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존-전선이 사라진 우크라이나의 최전방 ]
전선은 사라졌다. 대신 생겨난 거는 '킬존', 500미터에서 6~7km, 때로는 10km까지도 뻗은 지대다. 우크라이나군과 러시아군 참호와 개인호가 뒤섞여 있어, 양측의 공식 발표로는 자신들이 '통제한다'는 영역이다.
우크라이나군 주력과 러시아군 주력 사이의 20~30km 구간은 양측 모두에게 드론으로 관측당하고 포격당하는 회색지대화 되어있다. 이중 적과 가장 가까운 수 킬로미터는 단순한 회색지대가 아닌 '킬존', 장병들이 죽음과 끊임없이 숨바꼭질을 벌이는 영역이다.
* 본문의 정보는 2024년 말부터 2025년 초반의 기간 동안 도네츠크, 하르키우, 자포리자 방면에서 복무한 우크라이나군 하급 지휘관부터 사병까지, 장병 10명과의 심도 있는 인터뷰로 작성되었으나, 여러 지역의 전선은 개별적인 상황이 다르며, 시간에 따라 상황이 변할 수 있습니다.
혼란
전선의 매 부분마다 뒤섞인 진지의 혼란이 팽배하다. 양편 사이의 경계는 시시각각 바뀐다. 여기 부분은 참호선이랑 개인호가, 저기 부분은 불탄 숲이나 건물 잔해가 경계를 나타낸다. 도로에는 격파된 차, 오토바이, 군용차량들이 내팽개쳐 있고, 여기저기 회수하기 너무 위험하단 이유로 내버려진 전사자들이 누워있다. 박살난 민가들에서 나온 석재며 유리조각, 벽돌, 가구, 깨진 접시가 온 사방에 즐비하다. 전쟁이 낳은 위장망 쪼가리, 탄피, 버려진 전투식량 따위도 흩뿌려져 있다.
수백 미터의 철조망, 그리고 덜 눈에 띄는 그물이며 드론의 광섬유 케이블들이 내뻗어 있다.
공격
공격은 도보로, 기어서, 오토바이를 타고, 장갑차량을 타고 이뤄진다. 목표는 상대의 진지를 점령하고 개인호에 숨어들어 반격 포격과 드론 공격에 불구하고 살아남아 눌러앉는 거다. 그럼 후속 대원들이 도착하길 기다렸다가 다음 진지를 향해 움직이거나 상대 후방으로 침투해 들어갈 수 있다. 팀원은 적다 - 다섯 명도 너무 많다. 아군도 적군도 사람 부족한 건 매한가지다.
최신 트렌드는 단열 위장망토를 덮어쓰고 기어가기다. 적들은 낮에 옴짝달싹 안하고 엎드려 있다가, 밤에 최소한의 탄약을 소지한 채 꾸물꾸물 기어간다. 식량과 식수, 보충 탄약은 드론이 지정된 장소에 떨궈준다. 이들은 '킬존'을 며칠 걸려 횡단한 다음 조용히 아군 진지를 향해 수류탄을 던지고 - 화학성분이 포함된 수류탄도 있다 - FPV 드론으로 공격한다. 아군의 드론 운용팀과 박격포반이 최우선 표적들이다.
러시아군은 도보로 달음박질하거나 오토바이 따위의 고기동차량을 이용해 '킬존'을 빠르게 돌파하려는 시도도 한다. 이런 시도는 대개 시계가 제한되는 악천후 속, 미리 계획된 수일 간의 경로를 통해 중간중간 재보급받고 재집결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장갑차량 공세는 이제 극히 적다. 남은 수량도 적고, 장갑차량은 쉽게 격파된다.
땅굴
킬존 전 영역에는 우리 대원들이 홀로 버팅기는 숨겨진 땅굴들이 있다. 적은 이 개인호를 무슨 수를 써서든 찾아내어 격멸하려 든다. 우크라이나군에 남은 보병은 너무나도 적기에, 개인호들은 서로 지원할 수 없을 만큼 먼 간격으로 흩뿌려져 있다.
보병에게 제일 두려운 건 머리 위 활공하는 드론의 소음이다. 개인호는 하늘에서의 공격을 방어하러 지어졌다. 작은 땅굴들은 흔히 수풀로 가려진 급조 구덩이들이며, 보다 큰 굴들은 ㄱ자 모양의 위장된 입구를 마련했다. 2~4제곱미터 면적의 이런 굴에는 보병 1~3명이 들어간다.
이전에 파둔 수백 미터의 참호선은 거의 버려진 채 방치되지만, 일부분은 아군과 적군 모두가 관측진지로 재활용한다. 같은 참호 한쪽 끝에 러시아군이, 반대쪽 끝에 우크라이나군이 숨어들어 있는 경우도 많다.
박살난 마을들에선 아군과 적군 모두가 지하실과 건물 폐허에 숨어든다. 단 한 명의 전투원이라도 살아서 버티는 한, 이 영역은 '우리 땅'으로 지도에 표시된다. 인력 소모를 감당할 수 없는 건 러시아군도 마찬가지라, 한두명이 아직 살아서 저항하는 걸 아는 영역엔 부대를 들이밀기 두려워한다.
후송과 교대
보급과 부상자 후송에는 지상 드론이 투입되기도 한다. 아직 개발 중인 기술이라 문제가 계속 보고되지만, 중요한 보급품 배달을 하거나 중상자를 후송할 때 마지막 도박으로 써보는 경우가 늘고 있다.
개인호의 교대는 이상적으론 며칠에 한번씩은 해줘야 한다. 그렇지만 여기로 숨어들고 다시 나오는 과정은 가장 위험한 과정 중 하나이다. 그래서 한번 굴에 숨어들면 몇주일 동안 계속 버텨야 될 수도 있다. 화장실마저 못 가고 요강을 쓰는 경우도 잦다.
보통 교대는 이렇게 이뤄진다. 주둔지에서 트럭을 타고 굴에서 1~7km 떨어진 지점에 내려주면, 탄약이며 장비, 식량과 식수 등을 짊어진 보병들이 나머지 거리는 걸어서 킬존을 침투한다. 전방 보병의 화기는 소총, 경기관총, 유탄발사기 등이다. 중기관총 같은 고정형 중화기를 운용하기엔 금방 위치가 식별되고 적 화력에 타격될 리스크가 너무 크다.
참호선을 1선, 2선으로 나눠둔 이전의 구분은 이제 무의미하다. 적과 가까운 정도보다도 개별 위치가 얼마나 잘 위장되고 얼마나 깊게 파여 있는가가 더 중요하다.
보급
낮 동안 킬존을 활보하기란 불가능하다. 밤에도 힘든 일이다. 병력 교대, 대피, 보급품 전달, 진지 보강, 지뢰 매설 - 그 어떠한 외부 작업이든 모든게 악천후나 새벽, 해질녘에만 진행된다.
대형 화물 드론들이 식수와 식량(보존식 통조림과 에너지바), 탄약을 10~20kg 중량의 꾸러미로 포장해서 사전에 합의한 장소로 공수한다. 공격드론은 배회하며 적 화물드론을 찾아내고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찾아내려 애쓴다. 화물드론이 보이면 근처 지역 전체가 포병화력으로 찜질당한다.
밤에는 야간투시경과 적색 손전등이 활용된다. 보병들은 드론의 열상을 상대로 제한적인 성능을 보이는 위장망토 차림으로 조심스레 돌아다닌다. 적과 가까우면 소음이 그나마 정숙한 전기차와 전기오토바이도 애용된다.
드론
아군과 적군의 드론들은 킬존 위에 거의 상시적으로 떠있다. 이들은 이상적으론 밀어내기식 교대로 서로를 대체하며 빈틈없이 체공한다. 정찰드론, 공격드론. 수많은 종류의 드론이 하늘을 수놓는다.
광섬유 드론은 올해의 신무기다. 전자전 면역인 이들은 후방에 가서 잠복해 있다가, 적 자산이 보이면 바로 날아올라 공격한다. 땅을 가로지르는 광섬유 케이블이 이들의 흔적이다. 새들이 광섬유에 얽매여 죽기도 한다.
전자전, 대드론장비
전자전팀들은 적 fpv 드론과 정찰드론을 상대로 방어하기 위해 전장에 늘상 배치되어 있다. 원격 무력화도 시도하고 그물망을 쏴서 잡기도 한다. 드론을 잡는 드론도 나왔다.
지뢰
양측 모두 상대의 침투로와 주둔지에서 투입되는 경로를 따라 엄청난 양의 지뢰를 매설한다. 수작업으로, 드론으로, 포병으로도 매설한다. 최근 트렌드는 fpv 드론을 착륙시켜 뒀다가 근처에 지나가면 지뢰처럼 쾅 터트리는 거다. 적 로켓포병은 집속탄으로 광범위한 영역에 원격으로 자탄 지뢰들을 깔기도 한다. 우리에겐 부족한 역량이다.
방어
적군 공세의 저지는 여단이나 대대 차원의 공동대응으로 이뤄진다. 정찰병들은 적을 계속 감시하며 가능한 침투로들을 식별한다. 공병들은 그 경로에 지뢰와 장애물을 깐다. 적이 식별되면 포병과 드론, 그리고 소화기가 적을 공격한다.
아군의 임무는 적이 우리 땅굴들의 소총 사정거리 내로 접근하기 전에 적을 저지하는 것이다. 하지만 아군의 인력부족 탓에 갈수록 많은 침투조를 보내는 적들에게 갈수록 접근을 허용하는 경우가 잦다. 우리 보병의 코앞까지 적이 접근했다면 그 방어작전의 실패를 의미한다.
방어가 성공하려면 충분한 인력이 필요하고, 드론과 포병, 박격포의 탄약이 충분해야 하며, 모든 인원이 숙련되어 서로 원활히 협조해야 한다. 이런 준비를 잘 해주고 서로간의 연계력을 키우는 것이 지휘관의 책무다.
(IP보기클릭)211.203.***.***
현대전이으로 알려진 제공권 장악후 기동부대 투입은 미국전이었다는걸 알려준 우러 전쟁... 결국은 2차대전 참호전의 연장이고 그 참호가 존나 거대해졌을뿐이구만..
(IP보기클릭)70.90.***.***
1차세계대전 참호전보다 더 끔찍하네
(IP보기클릭)211.178.***.***
무슨 로봇 반란 아포칼립스 같네 드론한테 찍히면 죽고 드론으로 보급받고 드론 잡으려고 온힘을 다하고
(IP보기클릭)211.248.***.***
이제 전쟁이 거대한 소모전으로 돌입한 후라 어느 쪽이 오래 버티냐의 문제군요.
(IP보기클릭)133.200.***.***
사실 전쟁초기에 우크라이나에 보급된 후방타격체재를 모스크바같은데 퍼부을 수 있었다면 양상이 많이 달라졌을지도 모름. 근데 나토는 아직 러시아처럼 제정시대로 돌아갈 각오가 없으니까 결국 러시아가 원하는대로 끌려다닐거같음....
(IP보기클릭)175.200.***.***
정확히는 대구경 포병을 못 써먹음 킬존에 들어가기 전에 개인단위로 쪼개지기 때문에 그래서 중포보다 박격포, 그것도 60mm이하의 보급이 절실하다고 함
(IP보기클릭)125.129.***.***
좀 냉정하게 말하자면 미국도 예전 미국이 아니라 어느 정도 체급이 되는 국가랑 소모전 하면 저런꼴 나지 말란 법 없을듯. 미국은 지금같이 드론이 대세가 아닌 시절에 큰 전쟁 없어서 다행일지도.
(IP보기클릭)211.203.***.***
현대전이으로 알려진 제공권 장악후 기동부대 투입은 미국전이었다는걸 알려준 우러 전쟁... 결국은 2차대전 참호전의 연장이고 그 참호가 존나 거대해졌을뿐이구만..
(IP보기클릭)70.90.***.***
1차세계대전 참호전보다 더 끔찍하네
(IP보기클릭)14.50.***.***
적어도 그땐 플라잉 킬러는 없었으니… | 25.10.11 05:52 | | |
(IP보기클릭)211.235.***.***
대신에 겨자가스같은 화학무기가 생겼음. | 25.10.11 05:55 | | |
(IP보기클릭)211.241.***.***
1차대전이 선의 참호전이었다면 저긴 점의 개인호가 뒤죽박죽 혼재한 정글. 참호에서 쥐가나오고 하늘에서 포탄비가 쏟아지고 독가스가 살포되어도 적어도 옆에는 전우가 있고 공격도 다함께 하며 무엇보다 적은 항상 앞에있던게 전통적 참호전임. 근데 이제 그마저도 아닌 철저한 어둠의 정글속에서 살아남기가 되어버렸어. 사방이 적이고 하늘에는 밤에도 대낮같이 살펴보는 눈이 득실거리는데 혼자서 구덩이에 숨어서 들키는 순간 날아다니며 쫓아오는 폭탄들 몰래 살아남아야해. | 25.10.11 06:46 | | |
(IP보기클릭)211.248.***.***
이제 전쟁이 거대한 소모전으로 돌입한 후라 어느 쪽이 오래 버티냐의 문제군요.
(IP보기클릭)39.7.***.***
(IP보기클릭)211.235.***.***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75.200.***.***
국대잉여
정확히는 대구경 포병을 못 써먹음 킬존에 들어가기 전에 개인단위로 쪼개지기 때문에 그래서 중포보다 박격포, 그것도 60mm이하의 보급이 절실하다고 함 | 25.10.11 06:02 | | |
(IP보기클릭)121.160.***.***
ㄹㅇ…지금 양측 다 상대방을 묵직하게 밀어버릴 수단이 없고(우크라이나는 가난하고 공여 받은 무기를 아끼면서 써야 하는 처지, 러시아는 지들 기갑이고 뭐고 멍청하게 다 날림), 러시아군의 기괴한 전술 때문에 보병이 계속 쑤시고 들어오다 보니 드론으로 일일이 잡아야 해서 드론이 저렇게 돌아다니는 상황인데 비디오, 사진 몇 개 본 애들이 현대전은 드론전 어쩌고 해대는 거. | 25.10.11 06:14 | | |
(IP보기클릭)220.123.***.***
폭탄음 분해해서 재반죽해서 드록폭탄으로 만듬 ㅋㅋ 박격포탄도 드론이 들고자폭함 | 25.10.11 09:45 | | |
(IP보기클릭)133.200.***.***
사실 전쟁초기에 우크라이나에 보급된 후방타격체재를 모스크바같은데 퍼부을 수 있었다면 양상이 많이 달라졌을지도 모름. 근데 나토는 아직 러시아처럼 제정시대로 돌아갈 각오가 없으니까 결국 러시아가 원하는대로 끌려다닐거같음....
(IP보기클릭)121.160.***.***
내가 그래서 바이든에게 짜증이 났던 거…상황이 에스컬레이트 되는 거 무서워서(라기 보다는 늙은이가 자기 감당하는 범위에서 일 커지는 거 귀찮아서) 찌질 짜잘 대대급 무장만 연달아 보내다 보니 거기서 승패가 묘연해짐. 40마일 때는 전쟁 극초반이라 별 수 없었지만 그 이후는 바이든이 너무 소극적이라 개판 난 거. | 25.10.11 06:17 | | |
(IP보기클릭)219.255.***.***
미국에게 있어서 우크라이나는 소모품 취급도 못 받은거지 | 25.10.11 08:08 | | |
(IP보기클릭)218.48.***.***
그나마 우크라이나에 반격할 병력이 있었던 초기에 확실히 밀어줬으면 러시아를 압박해서 유리한 조건으로 종전했을지도 모르겠음. 결과론이기는 하지만, 러시아를 지나치게 자극할까봐 방어용 무기만 공급한다던게 우크라의 병력만 소모시키고 늘 하던대로 러시아의 체급으로 버티기가 가능해졌음. 이제는 무기를 뭘 얼마나 퍼주던간에 우크라는 병력부족 때문에 밀고올라가기는 커녕 영토회복도 어려워보임. 한마디로 시기를 놓쳤음. 시기를 놓친걸로 따지자면 3일만에 끝날 전쟁을 보급부족이라는 어이없는 이유로 기갑부대 날려먹은 러시아가 더 심하지만. | 25.10.11 09:08 | | |
(IP보기클릭)121.190.***.***
(IP보기클릭)218.239.***.***
실(광섬유)에 연결되어 있어서 유선 조정이라 전자적 방해를 안 받음 | 25.10.11 06:03 | | |
(IP보기클릭)218.158.***.***
면역맞음. 대부분 대처법이 격추아니면 무선 재밍 방식인데 격추는 소모 재화에비해 이득이 적으니 후자로 많이하는걸로암 근데 유선통신 그것도 광섬유로 컨트롤해버리면 재밍이 안됨. Emp터트리는 수밖에없음 | 25.10.11 06:03 | | |
(IP보기클릭)175.200.***.***
말 그대로임 전파교란을 사용하는 대드론체계는 모두 면역 대신 광섬유라 항속거리가 짧고 장애물에 걸려서 끊어지는 경우도 많음 | 25.10.11 06:04 | | |
(IP보기클릭)221.167.***.***
무선이 아니라 유선이라 교란신호같은거 안통하고 신호막는것도 안통하고 | 25.10.11 06:04 | | |
(IP보기클릭)125.129.***.***
무선 드론이면 재밍에 취약하니까 광섬유로 길게 연결된 드론이 대세가 되었다는 뜻임. 실제로 해당 전선에는 수많은 광섬유로 땅이 덮일 지경이라고 하고. | 25.10.11 06:06 | | |
(IP보기클릭)121.190.***.***
그냥 유선조종이라 그런쪽에 면역이란 소리였구나 너무 복잡하게 생각했네 감사 | 25.10.11 06:06 | | |
(IP보기클릭)121.160.***.***
재밍을 걸면 신호가 차단되서 드론이 못 떴었는데…유선 광신호 제어 방식 드론을 쓰니 그걸 뚫고 올라서 그게 보병 개개인 수준에서 막기가 너무 힘든 거. | 25.10.11 06:19 | | |
(IP보기클릭)121.160.***.***
근데 생각 보다 멀리 가더라. 그리고 ㅈ 같은 건 러시아 넘들은 그걸 민간인들에게 쓰고 있다는 거. | 25.10.11 06:20 | | |
(IP보기클릭)117.111.***.***
장애물 걸리면 찢어져서 요즘 트렌드가 적이 이용하는 도로 주변에 앉아있다가 차량이 근처에 오면 튀어올라 공격하는게 되었음 | 25.10.11 06:29 | | |
(IP보기클릭)211.178.***.***
무슨 로봇 반란 아포칼립스 같네 드론한테 찍히면 죽고 드론으로 보급받고 드론 잡으려고 온힘을 다하고
(IP보기클릭)211.235.***.***
(IP보기클릭)221.167.***.***
(IP보기클릭)121.160.***.***
유럽에서 제일 가난한 나라 vs. 세계에서 제일 부패한 강국이 붙은 마당에 나토의 지원이 소극적이다 보니 저런 전장이 된 거. | 25.10.11 06:21 | | |
(IP보기클릭)122.35.***.***
(IP보기클릭)61.79.***.***
일개 보병중대 규모에서 딸깍 항공정찰이 가능해지니 아주... | 25.10.11 06:11 | | |
(IP보기클릭)121.160.***.***
그야말로 옵저버가 여기저기 클록킹 되어 있다가 이게 자폭 돌격까지 해대서 피곤한 상황이 된 거 | 25.10.11 06:21 | | |
(IP보기클릭)119.193.***.***
(IP보기클릭)125.129.***.***
사나에
좀 냉정하게 말하자면 미국도 예전 미국이 아니라 어느 정도 체급이 되는 국가랑 소모전 하면 저런꼴 나지 말란 법 없을듯. 미국은 지금같이 드론이 대세가 아닌 시절에 큰 전쟁 없어서 다행일지도. | 25.10.11 06:07 | | |
(IP보기클릭)121.160.***.***
트럼프가 그걸 어여삐 여겨서 미국의 경제와 군 구조를 무너트리고 있지. 비즈니스가 페어 챈스가 있어야 하듯…전쟁도… | 25.10.11 06:23 | | |
(IP보기클릭)175.223.***.***
(IP보기클릭)49.173.***.***
(IP보기클릭)49.173.***.***
(IP보기클릭)121.160.***.***
우크라이나 입장에서는 그나마 다행인게 러시아가 워낙 멍청하게 아무 의미 없이 인간을 소모 시켜서 스스로 출혈을 하고 있다는 거. | 25.10.11 06:24 | | |
(IP보기클릭)118.235.***.***
서방은 위선자들이라 무기를 공급해줄 배포가 없고 러시아는 강력한 제재로 2차대전식 소모전을 할 자원과 능력이 없고 | 25.10.11 06:25 | | |
(IP보기클릭)118.235.***.***
인간도 물론이거니와 강력한 국제제재로 소모한 무기나 자원을 복구하는게 현저히 저하됐다고 하더라 게다가 체급도 우클라보다 훨씬 크다보니 그런 소모전에서 타격이 훨씬 크고 | 25.10.11 06:27 | | |
(IP보기클릭)121.160.***.***
며칠 전에 그 터미네이터인지 뭔지 하는 다연장 체계 우랄바곤자보드에서 생산돼 나가는 거 영상 올리오던데…한 5대 나오는 거 어떻게건 수십대로 보일려고 발악을 하더만… | 25.10.11 06:29 | | |
(IP보기클릭)117.111.***.***
문제는 우크라이나도 장성급은 소련시절부터 군생활 시작한 사람이 많아서 인명경시사상 가지고 있다는거임. 우크라이나 최근 많이 밀린게 아무 의미 없는 바하무트에서 소모전 무리하게 했고 전세가 유리한 시점에 잃어버린 땅 되찾겠다고 대전차 지뢰와 대전차 장애물 그리고 참호로 방어가 잘 되어있는 곳으로 무리하게 공세를 했다가 인력이 갈려서 그래. 러시아는 북한 쿠바 그리고 세계 각지에서 용병으로 인력 충당하는데 우크라이나는 그게 안되니.. | 25.10.11 06:37 | | |
(IP보기클릭)121.160.***.***
아니 분명 그런 문제는 있는데, 바흐무트에 집착한 건 젤렌스키가 오판을 내린 게 더 커. 아무래도 우리가 잘 싸우고 있다는 걸 보여줘야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처지다 보니 뭔가 상징적이고 “그림이 나오는“ 목표를 우선시 한 거. | 25.10.11 06:55 | | |
(IP보기클릭)117.111.***.***
내 요점은 우크라군 역시 젤렌스키 포함해서 상급 군지휘관에 인명경시사상이 있다는거임. 물론 나토 등 서방측 군사고문이 있을테니 러시아보다는 약하지만 | 25.10.11 06:58 | | |
(IP보기클릭)14.37.***.***
(IP보기클릭)125.139.***.***
(IP보기클릭)222.237.***.***
(IP보기클릭)222.102.***.***
(IP보기클릭)211.234.***.***
(IP보기클릭)61.101.***.***
(IP보기클릭)59.4.***.***
(IP보기클릭)14.36.***.***
(IP보기클릭)106.249.***.***
(IP보기클릭)211.46.***.***
이미 '미국전'식의 전술도 안통함. 이제 미쿤의 참모들은 기존에 미쿤이 잘나가던 시절의 지식 말고, 새로운 군사전략을 세워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