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ubc84\ud29c\ubc84","rank":2},{"keyword":"\ub514\uc9c0\ubaac","rank":4},{"keyword":"\ube14\ub8e8\uc544\uce74","rank":-1},{"keyword":"\ud2b8\ub9ad\uceec","rank":-3},{"keyword":"\u3147\u3147\u3131","rank":0},{"keyword":"\uba85\uc870","rank":-2},{"keyword":"\uccb4\uc778\uc18c\ub9e8","rank":0},{"keyword":"\ub864","rank":0},{"keyword":"\uc6d0\uc2e0","rank":6},{"keyword":"\uc6d0\ud53c\uc2a4","rank":1},{"keyword":"\uadc0\uba78","rank":11},{"keyword":"\ub9d0\ub538","rank":-3},{"keyword":"@","rank":1},{"keyword":"\ub9bc\ubc84\uc2a4","rank":-4},{"keyword":"\ub9c8\ube44m","rank":1},{"keyword":"\ucf00\ub370\ud5cc","rank":"new"},{"keyword":"\ub2c8\ucf00","rank":-4},{"keyword":"\uccb4\uc778\uc18c","rank":3},{"keyword":"\ub77c\uc624","rank":-2},{"keyword":"\uc2a4\ud0c0\ub808\uc77c","rank":0},{"keyword":"\uc820\ub808\uc2a4","rank":-9},{"keyword":"\uac74\ub2f4","rank":-3}]
(IP보기클릭)220.121.***.***
졷된 한국상황이 아니라 졷된 동아시아 상황으로 변경해주세요
(IP보기클릭)118.223.***.***
광어 우럭양식은 끝났네. 참치가 밥상에 국민재료로 올라올때가 되어간다.
(IP보기클릭)1.248.***.***
광어 양식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하는 거로 아는데 거기서도 못 하게 되는 건가?
(IP보기클릭)121.140.***.***
해양열파는 특정 해역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가 5일 이상 지속되는 현상으로, '바다의 폭염'이라고 불립니다. 이는 해양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지구온난화로 인해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해양열파는 산호초 백화, 생물 서식지 변화, 어업 피해 등을 유발하며, 저산소 상태를 초래해 어류 폐사율을 높이기도 합니다.
(IP보기클릭)61.97.***.***
어쩐지 좀 덥더라
(IP보기클릭)119.206.***.***
실례지만 불타고계십니다
(IP보기클릭)27.117.***.***
산호도 다 죽겠네 조졌다
(IP보기클릭)218.235.***.***
(IP보기클릭)121.177.***.***
(IP보기클릭)118.223.***.***
광어 우럭양식은 끝났네. 참치가 밥상에 국민재료로 올라올때가 되어간다.
(IP보기클릭)1.248.***.***
가루부침
광어 양식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하는 거로 아는데 거기서도 못 하게 되는 건가? | 25.10.11 14:56 | | |
(IP보기클릭)118.235.***.***
냉각수 더 뜨거워지면... | 25.10.11 14:58 | | |
(IP보기클릭)118.235.***.***
광어 양식은 바다에서 하는게 아니라 대형 수족관 해놓고 원자력 발전소 냉각수로 하는걸로 아는데 | 25.10.11 14:59 | | |
(IP보기클릭)118.223.***.***
대한민국 광어 양식대부분은 제주,완도부근임. 우럭은 거제통영쪽이고. | 25.10.11 14:59 | | |
(IP보기클릭)211.60.***.***
원자력발전소도 못돌리겠네 | 25.10.11 14:59 | | |
(IP보기클릭)59.14.***.***
왜 원자력 발전소에서 하냐면 '사용이 끝난 냉각수 = 온수' 를 사용하는건데 바다 자체가 끓어오르니 의미가 없지ㅇㅇ 광어고 우럭이고 걍 다 삶아 죽은 바다 수준 될지도 모르고 수온 더 올라가면 바닷물 냉각수로 사용하는 원전조차 정지임 | 25.10.11 14:59 | | |
(IP보기클릭)58.126.***.***
그래 시발 참치회 가격 내려갈때도되었지 | 25.10.11 15:01 | | |
(IP보기클릭)58.126.***.***
원전 정지는 존나 크네. 우리나라 전력 대부분이 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오는건데 그럼 가정은 물론이고 공장들 산업시설들 싹다 정지먹는거잖음. 비상용 발전기 급하게 돌려도 걔들도 은근 기름 많이 먹는애들, 베터리 많이먹는애들이라 한계가 있을건데 | 25.10.11 15:02 | | |
(IP보기클릭)118.235.***.***
원자력 발전소도 바닷물 온도 올라가면 냉각수 역할 못한다고 하전데 | 25.10.11 15:02 | | |
(IP보기클릭)211.119.***.***
그러고보니 원자력발전소 냉각수가 바닷물인데 더뜨거워지면 냉각수로 사용이 힘들려나? 뭐 원전온도에 비하면 5도정도는 티끌도 안될려나 | 25.10.11 15:03 | | |
(IP보기클릭)59.14.***.***
ㅇㅇ 예전에 기사 몇 번 올렸었는데 심지어 한수원에서 '냉각수 사용 온도 한계' 를 걍 자체적으로 올려서 (안전계수 내려가면서) 써 왔던건데 수온 1도인가 2도? 만 더 올라가면 걍 물리적으로 냉각 자체가 불가능해지면서 정지할거라고 되있더라 | 25.10.11 15:04 | | |
(IP보기클릭)59.14.***.***
https://www.khan.co.kr/article/202507300600151/?utm_source=urlCopy&utm_medium=social&utm_campaign=sharing#cb 궁금한 것 같으니 기사 참고하셈 현재 수온 상승주기로는 제일 빠른 원전은 10년으로 보는데 온도 상승주기가 더 가팔라지면 더 빨리 사용 정지되겠지 그래서 아예 내륙에다 해수에 의존 안 하는 원전 건설한단 댓글도 누가 달아줬었는데 그것까진 내가 잘 모르겠음 | 25.10.11 15:09 | | |
(IP보기클릭)58.29.***.***
강에다 짓는 원전도 있는데 한국은 계절에 따른 유량차이가 너무 심해서 강에는 힘들다고 하던가 그럼 | 25.10.11 15:12 | | |
(IP보기클릭)59.14.***.***
그것도 약간 '서울에 원전을 박아라!(농담 50% 진담 50%)' 때문에ㅋㅋㅋㅋㅋ 과학적으로만 따지자면 한강에 건설 자체는 가능하다고 듣긴 함ㅋㅋㅋㅋ | 25.10.11 15:13 | | |
(IP보기클릭)58.29.***.***
옛날에 한강 하류 쪽에 계획이 있긴 했었을걸 | 25.10.11 15:17 | | |
(IP보기클릭)59.14.***.***
그것까진 몰랐는데 솔직히 '원자력 만능주의' 였던 옛날 세계관 생각하면 계획이 없을리가 없었을 것 같긴 했음ㅋㅋㅋㅋ | 25.10.11 15:19 | | |
(IP보기클릭)175.115.***.***
원전은 수백도 되는거 식히는건데 함 5도 올라간다고 무슨 정지여..;; | 25.10.11 15:20 | | |
(IP보기클릭)218.150.***.***
유통업자: ㅎㅎ,,ㅋㅋ,,ㅈㅅ!! | 25.10.11 15:21 | | |
(IP보기클릭)59.14.***.***
본문에선 열파니까 그게 맞긴하지ㅇㅇ 일시적으로 올라가니까 바닷물 수온이 상승하는 건 '쿨러의 성능' 이 떨어지는 거니까 영향이 있음 | 25.10.11 15:22 | | |
(IP보기클릭)58.29.***.***
한국의 원전 계획은 이미 원자력 사고가 다 터질만큼 터지고 난 뒤에 시작된거라 그런 만능주의론적은 아니고 한강 하류쪽도 조건은 만족했는데 수도권지역이라 여기서 터지면 뒷감당 가능? 논리로 탈락했을거임 | 25.10.11 15:23 | | |
(IP보기클릭)143.248.***.***
연료봉이 시간 당 내는 열 총량보다 펌프가 흡입 가능한 시간당 바닷물 최대량의 흡열량이 줄면 문제가 생김. 5도 오르면 그렇게 되는거 아닌가 싶은데 | 25.10.11 15:39 | | |
(IP보기클릭)39.117.***.***
그러면 더 강한 펌프 설치해서 흡열량 늘려야 하나요?? | 25.10.11 15:42 | | |
(IP보기클릭)143.248.***.***
배관이 그를 수용할 수 있는지도 따져야할 듯 싶네요? 냉각 배관의 온도 자체는 크게 변하지 않을 테니 유량을 늘려도 한계는 있을테고요 | 25.10.11 15:44 | | |
(IP보기클릭)143.248.***.***
더 쎈 펌프 = 더 큰 압력이라 배관에 설계보다 무리가 갈거고, 열 흐름이 연료봉 ㅡ 원자로 내부 냉각수 ㅡ 냉각 배관과 열전도 핀 ㅡ 냉각 배관 속 외부 유입 냉각수 (해수) 순이라면 해수 유입량이 늘어도 해수 온도가 높다면 한계가 클것같네요 | 25.10.11 15:47 | | |
(IP보기클릭)180.66.***.***
그건 아니고 , 제어봉을 꼽아넣고 반응을 줄이거나 정 안되면 제일 오래된 연료봉을 그냥 뽑아내는 수도 있다고 함. 제어 불능이 되는것 보다는 나으니까. 물론 아무렇게나 막 뽑을 수 있는것도 아니고 뽑았다고 문제가 다 해결되는건 아님 | 25.10.11 15:50 | | |
(IP보기클릭)49.168.***.***
열교환기 성능을 올리는 쪽으로 가는듯. 심부온도는 어차피 수백도라서 열 빼내는 효율을 개선하면 되긴 되나봄. | 25.10.11 16:46 | | |
(IP보기클릭)220.121.***.***
졷된 한국상황이 아니라 졷된 동아시아 상황으로 변경해주세요
(IP보기클릭)59.19.***.***
그냥 동북아시아는 서로 사이 좋게 멸망 중임 ㄹㅇ | 25.10.11 18:35 | | |
(IP보기클릭)119.206.***.***
실례지만 불타고계십니다
(IP보기클릭)106.102.***.***
한국 : ㅇ?; | 25.10.11 15:02 | | |
(IP보기클릭)61.97.***.***
어쩐지 좀 덥더라
(IP보기클릭)27.117.***.***
산호도 다 죽겠네 조졌다
(IP보기클릭)124.28.***.***
(IP보기클릭)183.102.***.***
(IP보기클릭)112.169.***.***
뽈롱 | 25.10.11 14:59 | | |
(IP보기클릭)58.233.***.***
(IP보기클릭)211.228.***.***
오징어는 난류성 어종이라 괜찮음 오징어씨가 마른건 남획과 돌고래 참치때 러쉬 그리고 중국인 러쉬때문임 오히려 한류성 어종들의 종말을 걱정해야 함 특히 대게 | 25.10.11 17:35 | | |
(IP보기클릭)59.20.***.***
...내 무늬오징어 낚시 실패가 해양열파때문이 아니었다고?! | 25.10.11 20:49 | | |
(IP보기클릭)121.180.***.***
무늬는 살오징어보다 더 따듯한 물에 사는 놈이라 | 25.10.11 21:19 | | |
(IP보기클릭)14.52.***.***
(IP보기클릭)221.154.***.***
(IP보기클릭)182.172.***.***
(IP보기클릭)58.239.***.***
(IP보기클릭)211.234.***.***
(IP보기클릭)121.140.***.***
해양열파는 특정 해역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가 5일 이상 지속되는 현상으로, '바다의 폭염'이라고 불립니다. 이는 해양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지구온난화로 인해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해양열파는 산호초 백화, 생물 서식지 변화, 어업 피해 등을 유발하며, 저산소 상태를 초래해 어류 폐사율을 높이기도 합니다.
(IP보기클릭)182.214.***.***
(IP보기클릭)218.48.***.***
(IP보기클릭)211.235.***.***
(IP보기클릭)121.131.***.***
(IP보기클릭)58.238.***.***
산호 백화 현상...
(IP보기클릭)106.102.***.***
산호 : 으따 시부럴 겁나 뜨겁네 | 25.10.11 15:02 | | |
(IP보기클릭)58.126.***.***
말이 백화지 저거 다 시체가되버린거라메 | 25.10.11 15:04 | | |
(IP보기클릭)117.2.***.***
죽고 석회질만 남은거라든데 | 25.10.11 15:05 | | |
(IP보기클릭)180.66.***.***
ㅇㅇ 뼈대만 남은거라더라. | 25.10.11 15:52 | | |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06.102.***.***
해양 열.파.참. !!! | 25.10.11 15:03 | | |
(IP보기클릭)220.77.***.***
(IP보기클릭)218.209.***.***
(IP보기클릭)211.211.***.***
(IP보기클릭)211.213.***.***
(IP보기클릭)115.8.***.***
(IP보기클릭)222.239.***.***
(IP보기클릭)117.2.***.***
(IP보기클릭)118.235.***.***
지구 온난화로 인해 빙하가 녹음 -> 눈과 얼음에 반사되던 태양열이 바다로 흡수됨 -> 안그래도 온난화라 전체적으로 더움 -> 대부분의 열이 바다로 흡수 | 25.10.11 15:06 | | |
(IP보기클릭)58.239.***.***
온난화가 직접적인 원인이라기 보다는 온난화 때문에 기존 조류들의 변동이 생겨서 찬 곳이 데워지기도 하고 더운 곳이 차가워지기도 하는데 전체 열량 평균 내면 바다 수온이 올라가는 거 | 25.10.11 15:13 | | |
(IP보기클릭)125.240.***.***
덮혀진 바닷물이 차가워진 바닷물과 교환이 되어야 함. 이 해류가 순환이 되어야 하는데 멈춤현상이 있고 느리게 움직이고 암튼 그렇다고 함 | 25.10.11 18:48 | | |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234.***.***
ㅇㅇ 5도 올라가면 김 다 녹아내릴걸 | 25.10.11 15:24 | | |
(IP보기클릭)49.168.***.***
그래서 육지에서 양식하는 쪽으로 연구하고 있나봄 | 25.10.11 16:49 | | |
(IP보기클릭)14.4.***.***
(IP보기클릭)223.39.***.***
(IP보기클릭)116.32.***.***
(IP보기클릭)125.240.***.***
(IP보기클릭)220.79.***.***
(IP보기클릭)211.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