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텐도 스위치 2에서 대형 오픈 월드 '사이버펑크 2077'은 어떻게 구동될까? 선행 플레이를 통해 퍼포먼스와 움직임을 철저히 조사해봤다.
CD PROJEKT RED JAPAN 주최로, 주식회사 스파이크・춘소프트의 회의실에서 Nintendo Switch 2 버전 『사이버펑크 2077 얼티밋 에디션』의 미디어 대상 시연 이벤트가 실시되었다. 약 1시간에 걸쳐 Switch 2 버전을 시연해 보았으므로, Switch 2 버전 『사이버펑크 2077』에 주목하고 있는 게이머들이 궁금해할 만한 점을 전달하고자 한다.
・Switch 2 버전의 특징
Switch 2 버전의 주요 독자적인 기능은 휴대 모드로 들고 다닐 수 있다는 점과, Joy-Con 2를 이용한 특수한 조작에 대응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번에 실시된 미디어 대상 시연회에서는 지금까지의 일반 시연 이벤트와는 달리, 「휴대 모드」에서의 플레이가 가능하게 되었다.
필자가 받은 첫인상은 「생각했던 것보다, 평소와 똑같이 플레이할 수 있네」라는 것이었다. 게임 플레이 등은 다른 기종 버전과 동일하므로 당연하지만, 어찌 되었든 가정용 휴대 게임기로서의 환경에서 『사이버펑크 2077』을 평소와 똑같이 플레이할 수 있는 시대가 많은 게이머들에게 곧 찾아온다는 것에 놀라움을 감출 수 없다.
Switch 2는 하드웨어 사양상 TV 모드에서는 해상도가 4K(2160p)까지 대응하지만, 『사이버펑크 2077』에서는 풀 HD(1080p)까지만 가능하다또한, PS5/Xbox Series X|S과 달리, 퍼포먼스 모드의 목표 프레임 속도는 60fps가 아닌 40fps가 기준이 된다. 덧붙여 CDPR 담당자로부터 「Switch 2 버전에 레이 트레이싱 기능은 탑재되어 있지 않다」라는 답변을 받았다.
게임 및 그래픽을 잘 아는 게이머라면, 위의 표를 보고 「TV 모드에서 그래픽 모드가 다른데, 왜 해상도가 1080p로 똑같이 되어 있지?」라는 의문을 품었을지도 모른다. 이에 대해서도 CDPR 담당자로부터 「업스케일 원본 해상도가 각각 다르기 때문」이라는 답변을 받았다. 같은 1080p라도, 각각 화질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이다.
본 작품에는 DLSS라고 불리는, 낮은 해상도에서 높은 해상도로 보정하는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 보정 원본이 되는 낮은 해상도에도 정도의 차이가 있어, 더 높은 해상도에서 보정하면 그만큼 최종적인 화질이 향상된다. Switch 2용 DLSS의 사양은 일반 공개되어 있지 않지만, PC용 DLSS처럼 모드에 따라 「66%의 해상도에서 보정」「50%의 해상도에서 보정」과 같은 보정 전 해상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필자로서 Switch 2 버전의 『사이버펑크 2077』을 플레이한다면, 기본적으로 퍼포먼스 모드가 좋다고 생각한다. 퀄리티 모드와 퍼포먼스 모드를 전환하며 플레이해도 화질에 명확한 차이를 느끼지 못했고, 적 캐릭터와의 전투나 시내 드라이브 중 등 처리 부하가 높은 장면에서는 퍼포먼스 모드가 더욱 쾌적하게 게임 플레이에 집중할 수 있어 스트레스가 적다고 느껴졌기 때문이다. 특히 퍼포먼스 모드에서 퀄리티 모드로 전환했을 때는, 프레임 속도 저하가 확연히 느껴졌다.
다만, 모니터에 연결하여 플레이하는 경우에는, 모니터의 주사율이 120Hz 이상이 아니면 퍼포먼스 모드를 이용할 수 없는 사양으로 되어 있다. 일반적인 가정용 TV는 대부분 60Hz가 상한이므로, TV 모드에서 퍼포먼스 모드를 이용할 수 없는 게이머도 적지 않을 것이다. 게이밍 모니터는120Hz에 대응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TV 모드에서 퍼포먼스 모드를 이용하고 싶다면 현재 이용하고 있는 모니터의 성능을 잘 확인해 보길 바란다.
휴대 모드의 퍼포먼스 모드는 출력 해상도가 720p이지만, 3DCG 영상의 질은 퀄리티 모드의 경우와 비교했을 때 차이가 뚜렷하게 느껴지지 않았다. 반면, UI의 문자 등은 퀄리티 모드와 비교했을 때 해상도가 명확히 낮아졌지만, 문자를 읽을 수 없을 정도로 불편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필자로서는 문자의 해상도 저하는 허용 가능한 범위라고 느껴졌다.
덧붙여 Switch 2는 TV 모드 및 휴대 모드에서 HDR을 활성화할 수 있다. 필자는 휴대 모드와 TV 모드에서 각각 HDR의 온・오프를 전환해 보았지만, 색채나 프레임 속도에 뚜렷한 차이는 느껴지지 않았다. 특별히 신경 쓰는 이유가 없다면, 켠 채로 두어도 문제없을 것이다.
●Switch 2 버전만의 특수한 조작에 대하여
Switch 2 버전 『사이버펑크 2077』에는 다른 게임기 버전에는 없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조작이 구현되어 있다.
・모션 조작을 통한 일부 아이템・무기 사용 (칼이나 회복 아이템 등)
・Joy-Con 2 (R)의 마우스 조작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조작
・터치 패널을 이용한 UI 조작
이 중, 「모션 조작을 통한 일부 아이템・무기 사용」은 이날 체험할 수 없었다. 그 외의 Switch 2 버전의 조작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Joy-Con 2 (R)의 마우스 조작
Nintendo Switch 2의 핵심이 될 새로운 기능 「마우스 조작」을 활용한 모드로, 옵션 화면에서 설정한 후 Joy-Con 2 (R)을 테이블에 놓으면 마우스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기본적으로, 오른쪽 스틱의 조작이 마우스 조작으로 바뀌어, 특히 카메라 조작을 PC의 마우스와 같은 감각으로 다룰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오른쪽 스틱 이외의 버튼 배치는 그대로이므로, 점프나 결정 등 키 배치는 비 마우스 조작 시와 동일하며, Joy-Con 2의 마우스 조작을 위해 최적화되어 있지는 않다. 마우스 조작을 능숙하게 사용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포즈 메뉴나 옵션과 같은 UI 조작도 마우스로 조작하는 것이 버튼 조작보다 빠르고 편리하지만, 옵션 화면에서 마우스 조작 모드로 변경해야만 이용할 수 있으므로 「평소 게임 플레이는 버튼 조작이지만, 포즈 메뉴를 마우스 조작하는 부분만 마우스 조작으로 전환한다」와 같은 사용법은 상상하기 어렵다. 『메트로이드 프라임 4』처럼, Joy-Con 2를 들고 사용할지 책상에 놓고 사용할지에 따라 오른쪽 스틱에 의한 조작과 마우스 조작이 매끄럽게 전환될 수 있게 된다면, 더욱 시도해 보고 싶어질지도 모른다. 향후 업데이트를 통한 대응을 기대해 본다.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조작
Nintendo Switch에서는 『스플래툰 2』, 『스플래툰 3』부터 『The Elder Scrolls V: Skyrim』까지 폭넓은 게임에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익숙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조작은, Switch 2 『사이버펑크 2077』에서도 채용되었다. 본 작품에서는 자이로 센서의 카메라 조작이 항상 작동하도록 할지, 총 등의 원거리 무기 사용 시에만 작동하도록 할지, 에임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작동하도록 할지 세 가지 중에서 선택 가능하다.
항상 자이로 센서로 카메라를 조작하도록 설정하면, 도시를 탐색하고 있을 때조차 항상 카메라가 움직이게 되므로, 에임 시에만 자이로 센서가 작동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플레이하기 쉽다. 그렇다고는 해도, 『사이버펑크 2077』은 원래 게임패드로 플레이할 때 에임 보정이 강하고, 정밀한 에임 조작이 중요하지 않은 게임이므로, 어디까지나 제한적인 보조 기능이 된다. 광범위 공격이나 해킹이 아닌 스나이퍼 라이플 등 원거리 무기를 중심으로 롤플레잉하고 싶을 때에는 유용할 것이다.
・터치 패널을 이용한 조작
Switch 2의 휴대 모드와 테이블 모드에서는, Switch 2 본체 액정을 터치하여 옵션 화면이나 포즈 메뉴 등 UI를 터치 조작할 수 있다. 「휴대용 게이밍 PC에서도 마찬가지의 조작을 할 수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하는 독자도 있을지 모르지만, 휴대용 게이밍 PC로 플레이할 때는 게임패드와 터치 패널을 이용한 조작을 매끄럽게 전환하기 어렵다. 이 매끄러운 터치 조작은 Switch 2의 독특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필자는 『사이버펑크 2077』을 평소 게임패드의 버튼으로 조작했기 때문에, 터치 패널을 이용한 조작은 그다지 이용하지 않았다.
여담이지만, 필자가 Switch 2 버전 『사이버펑크 2077』을 플레이하고 처음 놀란 것은 「결정이 오른쪽의 A 버튼」이라는 것이었다. 다른 게임기용 게임패드에서는 아래쪽 버튼이 결정 키이기 때문에, 결정의 A 버튼이 오른쪽에 있는 것에 익숙해지는 데 약간의 시간이 걸렸다. 이미 다른 기종으로 『사이버펑크 2077』을 플레이하고 있는 경우 가장 익숙해지기 어려운 것은, 결정 키의 배치 차이일지도 모른다.
●결론: 나이트 시티를 휴대 모드로 들고 다니고 싶은 사람은 Switch 2 버전
필자의 결론으로는, Switch 2 버전 『사이버펑크 2077』은 휴대 모드로 플레이하는 것을 추천하고 싶다. 특히, 1인칭 시점이 계속되는 본 작품에서는 프레임 속도의 안정이 쾌적한 플레이를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며, 휴대 모드에서는 퍼포먼스 모드를 누구든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크다.
2025년 6월 시점에서 다른 하드웨어와 비교하여 『사이버펑크 2077』의 완전판을 안정적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게임 콘솔로 가장 저렴한 것이 Nintendo Switch 2이며, 휴대 모드로 플레이하는 것은 대부분의 휴대용 게이밍 PC보다 Nintendo Switch 2 버전이 더 오래 플레이할 수 있다 (CDPR 담당자로부터, Switch 2 버전의 개발 환경에서는, 2시간 정도 플레이 가능했다는 설명이 있었다).
●덤: Steam Deck과의 비교
『사이버펑크 2077』에 한정되지 않고, Nintendo Switch 2는 Steam Deck과의 차이가 크게 주목받고 있다. 필자는 Steam Deck을 소지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Steam Deck과의 비교를 몇 가지 실시했다 (시연회장에는 가져가지 않았고, Switch 2 버전 시연 이벤트 이후 개인적으로 Steam Deck으로 플레이했다). 『사이버펑크 2077』의 PC 버전에는 그래픽 설정 프리셋에 「Steam Deck」이라는 기준이 있으며, 이것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우선, 평균 프레임 속도는 Steam Deck 쪽이 높다. Switch 2 버전은 30~40fps이지만, Steam Deck에서는 벤치마크에서 45fps를 기록하고 있으며, 부하가 가벼운 장면에서는 50fps를 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Steam Deck에서도 부하가 높은 부분에서는 프레임 속도가 30fps 정도로 저하된다. 또한, Switch 2 버전에서는 차량으로 도시를 돌아다닐 때, 자동 저장 타이밍에 일시적인 프레임 드롭이 발생했지만, 마찬가지로 Steam Deck으로 도시를 달렸을 때 자동 저장 타이밍에 일시적인 게임 멈춤은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화질은 Switch 2 버전 쪽이 좋다. 체감상, Switch 2의 휴대 모드가 Steam Deck보다 비주얼이 더 선명하게 보였다. 이는 Nintendo Switch 2가 NVIDIA 제 AI 파츠를 이용한 업스케일 「DLSS」에 대응하고 있다는 점이 클 것이다. Steam Deck의 업스케일은 AMD의 FSR 2.0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는 AI 파츠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업스케일의 정밀도가 DLSS만큼 높지 않다.
게다가, 배터리 지속 시간은 Switch 2 쪽이 길다. Switch 2에서는 배터리가 2시간 지속되지만, Steam Deck은 1시간 45분 정도이다. 휴대용 게임 환경에서는 단순한 프레임 속도나 화질뿐만 아니라, 휴대용으로서의 우위성도 훌륭한 스펙 지표이며, 휴대 성능은 Switch 2가 Steam Deck에 명확히 앞서는 점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검증이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IP보기클릭)118.235.***.***
60hz에서는 40fps가 주사율 매칭이 안돼서 프레임 타임이 일정하지가 않아서 끊겨보입니다. 120hz에서는 40fps가 딱 1/3이라서 가능한거고요.
(IP보기클릭)175.117.***.***
이 시연버전보다 제품판은 좀 더 향상되서 나온다고 합니다. 데이원 패치 있다고 하네요.
(IP보기클릭)220.89.***.***
제대로 표현하려면 정배수로 올라가야하는데 40hz, 80hz 모니터는 없으니까요 60hz 모니터가 보편화되는 이유가 12, 15, 20, 30, 60 프레임을 모두 안정적으로 표현할수 있기 때문이죠 60hz 모니터에에서 40프레임을 표현하면 3프레임중 2프레임만 표시되어서 OOXOOXOOX 패턴으로 나오니까 뚝뚝 끊겨보이게 될겁니다
(IP보기클릭)219.104.***.***
키 카드 아닌거만해도 갓 바로 구매 갑니다
(IP보기클릭)211.172.***.***
40프레임 모드 지원해주는건 좋네요 60Hz에서의 40프레임이랑 120Hz에서의 40프레임은 생각보다 체감 차이가 엄청 크던데
(IP보기클릭)219.104.***.***
키 카드 아닌거만해도 갓 바로 구매 갑니다
(IP보기클릭)61.79.***.***
(IP보기클릭)211.170.***.***
(IP보기클릭)175.117.***.***
이 시연버전보다 제품판은 좀 더 향상되서 나온다고 합니다. 데이원 패치 있다고 하네요.
(IP보기클릭)211.170.***.***
오호 | 25.05.15 19:19 | | |
(IP보기클릭)222.114.***.***
어떤게 향상되나요? | 25.05.15 19:22 | | |
(IP보기클릭)223.39.***.***
본문 설명을 보면 독모드 1080p는 네이티브고 휴대모드 1080p만 DLSS를 적용한 거 같은데, 어쩌면 제품판은 독모드에도 마저 DLSS 적용해서 해상도를 더 올릴 수도 있겠네요. | 25.05.15 19:49 | | |
(IP보기클릭)218.147.***.***
독모드는 dlss 안됩니다… | 25.05.15 20:38 | | |
(IP보기클릭)175.117.***.***
독모드도 DLSS적용된 해상도입니다. 스위치2도 피시처럼 dlss에 4단계 설정이 있다고 하니 내부해상도 설정에 따른 차이인듯 하네요. | 25.05.15 20:53 | | |
(IP보기클릭)118.235.***.***
독모드에서 안되는건 vrr이고 dlss는 상관없습니다 | 25.05.15 20:55 | | |
(IP보기클릭)175.123.***.***
본문에서 독모드가 1080p로 같은 이유에 대해 '업스케일 원본 해상도가 각각 다르기 때문' 이라고 하는데 무슨 네이티브요... | 25.05.15 21:04 | | |
(IP보기클릭)210.219.***.***
독모드 1080p도 이미 dlss 적용되서 1080p 입니다. | 25.06.05 16:38 | | |
(IP보기클릭)211.57.***.***
(IP보기클릭)118.32.***.***
??? | 25.05.16 07:27 | | |
(IP보기클릭)106.101.***.***
(IP보기클릭)118.235.***.***
뒹굴뒹굴0
60hz에서는 40fps가 주사율 매칭이 안돼서 프레임 타임이 일정하지가 않아서 끊겨보입니다. 120hz에서는 40fps가 딱 1/3이라서 가능한거고요. | 25.05.15 19:40 | | |
(IP보기클릭)211.234.***.***
닌텐도가 휴대모드에서도 괜히 120프레임 이악물고 넣은게 아니라는 말 주워들었는데 그런 이유였군요... | 25.05.15 19:51 | | |
(IP보기클릭)118.235.***.***
전 리듬게임들이 가장 기대되네요. 태고, 디모, 아르케아, 사이터스, 프디바, 그코 등등 전부 120fps 업그레이드 해주면 휴대용 리겜머신으로 돌릴듯. | 25.05.15 19:53 | | |
(IP보기클릭)220.89.***.***
뒹굴뒹굴0
제대로 표현하려면 정배수로 올라가야하는데 40hz, 80hz 모니터는 없으니까요 60hz 모니터가 보편화되는 이유가 12, 15, 20, 30, 60 프레임을 모두 안정적으로 표현할수 있기 때문이죠 60hz 모니터에에서 40프레임을 표현하면 3프레임중 2프레임만 표시되어서 OOXOOXOOX 패턴으로 나오니까 뚝뚝 끊겨보이게 될겁니다 | 25.05.15 19:55 | | |
(IP보기클릭)121.139.***.***
휴대모드에서는 지싱크 가능해서 120hz 아니였어도 40프레임 모드 가능해요 | 25.05.15 19:56 | | |
(IP보기클릭)112.187.***.***
헐 여태 첨알았다 | 25.05.15 20:15 | | |
(IP보기클릭)122.32.***.***
플스도 40프레임 모드는 120Hz지원 디스플레이만 가능합니다 HDMI VRR은 48Hz가 하한선이라 지원 못합니다 휴대모드에서 되는건 지싱크 대응 디스플레이라서 48HZ이하에서도 작동하는걸로 보이네요 | 25.05.15 22:19 | | |
(IP보기클릭)220.84.***.***
그럼 165Hz이나 144Hz 모니터는 매칭이 안맞는건가요? 아니면 그냥 120Hz이상이면 상관없나요? | 25.05.16 00:06 | | |
(IP보기클릭)118.32.***.***
그냥 모니터 제한 두면 되는거 아닌가요??게임에서 지원해야 하나...퍼디 같은 경우엔 고를수 있게 해놨던데. | 25.05.16 07:28 | | |
(IP보기클릭)211.235.***.***
144hz디스플레이에서도 끊길까요? | 25.05.16 12:39 | | |
(IP보기클릭)211.229.***.***
(IP보기클릭)119.59.***.***
(IP보기클릭)211.172.***.***
40프레임 모드 지원해주는건 좋네요 60Hz에서의 40프레임이랑 120Hz에서의 40프레임은 생각보다 체감 차이가 엄청 크던데
(IP보기클릭)218.147.***.***
(IP보기클릭)49.170.***.***
스위치는 콘솔이라 완벽한 슬립모드랑 전용 최적화가 있져 충분히 가치 있어요 | 25.05.15 22:29 | | |
(IP보기클릭)211.248.***.***
전 윈도우쓰는 umpc에선 도저히 겜 못해먹겠더라구요 윈도우 자체가 게임기의 형태에서 조작하기 답답한데 슬립모드도 없어서 이럴거면 왜 휴대기로 겜하는 의미가 없는거같았습니다 걍 성능 타협하고 스팀덱이랑 스위치만 쓰고 윈도우umpc는 서랍에 박아뒀네요 | 25.05.16 00:28 | | |
(IP보기클릭)210.113.***.***
가장 중요하다고 보는 그 점 때문에 스위치가 흥한건데, 로갈리에서 사펑 돌려보고, 스팀덱에서도 사펑 돌려보고, 아 내가 아무리 막눈이라도 사펑은 휴대용으론 불가능하구나 생각했는데 스팀덱보다 나은 화질에 2시간이면 그 어느 휴대용보다 막강한 이점인데요. 그나마 지금 적당한 화면빨에 2시간 가는건 흑갈리 뿐;; | 25.05.19 13:01 | | |
(IP보기클릭)175.120.***.***
(IP보기클릭)182.31.***.***
그냥 기기스펙대로 나왔습니다... 스팀덱이랑 쇼부치고 있는데 ㅠㅠ | 25.05.15 21:24 | | |
(IP보기클릭)210.100.***.***
기기성능 생각해보면 저 정도 나오는게 맞을걸요? | 25.05.15 21:33 | | |
(IP보기클릭)182.31.***.***
여기는 진실을 말하면 비추 주시네용 저 스위치2 구매 넣었다구요 ㅠㅠ | 25.05.15 21:45 | | |
(IP보기클릭)175.120.***.***
그러니까 그 성능에 맞춰서 나온게 잘나온거라고 생각함ㅋㅋ | 25.05.15 23:04 | | |
(IP보기클릭)211.248.***.***
스위치1때 포켓몬처럼 기기스펙대로 못나오던 게임들이 많아서 걱정하는분들이 많았어서 그럴겁니다 ㅠ.. | 25.05.16 00:30 | | |
(IP보기클릭)210.113.***.***
스팀덱에서 사펑 안 돌려보셨죠? ㅋ | 25.05.19 13:03 | | |
(IP보기클릭)115.136.***.***
(IP보기클릭)125.180.***.***
(IP보기클릭)121.164.***.***
(IP보기클릭)125.128.***.***
(IP보기클릭)220.70.***.***
이미 그렇게 욕먹던 호그와트 스위치 버전이 작년 국내 스위치 게임 판매량 3위 했어요, 진작에 스위치에서는 서드 파티 판매 비율 많이 높아졌습니다. | 25.05.15 21:39 | | |
(IP보기클릭)182.31.***.***
(IP보기클릭)39.116.***.***
(IP보기클릭)218.50.***.***
(IP보기클릭)211.248.***.***
게임기는 하나만사고 pc는 사무용정도인사람도 굉장히 많은데 플스 고사양pc유저 잔뜩모인 게임커뮤에선 서드겜 스위치로 나오는거보고 이걸 왜 스위치로해? 하면서 공감못하는분들이 많더라구요 | 25.05.16 00:32 | | |
(IP보기클릭)218.50.***.***
물론 서드들은 스팀도 있고 하지만 점유율 좋은 스위치에 게임을 내고 싶었을 거라 이번 2는 1보단 이식 난이도가 낮아졌기 때문에 많이 시도할 것 같습니다 | 25.05.16 00:50 | | |
(IP보기클릭)222.108.***.***
(IP보기클릭)118.32.***.***
흑갈리 아닌 이상은 걍 흰색도 그래픽 많이 갈구는 사양이면 광탈이더라구요 ;;스팀덱은 안 써봐서 몰겠음 | 25.05.16 07:26 | | |
(IP보기클릭)211.203.***.***
(IP보기클릭)210.178.***.***
(IP보기클릭)112.216.***.***
(IP보기클릭)112.161.***.***
나가서 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플스 유무와는 크게 상관이... | 25.05.16 12:13 | | |
(IP보기클릭)124.49.***.***
전 나갈때 포탈들고 나가요. 스위치 안들고 나간지 몇년 된 듯. 꼭 해야하는 독점작이 아닌 이상 스위치 들고나갈일이 없어졌어요. 포탈 아니더라도 umpc도 있고… 스위치 초기에 휴대기시장에서 독점하던 때에 비해 휴대시장에서도 이제는 경쟁자가 많이 생긴 상황입니다. 젤다 왕눈 후속이나 베요네타4라도 나와야 스위치 들고 나갈 듯. | 25.05.16 12:56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