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도서] 도서정가제 완화? 지역서점 발목잡는다 [46]




(4892486)
작성일 프로필 열기/닫기
추천 | 조회 4203 | 댓글수 46
글쓰기
|

댓글 | 46
1
 댓글


(IP보기클릭)106.101.***.***

BEST
서점 다뒤졋는데 지역서점 같은 소리 하고 있네 ㅋㅋㅋㅋㅋ
24.03.05 10:17

(IP보기클릭)124.35.***.***

BEST
지역서점이란 게 있긴 하냐? 문제집 장사하는 학원 1층 정도밖에 요새 책파는 데를 보질 못했다
24.03.05 10:18

(IP보기클릭)119.196.***.***

BEST
도서정가제 생기고 지역 서점 다 망했는데 아직까지 도서정가제로 지역서점 타령하냐?
24.03.05 10:19

(IP보기클릭)121.130.***.***

BEST
아직도 서점 타령이네...남아있는 서점이 있냐?
24.03.05 10:16

(IP보기클릭)211.207.***.***

BEST
경제 역사 교과서에 영구히 박제되었으면 좋겠다. 멍청하게 법을 만들면 시장이 어떻게 붕괴하는지 좋은 예시이니까.
24.03.05 10:25

(IP보기클릭)121.130.***.***

BEST
아직도 서점 타령이네...남아있는 서점이 있냐?
24.03.05 10:16

(IP보기클릭)211.104.***.***

세이버트
통계상으로는 10년 전에 비해 한국 서점 수는 1000여개 증가했습니다. | 24.03.05 10:49 | | |

(IP보기클릭)211.104.***.***

鬼神童子ZENKI
2012년 1752개였고 지금은 2700여개입니다. | 24.03.05 10:52 | | |

(IP보기클릭)219.241.***.***

鬼神童子ZENKI
국내 서점 개수 2,484개는 지난 2022년 2,528개보다 44개(-1.74%) 감소한 수치다. 서점 증감률은 2011년(-9.5%), 2013년(-9.5%), 2015년(-9.2%), 2017년(-3.1%), 2019년(-3.6%)로 감소폭이 둔화되고 있었다. 지난 2022년 최초로 상향극점을 나타낸 이후, 다시 소폭 감소한 이유로는 대학 구내서점들의 폐점이 큰 이유로 꼽힌다. | 24.03.05 10:53 | | |

(IP보기클릭)219.241.***.***

鬼神童子ZENKI
감소폭이 둔화되고 있었다곤 하지만 계속 줄어들었는데요. | 24.03.05 10:55 | | |

(IP보기클릭)211.104.***.***

엑박플스위치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8일 발표한 '2022 지역서점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지역서점은 2천716곳으로 2년 전 조사(2천528곳) 때보다 188곳 늘었다. 제가 본 건 이거였는데, 기준이 다른 건지...통계 쪽은 더 자세히 알아봐야겠네요. | 24.03.05 10:59 | | |

(IP보기클릭)211.104.***.***

엑박플스위치
2012년 서점수는 이 기사를 참고했습니다. 2012년이 아니라 2011년이었네요. 오래 전에 본 기사여서... 문화체육관광부 통계에 따르면 작은도서관은 2010년 3349개에서 2012년 3951개로 2년 새 600여 개 늘었다. 전국의 서점 수 1752개(2011년 현재)의 2배가 넘는다. | 24.03.05 11:02 | | |

(IP보기클릭)219.241.***.***

鬼神童子ZENKI
https://www.lectur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7470 2년마다 발간하는 서점조합연합회 통계라네요. | 24.03.05 11:05 | | |

(IP보기클릭)211.104.***.***

엑박플스위치
이쪽이 참고가 될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저 기사 서점수 정보가 잘못된 게 맞는 것 같네요. 2012년 당시 서점수는 2400여개 정도로 봐야할 것 같습니다. | 24.03.05 11:15 | | |

(IP보기클릭)220.80.***.***

鬼神童子ZENKI
희안하네... 학교나 학원앞 문제집 판매서점 말고는 다 사라지고 번화가에 대형거점 한두개 말고는 본적이 없는데 저 많은 서점은 다 어디에 있는건지 모르겠네요 | 24.03.05 11:20 | | |

(IP보기클릭)119.196.***.***

네임드of네임드
아래 댓에서 나오는 독서카페 처럼 다른거와 결합한 복합서점들도 포함한 수치 같네요 지하철에 있는 무인 서점들도 들어갔을거 같고 | 24.03.05 11:33 | | |

(IP보기클릭)106.101.***.***

BEST
서점 다뒤졋는데 지역서점 같은 소리 하고 있네 ㅋㅋㅋㅋㅋ
24.03.05 10:17

(IP보기클릭)124.35.***.***

BEST
지역서점이란 게 있긴 하냐? 문제집 장사하는 학원 1층 정도밖에 요새 책파는 데를 보질 못했다
24.03.05 10:18

(IP보기클릭)119.196.***.***

BEST
도서정가제 생기고 지역 서점 다 망했는데 아직까지 도서정가제로 지역서점 타령하냐?
24.03.05 10:19

(IP보기클릭)211.207.***.***

BEST
경제 역사 교과서에 영구히 박제되었으면 좋겠다. 멍청하게 법을 만들면 시장이 어떻게 붕괴하는지 좋은 예시이니까.
24.03.05 10:25

(IP보기클릭)122.215.***.***

중고딩때 입법된것같은데 아직 이 멍청한법이 남아있을줄 몰랐다 ㅋㅋㅋ 동네서점 싹 다 죽었음 나도 중고서점만 가다가 이젠 이북만사니까 안 읽음
24.03.05 10:26

(IP보기클릭)61.79.***.***

이미 다죽어서 무덤에 들어간 지역서점 타령 하고 잇네 무슨 도서정가제 완화하면 지역서점 무덤에서 꺼내서 한번 더 죽이기라도 하나
24.03.05 10:26

(IP보기클릭)219.241.***.***

이북은 좀 도서정가제에서 뺴주지...
24.03.05 10:50

(IP보기클릭)220.116.***.***

도서정가제로 수익나면 틀림없이 요금내릴겁니다
24.03.05 10:52

(IP보기클릭)115.143.***.***

그 서점 니들이 다 죽엿어용
24.03.05 10:55

(IP보기클릭)59.11.***.***

기존 소규모 서점들 살리겠다고 한건데 오히려 다 죽어버렸고, 독립서점이라는 형태로 책을 다루는 편집샵 같은 느낌 + 까페 + 관광지용 플레이스 식으로 새로 생기거나 변화한건데 도서정가제 만들면서 이렇게 되도록 유도한게 아닌데 이걸 단순히 서점수 늘었다고 성공적이라고 할 수 있을까? 눈가리고 아웅하는거지.
24.03.05 10:58

(IP보기클릭)112.184.***.***

Project Pt
맞는말 근데 도정가 개정하기전부터 대형서점과 온라인 서점으로 인해 동네 서점수는 해마다 크게 줄어가고 있었고 개정되고 나서 완화 되었다고 하는데 통계자료 보면 뭐 독립서점에 기타 등등 다 포함시킨거 보면 눈가리고 아웅이긴 함 이래도 죽고 저래도 죽는게 확정적이라면 소비자 입장에선 그냥 할인폭이 큰쪽이 좋긴한데 오히려 반대로가니 답답할 노릇이지 | 24.03.05 13:40 | | |

(IP보기클릭)220.92.***.***

도서정가제로 혜택본 넘들은 대형 출판사랑 팔리지도 않고 대외적으로 인정도 못받는 글 같지도 않은 불쏘시개 써대며 자칭 순문학한다 자위하는 작가넘들뿐임. 그나마 할인때문에 책 많이 샀는데 저거 시행된 이후로는 아예 책 안삼. 그렇다고 이북이 싼 것도 아니고 종이책에서 1차로 검열한거 이북에서 2차로 검열하는 거까지 까발려지는 사항인데. 이제는 지들이 1도 해준 것 없고 비웃었던 웹소설이나 웹툰이 돈이 된다니까 그것도 도서라며 기생충처럼 빨대 꽂을려함.
24.03.05 11:00

(IP보기클릭)106.249.***.***

천하무적 서초패왕
혜택본 놈들은 정확히는 인터넷 서점들임. 도서정가제 구조가 서점들이 이득을 많이 남기는 구조임. 과거 도서정가제는 납품가를 서점이 후려쳐서 낮게 납품받고 그걸 기반으로 할인을 왕창 때리던 거라, 서점 입장에선 박리다매였음. 근데 도서정가제 이후로는 할인이 막히니 서점도 할인 경쟁할 필요가 없어서 오히려 마진이 크게 남음. 오히려 출판사들은 납품가는 도서정가제 이전이나 이후나 별 차이 없는데 판매 부수가 반토막나고, 심지어 재고 떨이도 안 되어서 고생 많이 했음. | 24.03.05 11:07 | | |

(IP보기클릭)106.249.***.***

스트럭처리뉴얼
재미있는 건 작가들도 별 재미 못 봤음.. 도서정가제로. 어차피 인세라는 건 판매 정가 대비이기 때문에 판매 부수가 많을수록 작가들에게 이득임. 즉 납품가 60%에 할인 30% 때려서 1만 원짜리를 7000원에 1만 부 팔 때랑, 납품가 60%에 할인 10%만 되어서 1만 원짜리를 9000원에 5000부 팔 때랑 인세는 두 배 가까이 낮아짐. 결국 도서정가제라는 게 지역오프서점 상생과 과열 경쟁 출혈 방지라는 건데, 그게 어차피 망해가는 오프라인 시장에 무슨 의미가 있는지 잘 모르겠고... 과열 경쟁도 그사세. | 24.03.05 11:11 | | |

(IP보기클릭)61.74.***.***

뭐 어쩌라고 지역서점 망하든 말든
24.03.05 11:05

(IP보기클릭)220.121.***.***

대한민국은 그냥 피의 숙청해야함 경제 다 망했는데, 도서정가제랑 단통법 같은 법
24.03.05 11:26

(IP보기클릭)223.39.***.***

지역서점들 80프로가 이미 폐업했다 ㅋㅋㅋ
24.03.05 11:30

(IP보기클릭)1.221.***.***

지역서점 망한지가 언제인데
24.03.05 11:36

(IP보기클릭)218.156.***.***

뭐 솔직히 지금와서 도서정가제 완화한다고 동네서점 보호가 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e북이나 웹툰,웹소설등 인터넷 서적의 도서정가제는 좀 풀어줬으면 하네. 2003년 처음 도서정가제 시행할때야 책 할인율에 제약 걸리니 열받기도 했고, 2010년 넘어서면서 e북쪽도 활성화 되면서 오프라인 서적은 거의 안사고 e북으로 사거나 도서관에서 대여하는걸로 대체했는데, 2012년인가 13년인가부터 전자책도 도서정가제 포함되서 할인 제약 걸려서 빡치긴 했지만, 그래도 오프라인 서적보다 저렴하고 e북이 익숙해지니 공간 차지하는것도 없어서, 진짜 오프라인밖에 못구하는 책 아니면 동네서점 갈일 없어지긴 했는데, 어차피 e북시장은 대형서점들인데 이동네는 따로 분리해서 할인 경쟁 할수 있게 해주지... 종이책으로 운영하는 동네서점이야 보호목적으로라도 도서정가제 유지하는건 이해 하겠는데 e북시장에 동네서점이 운영하는게 얼마나 된다고 이것도 도서정가제로 묶어버리나...
24.03.05 11:38

(IP보기클릭)61.79.***.***

솔직히 대안서점을 서점이라고 우기는 거부터가 양심리스지. 다른 장사를 주력으로 책은 덤인 걸 서점으로 잡는 게 맞는거냐.
24.03.05 11:59

(IP보기클릭)61.79.***.***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유리학사
예를 든거 따져봐야 주거지라는 큰 틀이 변한거지 한옥의 개념이 빌라나 아파트로 바뀐게 아니잖아. 대체 어느 동네에서 한옥 현황 통계 낼 때 빌라나 아파트 포함해서 계산함 한옥 인정 받으려면 개보수 때도 조건 따지는 걸로 아는데? 지금 님 근거라고 든 게 상업이라는 큰 틀에서 다른 업종으로 바뀐거 맞다는 소리 하고 있는 거 암? 백보 양보해서 독립 서점도 서점이라 쳐도 정가제 취지가 기존의 중소서점 살린다는 거였는데 그 중소서점 다 죽거나 다른 방향으로 도피하는 상황이니 실패한 제도가 맞는데 정가제 성공했다는 근거로 치는게 양심리스가 아님 뭐임 | 24.03.05 16:10 | | |

(IP보기클릭)61.79.***.***

ii99
정가제 도입으로 출판 산업의 다양성은 지켰는지 몰라도 종이책 시장 규모는 갈수록 줄어들고 기존 중소서점도 고사 시켰는데 이걸 아직도 성공한 정책으로 우기는 게 맞음? 실패한 정책이라 인정하고 개선은 커녕 오히려 성공했다며 강화만 시키는 중인데? | 24.03.05 16:16 | | |

(IP보기클릭)61.79.***.***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유리학사
정가제 도입 후 중소서점 급속히 줄어들고 그거 악용한 세력들 때문에 오프라인 서점 업계 1,2,3위 다 고꾸라졌는데 정가제랑 관계 없단 근거는 뭐고? 유명 총판들 폐업 사유로 정가제 언급한 기사들도 수두룩한데 | 24.03.05 16:35 | | |

(IP보기클릭)61.79.***.***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유리학사
아 됐다 니 말 니 스스로 반박 중인데 뭐라고 하겠냐 차단한다 | 24.03.05 16:36 | | |

(IP보기클릭)211.234.***.***


보통 종합 판매 서점이란 인식인데 복카페도 서점취급이군요
24.03.05 12:02

(IP보기클릭)211.234.***.***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유리학사

반디앤루니스 북새통 죽는거보고 그이후론 알라딘이나 교보밖에 안가다보니 몰랐군요 지인왈론 책이 인테리어용 장식인 북카페도있는듯하니 | 24.03.05 12:53 | | |

(IP보기클릭)118.235.***.***

나름 큰 동네 서점 한 군데 말고 다 망했다
24.03.05 12:09

(IP보기클릭)211.38.***.***

서점 하던 집들 죄다 폐점 하거 나 복사집으로 사업 갈아탐.
24.03.05 12:22

(IP보기클릭)61.43.***.***

흠 다 죽였으니 이제 슬슬 위하는척 해볼까
24.03.05 12:27

(IP보기클릭)211.234.***.***

루리웹-9974604439
소위 죽여야 살리지군요 | 24.03.05 12:54 | | |

(IP보기클릭)183.102.***.***

예상대로 바로 기사가 뜨네 ㅋㅋㅋ
24.03.05 12:54

(IP보기클릭)183.102.***.***

다이나믹제네럴가디언
대체 늘었다는서점들 다 어디있는지모르겠음 서점이 그렇게 문화공간으로 변했다면 우리집근처에도 하나는 생길법한데 학교앞 문제집파는데 빼곤 보이지도 않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24.03.05 12:59 | | |

(IP보기클릭)115.93.***.***

정가제로 돈번 책팔이놈인지 죽어라 쉴드 댓글 다는꼴이 참...
24.03.05 13:29

(IP보기클릭)211.226.***.***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9610570721
그것도 23년 말부터 보조금 예산 삭제 된거보니25년 보면 어찌 될지 알겠네요 | 24.03.05 14:58 | | |

(IP보기클릭)118.235.***.***

작년에 만화책 초판 모은다고 사는곳 구 동네 서점 다 뒤져봤는데 네이버지도에 표시된곳중 반이 문닫아있었음
24.03.06 09:22


1
 댓글





읽을거리
[MULTI] MMORPG를 보전하는 법, 드래곤 퀘스트 X 오프라인 (47)
[NS] 명작을 더욱 가치 있게,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11)
[MULTI] 아! 혼을 쏙 빼 놓으셨다, MMO가 된 '레이븐2' (87)
[게임툰] 냥팔자가 상팔자, 리틀 키티 빅 시티 (51)
[MULTI] 부실한 이야기와 좋은 전투 그리고 높은 잠재력, '명조' (63)
[XSX|S] 세누아의 전설: 헬블레이드 2, 체험으로서의 게임이란 (88)
[게임툰] 황야에 피어난 메카의 로망, 샌드랜드 (24)
[게임툰] 레트로로 그린 잔혹동화, 리틀 구디 투 슈즈 (61)
[PC] 2년 기다림이 아깝지 않은 장독대 묵은지, 브이 라이징 (25)
[PS5] 국산 게임의 별로서 기억될 칼, 스텔라 블레이드 (180)
[MULTI] 탐험으로 가득한 사막과 맛있는 메카 전투, 샌드랜드 (40)
[MULTI] 아쉬움 남긴 과거에 보내는 마침표, 백영웅전 리뷰 (55)


파워링크 광고 24시간 안보기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18 전체공지 업데이트 내역 / 버튜버 방송 일정 8[RULIWEB] 2023.08.08
2107065 공지 단순 메갈, 워마드 관련 글 [사회/정치/경제] 정보 게시판 게재. _smile 56 348807 2016.08.17
2104601 공지 출처만 다른 중복 글 금지 _smile 40 349826 2016.07.24
2344194 만화책 루리웹-684784848236 593 2024.06.13
2344189 신간 루리웹-8262309935 5 1514 2024.06.13
2344188 만화책 루리웹-019534197 2 1077 2024.06.13
2344183 만화책 전기공칠호 509 2024.06.13
2344166 만화책 AK턴에인 1 530 2024.06.13
2344162 만화책 루리웹-019534197 2 550 2024.06.13
2344161 만화책 AK턴에인 1 593 2024.06.13
2344160 만화책 루리웹-019534197 573 2024.06.13
2344159 만화책 루리웹-019534197 3 783 2024.06.13
2344158 만화책 루리웹-019534197 6 2185 2024.06.13
2344157 만화책 루리웹-019534197 2 573 2024.06.13
2344156 만화책 루리웹-019534197 2 323 2024.06.13
2344155 만화책 루리웹-019534197 1 429 2024.06.13
2344153 만화책 루리웹-019534197 1 625 2024.06.13
2344152 라노벨 루리웹-019534197 2 497 2024.06.13
2344151 만화책 루리웹-019534197 275 2024.06.13
2344145 신간 코믹존 1 526 2024.06.13
2344142 만화책 AK턴에인 531 2024.06.13
2344141 만화책 루리웹-684784848236 2 993 2024.06.13
2344137 만화책 AK턴에인 1 1046 2024.06.13
2344118 만화책 루리웹-019534197 4 1083 2024.06.13
2344115 도서 nokcha 6 1421 2024.06.13
2344113 만화책 빈센트Vincent 2 469 2024.06.13
2344112 도서 빈센트Vincent 492 2024.06.13
2344107 도서 빈센트Vincent 1 345 2024.06.13
2344103 도서 빈센트Vincent 653 2024.06.13
2344102 만화책 루리웹-684784848236 716 2024.06.13
2344101 만화책 루리웹-684784848236 692 2024.06.13
글쓰기 101350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게시판 관리자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