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평점 :
8 더보기 +

[정보] 플삼판에 키렉이 있다 라.. 이것도 정보라면 정보일까요^^; [42]




(354264)
작성일 프로필 열기/닫기
추천 | 조회 3772 | 댓글수 42
글쓰기
|

댓글 | 42
1
 댓글


(IP보기클릭).***.***

BEST
오래전부터 엑박에 비해 플스3로 조작을 할때 어떤 거슬리는 이질감이 존재한다는 공통된 의견이 다수의 국내외 유저들로부터 있어왔는데 Nkido님의 주관적인 경험만으로 그동안 있어온 여러사람들의 의혹을 간단히 부정하고 '나는 그런거 못느꼈다. 온라인이나 모니터때문인거 같다' 라고 글을 쓰신게 이번 댓글이 길어진 원인이 아닌가 싶습니다. 제가 처음 댓글로 적은 내용도 이 얘기인데 내용전달이 아주 힘들었네요..;; 위 댓글에서 '양기종간의 인풋반응을 제대로 숙지할만큼 진득히 놀아본게 아닌데..' 라고 스스로 밝히셨듯이 그런 상황에서라면 더더욱 신중하게 글을 쓰셨어야 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에 쓰신글이라면 더더욱말이죠..;
12.08.30 15:05

(IP보기클릭).***.***

BEST
키랙 = 키 반응속도가 느림 => 펀치를 눌렀는데 늦게 나가는게 확 느껴짐! 지금 키랙을 느끼는 분들이 이런걸 얘기하는거라고 생각한거라면 저건 아닙니다. 이런건 키랙이 2프레임이 걸려도 느끼기 어렵습니다. 이런 랙은 선입력 없는 강제연결 같은게 중요한 스파 같은 게임을 하시는 분들이나 느낍니다. 적어도 버파는 아니죠. 아, 키랙이라는 말에 민감하게 반응하시는 거 같은데 키랙이던 모니터랙이던 여튼 플스에서'만' 발생하는 입력랙을 얘기한다고 미리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냥 랙이라고 하죠. 솔직히 저야 스틱에서 랙이 발생하던 플삼 스크린IO부에서 랙이 발생하던 관심 없습니다. 그냥 플삼에서만 랙이 발생하는게 중요하죠. 얘기로 돌아가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랙을 느끼고 있는데, 그게 버튼 동시입력에서 느껴지는 경우 입니다. 예를 들어 P+K를 입력했는데, P가 나갔다던가, P+K+G 를 눌렀는데 P+G가 나갔다던가 하는 식이죠. 버파의 동시입력 시스템은 철권과 조금 다릅니다. 동시입력한 버튼 두개가 있을 때, 두 버튼의 입력차가 반드시 동시가 아니라, 1F차이가 나더라도 동시 입력으로 인정해줍니다. 3개 일 땐 순차적으로 1F씩, 총2F의 차이가 나더라도 동시입력으로 인식해주죠. 버파는 이러한 입력 시스템을 통해서 동시버튼 입력시 오입력되는 현상을 최소화 시켜주고 있습니다. 실제로 버파 하던 사람이 철권하면 이상할 정도로 복수 버튼입력 기술들을 쓰는게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철권은 아주 정교하게 눌러줘야 되거든요. 랙 문제는 여기서 발생합니다. 1F차이가 나는 입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뒤의 입력버튼이 랙으로 인해서 1F더 늦게 입력 인식이 되면 2F차이가 나게 되고 그로 인해서 원버튼 기술이 나가게 되버립니다. 이 부분이 바로 플스에서 랙을 느낀다는 사람들의 얘기죠. 버튼을 원래 겁나게 잘 누르시는 분들은 어쩌면 못느낄지도 모릅니다. 혹은 철권에 길들여진 분들이라던가요. 이 문제는 철권처럼 정확한 동시입력만 하면 문제로 인식하지 않고 넘어갈 수 있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위의 문제를 인식하는 유저들이 매우 다수 존재합니다. 저는 플삼이 있어도 저 문제로 인해서 스트레스가 심해서 하지 않습니다. 회사에서는 플삼밖에 없으니 그걸로 하고 있지만 간혹 입력이 삑날 때는 짜증이 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뭐 한 3시간 하면 익숙해져서 잘 누르게 되긴 하더군요. 양 기종을 3~4대씩 놓고서 십수명이서 노는 이드에서도 버파는 플스로 돌리지 않습니다. 위의 문제 때문에 말이죠. 기계가 부족할 때나 돌리는 상황이죠. 발생 원인을 유저인 우리가 정확히 파악할 수 없으니 용어 정의를 키랙으로 칭하는게 맘에 안든다면야 뭐 이해할 수 있습니다만 명백하게 많은 사람들이 플삼에서 느끼는 현상을 자신의 민감도를 지표로 삼아 마치 그런 건 없다는 식으로 얘기하는 건 옳지 않습니다.
12.08.30 17:03

(IP보기클릭).***.***

플스자체는 결함이 없겠죠. 소프트웨어인 플스판 버파5파쇼에 있는 결함이겠죠. 말씀하신대로 업스캔등에서 오는 렉이라면 엑박도 마찬가지일텐데, 엑박버파파쇼하는 사람들에게선 그런 이야기가 나오지 않는것같군요. 대환이는 키렉을 느끼는듯하던데. 양기종 다 가진 환경이신 분이 테스트하는 것이 정확할듯 합니다.
12.08.28 21:18

(IP보기클릭).***.***

음, 공정한 테스트가 과연 될까 모르겠네요 저는^^; 서버만 해도.. 사람 10명있는거와 사람 100명있는것은 상당한 차이가 나게 마련이거든요. 적을수록 쾌적한건 당연한거 같아요~ | 12.08.28 23:07 | |

(IP보기클릭).***.***

그리고 모니터 얘기는^^ 플스만 소유하고 있는데 모니터가 문제되는 경우도 있을수 있으니 예를 든것입니다. 온라인 환경 상관없이, 오프모드에서 모니터렉으로 인한 키렉이 느껴진다면 말씀처럼 엑박 플스 둘다 느껴져야 정상이고 어느한쪽만 느껴진다면 그건 결함이 제대로 증명이 되는 셈입니다. 그런데 이런식으로 비교한사람은 못봤거든요^^; | 12.08.28 23:30 | |

(IP보기클릭).***.***

일단 플삼에 입력랙이 없다고 결론 내리신 것에 대한 근거를 본인이 느껴본적이 없다는 주관적인 경험 하나로 끝내시는게 너무 섣부르신게 아닌가 싶습니다..;;
12.08.28 21:42

(IP보기클릭).***.***

아~ 플스를 옹호하고 그렇게 보이셨나 보네요~ 글의 요지는 렉이라는건 절대적이 아닌 변수에 따른 상대적이란거 하고, 못해먹을 정도로 심각하고 이런건 아닌데 플스=키랙땜에 엑박보다 별로다~ 이런 의견이 굳어져가는게 좀 그래서 이런것도 있을수 있다 정도입니다^^ 제가 이쪽 종사자도 아니고 ㅎㅎ 결론을 낼수있는 위치는 아닌거 같아요~ 또한, 느껴본적이 없다는건 오프모드죠. 온라인이 아닙니다 ~_~ | 12.08.28 23:50 | |

(IP보기클릭).***.***

음... 캡콤쪽 이야기를 해 드리면요. 스파4는 국내에 아케이드 기판이 있었지 않습니까? 아케이드>엑박>플삼 순이었나 엑박>아케이드>플삼순이었나 기억은 가물가물한데 아무튼 키렉이 있어서. 강제연결할때 감이 흐트러진다는 걸 모두 인정했습니다. 실제로 일본에서 두쪽 스틱을 모두 PC에 연결해 에뮬로 실험해서 플삼쪽 스틱이 렉이 있음을 밝힌 게시물도 있었고요.(루리웹 정보게시판에도 올라왔었던 듯한데...) 이건 'PC에 연결해서' OR '캡콤 한정이다'라고 반론하신 분들도 있었습니다만 어쨌든. 플삼용 패드(=스틱) 기판 자체에 키렉이 있는 것 아닌가? 라는 게 제 생각입니다.
12.08.28 22:23

(IP보기클릭).***.***

스파는 확실히 그게 입증이 되었다고 하더군요. 말씀대로 주변기기의 반응속도 차이도 분명 존재하기 때문에.. 아무튼 이 문제는 어떻다 라고 누구도 결론을 못낼거 같습니다. 변수가 너무 많아요~ | 12.08.28 23:09 | |

(IP보기클릭).***.***

음 이 문제는 예전에도 몇번 거론되서 종결된 문제라고 알고 있어요. 말씀하신대로 키렉이라는 단어는 온라인 렉과는 다른 문제의 개념인데, 그냥 일반적으로 회선간의 문제에 대한 부분도 키렉이라고 통칭하는거 같더군요(그래픽카드 퍼포먼스가 받쳐주지 못해 생기는 프레임 저하, 하드스왑, SLi나 CF시 생기는 스터터링을 통틀어서 젊은 세대(?)들은 일괄 '렉'이라고 표현하는것 처럼) 실제로 오프라인 테스트에선 PS3과 Xbox360 둘다 동일한 인풋렉을 가지고 있다고 테스트 결과가 나온적이 있습니다.(모니터/스틱은 동일한 제품을 사용해서 객관적인 측정값을 낸걸로 알고 있음) 문제는 온라인 환경인데, PSN이 전체적으로 좀 불안합니다. 국내권 유저들끼리 대전이야 뭐 당연히 쾌적하겠지만 일본이나 대만, 멀리 나가서 북미나 유럽쪽까지 간다고 했을때 상대적으로 엑박쪽 라이브가 훨씬 쾌적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에요. PSN은 일본유저랑 풀핑상태로 싸운다 하더라도 미세한 키렉이 있다고 하는게 아마 PSN의 문제인거 같습니다. 실제로 가끔씩 일본서버에서 놀다가 갑자기 대전이 끊기고(이떄는 상대방에 의해 연결이 끊어졌다고 나옴)-메인 메뉴로 튕긴다음 다시 접속해보면 짧게는 몇분-에서 몇시간 정도까지 온라인에 접속 안되는 일도 있더라구요. (힘겹게 뚫고 들어가면 사람이 바글바글 거리는 시간에도 몇명 없는걸로 봐서 전체적으로 PSN 서버가 맛탱이가 갔거나 그런 것으로 추측), 그리고 그때 루리웹 버파게시판 와보면 꼭 이런글 있습니다. '지금 PSN 이상한데 저만 그런가요?' -_-; 그리고 유스트림에서 가끔씩 버파방송하는 카마아게 아키라도 엑박으로 버파 하더군요. (오스 아키라도 엑박, 정확한 유저 통계는 모르겠지만 괴수급 버파유저들은 아마 대부분 엑박으로 버파를 하는것 같음. 아오이유카님 예외^^;) 이런 몇가지 일들만 봐도...온라인 환경 자체가 PSN보단 엑박 라이브가 더 쾌적하다. 라는 방향으로 이야기가 귀결되는거 같습니다. 결론은...뭐 확실히 엑박쪽이 좀 쾌적하긴 하지만, 플스로도 하다보면 적응이 되서 할만해진다- 라고 해야되나...(제가 엑박이 없어서 플스로만 해서 그런지...차라리 다행인거 같네요. 엑박으로 하다가 플스로 한다면 괜히 예민해져서 스트레스 받을거 같은데, 아예 그냥 엑박쪽 라이브는 경험도 안하고 PSN으로만 줄창 해서 적응 하다보니...) 사실 국가코드로 지역 막아놓은것만 아니면 당장에라도 엑박으로 넘어가고 싶은데...-_-; 세가가 왠일로 이쁜짓 한다 싶더니 꼭 한부분에서 병크를 터뜨리네요. 참 세가다워서 좋기도 하고 짜증나기도 하고 그래요
12.08.28 22:31

(IP보기클릭).***.***

ㅎㅎ 저도 일본인과 대전가능했다면 엑박을 선택했을거 같습니다^^ 플스를 선택한 이유는 하나밖에 없거든요~ 온라인 환경의 차이는 분명이 있는데.. 그것이 객관적으로 비교가 불가능한 부분인데 왜 플스=키렉이라고 공식화 시키는 분위기냐 이거죠. 엑박에 일본사람 울나라 사람 대만 사람 미어터지면 렉 발생확률도 당연히 올라가는거거든요~ 스파의 경우는 오프대전에서도 렉이 느껴진다고 들었습니다. 이것은 당연히 결함이 맞겠죠. 그런데 버파의 경우는 스파와는 상황이 다른거같다 싶은거죠. | 12.08.28 23:22 | |

(IP보기클릭).***.***

엑박은 한국다음에 대만사람 홍콩사람이 젤 많아요 가끔 중국사람도 보이고.. 월드와이드로 하면 일본사람 진짜 어쩌다가 만나는거외엔 미국 영국 프랑스 브라질 독일 이탈리아 스위스 스웨덴 러시아등 온갖 나라들과 다할수 있다는게 장점임 | 12.08.28 23:28 | |

(IP보기클릭).***.***

걍 멀티겜 대부분이 그렇치만 버파쇼역시 엑박 이식이 완벽할거같아 고민없이 질렀음! 엑박의 유저수가 적으면 진짜 낭패겠지만 내 엑박 친구가 다 버파유저들로만 친추했는데 전세계유저들로 꽉차있네여 온라인비 45000원 하루술값인데 기꺼이내고 쾌적하게 라이브대전 하는게 진리임!
12.08.28 23:18

(IP보기클릭).***.***

일단 전 플삼엑박 둘다 보유하고 있고 파쇼도 둘다 있습니다. http://www.youtube.com/watch?v=nR3pCyipXy4&feature=plcp 좌측이 오프라인에서 비교(위 ps3 아래 xbox ) 우측이 온라인에서 비교입니다. 실험한 사람은 온라인에서 플삼이 1~3프레임정도 지연이 있는 것 같다고 결론내렸었습니다. 이걸로 완벽하게 결론을 내릴수는 없지만 ( 스프링 강도같은 미세한 것도 차이가 나는 이유가 될 수 있는데 이런 조건을 완벽하게 맞출 수가 없겠죠 . ) 대충 비교가 될 듯합니다. 버파 나오고 얼마안됬을때 팔로우한 일본유저가 트위터로 랙에 관해 유저들 하고 얘기하는걸 본적이 있는데 거기서도 다른 아케이드 유저들이 플삼이 지연이 있다고 엑박을 추천하더군요. 버파가 선입력을 10프레임까지 먹기 때문에 익숙해지면 큰 장애는 아니지만 일본유저들이 엑박으로 몰리는 것도 그렇고 플삼판이 지연이 없는건 아닌것 같네요.
12.08.28 23:26

(IP보기클릭).***.***

글의 요지가.. 플스판이 엑박보다 낫다던지 동급이라던지 의 말을 하고있는게 아닙니다 ~_~ 키렉과 온라인렉 모니터렉등을 동일시하면 안된다는 얘기를 하고있죠~ 동영상에도 오프에선 아무 차이가 없는걸 알수있습니다. 온라인쪽은 변수가 많으니 제가 결론내릴 위치도 자격도 안되고요 ㅎㅎ 객관적 비교자체가 불가능한 부분입니다. | 12.08.28 23:37 | |

(IP보기클릭).***.***

저는 온라인모드중에 버튼이 늦게 나가는 것도 넓은 의미에서의 키렉의 일종이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15짜리를 막고 발생14의 기술을 썼는데 정확하게 히트할 타이밍에 썼다고 생각되는데도 확정이 안되고 막혀버린다면 그건 결국 기술이 내가 의도한 타이밍에 나가지 않았기 때문에 그걸 키렉이라고 부를수도 있다는거고 이런 현상이 플삼에서 일어난다는거죠. 그래서 전 플삼이 키렉이 있다고 생각하는거구요.
12.08.29 00:03

(IP보기클릭).***.***

음~ 말씀하시는부분은 충분히 이해합니다^^ 그런데 위 독거노인님 말씀처럼 동일시 되는 경향이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다르게 봐야합니다. 중요한건 온라인인데, 온라인에서의 차이를 알려면 동일조건이라는 전제가 필요합니다. 이를테면 서버에 사람이 두명만 있다던지의 환상같은 상황이 되는데.. 그런데 그게 구현자체가 불가능하죠. 한 인터넷라인에서 엑박플스 둘다하는데 플스쪽이 더 쾌적하다는 지인도 있습니다. 이말은.. 결국 넷상태는 상대적이란 얘기가 됩니다. | 12.08.29 00:14 | |

(IP보기클릭).***.***

에흉;; 엑박보다 플스쪽이 좋다는얘긴 진짜ㅋ 그사람 혼자 끄적거린 거겠죠 그걸 고지곧대로 믿나여?ㅋㅋ 걍 민감하고 완벽한걸 좋아하면 360을~ 키렉이든뭐든 좀 감수하고 온라인공짜가 좋음 플삼을~ | 12.08.29 00:31 | |

(IP보기클릭).***.***

정보를 제공한 대상이 누군지도 모르시면서 거겠죠라는 추측을 하시나요^^; | 12.08.29 10:32 | |

삭제된 댓글입니다.

(IP보기클릭).***.***

음~ 내용대로라면 키렉이라기 보다는 엑박과 플스에서 입력의 구간에 차이가 잇다는 얘기같네요. 한가지 궁금한건 입력느낌의 차이가 아닌 키가 씹혀서 입력이 안먹는 상황이 있었는지요? 글이 길어지는 이유가 그거인거같아서^^; | 12.08.29 11:15 | |

(IP보기클릭).***.***

이미 일본에서는 결론이 난 상태로 알고있는데요. 일본 아케이드유명고수들은 거의가 다 엑박으로 합니다. 미묘한 차이땜에 오프감각까지 꼬일수도 있거든요. 일본에서 망한 엑박 왜 골드를 끊어가면서까지 할까요? 코에도나 무크 이타장 이런애들이 괜히 엑박으로 하는게 아니죠..
12.08.29 10:24

(IP보기클릭).***.***

플스 옹호 얘기는 무슨 말씀인지 잘 이해가 안가니 넘어가겠습니다..;; 일반적으로 키랙, 입력 딜레이 등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은 오래전부터 여러 해외 블로그나 커뮤니티 등에서 실험을 해오고 있고요. 이때 게임기와 콘트롤러를 제외한, 디스플레이나 네트워크 환경 같은 요소는 비교대상에서 제외를 해야합니다. 오프라인 상황에서 동일한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비교가 되어야한다는 얘기고 다시 말해 키랙 논란에서 디스플레이, 온라인 딜레이는 얘기를 할 필요가 없을것 같습니다. 최근 동일한 엑박용 스틱임에도 매드캣츠TE 스틱과 호리RAP VX 스틱 간의 입력랙 비교 실험이 있었는데요. 매드캣츠보다 호리가 입력랙이 적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같은 콘솔의 스틱임에도 스틱 제조사나 모델에 따라 입력랙 차이가 있는데 기종간의 차이는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하는게 좋지 않을까 싶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저를 비롯한 주변에 엑박과 플삼 양기종 모두 갖고 계신분들(특공님, 폴켄님)의 공통적인 느낌은 엑박에 비해 플삼에서 입력오류가 느껴졌다는 의견입니다. 당연히 온라인 플레이가 아닌 오프라인 트레이닝 모드에서의 느낌이구요..;; 세명 모두 호리RAP3 스틱을 쓰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기 때문에 스틱 특성이나 기판 오류일 가능성도 물론 배제할수 없기는 합니다만.. 영 찝찝한건 어쩔수가 없네요.
12.08.29 10:31

(IP보기클릭).***.***

제가 입력렉이 없다 라고 결론 낸적이 없는거 같은데 ^^; 뭐가 섣부른거지 싶어서 어제는 옹호얘기 한것 같습니다. 덧글 다신분중에는.. 제 글내용이 플스쪽이 엑박과 비교해 동급이다 그이상이다 이런식으로 받아들이시는 분이 있네요. 사람들이 말하는 키렉이란게 렉을 유발하는 요소 모두를 아울러 지칭하는것 같습니다. 키렉이란걸 유발하는요소가 여러가진데 그중 모니터나 온라인렉을 쓸 필요가있었구요. 그런데 상원님과 버러님글을 찬찬히 보다보니, 오프에서도 키렉이 있다 라고 말씀하시는것 같네요. 좀 덧붙여보겠습니다. 콘트롤러야 말로.. 기기간의 차이가 있어서 100% 똑같을순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콘트롤러에 특수기능이 프로그램화되어 포함된 스틱은 오작동(키렉)유발 확률이 보다 높습니다. 개인적으로 이상의 이유때문에 아무런 편의기능이 없는 하이그레이드를 사용합니다. 꽤 긴시간 사용해온거 같은데.. 도조에서 한번도 키렉을 못느꼈습니다; 엑박과 느낌의 차이가 있다라고 하는데.. 압구에서 같은 산와임에도 느낌이 똑같던 스틱이 있었나 싶군요. 느낌의 차이가 아닌, 인풋에서 정말로 차이가 난다면 그 발생환경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그러니까 확실하게 이건 차이가 있네~ 라는 유발상황을 알고싶다는 얘깁니다. 특정기술을 쓸때 느낌이 달라~ 라던지요. 제가 글로써 하고싶었던 얘기는 이런것의 비교가 아니라..(비교가 불가한 부분이라 생각함) 온라인에서 느껴진다는 소위 키렉이라 총칭되는 현상이.. 왜 그럴수있는지의 약간의 설명을 하고싶었던겁니다. 복잡하게 드가면 원인은 더 많은거죠. 사람이 적은 엑박의 서버와 이런저런 이유로 늘 미어터지는 플스의 서버가 왜 비교대상이 되는지도 의문이고요. | 12.08.29 11:10 | |

(IP보기클릭).***.***

간단한 부분을 이해시켜드리는게 왜이렇게 힘든지 모르겠군요. 온라인이나 모니터로 인해 느껴지는 입력 지연은 키랙이라 부르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온라인이나 모니터 때문에 발생하는 입력 지연은 그냥 온라인 랙, 화면랙으로 보셔야 합니다. 키랙에서 논해야 하는 비교 대상은 기종과 스틱만으로 논해야 된다는게 제가 드리고 싶은 말입니다.. Nkido 님께서 적은 게시물 원문을 보면 '나는 오프라인 연습모드에서 키랙을 느낀적이 없다. 그러니 사람들이 말하는 키랙의 원인은 온라인이나 모니터 때문일것이다' 라고 말씀하신걸로 이해가 되어서 댓글을 단건데요..제가 잘못 이해를 한건가요..? | 12.08.29 12:09 | |

(IP보기클릭).***.***

잘못이해하신것 같습니다^^; 글을 그리 어렵게 쓰지 않은거 같은데.. 글이라 그런가 자꾸 혼선이 가는군요. 키렉과 온라인렉 모니터렉은 별개의 것이 맞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일단 입력이 먹히는 현상이 있으니 총칭해서 키렉이라 하더군요. 내용을 다시보시면 제가 아울러 총칭해 표현하는게 아니란걸 알수있을겁니다. 오히려 별개의 것으로 봐야한다는 내용을 덧글로 추가해 알리고자 하고있죠. 제가 오프에서 느낀적이 없다고 한걸 온라인에서도 느낀적이 없다로 자꾸 오인하시는거 같은데요. 온라인쪽은 결론을 내고 할만한 위치가 아니라고 거듭 덧글 달았습니다. 저로서는 했던말을 자꾸 하게되니 조금 답답해지네요 ㅎㅎ 글의 어떤부분이 이해가 안가고 애매한지 짚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12.08.29 12:20 | |

(IP보기클릭).***.***

흑흑.. 제가 맞게 이해한거 같네요..;;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은 오프라인 상황에서의 키랙입니다. 거듭 말씀드리고자 하는부분은 온라인으로 인한 입력지연 발생 부분은 논할 필요조차 없다는 거구요.. | 12.08.29 12:34 | |

(IP보기클릭).***.***

아~ 보다보니 혹시나 했는데~ 버러님이 말하는 키렉은 오프에서도 키렉이 있다 라고 말하시는거군요. 그런데, 울나라 커뮤니티 분위기가 오프에서의 키렉으로 논란이 있는것 같지는 않습니다. 대다수는 온라인에서의 키렉을 말합니다. 스파말고 버파쪽요^^ 그것도 렉의 종류 구분도 없이 원하는대로 입력이 안되니 그냥 키렉이다 라고 표현을 하더군요. 이부분이 좀 답답해서 쓴글이 맞습니다만.. 그건 접어두고^^ 중요한건 버러님과 상원님의 의견인데.. 상원님 내용은 키렉이라기 보다 인풋구간의 차이가 있는것 같다로 보여집니다만 버러님은 다르시네요. 키렉이 있다 라고 확실히 주장하시는것 같습니다. 즉, 타이밍의 이질감이 아닌 씹히는 현상이 있다는 얘긴데요. 이 부분은.. 저역시도 비교대상군이 없습니다. 분명하게 말할수있는건 하이그레이드에서는 적어도 저는 못느꼈다는겁니다. 스틱의 차이에서 오는 렉이 실존한다면(있으리라 봅니다만) 이게 플스의 문제인지 스틱의 문제인지 사람에 따라 관점차이가 발생하겠네요. | 12.08.29 13:07 | |

(IP보기클릭).***.***

에휴 엑박 으로 지르길 잘했지..=oo=
12.08.29 12:59

(IP보기클릭).***.***

네. 거의 정답을 말씀해주신것 같아요. 사람들이 헷갈려하고, 제가 답답한 부분이 이건거 같네요~ 이질감과 키렉은 완전히 다른거거든요. 플스에 익숙한 사람이 엑박으로 가면 한동안은 타이밍에 이질감드는건 똑같을텐데^^ 키렉과는 경우가 엄연히 다른데 용어는 키렉이라는거 하나로 지칭해서 쓰니까 혼동이 오는거 같습니다. | 12.08.29 15:28 | |

(IP보기클릭).***.***

사람들이 플삼이 온라인공짜니깐 좋을줄알고 플삼으로 가는경우 있는데 엑박으로 남는이유가 다있음 원래 버파는 라이브아레나부터 엑박에 잘 맞아떨어졌었고 멀티겜 대부분이 그럼. 쾌적한 라이브 환경이 중요함
12.08.29 15:06

(IP보기클릭).***.***

이 긴이야기의 본질을 전혀 모르시는듯~; | 12.08.29 15:18 | |

(IP보기클릭).***.***

이식도를 얘기하는 겁니다 이게 다 이식문제죠;; 엑박이식이 젤 잘됐을거라 생각했고 당연히 맞았음! 걍 플삼으로 하고계신분은 적응해서 잘하면 되는거고 나처럼 민감한 사람은 절대 플삼으로 안하지만~ | 12.08.29 15:41 | |

(IP보기클릭).***.***

키랙라고 불러야할지 어떨지는 모르겠지만 커멘드입력이 제대로 안된다는건 많이 느꼈습니다. 기기와 스틱간의 문제일수도 있고 단순 소프트웨어의 문제일수도 있겠네요. 이번 플스판이 워낙 미스가 많아서 계속 실험을 해봤는데 커맨드 입력시 빠르게 두번입력된다던가하는 버그가 있는거같습니다. 예를들어 G버튼을 눌렀을때 G버튼이 1프레임만 입력 먹고 잠깐 떨어졌다가 다시 입력한걸로 인식이 된다던가 하는게 문제인거같습니다. 스틱은 호리 리얼 아케이드 프로.2 를 쓰고 있습니다. 다른 스틱도 같은 문제가 있는것은 확인했습니다. 온라인에서만 그런게 아니라 도장모드같은 오프라인에서도 종종 발생하더군요.
12.08.29 15:30

(IP보기클릭).***.***

본문과는 상관없지만 호리 리얼아케이드 스틱중에서도 인풋렉 생기는게 있습니다. 얼마전 철권6용 rap에서 인풋렉이 느껴져 기판갈았더니 약 2프레임정도 개선되더군요. 또 상관없는 얘길 추가하자면 산와와 국내산 버튼의 입력구간이 서로 다른데(국산 반응이 좀 더 빠름) 철권은 국내산이 그외에 버파등은 산와쪽이 좋더군요.
12.08.29 16:22

(IP보기클릭).***.***

오프에서 하던 감각으로 엑박을 플레이함(위화감없음), 플스를 플레이함(입력안먹거나 삑사리가 남) 오프, 온라인 둘다 마찬가집니다 분명히 저걸 느낀 분들이 대다수이고 얘기가 나오는데 혼자서 아니라고 하시네요
12.08.30 05:47

(IP보기클릭).***.***

이런 덧글을 보면.. ㅎㅎ 역시 글로 표현한건 사람마다 제각각 받아들이는것 같네요. 상원님은 왜 지웠는지 모르겠다만 별다른 얘기 더 드리고 싶지가 않아지는 덧글투입니다^^ 그냥 저혼자 아니라고 하는걸로 칩시다~ | 12.08.30 10:31 | |

(IP보기클릭).***.***

그러면 질문드리고 싶은데요. 온라인랙, 모니터랙은 논하지 않겠다고 하셨고. 익숙해지면 금방일 수준의 '조작의 이질감'이 있다 란 부분까진 동의하신 것 같은데요. 여기서 일본 고계급들이 엑박으로 하고 있다는 제보가 있었고(확인필요) 저는 어딘가의 사이트에서 오스아키라가 엘블레이즈 강의 하는데 엑박을 쓰고 있던 건 봤습니다. (뭐 일본 버파계가 엑박을 쓰더라도, 그건 스파때부터 엑박을 썼던 후도나 이타장이 영향을 주어서일수도 모르겠네요. 오스는 케이브게임 하기도 하고... 아무튼) 마지막으로 한국의 양 기종 사용자 중 엑박이 반응이 가볍더라라고 하신 분이 몇 분 나왔고요. (이건 스파때도 나왔던 반응입니다. 물론 원인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에 누가 일본 지인들에게 물어 봐서 그쪽 커뮤니티 반응이 "우리도 두 기종간에 이질감이 있는 걸 알고, (한 쪽이) 아케이드와 반응이 비슷해 (그 기종으로) 하고 있다." 라고 나왔다면. 이 '이질감'을 뭐라고 부르실 건가요? 저쪽은 아케이드라는 기준점이 존재하니까요.
12.08.30 13:10

(IP보기클릭).***.***

에고~ 동의라..; 저는 엑박의 환경에서 하이그레이드를 기본패드를 이용해 개조한 스틱과 매드캣츠를 이용해 몇시간 해본게 전부입니다. 양기종간의 인풋반응을 제대로 숙지할만큼 진득히 놀아본게 아닌데 동의를 하고 말고할 수준이 되나 모르겠구요^^; 예로 드신 경우가 사실이라면 플스쪽은 말그대로 아케이드 대비 약간의 인풋상 이질감이 있다 라고 봐야합니다. 그런데, 제가 하고 싶었던 얘기의 골자는 이 현상이 키렉은 아니다. 키렉이라 부를순 없다라는거죠. 이걸 자꾸 몇몇분이 동일시하는것 같습니다. 심지어 렉이 발생되는 모든 상황을 아울러 키렉이라 그러더군요 ㅎㅎ 그러면서 플스=키렉있음으로, 기정사실로 아예 단정짓고 있습니다. 이 부분이 평소 답답하게 느껴져서 쓴 글이죠. 넷상에서 익히 알만한 분들이 호리스틱에서 느꼈다고 하시니 이질감이 아닌 진짜 키렉이란게 있을수도 있겠죠. 하지만 적어도 전 하이그레이드 스틱에서 느낀적이 없거든요. 5 출시부터 지금까지 입력이 아예 안먹는 순간은 없었어요. 덧글들 중간에 나왔듯, 콘트롤러렉이란것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재수좋게도 하이그레이드에선 그런 키렉이 없었던건지도 모르겠네요. 있다고 하시는분중에 한가지 물어보고 싶은게.. 키렉인지 이질감인지 모르지만 소위 엑박보다는 반응이 느린게 촉으로 느껴지는 플스스틱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엑박으로 주로 노시다가 이 스틱을 이용해 플스판을 처음 해볼경우, 타이밍이 달라서 입력이 먹히지 않을 경우도 있을텐데 이걸 그럼 키렉이라고 봐야할까요? | 12.08.30 14:32 | |

(IP보기클릭).***.***

BEST
오래전부터 엑박에 비해 플스3로 조작을 할때 어떤 거슬리는 이질감이 존재한다는 공통된 의견이 다수의 국내외 유저들로부터 있어왔는데 Nkido님의 주관적인 경험만으로 그동안 있어온 여러사람들의 의혹을 간단히 부정하고 '나는 그런거 못느꼈다. 온라인이나 모니터때문인거 같다' 라고 글을 쓰신게 이번 댓글이 길어진 원인이 아닌가 싶습니다. 제가 처음 댓글로 적은 내용도 이 얘기인데 내용전달이 아주 힘들었네요..;; 위 댓글에서 '양기종간의 인풋반응을 제대로 숙지할만큼 진득히 놀아본게 아닌데..' 라고 스스로 밝히셨듯이 그런 상황에서라면 더더욱 신중하게 글을 쓰셨어야 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에 쓰신글이라면 더더욱말이죠..; | 12.08.30 15:05 | |

(IP보기클릭).***.***

덧글 길어진게 뭐가 어때서요^^ 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정보 카테고리를 쓸수있다는게 제 운영방침입니다. 모니터렉, 온라인렉, 키렉의 차이에 대한 언급은 정보가 아니라고 보시나요? 꼭 잘 정리되고 입증된 정확한 정보만을 정보카테고리에 써줄것을 사람들에게 요구한다면 그 숨막히는 잣대가 싫어서, 혹은 귀찮아서 결국은 한 커뮤니티자체가 죽게됩니다. 버러님도 그걸 원하시는건 아니겠죠? 또한 제 글의 내용은 소감과, 의견과, 온,오프를 이리저리 오가고 있는데 님이 보시기에 딱 거슬리는? 또는 짚어줄 필요가 있는 글표현 부분만 보셔서 하나로 연결해 생각하시는것처럼 느껴집니다. 내가 필력이 떨어져서 그렇겠지 이해는 합니다만, 제가 얘기하는 골자가 난 괜찮던데 너네는 왜그래? 이런말 하는거라고 이해하시면 곤란합니다. 정말 그렇게 이해하시는것 같아 노파심에 써보구요. 그리고 연결되는 내용이지만 난 괜찮던데 (오프얘기이고 제스틱한정입니다) 온라인이나 모니터때문인거같다(때문인거 같다 표현쓴적없고, 님들이 느끼는 키렉이란것이 이런게 원인일수도 있다는 예시로써 쓴겁니다) 요거 두개는 짚어드리고 싶습니다. 분리되는 내용이지, 결론처럼 연결되는 내용이 아닙니다. 오해를 하신것 같다는 어제의 덧글은 이런걸 얘기하는겁니다. 마지막으로.. 전 버러님과의 댓글 중간까지는 버러님 또한 온라인렉을 포함해 얘기하고 있는줄 알았답니다^^; 다른분의 덧글 분위기 자체가.. 온오프 키렉 모두를 지칭해서 얘기하고 있었으므로.. 나중에 되서야 버러님만은 오프에서도 렉이있다. 온라인렉등은 얘기할 필요가 없다라고 하시는걸 알았습니다. 요때는 혼선이 있었음을 양해바랍니다. | 12.08.30 16:01 | |

(IP보기클릭).***.***

노파심에서 덧붙이자면, 아마 여기 분들이 '키렉'이란 단어를 쓰셨을 때에는 '입력이 씹힌다' (백대쉬가 나가다 말다 해) 가 아니라. '입력 지연'(뭔가 둔해. 선입력을 약간 미리해야 해)라는 의미로 쓰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어차피 모니터도 천차만별, 스틱도 천차만별, 회선도 천차만별이고 아케이드도 없으니 한국 사람들은 별로 키렉 이야기 안 해도 될 거 같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이상 카일레라 제일 첫 버전과 키보드로 뱀파이어 세이버 넷플 할때부터 렉을 느끼지 못했던 바보의 잡담이었습니다.
12.08.30 15:20

(IP보기클릭).***.***

음.. 저는 잘은 못하지만 어쨌든 현재는 이 게시판 지기를 하다보니.. 수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반 의무적으로 보게됩니다. 그런데 10중 8은 키렉이란 내가원할때 기술이 안나가는 현상. 이렇게 알더라구요^^; 사람들이 잘 구분해 쓰셨다면 이글을 애초 쓰지도 않았을거 같습니다. 평소 글쓰기 귀찮아하는 편이기도 하고요 ㅎㅎㅎㅎ | 12.08.30 15:43 | |

(IP보기클릭).***.***

BEST
키랙 = 키 반응속도가 느림 => 펀치를 눌렀는데 늦게 나가는게 확 느껴짐! 지금 키랙을 느끼는 분들이 이런걸 얘기하는거라고 생각한거라면 저건 아닙니다. 이런건 키랙이 2프레임이 걸려도 느끼기 어렵습니다. 이런 랙은 선입력 없는 강제연결 같은게 중요한 스파 같은 게임을 하시는 분들이나 느낍니다. 적어도 버파는 아니죠. 아, 키랙이라는 말에 민감하게 반응하시는 거 같은데 키랙이던 모니터랙이던 여튼 플스에서'만' 발생하는 입력랙을 얘기한다고 미리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냥 랙이라고 하죠. 솔직히 저야 스틱에서 랙이 발생하던 플삼 스크린IO부에서 랙이 발생하던 관심 없습니다. 그냥 플삼에서만 랙이 발생하는게 중요하죠. 얘기로 돌아가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랙을 느끼고 있는데, 그게 버튼 동시입력에서 느껴지는 경우 입니다. 예를 들어 P+K를 입력했는데, P가 나갔다던가, P+K+G 를 눌렀는데 P+G가 나갔다던가 하는 식이죠. 버파의 동시입력 시스템은 철권과 조금 다릅니다. 동시입력한 버튼 두개가 있을 때, 두 버튼의 입력차가 반드시 동시가 아니라, 1F차이가 나더라도 동시 입력으로 인정해줍니다. 3개 일 땐 순차적으로 1F씩, 총2F의 차이가 나더라도 동시입력으로 인식해주죠. 버파는 이러한 입력 시스템을 통해서 동시버튼 입력시 오입력되는 현상을 최소화 시켜주고 있습니다. 실제로 버파 하던 사람이 철권하면 이상할 정도로 복수 버튼입력 기술들을 쓰는게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철권은 아주 정교하게 눌러줘야 되거든요. 랙 문제는 여기서 발생합니다. 1F차이가 나는 입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뒤의 입력버튼이 랙으로 인해서 1F더 늦게 입력 인식이 되면 2F차이가 나게 되고 그로 인해서 원버튼 기술이 나가게 되버립니다. 이 부분이 바로 플스에서 랙을 느낀다는 사람들의 얘기죠. 버튼을 원래 겁나게 잘 누르시는 분들은 어쩌면 못느낄지도 모릅니다. 혹은 철권에 길들여진 분들이라던가요. 이 문제는 철권처럼 정확한 동시입력만 하면 문제로 인식하지 않고 넘어갈 수 있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위의 문제를 인식하는 유저들이 매우 다수 존재합니다. 저는 플삼이 있어도 저 문제로 인해서 스트레스가 심해서 하지 않습니다. 회사에서는 플삼밖에 없으니 그걸로 하고 있지만 간혹 입력이 삑날 때는 짜증이 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뭐 한 3시간 하면 익숙해져서 잘 누르게 되긴 하더군요. 양 기종을 3~4대씩 놓고서 십수명이서 노는 이드에서도 버파는 플스로 돌리지 않습니다. 위의 문제 때문에 말이죠. 기계가 부족할 때나 돌리는 상황이죠. 발생 원인을 유저인 우리가 정확히 파악할 수 없으니 용어 정의를 키랙으로 칭하는게 맘에 안든다면야 뭐 이해할 수 있습니다만 명백하게 많은 사람들이 플삼에서 느끼는 현상을 자신의 민감도를 지표로 삼아 마치 그런 건 없다는 식으로 얘기하는 건 옳지 않습니다.
12.08.30 17:03

(IP보기클릭).***.***

아주 좋은 의견입니다. 제가 설명을 미처 못한부분도 잘되어있네요^^ 아무래도 글이 너무 길어져 읽기가 힘드므로.. 새 게시물하나 작성해보겠습니다. | 12.08.30 17:23 | |


1
 댓글





읽을거리
[게임툰] 완전 게 같은 게임이네... 어나더 크랩스 트레저 (27)
[MULTI] MMORPG를 보전하는 법, 드래곤 퀘스트 X 오프라인 (57)
[NS] 명작을 더욱 가치 있게,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14)
[MULTI] 아! 혼을 쏙 빼 놓으셨다, MMO가 된 '레이븐2' (96)
[게임툰] 냥팔자가 상팔자, 리틀 키티 빅 시티 (52)
[MULTI] 부실한 이야기와 좋은 전투 그리고 높은 잠재력, '명조' (63)
[XSX|S] 세누아의 전설: 헬블레이드 2, 체험으로서의 게임이란 (89)
[게임툰] 황야에 피어난 메카의 로망, 샌드랜드 (22)
[게임툰] 레트로로 그린 잔혹동화, 리틀 구디 투 슈즈 (57)
[PC] 2년 기다림이 아깝지 않은 장독대 묵은지, 브이 라이징 (25)
[PS5] 국산 게임의 별로서 기억될 칼, 스텔라 블레이드 (176)
[MULTI] 탐험으로 가득한 사막과 맛있는 메카 전투, 샌드랜드 (40)


파워링크 광고 24시간 안보기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50 전체공지 루리웹 공동대표 진인환 입니다. 8[RULIWEB] 2024.06.21
9303547 공지 얼티밋쇼다운 Ver.1.51 - 2024.1.18 업데이트 (1) 키도 2176 2024.01.22
9303399 공지 버추어 파이터 접근 가이드 (2) 키도 4 34763 2022.02.17
9302912 공지 캐릭터별 참고 영상 링크 (1) 키도 7 41819 2021.06.24
9302662 공지 안드로이드용 VF5US 프레임데이터 앱 개발하였습니다. (32) KDR 27 34677 2021.06.05
9302361 공지 PSN 일본계정 가입방법 - 19.5.9 내용 업데이트 Nkido 9 75863 2018.12.09
1425 공지 즐법~! - 21.6.2 내용 업데이트 (3) 관리자 8 122124 2001.01.01
5277295 영상 달빛호수 4 3641 2012.09.26
5273398 영상 소뚜껑 4 2626 2012.09.24
5249369 영상 세비앙 2 3042 2012.09.11
5241869 공지 Nkido 3 2403 2012.09.06
5237317 영상 루리웹-77362083 4 2882 2012.09.03
5232687 영상 sonicomi 2 1783 2012.09.01
5225636 정보 Nkido 7 3772 2012.08.28
5207083 정보 언사안정 2 2581 2012.08.18
5205258 영상 INFINITY LOOP 4 1547 2012.08.17
5188613 정보 m_butter 2 2497 2012.08.07
5181945 잡담 RealBard 2 2051 2012.08.02
5176261 잡담 심장이없어 2 1678 2012.07.30
5170818 정보 Yo-O 4 3450 2012.07.26
5170431 잡담 캐논히터 2 1075 2012.07.26
5166641 정보 블bird랙 2 1808 2012.07.25
5165271 영상 호걸 2 2473 2012.07.24
5157848 잡담 aka.LEEGO 3 2195 2012.07.20
5150104 공략/팁 치요야 7 3957 2012.07.16
5146187 소감 혼돈제왕 3 2487 2012.07.13
5144575 잡담 쩝쩝스 2 1333 2012.07.12
5144212 영상 이명박일베충교미 5 3043 2012.07.12
5143993 정보 SobolevSpace 4 4812 2012.07.12
5142680 영상 초이아키라 2 2920 2012.07.11
5139553 질문 루리웹-134617434 3 1973 2012.07.09
5139193 정보 초이아키라 2 1618 2012.07.09
5138796 잡담 메기솔리드4 2 1661 2012.07.09
5138180 영상 Hades_kr [치우천왕] 3 1195 2012.07.08
5137244 스샷 독거노인ㆍ 9 3911 2012.07.08
5135919 잡담 꿀벅징 4 2147 2012.07.07
5135423 잡담 화링a 2 1153 2012.07.07
글쓰기 817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게시판 관리자

버추어 파이터 5 얼티밋 쇼다운

평점
8
장르
격투
한글 지원
한국어지원(자막)


플랫폼
AC, PS4
가격정책
패키지구매, 기타
개발사
세가-AM2


유통사
세가
일정
[출시] 2021.06.01 (PS4)
[출시] 2021.06.02 (AC)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