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문제는 애프터버너로 커스텀 팬커브를 설정하지 않고 팬컨트롤 프로그램(애프터버너, FanControl, Argus 등)을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반대로 말하자면 해당 팬컨트롤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애프터버너로 커스텀 팬커브가 설정된 시스템이라면 해당되는 문제입니다.
현재 576.02 드라이버에서 절전모드 진입후 해제시 온도 센서 보고가 멈추는 현상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로인해 GPU의 현재 온도를 알수없게되고 부스트 클럭과 팬속도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할 위험이 있습니다.
이는 낮은 확률이지만 심각한 하드웨어 손상을 유발할수도 있는 상당히 심각한 문제입니다.
한번 멈춘 온도 센서 보고는 윈도우키+컨트롤키+알트키+B 로 가능한 드라이버 재시작으로도 정상화가 불가능하며
시스템을 재시작하거나
NVIDIA 제어판 개발자 옵션을 활성화 하고 GPU 성능 카운터 관리를 다시 활성화 하거나
https://www.monitortests.com/forum/Thread-Custom-Resolution-Utility-CRU
Custom Resolution Utility(CRU) 에 포함된 'restart64.exe' 를 실행하면 정상화가 가능합니다.
해결 방법은 드라이버 롤백
애프터버너를 통한 커스텀 팬커브를 해제하고 팬컨트롤 사용을 중지
절전모드 비활성
절전모드 해제후 CRU에 포함된 'restart64.exe' 실행
등이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출처를 참고하세요
(IP보기클릭)121.180.***.***
4070s 사용자입니다. 이전 드라이버 대기 30도 중~후반 이였는데, 업데이트 후 40도 중후반으로 확~ 올라갔습니다. 기본 gpu도 이전보다 더 갈구는거 같아요. 40시리즈에 제일 안정적인 566.36으로 내렸습니다. 이제 업데이트 왠만하면 안할겁니다. nvidia는 이제 진짜 막장같아요.
(IP보기클릭)221.160.***.***
5080인데 와일즈에서 프레임 생성 쓰면 크래시가 생기더라고요.. 아오 쓰레기 드라이버
(IP보기클릭)61.83.***.***
프레임생성안해도 크래시납니다 그냥 롤백하는걸 권장...
(IP보기클릭)61.98.***.***
그냥 이제 nvidia 드라이버는 566.36이 마지막이었다 생각하는게 편할듯
(IP보기클릭)118.218.***.***
드라이버 장인들 이젠 없나보네 연달아서 버그 덩어리를 꾸준하게 생성하네 아오
(IP보기클릭)221.160.***.***
5080인데 와일즈에서 프레임 생성 쓰면 크래시가 생기더라고요.. 아오 쓰레기 드라이버
(IP보기클릭)121.189.***.***
5070~5080 에서 퍼포먼스 향상됐다는 이야기도 있긴한데 크래시랑 블랙스크린 이야기도 많은거보면 이번 드라이버도 안정성은 개나줘버린거 같아요 ㅋㅋ | 25.04.18 21:59 | | |
(IP보기클릭)61.83.***.***
오그레이트
프레임생성안해도 크래시납니다 그냥 롤백하는걸 권장... | 25.04.18 22:21 | | |
(IP보기클릭)61.78.***.***
(IP보기클릭)61.78.***.***
40글카 쓰시는 분들도 566 버전 그대로 쓰세요. 평상시 글카 온도가 10도 가량 올라서 다시 롤백 했습니다. | 25.04.18 22:59 | | |
(IP보기클릭)121.180.***.***
4070s 사용자입니다. 이전 드라이버 대기 30도 중~후반 이였는데, 업데이트 후 40도 중후반으로 확~ 올라갔습니다. 기본 gpu도 이전보다 더 갈구는거 같아요. 40시리즈에 제일 안정적인 566.36으로 내렸습니다. 이제 업데이트 왠만하면 안할겁니다. nvidia는 이제 진짜 막장같아요.
(IP보기클릭)121.145.***.***
4070 쓰는데 이제 40 시리즈도 구형모델이 됐으니 잘 모르지만 저도 이 버전으로 내렸습니다. | 25.04.19 11:05 | | |
(IP보기클릭)220.78.***.***
(IP보기클릭)39.7.***.***
(IP보기클릭)14.39.***.***
(IP보기클릭)118.218.***.***
드라이버 장인들 이젠 없나보네 연달아서 버그 덩어리를 꾸준하게 생성하네 아오
(IP보기클릭)58.239.***.***
저는 RTX 50 시점 기준으로 지포스와 라데온의 드라이버 안정성은 둘이 동급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지포스는 점점 안정성이 하락해 갔고 라데온은 점점 안정성이 상승해 가서 둘이 만나는 지점이 바로 이번 세대 같아요. | 25.04.19 01:19 | | |
(IP보기클릭)61.98.***.***
그냥 이제 nvidia 드라이버는 566.36이 마지막이었다 생각하는게 편할듯
(IP보기클릭)14.41.***.***
이 글 보고 애프터버너 확인하니까 GPU 온도 계속 30도로 측정되고 있었네요 바로 롤백했습니다 감사합니다
(IP보기클릭)14.36.***.***
(IP보기클릭)121.189.***.***
네 온도센서 오류는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기본 팬커브를 사용하고 팬컨트롤을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은 드라이버 레벨의 온도센서가 망가져도 bios 레벨에서 팬을 제어하기때문에 영향이 없습니다 | 25.04.18 23:25 | | |
(IP보기클릭)175.123.***.***
(IP보기클릭)222.99.***.***
맞음. 그 버전이 시간 좀 지나서 보니 계속 저런게 나오는중 | 25.04.19 00:59 | | |
(IP보기클릭)58.65.***.***
(IP보기클릭)121.161.***.***
(IP보기클릭)183.106.***.***
(IP보기클릭)1.255.***.***
(IP보기클릭)61.39.***.***
(IP보기클릭)172.226.***.***
(IP보기클릭)182.228.***.***
(IP보기클릭)14.36.***.***
(IP보기클릭)121.179.***.***
(IP보기클릭)175.197.***.***
(IP보기클릭)175.125.***.***
저 그렇게 하니 27도 고정으로 떠도 팬 도네요. | 25.04.19 02:26 | | |
(IP보기클릭)126.224.***.***
(IP보기클릭)223.38.***.***
(IP보기클릭)220.87.***.***
(IP보기클릭)118.39.***.***
(IP보기클릭)121.151.***.***
(IP보기클릭)118.34.***.***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19.196.***.***
(IP보기클릭)119.196.***.***
그렇지않고서는 40까지는 그래도 별말이 없었는데 50부터는 베타버전이랑 별다를게 없음 | 25.04.19 12:30 | | |
(IP보기클릭)219.241.***.***
엔비디아에서 러시아쪽에 드라이버 관련 개발과 테스트 하는 인원들을 전쟁때문에 못쓰게 되서 엉망이라는 루머가 있더라구요. | 25.04.19 17:41 | | |
(IP보기클릭)121.151.***.***
(IP보기클릭)112.184.***.***
(IP보기클릭)116.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