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고 하기엔 많이 부족하지만...-_-
이 글은 일제 노트북이나 일제 키보드를 이용하고 계신분, 그리고 약간이지만 한글 윈도우에서 일본어 입력기를 설치해서 일본어를 입력하고 계시는 분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이므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마츠상님의 얘기를 보고 정리를 하는게 편하지 않을까 해서...)
요즘 한국에서도 일제 노트북을 쓰시는 분이 꽤 있는것 같더군요.
같은 사양의 국산 노트북에 비해 일제 노트북이 휠씬 싸서 그런지 일본내수용 모델을 그대로 사가지고 가시는 분들도 많이 봤는데 어쨌든 한국이랑 조금 다른 부분이 있어서 참고 삼아 글을 적어봅니다.
일단은 한글 키보드보단 키가 많습니다. 추가 되어있는 키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1. 전각/반각/한자 키 (Alt 키와 같이 누르면 한자 키로 인식)
전각과 반각상태변환. (즉 직접입력과 히라가나입력의 전환 기능)
한자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일단은 기능은 전각/반각키와 거의 같은 거 같은데 지금까지 일본어 자판을 써오면서 거의 사용을 해보질 않아서...
2. 카타카나/히라가나/로마자 키 (Alt 키와 같이 누르면 로마자 키로 인식)
말 그대로 카타카나와 히라가나의 입력 전환.
귀찮게 Shift 와 같이 써야 하는 관계로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컴에 따라 Shift 키와 같이 누르면 카타카나 란 식으로 조금씩 다른것같습니다.) 게다가 로마자 키의 경우 로마자 입력(일반적으로 쓰는 로마자로 일본어를 입력하는 형태)과 가나 입력(키보드에 가나가 적혀 있죠? 그걸로 일본어를 입력하는 형태)을 전환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사실 가나 자판을 외우질 못해서 전 안씁니다.(외우기도 싫어요.) 즉 저에게 있어선 거의 무용지물인 키죠. 단, 가나자판을 외우는 순간 일본어 입력 타수가 두배로 증가한다고 하더군요.
3. 무변환 키
전각히라가나, 전각카타카나, 반각카타카나로 차례로 전환.
단 전각/반각/한자 키 등을 이용해서 입력모드가 직접입력 이외의 경우에만 작동합니다. 즉 일본어 입력이 가능한 상태에서 작동한다는 소리죠. 익숙해지면 상당히 편합니다. 특히나 반각카타카나의 경우에는 전각히라가나에서 스페이스바로는 아무리해도 전환이 안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쓰게 되죠.
4. 변환 키
슈퍼울트라하이퍼 키 ^_^
워드, 메모장 등의 프로그램에서 한자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키를 누르면 그 한자를 포함한 단어의 변환메뉴가 열립니다. 메모장 등의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원하는 한자단어 전부를 Shift 키등으로 포커스를 잡을 필요가 있지만 워드는 그럴 필요도 없습니다. 그냥 한자 가운데다 커서 위치시키고 키를 누르면 알아서 어디서 어디까지가 한 단어인지를 판단해서 변환메뉴가 열립니다. 초창기에 한자는 적혀 있는데 일본발음으로 읽는 법을 잘 모를 때 정말 저에게 도움을 주었던 키입니다. 물론 지금도 아리가또~~ 공부를 위해서라도 자주 얘용하는 키 중에 하나. 정말 이 키 하나때문에 한글 윈도우를 안깔고 있습니다.
5. 역슬래쉬/언더바/ろ 키
말그대로 역슬래쉬, 언더바(Shift 와 같이 누를 경우), ろ(가나 입력의 경우) 입력.
6. 키/|/ㅡ 키 (마이너스가 아니라 장음)
역시 말 그대로... 엔 마크, 파이프, ㅡ 입력.
이 이외에는 잘 모르겠네요. 현재 눈앞에 일제 컴밖에 없는지라 생각나는게 이것밖에 없어서...
그리고 아래의 마츠상 님께서 질문 하신것 중에 한글 윈도우에서 전각/반각, 카타카나/히라가나, 변환, 무변환 키 등이 안먹는다고 하셨는데, 아마 안될겁니다. 한글 윈도우는 한글 키보드를 기준으로 하니깐, (102 키보드인가? 104, 106 인가? 잘모르겠네요...)
일본 키보드는 보통 106/108 키입니다. 그 때문에 아마 추가된 키들이 작동이 안되는 걸 겁니다. 만약 키보드 갯수가 같다고 하더라도 키 코드값이 다르던지 뭔가 있지 않을까요? 일반적인 방법으론 자세히 모르겠습니다. 게다가 윈도우를 설치할때 키보드의 종류를 고르는 메뉴같은것도 안나오는거 같던데.
일제컴에 한글 윈도우를 깔고 일본어 입력기를 설치하셔도 제가 알기론 이러한 키들이 추가되지는 않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어찌보면 당연한 것 같기도 하고... 만약 한글자판을 쓰고 있다면 일본어 입력기를 설치했다고해서 없는 키가 생기는건 아니니깐, 그래서 전 일본어 윈도우깔고 언어 설정에 한국어를 추가시켜서 시스템 언어를 한국어로 설정해서 쓰고 있습니다. 오로지 변환 키 하나 때문에... 뭐 원래 한국웹에서 일본한자가 깨지는건 국산컴을 쓰더라도 어쩔 수 없는거고 오히려 실보단 득이 많아서 전 그냥 일본어 윈도우가 편합니다.
다시 돌려보니 정보라고 하긴 그렇고 거의 잡담 수준이네요. 게다가 쓸데없이 길게 적어 대단히 죄송합니다.
그래서 마지막으로 일본어 입력기로 일본어 입력시 초보자분들이 곤란해 하는 부분에 대해 간략히 적겠습니다.
로마자 입력시 つ(tu,tsu), づ(du),
그리고 や(ya), ゃ(xya, lya), 마찬가지로 ゆ(yu), ゅ(xyu, lyu), よ(yo), ょ(xyu, lyu) 등 x나 l을 앞에 추가시키면 됩니다. (ァ, ィ, ゥ, ェ, ォ도 마찬가지.)
검색을 해보지 않아서 같은 정보가 이미 올라와 있는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좋은 정보가 되셨으면 합니다.
ps1. 정보라 하기엔 좀 그래서 그냥 잡담으로 말머리를 바꿨습니다.
ps2. 아, 그리고 설명이 좀 부족한 부분이 있었는데 변환 키의 경우 한자 뿐만이 아니라 일본어 모두 다 적용됩니다. 말보단 한번 해보시면 쉽게 아실 수 있을듯.
이 글은 일제 노트북이나 일제 키보드를 이용하고 계신분, 그리고 약간이지만 한글 윈도우에서 일본어 입력기를 설치해서 일본어를 입력하고 계시는 분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이므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마츠상님의 얘기를 보고 정리를 하는게 편하지 않을까 해서...)
요즘 한국에서도 일제 노트북을 쓰시는 분이 꽤 있는것 같더군요.
같은 사양의 국산 노트북에 비해 일제 노트북이 휠씬 싸서 그런지 일본내수용 모델을 그대로 사가지고 가시는 분들도 많이 봤는데 어쨌든 한국이랑 조금 다른 부분이 있어서 참고 삼아 글을 적어봅니다.
일단은 한글 키보드보단 키가 많습니다. 추가 되어있는 키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1. 전각/반각/한자 키 (Alt 키와 같이 누르면 한자 키로 인식)
전각과 반각상태변환. (즉 직접입력과 히라가나입력의 전환 기능)
한자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일단은 기능은 전각/반각키와 거의 같은 거 같은데 지금까지 일본어 자판을 써오면서 거의 사용을 해보질 않아서...
2. 카타카나/히라가나/로마자 키 (Alt 키와 같이 누르면 로마자 키로 인식)
말 그대로 카타카나와 히라가나의 입력 전환.
귀찮게 Shift 와 같이 써야 하는 관계로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컴에 따라 Shift 키와 같이 누르면 카타카나 란 식으로 조금씩 다른것같습니다.) 게다가 로마자 키의 경우 로마자 입력(일반적으로 쓰는 로마자로 일본어를 입력하는 형태)과 가나 입력(키보드에 가나가 적혀 있죠? 그걸로 일본어를 입력하는 형태)을 전환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사실 가나 자판을 외우질 못해서 전 안씁니다.(외우기도 싫어요.) 즉 저에게 있어선 거의 무용지물인 키죠. 단, 가나자판을 외우는 순간 일본어 입력 타수가 두배로 증가한다고 하더군요.
3. 무변환 키
전각히라가나, 전각카타카나, 반각카타카나로 차례로 전환.
단 전각/반각/한자 키 등을 이용해서 입력모드가 직접입력 이외의 경우에만 작동합니다. 즉 일본어 입력이 가능한 상태에서 작동한다는 소리죠. 익숙해지면 상당히 편합니다. 특히나 반각카타카나의 경우에는 전각히라가나에서 스페이스바로는 아무리해도 전환이 안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쓰게 되죠.
4. 변환 키
슈퍼울트라하이퍼 키 ^_^
워드, 메모장 등의 프로그램에서 한자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키를 누르면 그 한자를 포함한 단어의 변환메뉴가 열립니다. 메모장 등의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원하는 한자단어 전부를 Shift 키등으로 포커스를 잡을 필요가 있지만 워드는 그럴 필요도 없습니다. 그냥 한자 가운데다 커서 위치시키고 키를 누르면 알아서 어디서 어디까지가 한 단어인지를 판단해서 변환메뉴가 열립니다. 초창기에 한자는 적혀 있는데 일본발음으로 읽는 법을 잘 모를 때 정말 저에게 도움을 주었던 키입니다. 물론 지금도 아리가또~~ 공부를 위해서라도 자주 얘용하는 키 중에 하나. 정말 이 키 하나때문에 한글 윈도우를 안깔고 있습니다.
5. 역슬래쉬/언더바/ろ 키
말그대로 역슬래쉬, 언더바(Shift 와 같이 누를 경우), ろ(가나 입력의 경우) 입력.
6. 키/|/ㅡ 키 (마이너스가 아니라 장음)
역시 말 그대로... 엔 마크, 파이프, ㅡ 입력.
이 이외에는 잘 모르겠네요. 현재 눈앞에 일제 컴밖에 없는지라 생각나는게 이것밖에 없어서...
그리고 아래의 마츠상 님께서 질문 하신것 중에 한글 윈도우에서 전각/반각, 카타카나/히라가나, 변환, 무변환 키 등이 안먹는다고 하셨는데, 아마 안될겁니다. 한글 윈도우는 한글 키보드를 기준으로 하니깐, (102 키보드인가? 104, 106 인가? 잘모르겠네요...)
일본 키보드는 보통 106/108 키입니다. 그 때문에 아마 추가된 키들이 작동이 안되는 걸 겁니다. 만약 키보드 갯수가 같다고 하더라도 키 코드값이 다르던지 뭔가 있지 않을까요? 일반적인 방법으론 자세히 모르겠습니다. 게다가 윈도우를 설치할때 키보드의 종류를 고르는 메뉴같은것도 안나오는거 같던데.
일제컴에 한글 윈도우를 깔고 일본어 입력기를 설치하셔도 제가 알기론 이러한 키들이 추가되지는 않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어찌보면 당연한 것 같기도 하고... 만약 한글자판을 쓰고 있다면 일본어 입력기를 설치했다고해서 없는 키가 생기는건 아니니깐, 그래서 전 일본어 윈도우깔고 언어 설정에 한국어를 추가시켜서 시스템 언어를 한국어로 설정해서 쓰고 있습니다. 오로지 변환 키 하나 때문에... 뭐 원래 한국웹에서 일본한자가 깨지는건 국산컴을 쓰더라도 어쩔 수 없는거고 오히려 실보단 득이 많아서 전 그냥 일본어 윈도우가 편합니다.
다시 돌려보니 정보라고 하긴 그렇고 거의 잡담 수준이네요. 게다가 쓸데없이 길게 적어 대단히 죄송합니다.
그래서 마지막으로 일본어 입력기로 일본어 입력시 초보자분들이 곤란해 하는 부분에 대해 간략히 적겠습니다.
로마자 입력시 つ(tu,tsu), づ(du),
그리고 や(ya), ゃ(xya, lya), 마찬가지로 ゆ(yu), ゅ(xyu, lyu), よ(yo), ょ(xyu, lyu) 등 x나 l을 앞에 추가시키면 됩니다. (ァ, ィ, ゥ, ェ, ォ도 마찬가지.)
검색을 해보지 않아서 같은 정보가 이미 올라와 있는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좋은 정보가 되셨으면 합니다.
ps1. 정보라 하기엔 좀 그래서 그냥 잡담으로 말머리를 바꿨습니다.
ps2. 아, 그리고 설명이 좀 부족한 부분이 있었는데 변환 키의 경우 한자 뿐만이 아니라 일본어 모두 다 적용됩니다. 말보단 한번 해보시면 쉽게 아실 수 있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