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작의 메인이라고도 할 수 있는 컨탠츠로 사실 상 좋은 무기를 수집하는 것 입니다.
무기는 난이도에 따라 다른 등급이 드랍되며, 루나틱으로 갈 수록 좋은 등급의 무기가 나오기 쉽습니다.
일반적으로 철-강철-(킬러)-은-용사 시리즈로 올라가며, 그 사이에 데빌 시리즈, 마법무기 시리즈 등이 추가되있고,
A등급은 오직 드랍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습니다. A등급은 루나틱 급에서 주로 드랍되는 "졸탄" 시리즈와 녹슨 무기를
복원해서 얻는 무기들로 나뉘며, 두 A급 무기 사이에는 공/내구 10 밖에 차이가 안 나니 적당히 쓰셔도 됩니다.
본작의 영웅의 유산, 신성 무기들은 몇 가지 빼고는 애매한 편입니다.
1) 신성 무기 및 영웅의 유산
- 대부분의 신성/영웅의 유산이 그리 좋은 취급을 받지는 못합니다. 단, 영웅의 유산은 다크메탈로 강화하는 만큼 공격력 상한은
최대 560으로 높습니다. 영웅의 유산은 별도의 옵션을 가진 무기들 중 쓸만한 옵션은 볼트강과 뇌정 정도라 보여집니다.
다른 무기들은 문장 일치 시 사용 가능한 전기를 보고 쓰시면 됩니다.
- 신성 무기는 취급이 더 나쁜데, 세이로스의 검, 세이로스의 방패, 영속하는 자를 제외하고는 거의 쓸모가 없습니다. 저 3가지 장비는
세이로스의 검에는 피흡, 영속하는 자에는 쿨감이 달려있어서 상당히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둘 다 일반 무기에서는 없는 옵션)
- 두 종류의 무구 모두 성능 해방이 필요하며, 이 후 영웅의 유산은 다크 메탈로, 신성 무기는 미스릴로 강화됩니다.
2) 드랍 무기
- 드랍 무기류는 선호되는 옵션이 다릅니다. 단, 본작의 불친절(?) 덕에 정확히 어떤 옵션이 좋은지 명확한 비교는 어렵습니다.
일단 써보고 추천드리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a) 연격연쇄
- 연격 강화 3 : 아마 본작에서 가장 데미지 증가가 눈에 보이는 옵션입니다. 집중력을 보유하지 않은 캐릭터라면 유지가 불가능에 가깝기에
연쇄 3이 필수적으로 동반 되어야합니다.
- 연쇄 3 : 히트수 지속시간을 최대 10초로 늘려줍니다. 집중력까지 보유하 경우, 최대 15초까지 늘어납니다.
연격연쇄 조합의 무기는 실뱅, 실뱅 스킬 가져온 캐릭터, 발타자르와 같이 히트수에 따라 데미지가 증가하는 스킬을 보유한 캐릭터와 궁합이 좋습니다.
당연히 주조작 캐릭터에게 가장 적합한 편. 청린의 장 EP11 조사 지점에서 녹슨 검을 선택하면 100%확률로 연격3연쇄3 메리클을 얻을 수 있습니다.
b) 전투마법강화
전투기술 및 마법의 데미지를 크게 증가시킵니다. 잘은 모르겠지만 쾌도난마나 황금의 주먹이 마법에는 적용이 안 된다는 말이 있는데, 해당 스킬은
전투기술과 마법을 강화 시켜줍니다. 주로 마법계로 운용하는 다크나이트가 쓰기 좋으며, 이들은 기병이므로 기승강화와 조합하면 좋습니다.
집중력을 보유한 캐릭터라면 약간 억지를 부리면 연격강화3, 전투마법강화3이 딜 측면에서는 가장 강력합니다.
- 추천조합 : 연격3/전투마법강화3 (직접 조작 캐릭터, 집중력 보유)
기승강화3/전투마법강화3 (직접 조자 및 스위치 캐릭터)
c) 기승강화
다크나이트, 홀리나이트, 팔콘나이트, 드래곤마스터, 그레이트 나이트 등과 같은 기승 병과에게 강화효과를 부여합니다. 정확히 얼마가 증가하는지
확인이 어렵지만, 상시 발동입니다. (맵 상에서 공격/제압 명령을 내리면 기승강화가 떠있는 것을 볼 수 있음) 따라서, 기병류가 쓰기 좋으며
상시 발동이라는 점 때문에 직접 조작 캐릭터가 아닌 경우에도 좋습니다. 상시 발동이라는 점 때문에 부관에도 쓸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부분은 미확인)
- 추천조합 : 연격3/기승강화3 (직접 조작 캐릭터, 집중력 보유)
약공격3/기승강화3 (AI조작 캐릭터)
위력특화3/기승강화3 (AI조작 캐릭터)
d) 약공격/강공격
직접 조작하는 용도로는 비추입니다. 후반부에 갈 수록 적들을 전투기술이나 마법으로 쓸어버리기에 별로 쓸모가 없습니다.
다만, AI는 전투기술과 마법을 사용하지 않고 정직하게 평타만 치므로 추천합니다. 어디까지나 삼각형 (AI only)용도입니다.
- 추천조합 : 약공3/기승강화3
약공3/강공3
약공3/위력특화3
e) 위력특화
말그대로 깡뎀이 대폭 증가합니다. 대신에 내구도가 감소합니다. 당연히 게임 후반부에는 전투기술/마법 사용이 주가되므로 주조작 캐릭터에게는
선호되지 않습니다. 다만, 깡뎀이 중요한 부관이나 AI조작 캐릭터에게는 매우 좋은 옵션입니다. AI조작 캐릭터는 위력특화3/약공3 정도면
생각보다 혼자서 매우 잘 싸웁니다.
- 추천조합 : 약공3/위력특화3
위력특화3/기승강화3
위력특화3/부관추격강화3
f) 부관추격강화
부관이 날라가서 떄리는 부관 추격 데미지를 크게 강화합니다. 이 옵션이 붙은 부관 데미지는 생각보다 굉장히 강합니다. 다만, 제대로 쓰실 생각이라면
부관을 적절히 고르시는게 필요. "신뢰" 스킬을 가진 부관을 쓰셔야합니다. 다행히 많은 캐릭터가 수도사에서 신뢰를 배우지마 못 배우는 캐릭터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부관용 캐릭터는 수도사의 신뢰, 아처/스나이퍼에서 얻는 일심동체/각성 또는 무쌍 지원을 쓰시면 좋고, 일부 캐릭터가
그레모리에서 배우는 속성의 지원, 무희에서 배우는 능력치의 응원도 병행하실 수 있습니다. 부관용 능력치 자체는 무희가 가장 우수합니다.
g) 충격 강화
이 부분은 제가 명확히 체크를 못해봤습니다. 대충 적이 날라가는 공격이 강화된다는데, 이 옵션이 달린 상태로 적을 날리면 (주로 전투기술,마법,강공격 피니시) 적들이 날라가면서 충격파가 터지는데 이게 딜을 추가로 입히는지, 낙하하면서 딜이 추가되는지는 확인이 어렵습니다. 만약 날리기 강화라면
적을 날리는 공격을 주로하는 마법하이브리드들이 쓰기에 괜찮은 옵션일 것으로 보입니다.
대충 이정도네요. 이 외에 ~의 보정류는 사실 상 크게 효과를 못 보는 느낌이고, 치명타의 경우 해당 옵션이 없어도 특기 병과에서 얻는 무기의 정점 스킬과 병행하면 충분히 보정되기에 그리 선호도가 높진 않습니다.
무기는 난이도에 따라 다른 등급이 드랍되며, 루나틱으로 갈 수록 좋은 등급의 무기가 나오기 쉽습니다.
일반적으로 철-강철-(킬러)-은-용사 시리즈로 올라가며, 그 사이에 데빌 시리즈, 마법무기 시리즈 등이 추가되있고,
A등급은 오직 드랍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습니다. A등급은 루나틱 급에서 주로 드랍되는 "졸탄" 시리즈와 녹슨 무기를
복원해서 얻는 무기들로 나뉘며, 두 A급 무기 사이에는 공/내구 10 밖에 차이가 안 나니 적당히 쓰셔도 됩니다.
본작의 영웅의 유산, 신성 무기들은 몇 가지 빼고는 애매한 편입니다.
1) 신성 무기 및 영웅의 유산
- 대부분의 신성/영웅의 유산이 그리 좋은 취급을 받지는 못합니다. 단, 영웅의 유산은 다크메탈로 강화하는 만큼 공격력 상한은
최대 560으로 높습니다. 영웅의 유산은 별도의 옵션을 가진 무기들 중 쓸만한 옵션은 볼트강과 뇌정 정도라 보여집니다.
다른 무기들은 문장 일치 시 사용 가능한 전기를 보고 쓰시면 됩니다.
- 신성 무기는 취급이 더 나쁜데, 세이로스의 검, 세이로스의 방패, 영속하는 자를 제외하고는 거의 쓸모가 없습니다. 저 3가지 장비는
세이로스의 검에는 피흡, 영속하는 자에는 쿨감이 달려있어서 상당히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둘 다 일반 무기에서는 없는 옵션)
- 두 종류의 무구 모두 성능 해방이 필요하며, 이 후 영웅의 유산은 다크 메탈로, 신성 무기는 미스릴로 강화됩니다.
2) 드랍 무기
- 드랍 무기류는 선호되는 옵션이 다릅니다. 단, 본작의 불친절(?) 덕에 정확히 어떤 옵션이 좋은지 명확한 비교는 어렵습니다.
일단 써보고 추천드리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a) 연격연쇄
- 연격 강화 3 : 아마 본작에서 가장 데미지 증가가 눈에 보이는 옵션입니다. 집중력을 보유하지 않은 캐릭터라면 유지가 불가능에 가깝기에
연쇄 3이 필수적으로 동반 되어야합니다.
- 연쇄 3 : 히트수 지속시간을 최대 10초로 늘려줍니다. 집중력까지 보유하 경우, 최대 15초까지 늘어납니다.
연격연쇄 조합의 무기는 실뱅, 실뱅 스킬 가져온 캐릭터, 발타자르와 같이 히트수에 따라 데미지가 증가하는 스킬을 보유한 캐릭터와 궁합이 좋습니다.
당연히 주조작 캐릭터에게 가장 적합한 편. 청린의 장 EP11 조사 지점에서 녹슨 검을 선택하면 100%확률로 연격3연쇄3 메리클을 얻을 수 있습니다.
b) 전투마법강화
전투기술 및 마법의 데미지를 크게 증가시킵니다. 잘은 모르겠지만 쾌도난마나 황금의 주먹이 마법에는 적용이 안 된다는 말이 있는데, 해당 스킬은
전투기술과 마법을 강화 시켜줍니다. 주로 마법계로 운용하는 다크나이트가 쓰기 좋으며, 이들은 기병이므로 기승강화와 조합하면 좋습니다.
집중력을 보유한 캐릭터라면 약간 억지를 부리면 연격강화3, 전투마법강화3이 딜 측면에서는 가장 강력합니다.
- 추천조합 : 연격3/전투마법강화3 (직접 조작 캐릭터, 집중력 보유)
기승강화3/전투마법강화3 (직접 조자 및 스위치 캐릭터)
c) 기승강화
다크나이트, 홀리나이트, 팔콘나이트, 드래곤마스터, 그레이트 나이트 등과 같은 기승 병과에게 강화효과를 부여합니다. 정확히 얼마가 증가하는지
확인이 어렵지만, 상시 발동입니다. (맵 상에서 공격/제압 명령을 내리면 기승강화가 떠있는 것을 볼 수 있음) 따라서, 기병류가 쓰기 좋으며
상시 발동이라는 점 때문에 직접 조작 캐릭터가 아닌 경우에도 좋습니다. 상시 발동이라는 점 때문에 부관에도 쓸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부분은 미확인)
- 추천조합 : 연격3/기승강화3 (직접 조작 캐릭터, 집중력 보유)
약공격3/기승강화3 (AI조작 캐릭터)
위력특화3/기승강화3 (AI조작 캐릭터)
d) 약공격/강공격
직접 조작하는 용도로는 비추입니다. 후반부에 갈 수록 적들을 전투기술이나 마법으로 쓸어버리기에 별로 쓸모가 없습니다.
다만, AI는 전투기술과 마법을 사용하지 않고 정직하게 평타만 치므로 추천합니다. 어디까지나 삼각형 (AI only)용도입니다.
- 추천조합 : 약공3/기승강화3
약공3/강공3
약공3/위력특화3
e) 위력특화
말그대로 깡뎀이 대폭 증가합니다. 대신에 내구도가 감소합니다. 당연히 게임 후반부에는 전투기술/마법 사용이 주가되므로 주조작 캐릭터에게는
선호되지 않습니다. 다만, 깡뎀이 중요한 부관이나 AI조작 캐릭터에게는 매우 좋은 옵션입니다. AI조작 캐릭터는 위력특화3/약공3 정도면
생각보다 혼자서 매우 잘 싸웁니다.
- 추천조합 : 약공3/위력특화3
위력특화3/기승강화3
위력특화3/부관추격강화3
f) 부관추격강화
부관이 날라가서 떄리는 부관 추격 데미지를 크게 강화합니다. 이 옵션이 붙은 부관 데미지는 생각보다 굉장히 강합니다. 다만, 제대로 쓰실 생각이라면
부관을 적절히 고르시는게 필요. "신뢰" 스킬을 가진 부관을 쓰셔야합니다. 다행히 많은 캐릭터가 수도사에서 신뢰를 배우지마 못 배우는 캐릭터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부관용 캐릭터는 수도사의 신뢰, 아처/스나이퍼에서 얻는 일심동체/각성 또는 무쌍 지원을 쓰시면 좋고, 일부 캐릭터가
그레모리에서 배우는 속성의 지원, 무희에서 배우는 능력치의 응원도 병행하실 수 있습니다. 부관용 능력치 자체는 무희가 가장 우수합니다.
g) 충격 강화
이 부분은 제가 명확히 체크를 못해봤습니다. 대충 적이 날라가는 공격이 강화된다는데, 이 옵션이 달린 상태로 적을 날리면 (주로 전투기술,마법,강공격 피니시) 적들이 날라가면서 충격파가 터지는데 이게 딜을 추가로 입히는지, 낙하하면서 딜이 추가되는지는 확인이 어렵습니다. 만약 날리기 강화라면
적을 날리는 공격을 주로하는 마법하이브리드들이 쓰기에 괜찮은 옵션일 것으로 보입니다.
대충 이정도네요. 이 외에 ~의 보정류는 사실 상 크게 효과를 못 보는 느낌이고, 치명타의 경우 해당 옵션이 없어도 특기 병과에서 얻는 무기의 정점 스킬과 병행하면 충분히 보정되기에 그리 선호도가 높진 않습니다.
(IP보기클릭)49.164.***.***
(IP보기클릭)223.39.***.***
저는 그냥 루나로 지지고 있습니다. 타격이 2번이긴한데 쿨이 짧고 마방 무시가 좋네요. | 22.07.25 17:51 | |
(IP보기클릭)49.164.***.***
전 연섬 딜보고 닼스 쓰는중 ㅋ | 22.07.25 17:52 | |
(IP보기클릭)223.39.***.***
닼스는 범위나 착탄 타이밍이 묘하게 취향이 아니더라구요 ㅠ | 22.07.25 18:16 | |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221.150.***.***
(IP보기클릭)5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