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RG 1/144 윙 건담 제로의 리뷰를 소개합니다!
RG 윙 건담 제로는, 『신기동전기 건담 W』에 등장하는 MS 「XXXG-00W0 윙 건담 제로」의 1/144 스케일 모델 키트입니다. 압도적인 기동성, 비행 능력이 핵이 되는 윙 바인더에 RG 특유의 오리지널 기믹 탑재. 파츠 재조합에 의한 네오 버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한 외, 고관절의 스윙 축, 허리의 가동 기믹에 의해 유연한 포징이 가능하게 되어 있습니다. 오리지널 기믹 탑재의 트윈 버스터 라이플, 실드도 부속. 가격은 4,620엔 (세금 포함)입니다.
톨기스를 개발한 과학자들이 고성능만을 추구해 설계한 제로 시스템 탑재기로 극중에서는 히이로 유이 등이 탑승. 메리크리우스나 건담 에피온과 교전한 것 외, 최종 국면에서 리브라 완전 파괴에도 진력한 기체 「XXXG-00W0 윙 건담 제로」가 RG로 키트화.
2014년 12월에 EW판 윙 제로가 발매되어 있지만, 특별히 유용은 없습니다. 윙 바인더를 지닌 TV판 윙 제로의 특징적인 기체 형상이 완전 신규 조형으로 재현되어 있습니다.
성형색은 화이트와 그레이를 기조로 블루, 레드, 옐로우를 배색한 건담 컬러. 그 외, 머리 센서나 흉부 서치 아이가 클리어 그린, 내부나 관절이 다크 그레이 성형색으로 재현되어 있습니다.
일부 그레이, 내부와 관절, 무장류의 다크 그레이 성형색 파츠는 KPS 소재로 재현되어 있습니다. ABS는 미사용.
내부 파츠의 일부, 외장 파츠의 대부분은 언더 게이트 사양. 게이트 흔적이 노출되지 않고, 외관이 좋은 마무리가 되도록 배려되어 있습니다.
폴리캡도 미사용. 팔꿈치와 무릎 관절은 KPS 파츠 구성으로 관절 강도는 그럭저럭 높음. 등부에 윙 바인더를 장비하고 있기 때문에 뒤쪽에 부하가 걸리지만, 잘 밸런스를 조정하면 자립은 가능합니다.
■ 부속품
트윈 버스터 라이플, 실드, 빔 사벨 날 × 2, 핸드 파츠 (편손: 좌우, 주먹: 좌우, 무기 드는 손: 좌우)가 부속.
전용 리얼리스틱 데칼이 부속됩니다.
■ 내부 프레임
허벅지와 손목 이외의 전신 각부에는 KPS 파츠에 의한 내부 프레임이 조형. 등부 윙도 프레임 구조로 제작에 고집이 느껴집니다. 조금 불안정하지만 윙 있는 프레임 상태에서도 일단 자립은 가능합니다.
머리 내부 프레임은 기부와 센서만의 간이적인 구조입니다. 트윈 아이는 파츠 깔끔하게 색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가조립으로도 충분하고, 도색하는 경우에도 편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동체부도 특별히 실루엣에 따른 형태가 아니고, 기부적인 부분만이 조형되어 있습니다. 서치 아이 내부는 실버의 파츠로 메카니컬하게 조형. 중심부에는 그린 씰을 붙이게 되어 있습니다.
팔 내부 프레임. 전체적으로 늘씬하지만 숄더 아머까지 프레임이 조형되어 있습니다. 손목은 외장 파츠를 사용한 구조.
다리 내부 프레임은 밑창 이외, 실루엣에 따른 구조. 다만 허벅지는 외장 파츠를 섞은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백팩 내부 프레임은 좌우로의 스윙 기구 뿐인 간이적인 구조입니다.
윙의 내부 프레임. 외장으로 거의 보이지 않는 곳에도 꽤 치밀하고 메카니컬한 몰드가 조형되어 있습니다. 프레임 그대로 장식해둬도 충분할 정도의 구조.
프레임 상태에서 윙을 전개. 내부 슬러스터도 프레임이 메카니컬하게 조형되어 있어 치밀. 구조가 굉장하네요.
■ 각부 형상
우선은 등부 백팩을 분리한 상태로 전신에서. 이후, 각부는 HGAC 윙 건담 제로와 비교하면서 살펴보겠습니다.
■ 머리
머리는 윙 건담 특유의 좌우 날개와 중앙에 집약된 4개 안테나가 히로익하게 조형. 섬세한 몰드로 메카메카스러움도 내면서, 다잡히고 늠름한 표정으로 조형되어 있습니다.
메트부는 좌우의 조합이지만, 뒤통수 중앙의 접합선은 단락 몰드화.
■ 동체부
흉부・복부. HG에 비해 가로 폭이 있어, 조금 탄탄하면서도 밸런스가 좋은 프로포션으로 조형되어 있습니다. 흉부 중앙에는 정번의 정보 수집 기기 「서치 아이」도 장비.
어깨 장갑은 전개 가능. 내부도 포신 부분을 전개하는 것으로 머신 캐논 발사 태세를 재현할 수 있습니다. 목은 전후로 스윙 가능. 어깨도 조금 전방으로 전개할 수 있습니다. 하얀 장갑 안쪽에도 몰드가 디자인되는 등 구조가 세밀합니다.
흉부 아래의 인테이크 커버는 전개 가능. 섬세한 가동 기믹도 충실하게 재현되어 있습니다. 복부 콕피트 해치도 개폐 가능. 다만 내부에 콕피트 등은 조형되어 있지 않고, 간단한 몰드 뿐. 하지만 작은 바디 안에 다수의 기믹이 집약되어 있는 것이 좋네요.
흉부는 확실히 젖힐 수 있습니다. 클리어 그린의 파츠는 형광 소재로 블랙 라이트 (UV 라이트)에 반응. 선명하게 발광합니다.
허리. 이 쪽도 HG에 비해 정보량이 많아, 일부 몰드나 장갑은 그레이의 파츠로 세밀하게 색분할되어 있습니다. 세로로 긴 사이드, 리어 아머도 특징적이고 존재감이 있습니다.
허리 아머 뒷면은 각부 모두 메카니컬한 뒷받침 파츠가 조형. 외장의 앵커 구멍이 그대로 노출되므로, 앵커 끝을 실버나 메탈릭 그레이 등으로 도색 분할하면 좋을지도. 프런트 아머에는 가동 기믹이 있어 좌우로 스윙시킬 수 있습니다.
네오 버드 형태로의 변형용으로 사이드 아머는 인출이 가능. 리어 아머도 폭넓게 전개시킬 수 있습니다.
고간부에는 상하로의 슬라이드 기믹이 있어, 슬라이드시키는 것으로 다리의 가동성을 넓힐 수 있습니다. 파츠로 락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분해되는 일은 없습니다.
기부 ( 적색 ◯ )를 중심으로 다리의 기저를 좌우로 롤시킬 수도 있습니다.
■ 팔
팔. 디자인은 HG와 매우 비슷하지만, 전체적으로 탄력이 기능하고 있고 스타일리시. 조형적으로도 세밀하게 구조가 세심합니다. 어깨 전후의 원형 몰드도 파츠로 색분할되어 있어 색분할 재현도도 높네요.
상완은 원통형 파츠 구성으로 접합선은 없음. 전완도 프레임에 다수 파츠를 씌우는 구조로 접합선은 없습니다. 전완의 틈새 몰드도 내부 프레임과의 조화로 깔끔하게 색분할되어 있습니다. 전완은 롤 가능.
숄더 아머도 당연히 접합선이 나오지 않는 파츠 구성. 측면의 그레이의 장갑은 상하로 가동하며, 내부의 소형 버니어도 전개할 수 있습니다.
상단의 하얀 장갑을 전개하는 것으로 사벨 자루를 사출 가능. 빔 날을 조합하여 무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 외 붉은 장갑도 전개 가능.
또한 네오 버드 형태용으로 바깥쪽으로 끌어내릴 수도 있습니다. 어깨 내부는 각부에 가동 기믹이 집약되어 있습니다.
■ 다리
다리. 매시브감 있는 포름으로, 또한 각부 장갑이 그레이 파츠로 메카니컬하게 색분할되어 있습니다. 정보량이 많아 각부의 구조가 섬세. RG다운 리얼한 디테일이 재현되어 있습니다.
허벅지는 전면과 좌우의 조합이지만, 전후로 나오는 접합선은 단락 몰드화.
무릎을 구부리면 무릎 주위의 장갑이 분할. 허벅지의 슬라이드 전개는 없지만, 무릎부터 아래의 장갑도 가동에 맞춰 전개하기 때문에, 보다 깊게 구부릴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다리의 기저는 롤이나 상하 등 플렉시블하게 가동하는 구조. 각부 모두 열쇠형 앵커 접속이므로, 무리하게 뽑아 파손시키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허벅지는 네오 버드 형태용으로 무릎 장갑이 분할해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고, 무릎부터 아래의 장갑도 전후로 폭넓게 전개 가능. 내부까지 세밀하게 가동하게 되어 있어 볼 만합니다. 안쪽의 프레임이 슬라이드되고, 전후의 앵클 아머도 개별적으로 가동.
밑창. 심플한 하이힐형이지만, 발바닥은 내부 프레임과의 조화로 세밀하게 색분할되어 있습니다. 발끝은 깊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
발목을 반전시켜 발뒤꿈치를 여는 것으로 네오 버드 형태용으로 글러스터가 전개되고, 발끝 쪽은 다리 내부에 수납할 수도 있습니다.
■ 백팩
등부 좌우에는 대형으로 폭이 있는 윙을 장비. 백팩 기부는 심플한 각형 타입이지만 적당한 존재감이 있습니다. 조형 밸런스도 더할 나위없음.
백팩 기부. 윙용의 조인트는 좌우로 가동합니다. 하단 버니어는 상하로 가동. 내부도 슬릿 몰드가 세밀하게 조형되어 있습니다. 버니어 기부와 버니어는 개별 파츠화되어 있기 때문에, 도색 분할하면 버니어 내부도 맞춰 색분할되므로 효율적.
백팩은 T형 앵커에 꽂고, 아래로 슬라이드시켜 조립합니다. 또한 외장 파츠를 씌우는 것으로 락 ( 적색 ◯ )이 걸리는 2중 락 구조로 전혀 빠지지 않는 사양으로 되어 있습니다.
윙 건담의 상징이라고도 할 수있는 대형 윙 유닛. 아포지는 내부 프레임 파츠와의 조화로 깔끔하게 색분할되어 있고, 장갑도 파츠에 의해 색분할되어 있습니다.
윙은 외장 내부에도 깔끔한 몰드가 조형되어 있습니다. 고집이 느껴지는 구조로, 2장 윙을 조합하도록 배치되어 있습니다. 상하에는 틈이 생기게 되어 있습니다.
윙은 다수 파츠를 조합한 암에 의해 전개 가능. 내부에는 몰드가 치밀하게 조형되어, 프레임과의 조화로 메카니컬함도 강하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조합용의 원형 앵커나 - 앵커는 건담 마커 등으로 도색 분할하면 위화감이 사라져 좋을 것 같습니다.
암은 상당히 유연하게 가동하므로 윙을 상하로 롤시키거나 좌우로 전개하거나 상당히 유연하게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내부의 슬러스터 유닛도 메카니컬하게 조형.
상단에는 HG에는 없는 사벨 자루, 혹은 빔포와 같은 것이 조형되어 있습니다.
뒷부분 버니어는 기부의 레버를 슬라이드시키는 것으로, 4장의 핀이 전개. 중앙 버니어도 앞으로 끌려나오게 되어 있습니다.
백팩의 가동 기믹에 의해 윙은 좌우로 전개 가능.
윙 기부의 가동 기믹에 의해 상하로도 스윙합니다. 좌우로의 롤도 가능.
날개를 개별적으로 전개하면 다이나믹한 비행 씬도 재현할 수 있습니다.
■ 다른 키트와의 비교
HGUC RX-78-2 건담 (리바이브판), HGUC ν 건담(판넬 없음)과 나란히 크기를 확인. AC 시리즈의 키트는 전체적으로 몸집이 작기 때문에, 이 윙 제로도 RX-78-2와 동등 정도로 약간 몸집이 작습니다. 윙 제로의 두정고는 16.7m라는 설정.
HGAC 윙 건담 제로와 나란히 비교. 프로포션에 그렇게 차이는 없는 것 같지만, RG이므로 정보량이나 치밀함은 현격하게 다르며, 샤프함 등도 꽤 다릅니다. 윙의 크기도 상당히 다릅니다.
티타늄 마감 버전이지만 RG 윙 건담 제로 EW와 나란히. 동일 기체라고 하는 설정이지만 디자인은 완전히 다릅니다. EW판의 윙 제로 (2014년 12월 발매)는 10년 전에 발매된 키트므로, 슬슬 Ver.2.0의 키트화도 있을까 하여・・・
RG 윙 건담, RG 윙 건담 EW와 나란히. 이번 윙 제로는 KPS 구조로 윙 건담과 동일. 하지만 윙 건담 모두 발매일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더욱 퀄리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극중에서 격렬한 전투를 펼친 RG 건담 에피온과 나란히. 에피온은 2023년 10월과 비교적 최근의 키트이므로 조합해도 특별한 위화감은 없습니다. 이번 RG 윙 제로와 마찬가지로 KPS 내부 프레임으로 구조가 탄탄하고 극중의 기체가 완성도가 높은 포멧으로 입체화되는 것은 기쁘네요.
■ 각부 가동성
목의 가동 기믹에 의해 머리를 폭넓게 상하시킬 수 있습니다. 좌우로도 간섭 없이 스윙 가능. 어깨 장갑과도 전혀 간섭하지 않습니다.
팔은 꽤 높게 올릴 수 있습니다. 숄더 아머도 거의 간섭하지 않고. 팔꿈치도 2중 관절로 깊게 구부릴 수 있습니다.
어깨는 전후 모두 넓게 스윙시키는 것이 가능. 볼 조인트 축을 조금 당기거나 어깨 아머를 바깥쪽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으로 간섭을 피할 수 있습니다. 전방으로는 어깨의 전개 기믹으로 더욱 넓게 스윙합니다.
복부 가동 기믹으로 상반신을 적당히 기울일 수 있습니다.
허리는 전혀 간섭 없이 360도 회전 가능. 띄워서 디스플레이 시키는 경우에는, 백팩, 혹은 리어 아머의 해치를 전개해 액션 베이스나 스탠드의 3.0mm 축을 꽂습니다.
전후 다리 가동은 리어 아머가 간섭하기 때문에 조금 뒤쪽으로의 전개가 제한되지만, 그래도 고간부의 슬라이드 가막에 의해 어느 정도 간섭을 피할 수 있고 넓게 전개할 수 있습니다.
무릎도 가동 기믹에 의해 깊게 구부릴 수 있습니다.
발목은 전후로는 그다지 넓게 가동하지 않지만, 좌우로는 그럭저럭 넓게 가동합니다.
좌우로의 다리 가동은 폭넓게 전개 가능.
허벅지 안쪽으로는 조금 제한되지만, 그럭저럭 넓게 가동. 허벅지 바깥쪽으로는 수평 정도까지 넓게 가동합니다.
무릎 세우기도 깔끔한 자세로 재현할 수 있었습니다.
가동성의 총괄으로서는, 각부의 세밀한 가동 기믹에 의해 모든 부위가 폭넓게 가동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특별히 간섭으로 제한되는 부분이 거의 없기 때문에, 어떤 포즈라도 유연하게 대응해 줄 듯. 퀄리티의 높이를 또렷하게 보여주네요.
■ 무장류
트윈 버스터 라이플. 윙 건담 제로의 주병장입니다. 2정의 버스터 라이플을 접속하는 것으로 2연장으로의 사용이 가능. 화상은 한 쪽만 촬영하고 있습니다.
그레이를 기조로 한 컬러링으로 부분적인 옐로우 라인 장갑이나 측면의 발칸구? 가 특징적으로 조형. 각부 모두 파츠로 세밀하게 색분할되어 있습니다.
뒷부분 장갑은 좌우의 조합이지만, 상하의 접합선은 몰드처럼 조형.
포신은 신축이 가능. 슬라이드 끝에서 찰칵하고 락이 걸리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닫히는 일은 없습니다.
총구는 개별 파츠화되어 있으므로 도색 분할해도 좋을 듯. 그립은 수납할 수 있고, 측면의 리브도 2정 연결용으로 세울 수 있습니다.
안쪽의 조인트나 리브는 조합을 고려해 형상이나 위치가 대칭으로 되어 있습니다.
2정 연결 상태에서.
실드. 건다늄 합금의 실드로, 네오 버드 형태시에는 기수로서 기능합니다. 뒷면은 제대로 뒷받침 파츠가 조형되어 있어 치프 (싸구려)스러운 느낌은 전혀 없습니다.
선단 부분은 신축 가능. 좌우의 노란 윙도 연동하여 수납할 수 있어 타돌 무장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리어 그린의 센서 부분은 서치 아이 등과 마찬가지로 형광 클리어 그린으로 UV 라이트에 반응하여 발광합니다.
좌우의 조인트는 네오 버드 형태용으로 전개 가능. 팔로의 접속용 조인트는 상하나 롤 등 플렉시블하게 가동합니다. 이 쪽은 열쇠형 앵커 접속으로 빠지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 포징
대강 무장하고.
버스터 라이플은 부속된 주먹에 그립을 꽂아서 유지합니다. 그립은 파츠 분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분해될 걱정이 없는 것과, 앵커 끝에 락 기구가 있기 때문에, 확실히 꽂는 것으로 손목이 락되어 처지기 않게 되어 있습니다. 이 근처의 유지하기 쉬운 구조도 배려가 있어 좋네요.
버스터 라이플은 대형이며 존재감이 굉장합니다. 그럭저럭 무게가 있기 때문에 약간 어깨가 처지기 쉽지만, 어깨 볼 조인트를 제대로 밀어넣는 것으로 어느 정도의 무게에는 견딜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약함이 신경 쓰이는 경우에는 보강하는 등 하는 것이 좋을지도 모르겠네요.
라이플을 분할하고 한 손으로 보유시키는 경우에는 경량이므로 어깨가 처지는 걱정은 없습니다.
비행 포즈를 재현하는 경우, 조인트 구멍이등부에 있기 때문에 약간 낮은 위치에서 디스플레이하게 됩니다. 그래서 신경이 쓰이는 경우에는 긴 암을 사용하든가, 조인트 파츠를 물려 각도를 바꾸는 등이 필요할 듯.
그것과 리어 아머는 일단 락이 있지만 변형 기구용으로 가동하기 때문에, 스탠드의 지주를 조합하고 있으면 각도가 바뀌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백팩의 조인트 구멍을 사용하는 쪽이 디스플레이는 안정됩니다.
각부 모두 어쨌든 잘 움직이므로, 보다 자연스럽고 역동감 있는 움직임을 더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간부의 가동이 유연하기 때문에, 보다 유연한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 좋네요.
실드는 전완에 조립하여 장비합니다. 굵은 각형 앵커를 깊게 꽂기 때문에, 제대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
전완이 롤하므로 간섭도 피할 수 있고, 전면을 덮어 공격을 막는 듯한 포즈도 어렵지 않게 재현할 수 있습니다.
다리의 기저에 가동 기믹이 있기 때문에 다리를 모은 상태에서의 비상 포즈도 아름답고 충실하게 재현할 수 있습니다.
어깨 머신 캐논을 전개하고.
빔 사벨을 장비하고. 사벨 자루도 적당히 굵기가 있기 때문에, 핸드 파츠에 빈틈없이 제대로 꽂아 유지시킬 수 있습니다. 다만 강도가 있기 때문에, 도색한 경우에는 긁힘에 의한 도색 벗겨짐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빔 날도 형광 클리어 그린 성형색이므로, 블랙 라이트로 비추면 선명하게 발광합니다.
윙을 전개하면 포즈에 꽤 박력이 나옵니다. 슬러스터구도 전개시키는 것으로, 보다 스피드감 있는 움직임이 표현 가능. 날개 안쪽의 몰드도 세밀하게 조형되어 있기 때문에, 등부로부터의 뷰는 상당히 장관적인 전망이 됩니다.
■ 네오 버드 형태
네오 버드 형태로의 변형은 먼저 머리를 반전시키고 사이드 아머와 리어 아머를 끌어냅니다.
그리고 하반신을 반전시켜 리어 아머를 위쪽으로 고정. 프론트와 사이드 아머는 비스듬하게 기울이고 고간부를 늘립니다.
숄더 아머는 바깥쪽으로 인출해서 내리고 다리는 각부를 가동하고 접어 형태를 변화시킵니다.
윙은 좌우로 열고 유닛의 기부를 90도 바꿉니다.
실드는 좌우의 조인트를 전개해, 그립을 수납하고 리브를 전개한 버스터 라이플을 조합합니다.
마지막으로 조합한 실드를 등부에 조합하면 네오 버드 형태로의 변형 완료입니다.
네오 버드 형태. 윙 건담 제로의 고속 순항 모드라고도 할 수 있는 형태로, MS 형태 이상의 고속 또한 장거리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습니다. 대기권 내외에서의 단독 비행 능력과 비옵션으로 대기권 재돌입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
네오 버드 형태를 다양한 각도에서. 기본적으로는 심플한 드러눕힌 변형이지만, 윙에 존재감이 있고 각부도 세밀하게 가동하는 것으로 새나 전투기와 같은 샤프한 포름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HGAC 윙 건담 제로의 네오 버드 형태와 나란히. RG 쪽이 조금 윙이 뒤쪽에 배치된 것으로, 디스플레이 시키면 스피드감이 나오는 것 같은 표현이 되어 있는 것인가 하고 생각합니다.
네오 버드 형태로 디스플레이. 그럭저럭 무게는 있지만, 가느다란 지주에서도 그다지 부하를 가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습니다.
띄워서 디스플레이 시키려면 리어 아머의 조인트 구멍을 사용합니다. 제대로 꽂을 수 있고, 빙글하고 반전하거나 하는 일도 없습니다.
일부에는 락 기구가 있어 관절 강도도 높으므로 형상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만 대부분이 관절 강도만으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세월의 경과로 헐렁해지면 형상이 무너지는 일이 있을 것 같습니다.
윙은 자유롭게 형태를 더할 수 있으므로 기호대로 조정해도 좋을 것 같네요.
적당히 몇 장인가 봐주시길.
이상입니다. 흠잡을 수 없을 정도로 조형이나 프로포션, 컬러링 모두 좋고, 포징의 자유도도 높다고 하는 완성된 키트로 되어 있습니다. 어떤 포즈라도 대응해 주고, 가동이 부드럽고 유연. 다양한 형태가 더해지는 것이 굉장하네요. 관절 각부가 열쇠형 앵커로 빠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변형이나 포징시의 후두둑이나 관절 빠짐 등 스트레스를 느끼지 않고 만지작거릴 수 있고, 파손되기 쉬울 것 같은 부분도 볼 수 없습니다.
신경 쓰이는 점도 거의 없지만, 조금 어깨 볼 조인트의 접속이 느슨해 트윈 버스터 라이플의 상태라면 어깨가 늘어져 버리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파손되지 않는 정도로 보강하는 등 해서 제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을지도. 그리고 등부의 디스플레이용 조인트가 고간부가 아니기 때문에, 짧은 지주라면 접지하기 쉽거나, 드러눕힌 비행 포즈 등이 조금 낮은 위치가 될 것 같습니다.
네오 버드 형태로의 변형도 세부까지 꽤 세밀하게 재현되어 있어 군더더기도 없고 프로포션도 발군. 무장류의 기믹도 흠잡을 수 없습니다. KPS에 의한 내부 구조부터 외장의 디테일에 이르기까지, 최근의 RG다운 모든 건프라의 멋을 모아 음미하고 집약된 압권의 키트로 되어 있는 것이 좋네요.
(IP보기클릭)211.227.***.***
드디어 윙제로 tv판 제대로된 프라가ㅠㅠ 전 EW보다 이게 더 좋더라구요
(IP보기클릭)112.153.***.***
아유 잘생겼네...
(IP보기클릭)175.193.***.***
콧구멍 뚫린 초기 RG들도 빨리 2.0으로 나와줬으면....윙 ew 는 얼굴 진짜 못생겼네..
(IP보기클릭)211.42.***.***
와 이정도면 hg 윙제로 갖다 버려도 되겠다
(IP보기클릭)124.216.***.***
(IP보기클릭)112.153.***.***
아유 잘생겼네...
(IP보기클릭)211.227.***.***
드디어 윙제로 tv판 제대로된 프라가ㅠㅠ 전 EW보다 이게 더 좋더라구요
(IP보기클릭)49.167.***.***
(IP보기클릭)14.50.***.***
머신캐논은 설정대로 회전하게 하려면 어깨가동은 포기해야 하죠 | 25.09.28 10:39 | | |
(IP보기클릭)222.232.***.***
(IP보기클릭)39.118.***.***
(IP보기클릭)175.193.***.***
콧구멍 뚫린 초기 RG들도 빨리 2.0으로 나와줬으면....윙 ew 는 얼굴 진짜 못생겼네..
(IP보기클릭)211.42.***.***
와 이정도면 hg 윙제로 갖다 버려도 되겠다
(IP보기클릭)119.195.***.***
(IP보기클릭)175.202.***.***
(IP보기클릭)125.128.***.***
(IP보기클릭)58.141.***.***
(IP보기클릭)1.250.***.***
(IP보기클릭)61.74.***.***
(IP보기클릭)116.122.***.***
(IP보기클릭)22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