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갤럭시 스마트폰 및 태블릿들에 최대 2000 사이클의 수명을 가진 배터리를 탑재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오는 6월 20일부터 EU에서 판매되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들은 전력효율, 배터리 수명, 수리 용이성, 낙하시 내충격성, 방진 및 방수인증 정보등을 담은 ENERGY 인증 라벨을 의무적으로 표기해야 합니다. 6월 20일 이전에 출시된 기기들은 이를 포함할 의무가 없으나 애플, 삼성, 구글 등 대형 업체들은 기존에 출시된 제품들도 ENERGY 인증 라벨을 표기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이 라벨을 통해 흥미로운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 삼성이 EU 지역 내 삼성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한 라벨 정보에 따르면, 삼성의 갤럭시S25 시리즈 스마트폰 및 갤럭시A56, 갤럭시A36, 갤럭시탭S10 시리즈들은 삼성에서 특별히 홍보를 한 적은 없지만 2000 사이클의 수명을 가진 배터리를 탑재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배터리를 2000번 완충완방 한 뒤에도 설계 용량의 80% 이상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데, 일반적인 스마트폰들이 탑재한 1000 사이클의 배터리보다 더 높은 내구성입니다.
(IP보기클릭)223.62.***.***
2000번 완충이면 하루한번 충전한다는가정하에 수명이 5년이네
(IP보기클릭)160.26.***.***
다른 제조사들도 올라오는 중인디? ㅋㅋ
(IP보기클릭)58.126.***.***
25울트라도 해당입니다.
(IP보기클릭)49.165.***.***
그럼 2천번에 대한 보증을 해야해서요 1천번이라고 생각하고 쓰시면 편할 듯
(IP보기클릭)118.235.***.***
좋은 건 좋다고 좀 하지. 내려치기는 참...
(IP보기클릭)180.70.***.***
(IP보기클릭)58.126.***.***
25울트라도 해당입니다. | 25.06.23 10:04 | | |
(IP보기클릭)180.70.***.***
오..좋네요 안정적으로 오래 쓰겠네요. | 25.06.23 10:06 | | |
(IP보기클릭)223.62.***.***
2000번 완충이면 하루한번 충전한다는가정하에 수명이 5년이네
(IP보기클릭)58.225.***.***
0%에서 100%까지 해야 1사이클인데 일상생활에서 수시로 충전하면서 쓰면 그렇게까지 대미지가 안감 보통 리튬배터리가 500~1000사이클인데 그런 배터리도 5년 이상 쓰고도 남음 나도 노트20 아직까지 쓰고 있는데 배터리보호모드(충전 85% 제한)걸고 써서 그런가 수명테스트 돌려보면 남은수명 95%찍힘 | 25.06.23 13:01 | | |
(IP보기클릭)39.7.***.***
(IP보기클릭)49.165.***.***
삐에로는_널_보고_울어
그럼 2천번에 대한 보증을 해야해서요 1천번이라고 생각하고 쓰시면 편할 듯 | 25.06.23 10:34 | | |
(IP보기클릭)182.220.***.***
제조사들마다 자체 테스트 결과이기 때문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외부 기관들한테 인증 받았다는 내용은 없는거로 확인됩니다 | 25.06.23 10:38 | | |
(IP보기클릭)112.222.***.***
이 기사가 홍보라는 생각은 안 드시나요 ㅋㅋ | 25.06.23 10:42 | | |
(IP보기클릭)160.26.***.***
루리웹-7347719632
다른 제조사들도 올라오는 중인디? ㅋㅋ | 25.06.23 10:50 | | |
(IP보기클릭)58.126.***.***
https://eur-lex.europa.eu/legal-content/EN/TXT/PDF/?uri=CELEX%3A32023R1670 EU 공식 문서에 따르면 외부 기관의 인증을 꼭 받아야 하는건 아니지만, 제조사 자체 테스트이더라도 EU에서 지정한 국제 시험 표준(IEC EN 61960-3:2017)에 따라 테스트를 수행해야 합니다. | 25.06.23 11:00 | | |
(IP보기클릭)211.246.***.***
이번에 생긴 eu인증이라 지금 홍보중이잖아요 | 25.06.23 11:06 | | |
(IP보기클릭)222.105.***.***
헬지 홍보팀이라면 몰라도 애플 삼성에서 홍보를 안 할 리가 해봤자 크지 않으니 걍 넘긴거같음 | 25.06.23 11:29 | | |
(IP보기클릭)222.121.***.***
배터리 부분은 사용자가 어떻게 사용하냐에 따라서 천차만별이라서 홍보가 힘들지 않을까요? 중국은 모르겠는데 이제 우리나라는 저런 제품 홍보 문구 하나하나가 아주 중요해서 나중에 딴말 나오면 머리아프니 거기다 솔직히 배터리 길게 쓴다는건 제품 교환주기도 늘어난다는건데 딱히 홍보거리가 아닌거 처럼 보이긴해요 괜히 삼성은 배터리 하루에 한번 충전으로 5년 써도 배터리 효율이 80%넘는 다는 인식이 좋아보이지는 않음 당장 애플만 해도 과거에 업데이트로 배터리 ㅂㅅ 만들려고 시도한거 봐도 ㅋㅋㅋ | 25.06.23 11:34 | | |
(IP보기클릭)182.220.***.***
가속 테스트라 정확하지 않을 수 있긴합니다 빠르게 측정하기 위한 표준이라 복합적인 변수에 영향을 받긴 합니다 | 25.06.23 12:02 | | |
(IP보기클릭)182.220.***.***
대강 참고하는 자료로 봐야지 어? 분명히 2000번 충전해도 배터리 효율 80퍼 아래로 안 떨어진다고 했는데 떨어졌다고 따지면 안되는 이유죠 기존에서도 그걸 알기에 자세히 표기 안한거고요 | 25.06.23 12:03 | | |
(IP보기클릭)58.126.***.***
뭐.. 그건 그렇죠. 1000 사이클 보장한다는 제품도 1년 좀 넘었는데 배터리 효율 80% 아래로 내려가고 이런 경우도 왕왕 있으니... IP 등급도 설계가 그렇게 되었다는 것이지 실제로는 침수되어도 보증 안해주는걸 생각하면, 실제로 그만큼 보장보다는 제품의 본래 수명은 이 정도 예상되니 안심하고 써라~ 정도의 느낌입니다. | 25.06.23 12:13 | | |
(IP보기클릭)182.220.***.***
https://m.gsmarena.com/apple_iphone_ipad_eu_energy_efficiency_label-news-68357.php | 25.06.25 15:31 | | |
(IP보기클릭)182.220.***.***
배타리 타스트가 그나마 신뢰성 있고 나머지는 테스트 기준이 모호해서 신뢰성이 적을 거 같긴 하네요 테스트 신뢰성을 더 보완하면 간단하고 명확하게 볼 수 있어서 좋을 거 같네요 | 25.06.25 15:33 | | |
(IP보기클릭)118.235.***.***
좋은 건 좋다고 좀 하지. 내려치기는 참...
(IP보기클릭)114.202.***.***
어쩔수 없는듯 배터리 수명은 사용자 환경에따라 천차만별로 달라지다보니 | 25.06.23 13:31 | | |
(IP보기클릭)121.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