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ubc84\ud29c\ubc84","rank":2},{"keyword":"\ub514\uc9c0\ubaac","rank":4},{"keyword":"\ube14\ub8e8\uc544\uce74","rank":-1},{"keyword":"\ud2b8\ub9ad\uceec","rank":-3},{"keyword":"\u3147\u3147\u3131","rank":0},{"keyword":"\uba85\uc870","rank":-2},{"keyword":"\uccb4\uc778\uc18c\ub9e8","rank":0},{"keyword":"\ub864","rank":0},{"keyword":"\uc6d0\uc2e0","rank":6},{"keyword":"\uc6d0\ud53c\uc2a4","rank":1},{"keyword":"\uadc0\uba78","rank":11},{"keyword":"\ub9d0\ub538","rank":-3},{"keyword":"@","rank":1},{"keyword":"\ub9bc\ubc84\uc2a4","rank":-4},{"keyword":"\ub9c8\ube44m","rank":1},{"keyword":"\ucf00\ub370\ud5cc","rank":"new"},{"keyword":"\ub2c8\ucf00","rank":-4},{"keyword":"\uccb4\uc778\uc18c","rank":3},{"keyword":"\ub77c\uc624","rank":-2},{"keyword":"\uc2a4\ud0c0\ub808\uc77c","rank":0},{"keyword":"\uc820\ub808\uc2a4","rank":-9},{"keyword":"\uac74\ub2f4","rank":-3}]
(IP보기클릭)118.42.***.***
지금도 워낙 인재가 많다 보니, 그렇게 규제를 쳐하는데도 꽤 괜찮다 싶은 것들이 만들어지더라고 유튜브에서 중국요리나 전통악기 연주하는 유튜브 같은 거 보면 외국인들도 꽤 좋아함. 패권주의 때문에 비토여론이 커서 그렇지 경제력이 올라오니 이제 촌스럽다거나 우스꽝스럽단 인식은 점점 없어지는 거 같음
(IP보기클릭)118.235.***.***
왜겠어
(IP보기클릭)120.142.***.***
이분들이 과거형으로 만드는 업적에 기여했지...
(IP보기클릭)220.74.***.***
아주 대놓고 표현하자면 결국에는 구매력이 올라오거나 점점 해외 문물을 접하면서 그걸 파쿠리 하던 배워가든 자기 변주를 시작하는 단계니까. 단순히 파쿠리 해간거면 그 단계에서는 의외로 성을 안내지. 그냥 상대가 안되는걸 넘어 걍 보이지도 않으니까... 근데 어느 수준을 넘어가면 그때부터는 슬슬 성을 내는거지.
(IP보기클릭)125.134.***.***
고대와 중세의 중국은 정말로 위대했음 ㄹㅇ 근현대의 중국이 아이구...
(IP보기클릭)118.235.***.***
적어도 고구려 벽화를 보면 고구려는 중국 애들이랑은 좀 다르게 입음 백제와 신라는 중국 영향을 받아서 당의 의상 리바이벌 열심히 했다고 하는게 통설로 알고 있음
(IP보기클릭)118.235.***.***
어쨋든 동아시아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강했던건 사실이고 문화 전파 경로 통로 역할을 하던것도 사실이고 근데 복식은 고려때 이미 고려향 금지인거 보면 최소 800년 전부터 달랐던게 확정인데
(IP보기클릭)118.235.***.***
어쨋든 동아시아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강했던건 사실이고 문화 전파 경로 통로 역할을 하던것도 사실이고 근데 복식은 고려때 이미 고려향 금지인거 보면 최소 800년 전부터 달랐던게 확정인데
(IP보기클릭)116.33.***.***
흠 중국의 방직 기술같은게 조선에 많은 영향을 줬다고 유튜브에서 봤는데 틀린 영상이었나. 비단같은거라던가. | 25.10.11 19:56 | | |
(IP보기클릭)118.235.***.***
미키P
적어도 고구려 벽화를 보면 고구려는 중국 애들이랑은 좀 다르게 입음 백제와 신라는 중국 영향을 받아서 당의 의상 리바이벌 열심히 했다고 하는게 통설로 알고 있음 | 25.10.11 19:58 | | |
(IP보기클릭)116.33.***.***
그렇군.. 하긴 걔네 옷 입는거 뭔가 좀 무쌩기긴 했어서 그게 더 나았을 수도 있겠다. | 25.10.11 19:59 | | |
(IP보기클릭)222.237.***.***
애초에 한족들의 복식이랑 우리나라 조상들을 포함한 스키타이 등의 유목민 계통의 의복은 기원 자체가 달랐음 중화권 기준으로 한복들의 복식 체계 이외의 양식을 호복(우리 입장에선 불쾌하지만 오랑캐 옷이란 뜻)이라고 함 본래 한족들은 한나라 즈음가지도 바지를 잘 안 입었음 | 25.10.11 20:28 | | |
(IP보기클릭)49.171.***.***
계통이 좀 다름. 중국 고대 한족은 기본이 상하의 일체형에 띠를 메는 원피스인데 당시 북방 유목민족은 바지를 입어서 기본이 투피스였음. 우리도 그렇고. 그리고 한족옷은 소매깃이 넓은데 유목민족은 좁음, 우리도 그렇고. | 25.10.11 20:38 | | |
(IP보기클릭)106.243.***.***
(IP보기클릭)183.109.***.***
(IP보기클릭)160.249.***.***
...동아시아 한정적으로 말씀하시는 것이지요? | 25.10.11 21:04 | | |
(IP보기클릭)118.235.***.***
왜겠어
(IP보기클릭)120.142.***.***
이분들이 과거형으로 만드는 업적에 기여했지...
(IP보기클릭)118.42.***.***
지금도 워낙 인재가 많다 보니, 그렇게 규제를 쳐하는데도 꽤 괜찮다 싶은 것들이 만들어지더라고 유튜브에서 중국요리나 전통악기 연주하는 유튜브 같은 거 보면 외국인들도 꽤 좋아함. 패권주의 때문에 비토여론이 커서 그렇지 경제력이 올라오니 이제 촌스럽다거나 우스꽝스럽단 인식은 점점 없어지는 거 같음
(IP보기클릭)220.74.***.***
HMS뱅가드
아주 대놓고 표현하자면 결국에는 구매력이 올라오거나 점점 해외 문물을 접하면서 그걸 파쿠리 하던 배워가든 자기 변주를 시작하는 단계니까. 단순히 파쿠리 해간거면 그 단계에서는 의외로 성을 안내지. 그냥 상대가 안되는걸 넘어 걍 보이지도 않으니까... 근데 어느 수준을 넘어가면 그때부터는 슬슬 성을 내는거지. | 25.10.11 20:05 | | |
(IP보기클릭)222.97.***.***
(IP보기클릭)125.134.***.***
고대와 중세의 중국은 정말로 위대했음 ㄹㅇ 근현대의 중국이 아이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