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인구 9만 쯔음 하는 한적한 시 지역에 산다
어릴 땐 분명 12만 쯔음이었는데 정신을 차리니까 9만 되어있더라
그런데 웃긴게
시내지역은 인구가 더 늘어났다
늘어났다 수준이 아니라 진짜 미친듯이 발전했다
없던 프렌차이즈 막 생기고 좀 트렌디하다고 하는 카페며 수제버거며 존나 생기고 존나 잘 나간다 심지어 스타벅스도 생겼다
원래 시 전체에 고루 분포하던 12만의 숫자가
농촌 지역은 인구가 전부 빠지고 10분지 1도 안 되는 시내지역에 몰려들기 시작한거다
그래서 인구가 줄었는데 발전은 더 해버린 아이러니한 결과가 생겼다
80 90 정도 된 할머니 할아버지들은 이제 밭일도 그만하고 시내에 사는 아들 딸 집에서 놀고
60 70 정도 된 정정한 할머니 할아버지들은 시내에서 살면서 밭에는 포터타고 다니는게 더 편하다는 걸 깨닳아 버린 거다
그래서 전부 시내에 산다
그럼 시내 말고 시골 한 복판에 아직 사는 사람들은 뭔데?
저택을 지었거나, 수천평 시설농사 하고 소를 수백마리 정도 기르는 존나 부자 거나
진짜 죽지 못해 살아가는 존나 가난한 사람
진짜 이렇게 양 극단으로 치우쳐져 있다
여기서 전자는 그냥 차타고 다닌다 제네시스 아우디 밴츠
시골에 진짜 넘쳐난다
이런 사람들은 걱정없다 그냥 시내 나와서 장보고 볼일 보고 들어가거든
하지만 문제는 후자의 사람들이다
이 부류의 사람들은 시내에 살 돈은 커녕 농사를 그만 둘 은퇴 자금도 없는 사람들이다
즉, 소비력도 0에 수렴한다는 거다
이런 경우엔 읍내 마트에 가도 물건 하나 못 산다
계란도 비싸서 못사는데 고기나 신선채소를 살 수나 있을까
결국 하나로마트 이런데 가도 설탕 소금 간장 외에는 소비 조차 안하게 된다는 거다
오히려 거리하고는 상관이 적다고 생각한다
아무리 멀어도 어르신들은 걸을 수만 있으면 5일장 설 때 한 번 씩은 읍내에 꼭 나가시거든
즉, 돈만 있으면 결국 소비는 이루어 질 것이란 말인데...
그 '돈'이 없음...
돈있음→어차피 시내에서 돈 씀
돈없음→어차피 돈 자체를 안 씀
시골 마트→결국 망함
이렇게 된다...
+)추천5 미리 추탭갈
(IP보기클릭)119.192.***.***
재산불균형보다 소득불균형이 훨씬 더 심각하고 시급한 해결과제인 이유.
(IP보기클릭)104.28.***.***
이게 그런 시내가 있는데면 식품사막이 아님 읍내가 파괴되는 동네 이야기야
(IP보기클릭)122.36.***.***
"돈이 하나도 없으면서 돈을 잘 다루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걸로 얘기는 끝이다." "사람들은 나에게 저축을 하라 한다. 기본적인 오락이나 통신 같은 사치를 하지 말고 햄버거 같은 비싼 음식을 먹지 말고 폭스의 뉴스에 의하면 해산물은 거의 다 먹지 말란다." "그런 것들은 나보다 나은 사람들만을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소비할 수 있는 소득을 가진 사람들 말이다." 미국 워킹푸어에 대한 책에서도 읽었는데 결국은 돈이 없으니 이동할 수단이 제약받고, 생계와 건강을 위한 지출도 제약받고, 사먹을 수 있게 되는 품목에 제한되고... 그러다보면 건강이 문제가 되고... 악순환...
(IP보기클릭)118.235.***.***
외국인도 결국 인력사무소 주변에 살기 때문에 결국 시내에서 살거나 최소 읍내에서 살고있음
(IP보기클릭)104.28.***.***
돈이 있어도 제대로 구매하기 어려운 케이스를 식품사막이라고 하거든 본문의 케이스랑은 전혀 다른 케이스임 식품사막은 편도 1시간 이상의 이동이 강제되는 그런 환경을 말하는 단어야
(IP보기클릭)222.104.***.***
우리동네는 외국인들 많아서 옛날보다 좋아졌는뎁
(IP보기클릭)121.176.***.***
글쓴이 사례가 압축도시화 되는 과정이긴 한데 그 울타리 안으로 들어갈 여력이 없는 사람들을 지원하는 정책이 전무하다는게 큰 문제인듯
(IP보기클릭)222.104.***.***
우리동네는 외국인들 많아서 옛날보다 좋아졌는뎁
(IP보기클릭)118.235.***.***
외국인도 결국 인력사무소 주변에 살기 때문에 결국 시내에서 살거나 최소 읍내에서 살고있음 | 25.10.12 12:38 | | |
(IP보기클릭)222.104.***.***
여름되면 외국인들이 직수입했는지 직접길렀는지 모를 기기묘묘한 과일도 팜 | 25.10.12 12:38 | | |
(IP보기클릭)119.192.***.***
재산불균형보다 소득불균형이 훨씬 더 심각하고 시급한 해결과제인 이유.
(IP보기클릭)118.33.***.***
해결하는 것보다 말라죽임을 선택할 미래가 훤히 보여 | 25.10.12 12:43 | | |
(IP보기클릭)106.101.***.***
솔직히 그짓거리 하려면 기업들 목줄쥐고 정치가들 뻘짓하는거 줘패야 하는데 대통령이 아니라 왕이어도 그짓거리 할바엔 그냥 말려죽이기를 선택할거같음 | 25.10.12 12:46 | | |
(IP보기클릭)119.192.***.***
애당초 사람들부터가 소득불균형 해결에 관심이 없어. 소득불균형을 해결하려면 일단 자기연봉부터 깎아야 하거든. 그걸 원하는 사람은 없지. 그러니까 정치가들도 속편한거 어차피 자기들한테 뭐라할 사람이 없음. | 25.10.12 13:02 | | |
(IP보기클릭)104.28.***.***
이게 그런 시내가 있는데면 식품사막이 아님 읍내가 파괴되는 동네 이야기야
(IP보기클릭)140.248.***.***
산간촌이나, 이렇다할 시내가 차로 1시간 거리 이내에 성립이 안 되는 타입의 동네에선 일어나는 중임 | 25.10.12 12:39 | | |
(IP보기클릭)104.28.***.***
이세계 세가사원
돈이 있어도 제대로 구매하기 어려운 케이스를 식품사막이라고 하거든 본문의 케이스랑은 전혀 다른 케이스임 식품사막은 편도 1시간 이상의 이동이 강제되는 그런 환경을 말하는 단어야 | 25.10.12 12:40 | | |
(IP보기클릭)118.235.***.***
그러니까 내 생각인거지 돈이 있으면 사실 식품사막 자체가 없다는 느낌 걍 자차로 나와서 장보고 다닐 수 있거든 소득이 낮을 수록 식품 사막이 더 여실히 느껴지고 또 식품 사막이 아니어도 신선식품이 눈 앞에 널려있어도 구매 할 여력이 없다는 거... | 25.10.12 12:42 | | |
(IP보기클릭)1.176.***.***
하지만 서울놈들은 배가 불러서 차로 1분 걸리는 거리도 식품 사막 취급함. | 25.10.12 12:45 | | |
(IP보기클릭)172.226.***.***
국내 사례 제시해볼게 영주 순흥인데, 이 근처에 부자동네가 있음 인삼이나 대규모 목축, 사과농사 등으로 집집마다 고급차 끄는 동네도 있어 근데 여기는 소수서원까지 나가지 않으면 상점도 없던 게 4-5년 지속됐었음 제대로 된 편의점조차 차로 50분 거리임 왜냐? 편의점이나 상점이 상시로 유치됳정도의 인원은 없고, 쿠팡 등 배송도 산+ 저수지 통과해야하는 특징 상 4-5일에 통합배송 이런식으로 했거든 글램핑장이 생기면서 같이 마트가 생겨서 최근엔 나아졌지만 이런 동네가 있다는 거임 부자여도 답이 안 나오는 단계에 와야 사막화라고 그래 | 25.10.12 12:46 | | |
(IP보기클릭)172.226.***.***
이건 좀 과하긴 한데 근데 이것도 기준엔 들어감 도시설계에서 잘못된 설계인건 맞지 | 25.10.12 12:47 | | |
(IP보기클릭)172.226.***.***
일단 아직도 강원 경북산간지대에는 하나로마트조차 아닌 구판장이 현역인 동네가 있음 잘 살든 못 살든 여기까지 콜드체인을 할 만큼의 절대인원수가 안 나오니까 식품사막이 되어버리는 거야 | 25.10.12 12:50 | | |
(IP보기클릭)211.57.***.***
파주도 나름 꼴에 경기도 수도권 도시라고 하는데도 저런지역이 있음, 시에서 대놓고 관광지로 만들고 캠핑장 만들어서 노리고 식당과 편의점이 들어와서 좀 된거지 대중교통이나 도로사정 생각하면 가까운 24시간 편의점과 마트들은 차타고 30분이상 잡아먹히는 동네가 있음.... 그런지역 동네중 개척동네 같이 귀농희망자들 모여서 만든 부촌 같은데는 아예 마을 카톡등식자재 마트 이런데 가서 단체주문 때려서 배달을 시켜버리더라고 식자재 마트들도 당연히 그런건 구매금액이 커지니까 아예 차를 한대 빼서 배달을 해주더라 | 25.10.12 13:32 | | |
(IP보기클릭)183.104.***.***
(IP보기클릭)106.101.***.***
(IP보기클릭)122.36.***.***
"돈이 하나도 없으면서 돈을 잘 다루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걸로 얘기는 끝이다." "사람들은 나에게 저축을 하라 한다. 기본적인 오락이나 통신 같은 사치를 하지 말고 햄버거 같은 비싼 음식을 먹지 말고 폭스의 뉴스에 의하면 해산물은 거의 다 먹지 말란다." "그런 것들은 나보다 나은 사람들만을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소비할 수 있는 소득을 가진 사람들 말이다." 미국 워킹푸어에 대한 책에서도 읽었는데 결국은 돈이 없으니 이동할 수단이 제약받고, 생계와 건강을 위한 지출도 제약받고, 사먹을 수 있게 되는 품목에 제한되고... 그러다보면 건강이 문제가 되고... 악순환...
(IP보기클릭)211.237.***.***
...햄버거 같은 비싼 음식? | 25.10.12 12:50 | | |
(IP보기클릭)121.175.***.***
(IP보기클릭)121.175.***.***
근데 글쓴이 말대로 깡시골 산다고 식품사막이라고 보긴 힘들긴 함. 보통 차타고 한번에 사오는 편이라. | 25.10.12 12:42 | | |
(IP보기클릭)121.176.***.***
글쓴이 사례가 압축도시화 되는 과정이긴 한데 그 울타리 안으로 들어갈 여력이 없는 사람들을 지원하는 정책이 전무하다는게 큰 문제인듯
(IP보기클릭)14.50.***.***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228.***.***
(IP보기클릭)59.3.***.***
(IP보기클릭)172.226.***.***
하나로마트가 축소되는 동네들이 좀 있고 애초에 들어오지도 못하는 동네도 있음 | 25.10.12 12:48 | | |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211.235.***.***
(IP보기클릭)12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