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H/W] RTX 50 그래픽카드, 설계 결함으로 발열 107도…수명 단축 우려 [78]


profile_image


profile_image (1565477)
20 | 78 | 18218 | 비추력 73096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78
1
 댓글


(IP보기클릭)222.99.***.***

BEST
저기서 말하는 온도는 gpu가 아닌 전원부입니다
25.04.26 10:27

(IP보기클릭)222.99.***.***

BEST
기사 본문엔 5070부터 더욱 뜨겁지만 80 90도 역시 뜨겁다고 함
25.04.26 09:38

(IP보기클릭)59.7.***.***

BEST
이 기사 보고 5070ti 전원 케이블 체결부 만져 보니 열기가 느껴짐 진짜 기판이랑 부품 온도 많이 높을꺼 같음 하 진짜 큰 맘먹고 비싼돈 주고 바꿧더니 드라이버는 개판 하드웨어 설계도 개판 에휴 진짜 ㅠㅠ 그냥 라데온 살껄 그랬나 싶네요
25.04.26 11:01

(IP보기클릭)122.42.***.***

BEST
9070 가즈아
25.04.26 09:31

(IP보기클릭)211.110.***.***

BEST
공짜면 다좋지 바보임??
25.04.26 12:51

(IP보기클릭)122.42.***.***

BEST
9070 가즈아
25.04.26 09:31

(IP보기클릭)221.153.***.***

앍혀
숫자만 쓰니까 90시리즈 나올때까지 기다린다는것 같기도 해 | 25.04.26 09:33 | | |

(IP보기클릭)140.248.***.***

5080 90은 상관 없다던데
25.04.26 09:34

(IP보기클릭)222.99.***.***

BEST
좌파게티
기사 본문엔 5070부터 더욱 뜨겁지만 80 90도 역시 뜨겁다고 함 | 25.04.26 09:38 | | |

(IP보기클릭)175.201.***.***

좌파게티
이거 해당 리뷰어가 테스트한 제품은 펠릿의 게이밍프로 1개 모델뿐으로 다른 모델들에선 문제없는걸로 확인되었습니다. https://quasarzone.com/bbs/qc_qsz/views/1914112? https://quasarzone.com/bbs/qc_qsz/views/1907502? https://quasarzone.com/bbs/qc_qsz/views/1907502? https://quasarzone.com/bbs/qc_qsz/views/1916024? 이노3D의 2팬 하급기 5070 이노3D 트윈는 77도, 5070 갤럭시 EX 3팬는 72도, 5070 갤럭시 2팬은 80도, 5070 게인워드 피닉스 80도 등으로 5070 다른 대부분의 제품에선 이와 같은 문제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리뷰어가 테스트한 펠릿의 게이밍프로 역시 서멀작업을 추가로 한 결과 온도가 크게 내려간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25.04.29 17:05 | | |

삭제된 댓글입니다.

(IP보기클릭)112.187.***.***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SONY에볼모잡힌새끼
하지만 소니에 볼모 잡혀서 플러스 마이너스 해서 제로임. | 25.04.26 09:43 | | |

(IP보기클릭)180.83.***.***

나의 그래픽카드야 60시리즈 나올 때까지 버텨줘...
25.04.26 09:55

(IP보기클릭)220.90.***.***

복타르
황가놈 하는짓거리 보면 50번대 장난질이랑 이슈 많았다고 60번대에서 안그럴거라고 보기가.... ㅠ | 25.04.27 09:11 | | |

(IP보기클릭)123.213.***.***

복타르
어차피 60시리즈도 소비전력 늘리고 성능향상은 dlss로 때우면서 가격만 올릴게 뻔해서 별 기대는 안하는게 | 25.04.27 11:45 | | |

(IP보기클릭)222.96.***.***

5090 아스트랄 수냉 가자
25.04.26 10:17

(IP보기클릭)211.49.***.***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R.R.RicoTyrell
저 기사는 중복 기사를 내었고 정보마저 그냥 잘라왔을 뿐임 저 온도가 문제 된 제품은 pny, 팰릿등의 저가형 제품임 그리고 10도 이상 낮아졌다는 것도 고작 백플에 서멀패드를 붙여서 얻어낸 결과이고 집적도가 낮은 80은 70과는 다르게 90도 이하이며 고작 서멀패드 작업시 80도 이하로 내려감 당장 므시 밴투스나 기가 게이밍 라인만 해도 서멀패드가 붙어 있음 쿨링이 보강되어 있는 집적도가 더 낮은 90에선 당연하게도 문제시 되는 영역까지 갈 수 없음 즉 5090 아스트랄 가자도 정답인데 거기서 수냉이면 더더욱 해결책이 됨 | 25.04.26 10:57 | | |

(IP보기클릭)221.143.***.***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롸데꾸
특정 저가 모델에만 해당 되는 문제를 전체 문제인듯 날조 했다면 개막장 가짜 기사인데 댓글들은 이미 5000번대 전체 문제인양 물어 뜯고 있네. | 25.04.26 14:26 | | |

(IP보기클릭)223.38.***.***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R.R.RicoTyrell
싸구려 팰릿 같은거 안쓰면 됩니다. | 25.04.26 11:08 | | |

(IP보기클릭)210.105.***.***

기가바이트 5070ti 공랭으로 쓰는데 무거운 게임 풀옵 돌려도 아직까진 60~70도 선에서 유지 잘 됩니다 인터넷 서핑이나 유튜브 보는 정도로는 팬이 안돌 정도로 30~40도선 유지 되구요
25.04.26 10:22

(IP보기클릭)222.99.***.***

BEST
네모둘리
저기서 말하는 온도는 gpu가 아닌 전원부입니다 | 25.04.26 10:27 | | |

(IP보기클릭)220.124.***.***

네모둘리
전원부에 칩을 몰아두고 거기에 방열대책도 안세우고 온도센서도 빼신 엔비디아. | 25.04.26 11:33 | | |

(IP보기클릭)220.89.***.***

네모둘리
드르륵 주르륵 에디션.. | 25.04.26 18:41 | | |

(IP보기클릭)180.229.***.***

곰곰이생각하니내가곰이네
근데 온도센서 빠진건 gpu 내부의 핫스팟 온도센서가 빠진거구요.. 전원부 온도는 그래픽카드 제조사에서 안달아준거임 아스트랄엔 달려서 기판 곳곳 온도 전부 볼 수 있음 그래픽 카드 제조사들이 원가 절감하려고 안달아준거임 하급이야 원래 원가절감형 모델이니까 이해가 가는데 최상급들인데 안넣어준 제조사는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 25.04.27 07:39 | | |

(IP보기클릭)180.229.***.***

으아앙훌쩍

| 25.04.27 07:41 | | |

(IP보기클릭)210.105.***.***

인픽션
전원부라면 거긴 온도 측정이 안되는곳인가요? 딱히 온도가 높게 나오는곳이 없는것 같은데요 | 25.04.29 08:13 | | |

삭제된 댓글입니다.

(IP보기클릭)121.141.***.***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달걀볶음밥
단순히 원가절감에서 끝날 문제가 아니라 걍 엔비디아가 제공한 공식 레퍼런스 가이드라인 자체부터가 지나치게 밀집도가 높습니다. 과거 80급 수준으로 때려박을 것을 고작 50수준의 면적에다 죄다 몰빵해놨으니. | 25.04.26 12:53 | | |

삭제된 댓글입니다.

(IP보기클릭)211.49.***.***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늘항상감사합니다
브랜드 따라 다른데 pny,팰릿이면 백플 따서 서멀패드 작업하면 10도 이상 온도가 낮아진다는 내용 므시 기가는 백플 전원부 후면부에 서멀패드가 이미 붙어 있어서 굳이 뜯을 이유가 없고 pny,팰릿이면 서멀 작업을 도전해봄직 함 | 25.04.26 11:02 | | |

(IP보기클릭)211.104.***.***

롸데꾸
기사에 안나와서 그런데 조택껀.... 백플 서멀 어떻게 되어 있다고 하나요 | 25.04.26 12:33 | | |

(IP보기클릭)211.49.***.***

왜날뾁에올인
5000번대 분해 영상이 없어 확언 할 수는 없지만 3000번대와 4000번대 라인 분해 영상에서 백플 서멀패드가 확인 되기 때문에 굳이 5000번대에서 빠졌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생각됩니다. 서멀패드가 고가의 물건도 아니고 그거 천원단위 아끼겠다고 원가 절감할 정도로 굳이 그걸 뺏을까 싶긴 합니다. | 25.04.26 13:14 | | |

(IP보기클릭)211.104.***.***

롸데꾸
감사합니다 | 25.04.26 14:26 | | |

(IP보기클릭)175.211.***.***

덜덜덜
25.04.26 10:57

(IP보기클릭)59.7.***.***

BEST
이 기사 보고 5070ti 전원 케이블 체결부 만져 보니 열기가 느껴짐 진짜 기판이랑 부품 온도 많이 높을꺼 같음 하 진짜 큰 맘먹고 비싼돈 주고 바꿧더니 드라이버는 개판 하드웨어 설계도 개판 에휴 진짜 ㅠㅠ 그냥 라데온 살껄 그랬나 싶네요
25.04.26 11:01

(IP보기클릭)220.124.***.***

결전의날
뒷면에 부착식 서멀패드랑 작은 방열판 하나 다세요. | 25.04.26 11:59 | | |

(IP보기클릭)118.139.***.***

결전의날
근데 웃긴 건 그렇게 과거에 라데온 갔던 사람들 대부분 다시 지포스로 돌아오고 그 사람들은 이제 라데온이라고 하면 경기 일으킴...ㅋㅋㅋㅋ | 25.04.26 13:13 | | |

(IP보기클릭)49.161.***.***

루리웹-6558013346
라데온쓰다 간만에 지포스 2070s 썻다가 경기 일으키고 다시 라데온 옴 | 25.04.26 15:16 | | |
파워링크 광고

(IP보기클릭)222.99.***.***

루리웹-6558013346
내가 4090 마지막으로 이번에 9070xt 갈아탓는데 이젠 아님 | 25.04.26 15:41 | | |

(IP보기클릭)66.222.***.***

결전의날
라데온도 vrm인가 온도가 90도가량 나와서 난리인 것 같던데요 | 25.04.27 00:44 | | |

(IP보기클릭)14.45.***.***

중복이름
그건 유저가 설정 조금 건들면 내려갑니다 | 25.04.27 00:58 | | |

(IP보기클릭)222.99.***.***

중복이름
지디디알6 원래 뜨거워요 백도이하면 정상범주로 보면 됍니다. 예전 삼천번대 지포스 특히 3090같은건 비램온도들 심한건 백도이상 찍는것들도 있었습니다. 제가 3090쓸때도 비램은 항상 90도 오르락내리락하면서놀더군요. 80도 언저리에서 노는건 정상범위입니다. 그것도 제로팬끄면 70대로 떨어져요 | 25.04.28 08:21 | | |

(IP보기클릭)66.222.***.***

인픽션
제가 듣기로도 위로 여유가 너무 없어서 문제인거지 현재 문제가 있다는 얘긴 아닌걸로 압니다. 문제는 여름이나 더운 나라에 사는 사람들의 경우 성능이나 수명이 줄어들게 예측되어서 그런것 같아요. 문제가 있으니 본사측에서도 수정하려는것일텐데 정상이라고는 생각되지 않습니다. | 25.04.28 08:36 | | |

(IP보기클릭)118.235.***.***

중복이름
그걸로 문제였으면 이미 3천번대 지포스에서 터졌을겁니다. 연식이 4년되가는 놈이라 여름만 몇번을 지냈거든요 걱정할 필요없다고 생각됩다. | 25.04.28 08:52 | | |

(IP보기클릭)211.36.***.***

중복이름
이거 리뷰어가 테스트한 게이밍프로만 그렇고 타 제품들은 문제가 없는게 맞습니다 | 25.04.29 17:07 | | |

(IP보기클릭)125.186.***.***

이건 지포스 FX 보다 더 심한거 아닌가?
25.04.26 11:44

(IP보기클릭)14.51.***.***

이번세대 엔비디아는 완전히 망해버린듯.. 무조건 라데온 가라고 엔비디아가 떠 미는 중..
25.04.26 11:51

(IP보기클릭)220.118.***.***

40스리즈 산사람들이 승리자네 30 <-- 발열 쓰레기 50 <-- 발열 성능 쓰레기 40 <-- 발열 안정적 성능 꿀리지 않아
25.04.26 12:25

(IP보기클릭)106.101.***.***

Wing-Zero
40시리즈도 30시리즈대비 성능상승폭 작다고 어지게 까였구만ㅋㅋㅋㅋㅋ 그냥 본인이 낀 시리즈가 제일좋은거지 | 25.04.26 12:41 | | |

(IP보기클릭)211.110.***.***

루리웹-2826461913
솔직히 천번이후로는 사천번대가 제일 나음 | 25.04.26 12:46 | | |

(IP보기클릭)106.101.***.***

여친구했음
그럼 5090 무료로 줘도 40시리즈 씀?ㅋㅋㅋㅋㅋ | 25.04.26 12:51 | | |

(IP보기클릭)211.110.***.***

BEST
루리웹-2826461913
공짜면 다좋지 바보임?? | 25.04.26 12:51 | | |

(IP보기클릭)121.141.***.***

루리웹-2826461913
성능 상승폭 자체는 큰 편이었습니다. 가격을 높게 쳐받아먹기 위해서 제품 등급을 올려쳤으니까 안 오른 것처럼 보이는 거지. | 25.04.26 12:54 | | |

(IP보기클릭)106.101.***.***

여친구했음
니가 4천번쓰면서 그런소리하니까 그렇지 바보임? | 25.04.26 13:03 | | |

(IP보기클릭)106.101.***.***

류오동
그래서 욕먹은거 아님? 그래서 5090보다 4090이 더 좋음? | 25.04.26 13:04 | | |

(IP보기클릭)211.49.***.***

류오동
40시리즈 90이외에 가성비 구리다고 죄다 까였고 그 비싼 4090만 가성비라고 이야기 되었죠. 성능 상승폭이 큰 것도 딱 4090한정이고 당장 100만원에 팔던 3080을 4070이 이겼던가요? 4060ti는 고해상도에서 3070도 근소하게 못 이기고 오로지 4090에 한정된 이야기... 3000번대는 3090이 가성비가 쓰레기라 3080플미 15만원 붙을때 10만원 까도 안 팔리던 쓰레기고... 4000번대 3000번대 대비 죄다 ㅂㅅ인것 따지면 5000번대도 전 세대 라인업 하나씩 땃죠. 그냥 환율 크리쳐맞고 정가는 안 올렸음에도 체감가가 쓰레기된 한국에서 유독 더 못나보이는 5000번대이구요. | 25.04.26 13:21 | | |

(IP보기클릭)121.141.***.***

롸데꾸
80붙여야 할 제품에다 70 붙이고 70 붙여야 할 제품에 60 붙이고 50으로 내놔야 할 칩에 60 붙여서 300$씩 받아먹고 이딴 식이니까 성능 향상이 x박은 것처럼 보인 것이지 칩 대 칩 레벨에서의 성능 향상은 높은 편입니다. 물론 이게 미세공정 차이까지 고려한다면 이게 또 애매하지만. | 25.04.26 20:26 | | |

(IP보기클릭)180.229.***.***

류오동
순간 헷갈렸어요 80 라인업에 70급 gpu를 넣고 70 라인업에 60급 gpu를 넣고 50 gpu를 60 라인업으로 $300씩 받아먹고 이딴식이니까 성능 향상이 x박은 것처럼 보인 것이지 칩 대 칩 레벨에서의 성능 향상은 높은 편입니다 제가 이해한 이게 맞죠? 5080(사실 5070급) 5070ti(사실 5060ti급) ....... 뭐 이런식으로 실제 체급보다 이름만 높게 달아서 돈만 많이 받아간다는 얘기죠 | 25.04.27 07:48 | | |

(IP보기클릭)106.101.***.***

이딴걸 500~600만원에 판매하다니 참....
25.04.26 12:31

(IP보기클릭)211.46.***.***

아파츠아파츠
황가 : (ai 칩셋을 팔며) 사든 말든 | 25.04.26 13:02 | | |

(IP보기클릭)112.149.***.***

9070xt에서 5080으로 업글할까 생각했었는데 그냥 써야겠군
25.04.26 13:23

(IP보기클릭)58.233.***.***

이걸로 앞으로 나올 60시리즈를 비롯해 차세대버전은 기대 안하는게 좋다고 판명이 됐네
25.04.26 13:24

(IP보기클릭)106.101.***.***

발열문제도 문제지만 써멀 젤 누출되는게 제일 큰문제 같습니다.
25.04.26 13:28

(IP보기클릭)118.127.***.***

어렵다..........
25.04.26 14:08

(IP보기클릭)222.239.***.***

5080 샀는데 ㅅㅂ 좋은걸 모르겠다
25.04.26 14:10

(IP보기클릭)180.66.***.***

암드살까 엔당살까 고민 진짜 많이 했었는데, 다행이다
25.04.26 14:22

(IP보기클릭)45.135.***.***

나이스굳 바라던바다
25.04.26 14:52

(IP보기클릭)59.18.***.***

코어 온도 인 줄 알았더니 전원부 온도가 107도 ㅎㄷㄷ
25.04.26 15:00
파워링크 광고

(IP보기클릭)121.180.***.***

쓰레기 중에 쓰레기를 비싸게 파는 그들의 능력은 대체...
25.04.26 15:59

(IP보기클릭)182.212.***.***

6090때나 사야되나..
25.04.26 16:12

(IP보기클릭)220.77.***.***

기가바이트 5090 게이밍OC라서 천만다행..그나마 공랭중 전원부 서멀 완전 무식하게 바른 유일한 브랜드
25.04.26 16:13

(IP보기클릭)106.101.***.***

루리웹-6931552737
그게 문제가 아니에요. 써멀이 흘러서 줄줄 흐를텐데요. | 25.04.26 17:00 | | |

(IP보기클릭)66.222.***.***

아파츠아파츠
그건 라이저로 세워쓸 경우만 해당되는거 아닌가요. 왜 특수한 경우를 전체가 그런것마냥 그러시는지.. | 25.04.27 00:47 | | |

(IP보기클릭)14.54.***.***

중복이름
라이져킷을 이용하여 사용하든 눕혀서 사용하든 다 누출이 된다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어요. 제가 억지를 부리는게 아닙니다. | 25.04.27 08:07 | | |

(IP보기클릭)14.54.***.***

중복이름
퀘이사존 사이트에 들어가면 그런 글들이 엄청나게 많으니 확인해보세요. | 25.04.27 08:09 | | |

(IP보기클릭)182.215.***.***

5080 이상은 고가라인업이 필수라는 의민가요
25.04.26 16:54

(IP보기클릭)180.230.***.***

걍 라데온 ㄱㄱ
25.04.26 18:24

(IP보기클릭)1.233.***.***

이번 50시리즈는 진짜 엔비디아 최악의 라인업이다..
25.04.26 18:27

(IP보기클릭)211.234.***.***

설계결함 맞는듯 Tsmc가 애플 ap는 전성비 깃동차게 만드는데
25.04.26 19:04

(IP보기클릭)121.135.***.***

지금 온도문제는 5090 커넥터쪽 온도 90도넘는거랑 9070xt 메모리 온도 90도가까이찍는거 문제가 제일심한데 저건뭔 특정제품만나오는걸 싸잡아서 날조를하고있네
25.04.26 19:04

(IP보기클릭)103.241.***.***


조금만 더... 힘내 보자 RTX 2060 Super야...
25.04.27 14:50

(IP보기클릭)122.35.***.***

슈프림 샀는데 이거 전원부 문제외엔 다른건 다 괜찮아서 얼마나 버티려나..
25.04.27 17:01

(IP보기클릭)1.233.***.***

와우..여름에 여기저기 펑펑 터지려나.
25.04.28 01:43

(IP보기클릭)210.105.***.***

근데 이거 영상으로 테스트 한건 없나요?
25.04.29 08:21

(IP보기클릭)175.201.***.***

네모둘리
이거 해당 리뷰어가 테스트한 제품은 펠릿의 게이밍프로 1개 모델뿐으로 다른 모델들에선 문제없는걸로 확인되었습니다. https://quasarzone.com/bbs/qc_qsz/views/1914112? https://quasarzone.com/bbs/qc_qsz/views/1907502? https://quasarzone.com/bbs/qc_qsz/views/1907502? https://quasarzone.com/bbs/qc_qsz/views/1916024? 이노3D의 2팬 하급기 5070 이노3D 트윈는 77도, 5070 갤럭시 EX 3팬는 72도, 5070 갤럭시 2팬은 80도, 5070 게인워드 피닉스 80도 등으로 5070 다른 대부분의 제품에선 이와 같은 문제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리뷰어가 테스트한 펠릿의 게이밍프로 역시 서멀작업을 추가로 한 결과 온도가 크게 내려간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25.04.29 17:03 | | |

(IP보기클릭)210.105.***.***

crocss01
영상 감사합니다 | 25.04.30 11:07 | | |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352195 공지 국내외 언론 및 웹진 불펌 금지. (2) 관리자 6 210037 2010.06.22
2324245 S/W 뒤돌아 보지마 4846 2025.04.27
2324243 S/W 물곰탱 17 11097 2025.04.27
2324242 ETC 사쿠라모리 카오리P 1064 2025.04.27
2324241 ETC 사쿠라모리 카오리P 887 2025.04.27
2324238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3 4817 2025.04.26
2324237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3 1009 2025.04.26
2324234 참고 헤롱싀 26 17280 2025.04.26
2324232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2 1361 2025.04.26
2324231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1 834 2025.04.26
2324230 참고 빡통이 28 13869 2025.04.26
2324229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1 1288 2025.04.26
2324224 ETC 팔자™ 8 9498 2025.04.26
2324223 ETC 팔자™ 8 6182 2025.04.26
2324213 H/W 뒤돌아 보지마 20 18218 2025.04.26
2324211 ETC 사쿠라모리 카오리P 1 816 2025.04.26
2324210 ETC 사쿠라모리 카오리P 508 2025.04.26
2324209 ETC 사쿠라모리 카오리P 934 2025.04.26
2324208 ETC 사쿠라모리 카오리P 2 1824 2025.04.26
2324204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1 976 2025.04.26
2324203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1 809 2025.04.26
2324190 ETC 사쿠라모리 카오리P 1 1249 2025.04.25
2324189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1 1023 2025.04.25
2324188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730 2025.04.25
2324187 ETC 사쿠라모리 카오리P 1 698 2025.04.25
2324186 ETC 사쿠라모리 카오리P 1 898 2025.04.25
2324185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455 2025.04.25
2324184 S/W 사쿠라모리 카오리P 529 2025.04.25
2324180 ETC 춘리허벅지 1 1771 2025.04.25
글쓰기 54724개의 글이 있습니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