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5의 VRR의 기능의 펌웨어 업데이트(22.04.26) 이후 이후 게임 적용 및 패치가 진행되었습니다.
개인적인 여러 테스트 및 결과물이 나왔으나,
DF 의 전문가 의견 영상이 올라올 때까지 기다렸고, 오늘 DF 에서도 최초의 PS5 VRR 관련 1차 영상이 올라온 이후
전문가의 의견과 조합하여 fact 만으로 기반하여 현 PS5 의 VRR 의 기능의 장단점에 대해서 이야기 해봅니다.
1. PS5 VRR 의 적용 범위의 한계 (48hz - 60hz, 48-120hz)
현재 밝혀진 PS5의 VRR 의 적용 최하단의 범위는 48hz 입니다.
이것은 VRR이 특별히 필요한 게임들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필요한 다수의 VRR이 필요한 게임의 둘쭉날쭉한 프레임 범위인 30-60 fps 에서
좀 크게 벗어난 범위입니다.
이 의미는 48 fps 이상의 프레임 레이트의 변동 및 유지의 경우에만 VRR을 적용할수 있다는것을 의미합니다.
2. PS5 VRR의 하드웨어 단의 LFC 기능의 부재. (*LFC = Low Framerate Compensation = 낮은 프레임 속도 보정 기능)
LFC 는 위의 1번에서 48 FPS 이하(지원범위 최하단) 의 VRR 적용 범위를 벗어나는 낮은 프레임 레이트로 떨어졌을시, 보상할수 있도로 개발된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게임이 48 FPS 이하의 40 프레임으로 떨어졌을시 LFC 기능을 지원한다면 -> X2(더블링). X3 (트리플링) 으로 동일한 프레임을 복사하여
VRR 기능을 유지시킵니다. (ex) 40 -> 80 fps, 120fps 로 프레임을 복사, 뻥튀기하여 지원범위내 48-120hz 로 들어와 VRR이 유지됩니다.
이기능은 VRR을 유지하기 위해서 지원되는 기능이므로, 프레임이 40 -> 80 FPS 이 되는것은 아닙니다. 실제 프레임은 40FPS로 동일합니다.
3.AMD Freesync 기능의 미지원.
특정 디스플레이에서는 AMD 프리싱크 기능을 VRR로 기본적으로 지원하며 이것은 최초 하드웨어적 지원이 필요했던 G-sync 보다는 다수의 현 디스플레이에서 AMD FreeSync 기능이 많이 탑재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PS5는 기본적으로 hdmi 2.1의 vrr = 프리싱크 프리미엄이 기술적으로 동일한 기술임에도... amd 프리싱크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sony가 가전제품 업체라는것을 의미하며, 모니터, 프리싱크이용 TV로 PS5를 이용하는 다수의 이용자가 아쉬워하는 부분입니다.
4.PS4 하위호환 게임에서 VRR 미지원
펌웨어 패치후 PS5에서 PS4 하위호환로 돌아가는 게임에서 VRR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VRR은 현재까지는 오직 PS5 게임에서만 지원됩니다.
** 인썸니아 게임의 기술력과 소프트웨어 LFC
VRR과 LFC는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한 지원없이 적용되어야 하는 기능입니다.
하지만 Sony와 PS5 특이하게도 '게임의 VRR 패치'라는 공지사항을 발표했었고(굳이 VRR이 하드웨어적으로 지원한다면 필요가 없음에도), 이것은 상기 PS5 VRR 상황과 인썸니아 게임들의 VRR 적용 결과물을 보면 얼추 유추할수 있습니다.
인썸니아 게임의 VRR 전용 패치 지원 게임
1. 스파이더맨 리마스터 PS5
2. 스파이더맨 마일즈 모랄레스 PS5
3. 라쳇앤 클랭크 ~리프트 어파트 PS5
상기의 환상적인 PS5 3개의 게임에서는 VRR 테스트 결과 가장 적용이 잘된 게임입니다.
인썸니아의 3개의 게임에서는 게임내부에서 120hz 를 지원하며, VRR 이 완벽하게 지원되고,
심지어 상기 언급된 적용되지 않는 PS5 LFC 가 완벽하게 소프트웨어 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인썸니아같은 특정 기술력이 높은 게임 개발사의 경우 위의 PS5 VRR의 한계를 넘을수 있는 소프트웨어적 지원 개발을 할 수 있고...
이것으로 PS5 VRR 게임 적용 패치를 지원하려는 다수의 타 제작사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DF 에서는 이것이 PS5에서 이후 VRR 패치가 가야될 기술적 방향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IP보기클릭)125.181.***.***
플스 VRR이 뒤늦게라도 지원은 해줘서 좋기는 한데, 엑박의 VRR보다 상대적으로 아쉽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엑박은 프리싱크, LFC 모두 지원함. 본 글에 기재가 된 것처럼 엑박이 대단한 게 아니고 당연히 탑재가 되어야 정상. 유저들은 엑박의 정상적인 VRR을 기대하고 기다린건데.. 소니는 일부로 제한된 VRR 기능을 선보이고 있으니 욕 먹을 수밖에. 놀랍게도 HDMI은 소니에서 최초 개발하였고, 그에 따른 라이센스 비용도 받고 있다. 최적화된 VRR도 소니라서 이상할 것도 없음.
(IP보기클릭)112.147.***.***
ㅋㅋㅋ 초딩도 이생각은 안하겠다...
(IP보기클릭)211.106.***.***
소재 수출 막으면 관련 사업 다 망할줄 알았던 모 국가 정계 사고방식;
(IP보기클릭)106.101.***.***
모니터가 140짜린데 ㅋㅋ 지원안함 거실티비는 gx라 지원하는데 거실에서 게임못함 ㅋㅋ 슬프다!
(IP보기클릭)223.39.***.***
반쪽짜리 vrr로 최상의 시나리오를 기대하는건 모순 아닌가요? 당장에 여기 hdmi2.1 단자 없어서 그림에 떡인 유저기 대부분인데…인섬니악이 잘 대응하는게 인섬니악 입장에서는 유의미하겠지만 그걸 즐겨줄 유저가 대응 티비가 없으면 뭐 티비하나 사란 소린데…
(IP보기클릭)222.96.***.***
(IP보기클릭)106.101.***.***
모니터가 140짜린데 ㅋㅋ 지원안함 거실티비는 gx라 지원하는데 거실에서 게임못함 ㅋㅋ 슬프다!
(IP보기클릭)222.117.***.***
저는 캡처보드 사용하는데 지원안하니 소무룩... | 22.05.04 09:22 | | |
(IP보기클릭)223.38.***.***
https://youtu.be/D3IiNIN8giE 카나시미! | 22.05.04 16:29 | | |
(IP보기클릭)218.147.***.***
(IP보기클릭)58.229.***.***
(IP보기클릭)106.101.***.***
유사한 기술인 프리싱크의 경우 요구사항에 모니터 지원범위의 차이가 2.5배 이상이면 작동한다고 나와있긴 하지만 HDMI VRR의 경우 프리싱크와는 요구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출력장비에서 LFC를 위해 추가적인 구현을 요구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아직 HDMI VRR에 관한 정보가 적기 때문에 추후에 밝혀질듯 하네요 | 22.05.04 07:44 | | |
(IP보기클릭)211.117.***.***
출력장비에서 LFC를 처리해야하는건 찐싱크를 제외하고 모두 동일합니다. 그건 프리싱크도 마찬가지이고, 프리싱크에서 출력장치는 곧 GPU이기 때문에 GPU드라이버에서 처리하는거죠. | 22.05.04 09:33 | | |
(IP보기클릭)106.101.***.***
그러니까 RDNA2를 쓰는 이상 프리싱크를 위한 LFC는 하드웨어적으로 준비가 되어있을텐데 혹시 HDMI VRR에 뭔가 추가적인 요구사항이 있고 그게 플5에 구현이 안되어있어서 LFC를 사용할 수 없는게 아닐까 하는 이야기를 한겁니다 | 22.05.04 09:41 | | |
(IP보기클릭)220.78.***.***
(IP보기클릭)126.253.***.***
(IP보기클릭)223.39.***.***
(IP보기클릭)221.147.***.***
(IP보기클릭)112.147.***.***
TL;DR
ㅋㅋㅋ 초딩도 이생각은 안하겠다... | 22.05.04 06:12 | | |
(IP보기클릭)221.160.***.***
수많은 경쟁사 중 하나 날리겠다고 자사 B2B를 전부 조지자고요..? | 22.05.04 06:14 | | |
(IP보기클릭)211.106.***.***
TL;DR
소재 수출 막으면 관련 사업 다 망할줄 알았던 모 국가 정계 사고방식; | 22.05.04 06:32 | | |
(IP보기클릭)104.28.***.***
ㅋㅋㅋㅋㅋ | 22.05.04 07:03 | | |
(IP보기클릭)121.136.***.***
역겹다 | 22.05.04 07:14 | | |
(IP보기클릭)106.101.***.***
꼭 이런넘 한명씩 잇다니깐 | 22.05.04 08:58 | | |
(IP보기클릭)211.198.***.***
그래도 이런 생각에도 공감해주는 4인이 있네요 외롭지 않아서 좋겠어요 | 22.05.04 10:06 | | |
(IP보기클릭)125.137.***.***
글을 읽고 갑자기 손발이 오그라드네요. | 22.05.04 11:55 | | |
(IP보기클릭)223.38.***.***
https://youtu.be/VsLq-rV-kos | 22.05.04 16:28 | | |
(IP보기클릭)39.7.***.***
비슷한 말로 마소는 소프트 기업이니까 소프트가 돌아가는 기기를 만들지 말자 | 22.05.04 18:07 | | |
(IP보기클릭)125.181.***.***
플스 VRR이 뒤늦게라도 지원은 해줘서 좋기는 한데, 엑박의 VRR보다 상대적으로 아쉽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엑박은 프리싱크, LFC 모두 지원함. 본 글에 기재가 된 것처럼 엑박이 대단한 게 아니고 당연히 탑재가 되어야 정상. 유저들은 엑박의 정상적인 VRR을 기대하고 기다린건데.. 소니는 일부로 제한된 VRR 기능을 선보이고 있으니 욕 먹을 수밖에. 놀랍게도 HDMI은 소니에서 최초 개발하였고, 그에 따른 라이센스 비용도 받고 있다. 최적화된 VRR도 소니라서 이상할 것도 없음.
(IP보기클릭)211.168.***.***
VRR자체만 놓고보면 ps5가 아쉬운 점이 많은건 사실이나 인썸니악의 행보로 보면 솔직히 콘솔 최상의 시나리오인것 또한 사실이죠. 단순히 v싱크의 대체제 혹은 보완제로 쓰인 게 아니라 프레임레이트의 제한을 풀고 다시금 최적화해서 30프레임 제한 모드를 거의 퍼포먼스모드급으로 만들었으니까요. 이건 안해본 사람은 모를테지만 굉장히 신기한 경험이었죠. 성능자체가 1.5배정도 늘어난 것과 같은 패치. 아마 다른 게임 중에도 이렇게 헤드룸이 많이 남은 케이스가 상당할 겁니다. 결국 v싱크에 의해 잠겨있던 프레임제한을 풀어주는것 이게 콘솔 vrr의 알파이자 오메가죠. 60에서 간혹 2~3정도 떨어지는 프레임 잡아내는건 그리 크게 중요한 용도라고 보긴 힘들죠. 그냥 퍼포먼스의 일관성 면에서는 그냥 해상도 팍 떨구고 60프레임 완벽고정이 더 낫거든요. | 22.05.04 07:10 | | |
(IP보기클릭)125.181.***.***
최근의 VRR 최적화만 보더라도 콘솔에선 유의미한 경험이었죠. VRR을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업체가 소니일텐데 기업 이익을 생각해 제한을 둔 게 아쉬울 뿐입니다. | 22.05.04 07:38 | | |
(IP보기클릭)211.246.***.***
넵 아무튼 지존박스 만세 | 22.05.04 07:52 | | |
(IP보기클릭)223.39.***.***
루리웹-1259442268
반쪽짜리 vrr로 최상의 시나리오를 기대하는건 모순 아닌가요? 당장에 여기 hdmi2.1 단자 없어서 그림에 떡인 유저기 대부분인데…인섬니악이 잘 대응하는게 인섬니악 입장에서는 유의미하겠지만 그걸 즐겨줄 유저가 대응 티비가 없으면 뭐 티비하나 사란 소린데… | 22.05.04 07:56 | | |
(IP보기클릭)58.229.***.***
Xsx 은 lfc를 지원한 게임이 없는게 좀 이상하긴 합니다. 공식적으로 지원하는거 맞는데 이상하게 적용한 사례가 없어요 | 22.05.04 08:47 | | |
(IP보기클릭)106.101.***.***
https://www.reddit.com/r/xboxone/comments/jhjz02/xbox_series_xsone_x_support_vrr_lfc_by_default/ 찾아보니 나오는데요 | 22.05.04 09:25 | | |
(IP보기클릭)106.101.***.***
HDMI를 소니가 혼자 만든것은 아니고 처음 HDMI라는 규격을 만들때 참여한 기업중 하나인거죠 그리고 HDMI라이센스 비용은 HDMI 협회에서 쓰이고 초기 설립자들이 비용을 가져가진 않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 22.05.04 09:27 | | |
(IP보기클릭)58.229.***.***
공식적으로 프리싱크2를 지원하는건 밝혀지긴 했지만 데스티니2는 120프레임 지원 게임이고 lfc가 작동한다는 증거는 링크에는 없는 것 같아요 설사 지원된다해도 사례가 이렇게 적은게 이해가 안갑니다 | 22.05.04 09:36 | | |
(IP보기클릭)106.101.***.***
https://youtu.be/EhnSgwsxlBI 위의 링크도 그렇고 이 링크도 엑시엑이 아닌 엑원엑 시절 30프레임 제한이었을때 테스트된 자료입니다 | 22.05.04 09:38 | | |
(IP보기클릭)61.34.***.***
딱히 XSX에서는 지원하는 게임이 있는게 아니라 그냥 기기에서 지원해서 디스플레이가 지원하면 그냥 LFC가 자동으로 작동해요. 그래서 위에 글에서도 이야기 하는게 인섬니악처럼 VRR 패치라는 것을 해야 한다는게 LFC가 작동안해서 소프트적으로 해결을 봐야 한다는 거죠. 사실 VRR 패치라는 것도 XSX에서는 굳이 필요치 않아요. VRR 작동된다 싶으면 드라이버에서 V싱크 꺼버리면 되니까요. LFC는 XSX으로 엘든링 하면 금방 확인이 되죠. 일정 프레임 이하로 내려가면 그냥 더블링 때려서 80~90헤르츠까지 쭉 올라가거든요. 엘든링이 뭐 VRR 패치 같은거 한게 아니라 그냥 프레임이 안나오는거죠. | 22.05.04 14:52 | | |
(IP보기클릭)218.145.***.***
저도 궁금해서 검색해봤는데 LFC가 커널 혹은 개발툴 단에서 기본으로 제공는 것 같습니다. https://twistedvoxel.com/heres-why-xbox-series-x-does-vrr-better-than-ps5/ 그래서 굳이 언급할 필요가 없는 것이죠. 모든 게임이 그냥 제공하니까요. 반면 PS5는 VRR기능이 아직 미완성인것 같네요. 일단 개발사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별도로 손보면 HW적으로 동작하는 걸 지원은 하는 수준만 되어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 최종적으로는 MS처럼 LFC와 VRR을 OS 커널단이나 개발툴단에서 기본포함하는 방향으로 가겠죠. | 22.05.04 15:07 | | |
(IP보기클릭)223.38.***.***
최적화된 VRR도 '소니'라서 이상하지도 않고 놀랍지도 않고 바로 납득이 감 | 22.05.04 16:21 | | |
(IP보기클릭)222.105.***.***
소니는 왜 일부러 제한된 vrr기능을 선보인건가요?? | 22.05.04 19:37 | | |
(IP보기클릭)59.8.***.***
(IP보기클릭)59.9.***.***
(IP보기클릭)112.175.***.***
(IP보기클릭)116.40.***.***
(IP보기클릭)116.32.***.***
(IP보기클릭)106.101.***.***
LFC가 없으면 기존에 30프레임 고정해둔 게임은 거의 혜택을 못받는거니까요 | 22.05.04 07:35 | | |
(IP보기클릭)218.234.***.***
LFC가 적용되면 최저 16프레임까지 지원되는 겁니다. 트리플링 적용되서.. 16x3 = 48hz 그래서 LFC가 중요한거, 보통 30프레임 고정게임이라도 프레임 해제하면 더블링으로 30~47프레임까지는 60~94hz까지로 커버하는거죠. 48fps부터는 동일 hz로 가는거구요 | 22.05.04 09:27 | | |
(IP보기클릭)211.117.***.***
근데 16프레임까지 떨어지면 LFC를 적용하던말던 프레임드랍이 그냥 느껴집니다. 애초에 그정도 프레임레이트에서 VRR이 무슨 의미가 있나 모르겠네요. | 22.05.04 09:59 | | |
(IP보기클릭)218.234.***.***
가능하다는 얘기지 그게 좋아 보인단 소리는 아니라서요 ㅎㅎ 고정 30FPS게임을 프레임 해제 했을 경우 충분히 지원 가능한 범위~ | 22.05.04 10:06 | | |
(IP보기클릭)106.101.***.***
30프레임 고정도 못하고 29,28프레임 이런 상황에서 vsync를 켜면 15프레임으로 떨어지겠지만 vrr이 있으면 16~29 구간에서는 그나마 프레임이 덜 떨어지는 효과가 있죠 | 22.05.04 10:12 | | |
(IP보기클릭)211.117.***.***
현존 PS5 게임들 중 고정주파수모드에서 프레임드랍으로 문제가 될 만한 게임이 엘든링 정도가 유일합니다. 그 엘든링 조차도 님이 말하는 30프레임 미만 상황은 발생하지 않구요. 애초에 존재하지 않는 상황을 왜 가정하는지 모르겠지만, 아래 댓글에도 달았듯이, 앞으로 출시될 게임은 VRR 기능까지 고려해서 출시할거고, 120HZ 모드를 풀었을때 LFC가 작동함은 인섬니악 게임들로 검증이 된 듯 하니, 큰문제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 22.05.04 10:50 | | |
(IP보기클릭)118.235.***.***
30 제한 풀어서 40 정도 올라가는 애들에게 유용한거 아닌가요? 플5 VRR이 그 영역대 작동 안한다는 거니까요. | 22.05.04 13:06 | | |
(IP보기클릭)61.34.***.***
엘든링은 48프레임 이하로 종종 내려가죠. 비슷한 사례로 고스트 와이어에서도 비쥬얼 옵션에 따라 48프레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ps5에서 VRR 풀려버리더군요. VRR로 40에서 50프레임정도 나와주는 게임도 충분히 즐길만 해진다면 좋은 일이죠. 이런 경우 VRR이 ps5에서는 거의 작동안한다고 봐야하니까요. 저는 이건 소니가 해결해줘야 하는 문제라고 봅니다. | 22.05.04 14:58 | | |
(IP보기클릭)211.117.***.***
그런 경우는 문제가 될 수 있죠. PS5 가 VRR 업데이트 전 발매된 게임 (VRR미지원 게임) 에 대한 120HZ 강제 출력모드를 제공하지 않는한, 해당 게임들은 48~60HZ 모드로 작동될테니 LFC 적용이 되지 않는게 맞을 겁니다. 게임이 패치를 하던, PS5 가 120HZ 강제출력모드를 만들어주던 해야 되는 문제겠지요. | 22.05.04 15:04 | | |
(IP보기클릭)211.168.***.***
(IP보기클릭)222.109.***.***
(IP보기클릭)211.184.***.***
(IP보기클릭)211.168.***.***
inner_beauty
엑박은 빼죠. 엑시엑에 lfc가 들어간 게임이 있나요? 30프렘제한걸린 게임을 120프레임까지 풀어줘야하는건데 이건 패치없인 안되죠. 피시야 원래 제한이 없으니 상관없지만. | 22.05.04 09:12 | | |
(IP보기클릭)106.101.***.***
https://www.reddit.com/r/xboxone/comments/jhjz02/xbox_series_xsone_x_support_vrr_lfc_by_default/ 레딧 찾아보니 30프레임 제한 걸린 데스티니2에서도 된다고 나와있네요 | 22.05.04 09:23 | | |
(IP보기클릭)106.101.***.***
https://youtu.be/EhnSgwsxlBI | 22.05.04 09:33 | | |
(IP보기클릭)223.38.***.***
inner_beauty
아니죠. 강제 120헤르츠가 가능해도 프레임 제한을 풀어줘야한다니까요. 고정 30이면 그냥 수직동기 걸면 되므로 vrr을 쓸 이유가 없죠. 인썸니악처럼 v싱크를 끄고 프레임제한을 풀어줘야 vrr의 위력이 체감되는건데 고정해놓으면 뭔 의미가 있습니까; | 22.05.04 09:35 | | |
(IP보기클릭)106.101.***.***
엑시엑은 출시때부터 이미 VRR을 지원했기 때문에 플스에서 고정프레임이었던 게임도 엑시엑에서는 고정이 풀려있는 게임도 있습니다 | 22.05.04 09:44 | | |
(IP보기클릭)221.147.***.***
쥬리비안
48은 플스이야기구요 디파에서도 엑박이 lfc도 되서 지원범위로 인한 문제없다고 나옵니다 그래서 엑박은 이런 이야기가 나오지도 않아요 문제가없으니깐 | 22.05.04 10:12 | | |
(IP보기클릭)58.229.***.***
아..퀄모드에서 Lfc 적용된다고 나오네요. | 22.05.04 10:17 | | |
(IP보기클릭)58.229.***.***
60프레임 모드에선 120hz 끄는게 낫다고 그 때 48hz부터 적용인걸 제가 잘못알고 있었네요. 엑시엑은 그래도 프리패스로 지원되는군요. | 22.05.04 10:26 | | |
(IP보기클릭)221.147.***.***
60hz에서도 40부터입니다 48은 플스구요 | 22.05.04 10:51 | | |
(IP보기클릭)124.49.***.***
근데 프리싱크 프리미엄 프로는 모니터 스펙에 따라 20hz 부터 아닌가요? 플스는 온리 HDMI VRR 이라 48hz 부터고 | 22.05.04 14:07 | | |
(IP보기클릭)221.147.***.***
그 20이 lfc포함 이야기일거에요. | 22.05.04 14:56 | | |
(IP보기클릭)124.49.***.***
아하! 감사합니다! | 22.05.04 15:00 | | |
(IP보기클릭)221.147.***.***
쥬리비안
엑박은 대쉬보드에 플스같이 지원범위 안나와요. | 22.05.04 11:00 | | |
(IP보기클릭)58.229.***.***
오토에임
영상 지금 봤는데 진짜네요. 플스는 진짜 답이 없네.. | 22.05.04 11:02 | | |
(IP보기클릭)58.229.***.***
쥬리비안
Xsx는 그냥 lfc 없이도 쓸만하겠네요. 티비 성능에 굳이 제한을 안둬서 40hz까지 가능하니 | 22.05.04 11:04 | | |
(IP보기클릭)175.113.***.***
(IP보기클릭)223.38.***.***
(IP보기클릭)125.181.***.***
디스플레이 바꾸시면 많이 나아지긴 할겁니다. 소니 덕분에 TV (OLED G1) 바꿨는데 자글거림 문제가 많이 완화되었습니다. 보면서도 신기하긴 하네요. 전에 C8 쓸 때는 지역마다 편차가 좀 있었구요. 패치가 덜 되어서 모니터 사용자는 성능모드 사용 시 아직은 괴로울 것 같네요. | 22.05.04 08:46 | | |
(IP보기클릭)223.38.***.***
저는 cx사용중인데 g1은 또 다른가보네요 혹시 게임모드시 설정따로 건드려주는부분있을까요? | 22.05.04 09:17 | | |
(IP보기클릭)125.181.***.***
만년동안
근데 어느 디스플레이를 쓰든 디스플레이 문제가 아닌 호포웨 자체의 문제인 게 맞습니다. 1800p가 자글거림 현상이 보일 때마다 1080p도 안되어 보이니까요. 제작사도 인지하고 있구요. | 22.05.04 10:18 | | |
(IP보기클릭)121.130.***.***
만년동안
네 제가 말하고싶었던게 이거예요 유난히도 포호웨만 거슬리더라구요 저한텐 호제던이 더깔끔하게 보입니다.. | 22.05.04 11:16 | | |
(IP보기클릭)175.223.***.***
(IP보기클릭)211.209.***.***
(IP보기클릭)223.62.***.***
(IP보기클릭)106.102.***.***
(IP보기클릭)218.146.***.***
(IP보기클릭)118.235.***.***
장점은 VRR 그 자체 기능이라 안 적었나 싶네요. 지원되는 자체가 우선은 중요해서. | 22.05.04 13:09 | | |
(IP보기클릭)223.39.***.***
(IP보기클릭)125.179.***.***
(IP보기클릭)211.245.***.***
(IP보기클릭)218.234.***.***
피델리티 모드의 경우 대부분 고정30이거나 타겟30인데, 여기에도 적용되려면 LFC가 필요하니까요.. 더블링으로 30~47fps까지는 60~94hz로 커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22.05.04 09:31 | | |
(IP보기클릭)211.245.***.***
그니까 4k 라 하지라도 옵션을 낮춰서 60프램으로 해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게임 해보면 압도적으로 fhd 고옵 <<<<< 4k 저옵 입니다. lfc 되서 120 되면 더 환상적이겠네요 | 22.05.04 10:17 | | |
(IP보기클릭)118.235.***.***
LFC 지원에 따라서 개발사는 30 제한이 풀리니 사용할 자원이 늘어나는 셈이죠. 그걸로 어디에 투자할 지는 개발자 취향 | 22.05.04 13:10 | | |
(IP보기클릭)61.34.***.***
이게 애매한게 화질 낮춘 60프레임 고정, 화질 높은 40~50프레임 VRR은 플러스 마이너스 감안해서 진짜 동급이에요. 게임에 따라서는 무조건 후자가 좋은 경우가 많을꺼에요. | 22.05.04 15:03 | | |
(IP보기클릭)203.232.***.***
이건 뭔 개소리야 ㅋㅋㅋㅋㅋㅋ 화질모드 30프레임으로도 게임하는 사람들 많다 특히 oled tv나 좀 큰인치로 게임하는 사람들은 자글자글거리는거랑 화질때문에 성능모드 안쓰는 경우도 많고 아주 지 입맛대로만 써놨네 | 22.05.11 02:47 | | |
(IP보기클릭)223.33.***.***
당신처럼 개소리하는 사람도 지 입맛대로 쓴거고 | 22.05.11 06:32 | | |
(IP보기클릭)221.147.***.***
(IP보기클릭)223.62.***.***
(IP보기클릭)211.117.***.***
(IP보기클릭)58.229.***.***
라챗 4프레인 체감해보시면 생각이 달라지실겁니다 | 22.05.04 09:54 | | |
(IP보기클릭)118.235.***.***
한정적이긴 한데 30 고정이지만 제한 풀면 어중간하게 40~50대 프레임이 가능한 게임들에 대해서 아쉬운 부분이 있는 거죠. | 22.05.04 13:12 | | |
(IP보기클릭)211.117.***.***
(IP보기클릭)106.101.***.***
플5 자체 지원이 아니고 게임사가 직접 구현해야 하는경우라면 역량에 따라 퀄리티가 중구난방일수도 있는거니까요 VRR전에도 모든 게임들이 30프레임, 60프레임 착착 고정되는게 아니라 프레임 드랍 수시로 일어난 게임들이 있었던것처럼요 | 22.05.04 09:48 | | |
(IP보기클릭)211.117.***.***
어차피 찐싱크를 제외하면 LFC는 프레임더블링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해야합니다. 나중에 소니에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OS 단에서 기존 VRR 미지원 게임들에도 강제로 LFC 적용까지 해주는 패치를 해줄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앞으로 나올 게임들은 게임사들이 VRR까지 고려해서 최적화를 하겠죠. | 22.05.04 09:57 | | |
(IP보기클릭)211.117.***.***
그리고 솔직히 본문에 있는, 기존 VRR미지원 게임들이 LFC 적용이 되는지 안되는지는 검증을 좀 더 해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일단 제가 테스트해본 게임들 기준으로, PS5 에서 120HZ 출력이 되려면 게임에서 120프레임 출력모드를 켜야됩니다. 즉 게임모드 자체가 이미 120FPS 모드이기때문에 60FPS 밑으로도 떨어지는 구간 자체가 아예 없는데 LFC 가 적용되는지 안되는지 테스트를 어떻게 했는지도 모르겠네요. LFC 테스트를 하기 위해 48FPS 이하로 떨어질만한 게임을 테스트하면, 그 게임은 120FPS 모드가 아니기 때문에 애초에 48~60HZ 모드로 작동할 수 밖에 없습니다. 48HZ~60HZ 모드에서 LFC가 왜 작동할 수 없는지는 설명안해도 아시겠죠? | 22.05.04 10:03 | | |
(IP보기클릭)211.117.***.***
유일하게 저 테스트가 가능해 보이는게 인섬니악 게임들, 즉 기존에 120HZ 모드에서 40FPS 구현을 했던 라쳇 같은 게임인데, 그 게임에서는 LFC가 작동한다고 본문에 되어있으니, 사실상 PS5는 LFC지원을 하는게 맞다고 봐야하지 않을까요? | 22.05.04 10:05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