영롱해 보입니다.
이게 395의 제일 큰 문제임
반응 안하는 부분도 있음.. 특히 센티넬 소울게인 붉은색 렌즈.
눈은 반응하는데 붉은색이 반응안해서 좀 많이 상심했었죠
오타파 리뷰를 봐도 응? 반응약한가..? 하는 느낌으로 말하는데
복부는 반응해서 빛나는게 아니라
그냥 빛 반사로 반응하는거 처럼 보이는것 뿐
하지만 365라면 디게 이쁘게 반응함
이것도 사진이 좀 밝아서 약해보이는데
실제론 매우 아름답습니다.
드디어 uv 라이트 쓰면서 개인적으로 좀
아쉬웠던 부분이 해결이 되었습니다.
상시전원 연결도 가능하니까
uv 반응을 평소에 즐기고 싶으면
사보는것도 나쁘지 않을듯.
여담으로 uv반응이 약하던 uv펜 등에도
이걸쓰면 반응이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혹시 사고싶은 분들은 타오바오 검색에
妙屋智造 荧光地台 荧光灯 呼吸灯地台 蛇骨支架 高达模型通用
라는 이름으로 검색해 보면 나올겁니다.
후레시타입을 원하시는 분은 365nm 검색하면
온갖쇼핑몰에서 나올거에요.
(IP보기클릭)211.198.***.***
(IP보기클릭)118.217.***.***
오 사셨었군요. 지속광은 건강이슈로 보랏빛 도는게 좋을거같고 사진촬영등의 조명은 하얀색 쓰는게 자연스러울거같아요. | 25.07.18 13:25 | |
(IP보기클릭)114.205.***.***
(IP보기클릭)118.217.***.***
도움이 되셨다면 기쁩니다 ㅎㅎ | 25.07.19 18:47 | |
(IP보기클릭)49.173.***.***
(IP보기클릭)118.217.***.***
어.. 제 글을 제대로 안보신거같은데요.. 365nm파장의 uv조명을 쓰면 적어도 사진에선 보라색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수 있습니다. 비바람 햇빛 내리쬐는 개방된 옥상에서 1년간 풀도색 퍼스트 건담 놔둔 영상 보니까 지속적으로 쬔다고 해서 모형자체엔 전혀 문제가 없을듯 합니다. | 25.07.20 17:48 | |
(IP보기클릭)49.173.***.***
문제는 없군요...보라색 이야기는 보라색에 가까울 수록 제거하기 힘들다는 이야기였습니다. LED도 정확한 파장을 내 줄 순 없으니까요. 카메라 자외선 필터가 보라색 걸러주면 가능할텐데...그럼 제대로 된 색이 안나오겠죠 ㅎㅎ 365nm 눈으로 보기에 보라색이 많이 보이나요? | 25.07.20 21:40 | |
(IP보기클릭)49.173.***.***
오...보다보니 자외선 필터가 있군요...원하는 대역만 차단하는 필터가... | 25.07.20 21:59 | |
(IP보기클릭)118.217.***.***
아뇨 365는 눈이든 폰카로든 보라색 티가 전혀 안나요. | 25.07.20 22:21 | |
(IP보기클릭)221.143.***.***
저는 자바라스텐드에 블랙라이트 전구 넣어서 찍었던 적이 있습니다ㅎ.. 본문에서 소개하신 제품도 간단하게 쓸 수 있을것 같아서 좋아보이네요
(IP보기클릭)118.217.***.***
지금 좀 고민인게 데칼중에 uv반응을 하는게 있는데요. 이게 365엔 또 반응을 거의 안하네요.. 혼란스럽습니다 ㅋㅋ; | 25.07.27 21:59 | |
(IP보기클릭)165.225.***.***
(IP보기클릭)118.217.***.***
앞을 보게 하는게 아니라 모형을 향해있고, 365가 아닌 395는 지속조명을 모형에 쬐어도 되고, 365조차 풀도색 모델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할겁니다. 제닉님인가 유튜버가 1년동안 풀도색 mg퍼건 옥상에 비맞고 햇빛쬐고 했는데 아무런 이상이 없는걸 보면요. | 25.08.20 13: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