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개념
- 관세(Tariff): 수입품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외국 상품의 가격을 인위적으로 높여 자국 산업을 보호하는 목적
- 환율 상승(Depreciation of domestic currency): 자국 통화의 가치가 하락하면서 외화 대비 환율이 높아지는 현상. 수출품은 싸지고 수입품은 비싸짐
2. 이론적 근거: 환율과 관세의 상호작용
📌 관세의 효과
- 수입품 가격 상승 → 수입 감소 → 자국 산업 보호
- 소비자 부담 증가 → 물가 상승 압력
📌 환율 상승의 효과
- 수출품 가격 경쟁력 상승 → 수출 증가
- 수입품 가격 상승 → 수입 감소 → 관세 효과와 유사
따라서 환율 상승은 관세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며, 관세의 일부를 상쇄하거나 대체할 수 있음. 이는 국제무역이론에서 "가격 조정 메커니즘"으로 설명됨.
3. 논문 및 보고서 사례
🧾 자본시장연구원 보고서 (2025)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환율 정책 분석에 따르면, 미국은 관세 인상과 환율 조정을 병행하여 무역적자 개선을 시도함
- 보고서는 환율 조정이 관세 효과를 보완하거나 상쇄할 수 있는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된다고 분석함
🧾 시사저널e 경제 분석 (2025)
- 원화 약세가 수출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지 않고, 오히려 관세 부담과 맞물려 물가 상승과 내수 위축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
- 이는 환율 상승이 관세를 상쇄하기는커녕 부작용을 증폭시킬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함
🔍 요약
환율 상승은 관세의 효과를 일부 상쇄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경제적 수단이지만, 그 효과는 산업 구조, 무역 상대국, 환율 변동성, 정책 대응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특히 수입 원자재 비중이 높은 국가에서는 오히려 물가 상승과 내수 위축이라는 부작용이 클 수 있어요.
(IP보기클릭)22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