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First name (독어로는 포어나메Vorname, 앞에 오는 이름이라고 한다.)
어렵지 않다. 이름에서 제일 먼저 나오는 것을 말한다.
단, 독일어에는 성(性)을 구분하므로 여성형 이름과 남성형 이름을 알아두면 좋다.
예를 들어 요한Johann(혹은 요하네스Johannes)는 남성형 이름으로 여성형으로는 요한나Johanna다.
가끔 프랑스의 영향을 받은 이중이름Doppelname가 있기는 한데 독일에서는 드믈다.
예를 들어 '장자크 루소'의 경우 장자크Jean-Jaques를 하나로 묶어서 한 사람의 이름으로 보는 것.
2. Middle name (독어로는 미텔나머Mittelname, 가운데 오는 이름이라고 한다.)
이름 가운데 들어가는 이름인데 사실 사람을 부를 때는 거의 쓰이지 않아서 중요하지 않다.
서양에서 미들네임은 주로 공경할만한 사람, 가족, 특별하게 붙이고 싶은 이름 등을 집어넣는다.
종종 별명을 집어넣는 사람도 있다. 이 경우는 허락을 받는다면 별명으로 불러도 된다.
(ex. Günther 'Hans' von Kluge, 귄터 '한스 폰 클루게 2차대전 당시 독일 육군원수)
3. Family name (독어로는 파밀리엔나메Familienname, 가족 이름이라고 한다.)
성씨. 뒤에 오는데 주의할 점은 종종 성씨가 -를 이용해서 길게 늘어진 경우도 있는데 통째로 다 성씨가 된다.
이런 경우 보통은 가장 앞에 오는 단어만 읽기도 한다.
(ex. Chlodwig zu Hohenlohe-Schillingsfürst,
클로트비히 추 호엔로헤실링스퓌르스트. 통칭 호엔로헤 후작, 독일 제국 3대 수상.)
위에 보면 성씨 앞에 이상한 von이나 zu가 보이는데
이건 원래는 전치사로 과거 귀족이 자신의 출신을 보이기 위해 사용한 것이 정착된 것이다.
von = from
zu = to
가끔 이 뒤에 der, dem과 같은 관사를 쓰기도 하고 반대로 앞에 작위를 넣는 경우도 있다.
독일어로 작위는
쿠어퓌르스트Kurfürst = 선제후
에르츠헤어초크Erzherzog / 그로스헤어초크Großherzog = 대공 (에르츠헤어초크는 오스트리아에서만 쓴다.)
헤어초크Herzog = 공작
프린츠Prinz ≒ 공작 (왕자를 뜻하는 단어이기도 하나 작위이기도 하다.)
퓌르스트Fürst ≒ 후작 (헤어초크보다는 낮지만 역사적으로 군주를 칭하는 단어였다.)
마르크그라프Markgraf = 변경백 (조금 깨끗하게 번역하면 후작)
그라프Graf = 백작
프라이헤어Freiherr / 바론Baron = 남작
리터Ritter = 기사
(ex. Graf von Spee, 막시밀리안 폰 슈페 제국백작 1차대전 당시 독일 해군 제독)
폰von은 자신의 본관을 나타낸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한편 추zu는 현재 자신이 살고있는 또는 가지고 있는 영지를 나타낸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만약 본관에 여전히 살고있다면 von und zu라고 쓴다.
긴 글 읽으신다고 고생 많았습니다.
(IP보기클릭)49.161.***.***
(IP보기클릭)222.237.***.***
그렇지요. 포어나메가 아돌프, 파밀리엔나메가 히틀러가 됩니다. | 21.12.23 00:23 | | |
(IP보기클릭)121.176.***.***
놀랍게도 사실이다! 조카 이름도 히틀러다! | 21.12.23 00:23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