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am의 최신 하드웨어 설문조사가 발표되었으며, 이제 NVIDIA GeForce RTX 50 시리즈 전체 제품군이 점점 더 많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NVIDIA GeForce RTX 50 GPU, 스팀 하드웨어 설문조사에서 큰 폭으로 점유율 상승, RTX 5070은 3월 이후 1% 점유율로 선두
NVIDIA GeForce RTX 50 GPU는 1월 말에 출시되어 2월 초에 상당한 양으로 출시된 이후 기술적으로는 2월부터 출시되었습니다. RTX 50 GPU 제품군은 지난 5월부터 Steam 하드웨어 설문조사 결과에 등장하기 시작했지만, 이번 달에 출시되는 RTX 5050을 제외한 전체 제품군이 등장했습니다.
2025년 6월 Steam Hardware 통계에 따르면, NVIDIA GeForce RTX 4060 및 RTX 3060 GPU는 여전히 전체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RTX 4060 노트북 GPU의 점유율은 4.99%입니다. 이는 이 GPU가 노트북 게이머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선택임을 보여주며, 이러한 GPU를 통해 여러 주류 및 저가형 옵션을 찾을 수 있습니다.
RTX 50 시리즈의 경우, NVIDIA GeForce RTX 5070이 단 3개월 만에 0.99%의 큰 점유율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월 대비 +0.28% 증가한 수치이며, 게이머들이 게임용 PC에 적합한 솔루션으로 이를 찾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다음 RTX 50 GPU는 RTX 5080이며, RTX 5070 Ti, RTX 5060 Ti, RTX 5060, 마지막으로 RTX 5090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다음은 첫 번째 출시와 비교한 GPU의 점유율입니다:
AMD Radeon RX 9000 "RDNA 4" GPU는 Steam 하드웨어 설문조사에 0.15%가 넘는 GPU가 없어서 미집계 되었습니다.
물론 이는 게이머들이 이 GPU를 구매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진 않으며, 아직 설문조사 결과에 나올 만큼 충분한 수량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할 뿐입니다. 인텔의 Arc B 시리즈 GPU도 마찬가지이지만, 시장 점유율 보고서에 따르면 NVIDIA는 전 분기에 AIB 9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한 반면 AMD와 인텔은 한 자릿수 카테고리에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P보기클릭)121.165.***.***
5090 사긴 했지만 4090 만큼의 만족도가 없음
(IP보기클릭)39.7.***.***
인터넷만 보면 이번 라데온 엄청 많이 산줄 알았는데
(IP보기클릭)66.222.***.***
자 천천히 쳐보세요 만원
(IP보기클릭)14.42.***.***
적어도 메인스트림급을 구매하는 사람들 대상에게는 제품이 겨우 한 세대 잘 나온거 가지고 그동안 쌓인 이미지가 한 번에 뒤집히진 않는 거죠.
(IP보기클릭)114.207.***.***
얼마전에 9070 XT를 사기는 했지만 대다수는 엔비디아 제품군을 선호하는군요
(IP보기클릭)218.38.***.***
(IP보기클릭)121.165.***.***
5090 사긴 했지만 4090 만큼의 만족도가 없음
(IP보기클릭)118.39.***.***
(IP보기클릭)106.101.***.***
출시시기 차이도 있고 60라인 구매하는 사람들은 출시하자마자 사거나 하는 성향은 아니라 아마 시간이 지나면 돌아갈 듯 70도 msrp기준으로만 보면 4070s 50달러 인하버전이기도 하고 가격차이도 적진 않으니 70ti보단 잘 나가는 거 같음 | 25.07.04 18:45 | | |
(IP보기클릭)115.138.***.***
5060ti는 역대급으로 가성비가 구리고 5070ti부터는 확실히 선진국에서도 부담되는 가격이라 | 25.07.04 19:00 | | |
(IP보기클릭)220.80.***.***
(IP보기클릭)39.7.***.***
인터넷만 보면 이번 라데온 엄청 많이 산줄 알았는데
(IP보기클릭)182.224.***.***
(IP보기클릭)114.207.***.***
얼마전에 9070 XT를 사기는 했지만 대다수는 엔비디아 제품군을 선호하는군요
(IP보기클릭)211.235.***.***
(IP보기클릭)220.90.***.***
진짜 20~30분 게임하다가 보면 방온도가 올라가는게 느껴지더군요... | 25.07.12 11:03 | | |
(IP보기클릭)106.101.***.***
(IP보기클릭)14.35.***.***
(IP보기클릭)124.80.***.***
(IP보기클릭)222.111.***.***
5070 가격은 85만넌부터 9070 가격은 95만넌부터 | 25.07.04 19:08 | | |
(IP보기클릭)66.222.***.***
picaso™
자 천천히 쳐보세요 만원 | 25.07.04 19:20 | | |
(IP보기클릭)222.237.***.***
가성비가 최악이고 뭐고 새 거 필요한 사람한텐 대안이 없으니까영 | 25.07.04 19:34 | | |
(IP보기클릭)112.168.***.***
결국 싼게 갑임. 예전 60번대 20중반 70번대 40만 이런시절에도 10만원대인 50번대가 제일 잘팔렸음 | 25.07.04 19:51 | | |
(IP보기클릭)118.36.***.***
맞음 중고 싫고 엔당거 살려면 선택권이 없긴 함 | 25.07.04 19:51 | | |
(IP보기클릭)124.80.***.***
9060xt가 있는데 대안이 없기는요. 라데온이 이제 드라이버도 더 잘나오는걸요 | 25.07.04 19:53 | | |
(IP보기클릭)14.42.***.***
언더독월드
적어도 메인스트림급을 구매하는 사람들 대상에게는 제품이 겨우 한 세대 잘 나온거 가지고 그동안 쌓인 이미지가 한 번에 뒤집히진 않는 거죠. | 25.07.04 20:01 | | |
(IP보기클릭)222.96.***.***
크흠 비램이랑 가격 요즘 드라이버 이슈 때문에 스텔라 블레이드 3060에서 업글 생각하시는 분 있어서 5060 말고 9060xt를 사시라 인터넷 커뮤에서 어떤 분한테 권해드린 적이 있는데 막상 벤치뜨고 보니 9060xt가 5060ti 동급 성능은 고사하고 4060 성능이 나와서 최근에 속으로 되게 미안한 적 있었습니다... 그 분은 저 때문에 돈 주고 3060에서 4060으로 업글한.... 남한테 추천할 때는 지포스가 나은거 같아요. 최소한 평타는 칩니다.. | 25.07.04 20:04 | | |
(IP보기클릭)121.134.***.***
진짜 잘 나왔으면 여기서 왈가왈부 할 필요도 없이 잘 팔렸겠지 | 25.07.04 21:17 | | |
(IP보기클릭)182.221.***.***
5080 쓰는데 dlss4에 트랜스포머도 있고 mfg x3만해도 퀄리티 꽤 좋아서 프레임도 잘뽑히고 잘쓰는데요? | 25.07.04 23:31 | | |
(IP보기클릭)58.124.***.***
드라이버는 잘나온다하지면 글카 호환성은 여전히 들숙날숙함. | 25.07.04 23:48 | | |
(IP보기클릭)121.141.***.***
이번에 나온 아마존 판매 통계인데 가장 비싼 9070XT가 나머지 라데온을 압도하는 것을 보면 딱 그렇죠. 그나마 알 거 좀 알고 선입견이 적은 매니아 유저들 비중이 높은 퍼포먼스급에선 그나마 판매량이 나오는데, 그 아랫급들은 하나같이 저 모양입니다. 그렇게 50시리즈가 개판을 쳤음에도 아직까지 선입견을 떨쳐내기엔 역부족이란 뜻이고. | 25.07.05 22:42 | | |
(IP보기클릭)14.39.***.***
(IP보기클릭)58.124.***.***
(IP보기클릭)221.165.***.***
(IP보기클릭)121.141.***.***
모든 자동차 회사들은 잘 만드는 차종과 미숙한 차종이 있고, GM은 그저 잘 만드는 차종(픽업, 대형 SUV 등)이 한국 소비자들 취향에 안 맞고 한국 소비자들이 잘 사는 차들(세단, 중형SUV 이하급)을 못 만들었을 뿐입니다. 그냥 못 만드는 RTG랑은 다름. | 25.07.05 22:37 | | |
(IP보기클릭)121.141.***.***
근데 그래픽카드는 자동차나, 하다 못해 CPU랑도 다르거든요.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분야임. 대형차 잘 만든다고 소형차 잘 만든다는 보장이 없고, 세단 잘 만든다고 SUV 잘 만드는 보장이 없지만 그래픽카드는 플래그십 못 만들면 퍼포먼스도 못 만들고, 메인스트림도 못 만들고, 저가형도 못 만드는 그런 분야임. 쉐보레도 한창 쉐슬람으로 악명을 떨치긴 했지만 사실 반만 맞음. 그저 한국GM에서 설계/생산했던 차들, 한국인들 니즈에 맞춰 생산했던 차종들이 하필이면 GM의 전통적인 주력이 아니었고, 거기서 현기에게 뒤떨어졌을 뿐이죠. | 25.07.05 22:39 | | |
(IP보기클릭)106.101.***.***
(IP보기클릭)112.152.***.***
(IP보기클릭)61.39.***.***
(IP보기클릭)121.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