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u3147\u3147\u3131","rank":0},{"keyword":"\ubc84\ud29c\ubc84","rank":2},{"keyword":"\ube14\ub8e8\uc544\uce74","rank":-1},{"keyword":"\ud2b8\ub9ad\uceec","rank":-1},{"keyword":"\ub514\uc9c0\ubaac","rank":0},{"keyword":"\uccb4\uc778\uc18c\ub9e8","rank":0},{"keyword":"\uba85\uc870","rank":0},{"keyword":"\ub864","rank":"new"},{"keyword":"\ub9d0\ub538","rank":1},{"keyword":"\uce84\ubcf4\ub514\uc544","rank":-2},{"keyword":"\ub2c8\ucf00","rank":4},{"keyword":"\uc820\ub808\uc2a4","rank":-3},{"keyword":"\uc6d0\uc2e0","rank":-2},{"keyword":"@","rank":-2},{"keyword":"\ub9bc\ubc84\uc2a4","rank":-2},{"keyword":"\uccb4\uc778\uc18c","rank":6},{"keyword":"\uadc0\uba78","rank":1},{"keyword":"\uc6d0\ud53c\uc2a4","rank":-2},{"keyword":"\uc2a4\ud0c0\ub808\uc77c","rank":-5},{"keyword":"\uc720\ud76c\uc655","rank":"new"},{"keyword":"\ucf00\ub370\ud5cc","rank":"new"},{"keyword":"\ub77c\uc624","rank":"new"}]
(IP보기클릭)59.187.***.***
동시대 유럽인들 :
(IP보기클릭)1.235.***.***
서인 주장 이거 완전... "장자도 아니었는데 님이 왕임?" 수준 같은데 ㅋㅋ
(IP보기클릭)59.187.***.***
(IP보기클릭)59.187.***.***
송시열은 수이강 사건 보니까 이새끼가 인간인가 싶더라
(IP보기클릭)175.125.***.***
반면 저렇게 정통성에 타격을 입어도 '왕조' 자체는 멀쩡했다는게 조선이 왕권 자체는 꽤 튼튼했다는 증거긴 함. 해당 왕의 힘이 약해지는거지 '왕조' 자체는 멀쩡했으니... 유럽이었다면 왕조 자체가 위험했지.
(IP보기클릭)112.149.***.***
(IP보기클릭)175.199.***.***
우리쪽 패러디가 너무 불리한뎈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IP보기클릭)211.192.***.***
(IP보기클릭)59.187.***.***
무로미
송시열은 수이강 사건 보니까 이새끼가 인간인가 싶더라 | 25.10.12 20:37 | | |
(IP보기클릭)218.55.***.***
솔직히 숙종이 이걸로 책잡았으면 잡혔음. "그 항복문 인조대왕께서 쓰게 시킨건데 지금 그걸 비난하는거요?" | 25.10.12 20:41 | | |
(IP보기클릭)125.186.***.***
| 25.10.12 20:42 | | |
(IP보기클릭)223.39.***.***
조선이 유교 꼰대 소리 듣는 이유의 70%는 송시열 때문일 듯 | 25.10.12 20:56 | | |
(IP보기클릭)59.187.***.***
아니 그건 꼰대도 아니고 존나 개찌질한 병1신짓임 남의 집 가보로 여길 물건에다 돌려까기로 악플 새겨넣고 뭔소린지 못알아듣고 덕담 ㄱㅅ 하니까 몇년 뒤에 그거 시발 사실 이런 X같은 뜻이야 하고 까발리고 별 미1친새끼인가 싶었음 이런새끼가 지은 시조를 왜 학교에서 배워야되지? 싶은 수준 | 25.10.12 21:07 | | |
(IP보기클릭)59.187.***.***
동시대 유럽인들 :
(IP보기클릭)1.235.***.***
서인 주장 이거 완전... "장자도 아니었는데 님이 왕임?" 수준 같은데 ㅋㅋ
(IP보기클릭)59.187.***.***
Esper Q.LEE
| 25.10.12 20:39 | | |
(IP보기클릭)222.235.***.***
맞음 저게 송시열의 입에서 나온 주장이였음 ㅋㅋ 정태화란 인물이어찌저찌 순화하고 현종이 이를 받아들여서 그때 안죽었을뿐임 ㅋㅋ | 25.10.12 20:40 | | |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211.206.***.***
(IP보기클릭)180.66.***.***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75.125.***.***
반면 저렇게 정통성에 타격을 입어도 '왕조' 자체는 멀쩡했다는게 조선이 왕권 자체는 꽤 튼튼했다는 증거긴 함. 해당 왕의 힘이 약해지는거지 '왕조' 자체는 멀쩡했으니... 유럽이었다면 왕조 자체가 위험했지.
(IP보기클릭)112.149.***.***
(IP보기클릭)175.199.***.***
hangout
우리쪽 패러디가 너무 불리한뎈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25.10.12 20:49 | | |
(IP보기클릭)106.102.***.***
ㅇㅅㅇ 디버프는 인정해줘야함 ㅋㅋㅋ | 25.10.12 21:03 | | |
(IP보기클릭)220.77.***.***
(IP보기클릭)119.207.***.***
(IP보기클릭)211.192.***.***
그만큼 개판도 유럽 왕권보다 강하지 않음? | 25.10.12 20:47 | | |
(IP보기클릭)121.147.***.***
설령 능욕 당한 거여도 다른 국가 같으면 왕조가 끝나고 새 왕조 세우거나 내전 터져서 주장한 세력 중 하나는 아예 멸절 당할 일인데 당사자만 몇 명 죽이고 끝난 점에서 대단한 거임... | 25.10.12 21:06 | | |
(IP보기클릭)121.148.***.***
일단은 말이지... 1. 예송 논쟁이 그 심부를 파해치면 왕권의 정통성 관련 논쟁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적어도 그 이면에서 두드러진 논쟁은 왕은 사대부 위의 존재냐? 아니면 왕은 사대부의 수장이냐? 라는 유학적 논쟁의 다툼이었음 2. 그리고 이건 각자의 학풍에 따라 갈림. 성리학이라는게 사변적 학문처럼 보여도 우리가 그런 것이라 여기는 걸 실용화 하려는 궁리를 많이 했음. 예송논쟁이 이 대표 예시라고 볼 수 있는데 송시열은 서인의 학맥의 정통이고, 서인은 이이의 이기일원론을 따랐음. 이에 따르면 세상의 원리는 단 하나고(사단이든 칠정이든 모두 기가 발하고 이가 타니까) 이에 따라서 왕 역시도 사대부의 일부이므로, 주자가례에 없는 내용이라면 사대부의 예를 따라야 한다는 것이 송시열의 주장. 3. 한편 남인의 학풍은 이기이원론을 따르는 이황의 학풍으로, 이황은 이와 기가 각각 발한다고 주장했음. 이걸 사대부와 왕의 예시로 해석하면 주자가례에 없는 사례라도, 왕의 예시를 어떻게든 준용해서 따라야지, 괜히 사대부의 예시와 왕의 예시를 따로 구분한게 아니다. 라고 주장한 것임 4. 종종 예송논쟁이 국왕 정통성이 사실 메인이라고 주장하지만, 정말로 그런 내용이 메인이었다면, 서인은 죄다 반역도당으로 목이 달아났을 것이고, 이건 서인힘이 세도 어쩔 도리가 없음. 어떤 힘있는 교구에서 ‘예수는 신의 아들이 아니다!’라고 주장하는 급의 미친 소리라서 지지도 못 얻음. 예송논쟁의 이면에서 벌어지는 치열한 싸움의 메인은 국왕 정통성 문제가 아니라 어느 학맥이 제대로 된 해석을 하고 있는가? 였음 5. 다만 분명히 그렇게 들릴 소지가 있었으니까, 아직까지도 그 이면엔 어쩌구 하고 이야기가 도는 것일뿐이고, 실제로 남인하고 서인이 모두 이 문제에 대해서는 일부러 피하고 있었음. 윤선도라는 광인이 대놓고 ‘서인놈들 역도들 아니에요?’ 하고 건드리기 전까지는. 6. 윤선도의 주장이 남인, 서인, 왕 중에 하나라도 먹혀들어갔더라면 그날로 송시열은 거열형에 처해지고 서인은 멸문당했겠지만, 윤선도의 주장은 메인이 되지 않고 예송이 끝났음. 대체로의 반응은 ‘미1친놈아 그걸 왜 건드려!’ 에 가까움. 실제로 귀양간 것도 윤선도임. 7. 이 타이밍중 어떤 타이밍이라도, 현종은 이 정국을 피의 정국으로 바꿀 수 있었음. 그리 하지 않았을 뿐임. 왜인지는 그 다음대의 숙종에서 드러남. 결국 신권이 서로 죽여라 하는 통에 왕권은 강해졌을지 몰라도 유능한 인재들이 정권에 들어오려하지 않고, 들어와도 서로 죽이는 판이 됨. 이런 개판을 굳이 만들 이유는 없음 8.결론: 조선 왕권 존1나 강했다. 가장 왕권이 약했을 경종, 철종 시기에도 왕은 마음에 안드는 세력 날릴 힘 정도는 있었음. | 25.10.12 21:07 | | |
(IP보기클릭)121.148.***.***
왕권 능욕이 뭔지 굳이 조선에서 찾고 싶다면 경종대의 왕세제 임명과정을 보면 됨 진짜 얘는 왕이 맞나 싶을 정도로 수모를 당하고 끌려다녔음 그리고 그런 짓을 한 노론은 삼수의 옥때 죄다 모가지가 날아갔지 조선왕이라는게 그런 존재임 함부로 못 건드려서 음험하게 공략을 해도, 대놓고 명분을 등에 업으면 미친듯이 칼춤출 수 있는 존재임 ‘아니, 명분 있으면 당연히 왕권 휘두르지!’ 하는 사람은 가장 쉬운 예로 삼국지의 조조한테 휘둘리는 헌제나 사마씨가 점령한 조위를 보면 됨. 아내가 권신한테 목이 달아나고 후계자가 암살당하거나 대놓고 죽어도, 저항 못하는게 바로 왕권이 약한거임. | 25.10.12 21:13 | | |
(IP보기클릭)58.232.***.***
(IP보기클릭)211.192.***.***
역사 배울 땐 짜증나서 그럼 ㅋㅋㅋ 지금이 왕조 시대가 아니라 공감도 안 가는데. 얘기가 안 끝난다 사스케 느낌이니 ㅋㅋㅋ | 25.10.12 20:53 | | |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21.129.***.***
(IP보기클릭)118.235.***.***
특) 일본 전국 시대가 전국 노래 자랑 시대인 줄 앎 | 25.10.12 20:56 | | |
(IP보기클릭)106.102.***.***
ㄹㅇㅋㅋ | 25.10.12 21:05 | | |
(IP보기클릭)121.147.***.***
수틀리면 칼침 놓는 새끼들 보다는 말싸움으로 끝내는게 훨씬 문명인 아님? 진짜 뭔 생각으로 일본 전국시대를 띄운건지 모르겠음;;; | 25.10.12 21:07 | | |
(IP보기클릭)220.121.***.***
(IP보기클릭)210.103.***.***
(IP보기클릭)121.148.***.***
ㅇㅇ 사실 숙종의 경우는 너무 근시안적이고 ㅈㄹ맞은 성격으로 조선 사대부들의 견제체제를 개판으로 만든 왕이라 봐야함 이 똥은 지 아들놈 경종 영조 정조가 열심히 치웠어야 했고, 그리고 결국 다 못치워서 순조대에 세조정치가 열렸지(실상 세도정치는 순조가 왕으로서의 직무유기를 한 탓이라 생각하지만) | 25.10.12 21:21 | | |
(IP보기클릭)210.103.***.***
(IP보기클릭)121.148.***.***
위에서 언급한 보론에 가까운데 다 조질 수 있던 현종이 이걸 안건드린건 일단은 현종이 이 싸움의 메인을 정통성문제로 생각하지 않아서인듯 함. 여러 정황상 의심의 소지는 있어도 아마 학맥간의 정통문제 싸움으로 의식했을테고, 송시열의 해석도 그 연장선 - 지가 배운 해석 -대로라, 왕권을 능욕할 의도는 없었다고 생각한 것일 것. 그리고 저 예송기간에 경신대기근이라는 초특급 대재앙이 터진터라, 굳이 일할 노예들의 피의 숙청을 하고 싶지도 않았을테니, 안 건드렸을 것. | 25.10.12 21:18 | | |
(IP보기클릭)210.103.***.***
ㅇㅇ 말 그대로 개긴거 이상 이하도 아니거든 소현세자 후손들은 이미 왕권에서 멀어졌고. | 25.10.12 21:20 | | |
(IP보기클릭)121.148.***.***
아 내 의견은 개긴것 조차도 아닐 것이라는 것. 송시열은 그냥 이기이원론적 사고로 ‘주자가례에 예가 없으면 왕도 사대부니 사대부 예시 따르면 되는거지 뭐.’ 라고 생각한거고, 이게 윤선도의 폭탄덕에 잘못하면 역적으로 몰릴뻔한 거에 가까울거임 이런 주장이 나온 상황에서 송시열이 주장 철회하면 ‘나 사실 그런 역심 품었소.’ 라는 걸 인정해버리는거라 이미 가불기 상황이었다는 거지 사실 거대한 유학자라는 평가를 받았다지만, 개인 일화보면 인간적이고 찌질한 하술한 면모도 종종 보여줘서 저 예송 관련은 역심을 품어서라기보단 걍 큰 고려 없이 내놓은 답에 그대로 자기가 목이 메여버린 꼴이라는 거지 | 25.10.12 21:25 | | |
(IP보기클릭)121.148.***.***
이기이원론이라고 오타났다 이기일원론임! | 25.10.12 21:26 | | |
(IP보기클릭)210.103.***.***
애초에 왕도 사대부라는 그 드립부터가 문제긴 해. 그러니 숙종 때 디졌지 ㅋㅋ | 25.10.12 21:27 | | |
(IP보기클릭)121.148.***.***
이게 ㅋㅋㅋㅋ 사실 서인 전반의 논리다보니 어찌보면 서인이 좀 전반적으로는 왕권에 많이 좀 도전하는 면이 있긴 함 한편으로는 왕이란 사대부의 으뜸이니, 그러니까 왕 노릇을 잘 해라! 우리의 수장이면 우리보다는 훨씬 나아야 하지 않겠냐 라는 느낌으로 채찍질하고 바른말 하는 신하도 많았기도 하고 | 25.10.12 21:29 | | |
(IP보기클릭)220.65.***.***
(IP보기클릭)210.103.***.***
숙종 때 허구한 날 환국하고 경종 때 금위군이 노론의 사병화 된 거 보면 뭐 걍 저시대 특징인 듯. | 25.10.12 21:2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