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0neiNHzecCw?si=bUbQhJ9hYH1Tu1c2&t=547
하드웨어 스펙
Samsung S25 Ultra
반사방지: 있음(삼성?/코닝?)
OIS: 4.2도 보정(광각) + 일반(3배/5배)
광각: 삼성 HP2, 1/1.3", f/1.7, 200MP
3배: 소니 IMX754, 1/3.52", f/2.4, 10MP
5배: 소니 IMX854, 1/2.52", f/3.4, 50MP
초광각+접사: 삼성 JN3, 1/2.4", f/1.9 50MP
Xiaomi 15 Ultra
반사방지: 있음
OIS: 있음(광각,3배,4.3배)
광각: 소니 LYT-900(2스택), 1", f/1.6, 50MP
3배+접사: 소니 IMX858, 1/2.51", f/1.8 50MP
4.3배: 삼성 HP9, 1/1.4", f/2.6, 200MP
초광각: 삼성 JN5, 1/2,76, f/2.2 50MP
Vivo X200 Pro
반사방지: ZEISS T
OIS: 2도 보정(광각,줌)
광각: 소니 LYT-818(2스택), 1/1.28", f/1.57 50MP
3.7배+접사: 삼성 HP9, 1/1.4", f/2.6, 200MP
초광각: 삼성 JN1, 1/2.76", 50MP
아래 사진은 9:07부터 나오는 광각(메인)센서 저조도 촬영 비교 입니다.
삼성은 센서의 성능이 낮아서 모션블러가 많지만
높은 OIS 성능을 이용해서 떨림을 최소화 시키는 방향입니다.
다만 극 저도도 환경에선 OIS와 AI로는 커버가 불가능한 모션블러가 찍힙니다.
샤오미는 2스택(동일면적 수광량 1.5배) 센서지만
셔터스피드가 느리고 OIS도 좋지 못해 모션블러 및 떨림이 많습니다.
추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야간 촬영 시 셔터스피드를 개선하면 품질이 좋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 샤오미가 업데이트를 하지 않는다면 의미 없음)
비보는 OIS의 성능이 삼성보다 낮아서 떨림이 많고 15U보다 센서 크기도 작지만
2스택(동일면적 수광량 1.5배)센서를 이용해 셔터스피드를 빠르게 하여
극저도도 환경에서도 낮은 모션블러 및 높은 선명도를 보여 줍니다.











(IP보기클릭)211.246.***.***
줘도 안쓴다는 사람치곤 진짜로 주면 잘받아먹더라고요..
(IP보기클릭)125.183.***.***
본문의 사진은 전부 메인센서 결과물이고 X200 pro는 HP9 때문에 카툭튀가 심한거지 메인 센서는 S25U와 같은 1/1.3인치 센서 입니다.
(IP보기클릭)125.183.***.***
물론 2억화소가 말씀 하신 단점이 있죠 그래도 주간에선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2억화소 + 2스택이 전보다 좋아지면 좋아졌지 오히려 전보다 나빠지지는 않겠죠?
(IP보기클릭)125.183.***.***
2억화소의 단점이라기 보단 2스택 유무 차이가 큽니다. 동일 면적에서 2배의 수광량이니 유의미한 차이죠 소니와 유사한 2스택 센서 특허가 삼성에서 나오고 있으니 이러한 특허가 S 시리즈에 들어간다면 발전이 확실하겠죠? https://bbs.ruliweb.com/mobile/board/300009/read/2268279 사진은 소니 2스택 센서 노이즈 차이
(IP보기클릭)211.241.***.***
샤오미는 기대했던 것보다 실망인데 의외로 비보가 잘 나오네 ㄷㄷ
(IP보기클릭)218.156.***.***
(IP보기클릭)211.234.***.***
(IP보기클릭)121.165.***.***
(IP보기클릭)125.183.***.***
2억화소의 단점이라기 보단 2스택 유무 차이가 큽니다. 동일 면적에서 2배의 수광량이니 유의미한 차이죠 소니와 유사한 2스택 센서 특허가 삼성에서 나오고 있으니 이러한 특허가 S 시리즈에 들어간다면 발전이 확실하겠죠? https://bbs.ruliweb.com/mobile/board/300009/read/2268279 사진은 소니 2스택 센서 노이즈 차이 | 25.03.06 17:22 | | |
(IP보기클릭)1.237.***.***
당연히 2억화소의 단점이죠. 동일판형, 동일기술에서 5000만 화소와 2억 화소는 저 문제가 똑같이 나옵니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광량때문에 상대적으로 노이즈가 더 많으니 결국 무한하게 못따라 잡습니다. 애초에 모바일 판형상 3000~4000만 화소까지가 분해능 한계인데 2억화소는 그 어떤 경우에도 단점 밖에 없습니다. dr부터 노이즈까지 전부 | 25.03.06 17:40 | | |
(IP보기클릭)125.183.***.***
물론 2억화소가 말씀 하신 단점이 있죠 그래도 주간에선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2억화소 + 2스택이 전보다 좋아지면 좋아졌지 오히려 전보다 나빠지지는 않겠죠? | 25.03.06 17:50 | | |
(IP보기클릭)121.165.***.***
5천만화소 + 2스택 보다 언제나 무조건 구릴 수 밖에 없기때문에 저렇게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는 2억화소 포기하지 않는이상 영원히 발생할겁니다. 주간에서 좋은모습이요? dr개판 나는데다 조금만 광량 줄어도 난리나는 센서가?? | 25.03.06 18:13 | | |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211.199.***.***
(IP보기클릭)125.183.***.***
본문의 사진은 전부 메인센서 결과물이고 X200 pro는 HP9 때문에 카툭튀가 심한거지 메인 센서는 S25U와 같은 1/1.3인치 센서 입니다. | 25.03.06 17:16 | | |
(IP보기클릭)211.246.***.***
김수면
줘도 안쓴다는 사람치곤 진짜로 주면 잘받아먹더라고요.. | 25.03.06 17:37 | | |
(IP보기클릭)211.241.***.***
샤오미는 기대했던 것보다 실망인데 의외로 비보가 잘 나오네 ㄷㄷ
(IP보기클릭)211.187.***.***
(IP보기클릭)121.164.***.***
본문에 있는 내용 중 일부 오류를 수정하자면 스택형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다고 해서 수광량 자체가 두배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발광층 자체를 두배로 쌓는 탠덤OLED 방식과 다르게 스택형 이미지 센서는 빛을 받아들이는 포토다이오드의 면적을 두배로 늘려주는것이 아니라 픽셀 트랜지스터를 포토다이오드와 분리해서 이중으로 쌓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IP보기클릭)125.183.***.***
찾아보니 샤오미 14 울트라 홍보 기준 LYT-900이 IMX989 대비 36% 향상이네요 그러면 일반(삼성) 센서 대비 1.5배 정도 향상이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본문은 1.5배 향상으로 수정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25.03.06 20:16 | | |
(IP보기클릭)182.228.***.***
(IP보기클릭)220.84.***.***
(IP보기클릭)142.198.***.***
고스트현상은 어쩔 | 25.03.07 11:37 | | |
(IP보기클릭)211.226.***.***
(IP보기클릭)142.198.***.***
(IP보기클릭)221.143.***.***
(IP보기클릭)22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