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유머] 논문에 쓰이는 표현들의 진실.jpg [32]




profile_image (924398)
작성일 프로필 열기/닫기
추천 | 조회 63682 | 댓글수 32
글쓰기
|

댓글 | 32
1
 댓글


(IP보기클릭)115.93.***.***

BEST

.
17.03.15 11:55

(IP보기클릭)163.152.***.***

BEST
Further study = 이 연구의 원래 목적이었는데, 내가 하지 못한 것
17.03.15 11:46

(IP보기클릭)119.203.***.***

BEST
한번 두번 세번 ㅋㅋㅋㅋㅋㅋㅋ
17.03.15 11:45

(IP보기클릭)166.104.***.***

BEST
It suggests that~: 그 결과는 ~를 암시한다 -> 결과보고 생각한 내 의견이다. data was not shown: 당연한 결과라 안넣었다 -> 데이터가 찌끄레기거나 이쁜 모양이 아니라 결과만 봐두쇼. the number of question remain: 관심있음 후속연구는 너희가 하도록. 우리가 바쁘거나 돈이 없어서 더 못하겠다. It is significant~: 이 결과는 유의성(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 -> 이 실험에서만 유의성 있는 데이터를 만들었다. It is not significant but: 좀 연관 있는거 같은데 유의성이 안나왔는데 내가 실험한거니까 좀 봐줘. 막대그래프: 평균은 나왔는데 오차범위가 아주 아름답게 흩어져 있어서 표시를 못할 떄 쓰임. dot 그래프: 내가 이렇게 많은 실험체를 이용하여 멋진 결과를 냈다. Thanks to~: 이 논문은 다음 스폰서에 의해 기획되었으며..
17.03.15 12:10

(IP보기클릭)218.233.***.***

BEST
와 ㅋㅋㅋ 나도 이거 교수새.끼 가지고 만들었었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
17.03.15 12:58

(IP보기클릭)114.70.***.***

자주보이는 문장들은 공감간닼ㅋㅋㅋㅋㅋㅋ
17.03.15 11:35

(IP보기클릭)218.151.***.***

학부생들 과제겠지
17.03.15 11:37

(IP보기클릭)220.78.***.***

애국홍년
실험논문에나 나올법한 문구인데.. 학부 어디 나오셨길래 실험을 기반으로 페이퍼를 쓰죠? 학부에서 실험은 실습개념이지 그걸 가지고 페이퍼를 쓰지도 않고, 쓴다 하더라도, 실험때 배운거 요약정도죠. 카이스트면 인정합니다. | 17.03.15 11:49 | | |

(IP보기클릭)218.152.***.***

비락의당
대부분 이과 계열은 학부졸업에도 논문쓸때 일년정도 실험 논문쓸텐데... 전 썼었음. | 17.03.15 11:53 | | |

(IP보기클릭)220.78.***.***

2konomi
졸업논문이 과제는 아닌지라.. | 17.03.15 11:55 | | |

(IP보기클릭)117.111.***.***

비락의당
과마다 다르지만 내가 나온과는 다 실험하고 논문쓰고 했음 식물계열인지라 1년가까이 준비하는애들도 있고 열심히 놀다가 2달전부터 밤새워 준비하는 애들도있고... 뭐 다양했음 | 17.03.15 14:34 | | |

(IP보기클릭)141.223.***.***

대학원생 : ㅅㅂ 우리의 노고를 폄하하지마 ㅠㅠ
17.03.15 11:43

(IP보기클릭)59.1.***.***

전설의수염
ㅋㅋㅋㅋㅋㅋ 내가 딱 저모양이였지 한달에 20만원 받고 말이야 | 17.03.15 12:48 | | |

(IP보기클릭)221.149.***.***

개공감가네 ㅋㅋㅋㅋㅋ
17.03.15 11:44

(IP보기클릭)106.241.***.***

곰국 클라스
17.03.15 11:44

(IP보기클릭)119.203.***.***

BEST
한번 두번 세번 ㅋㅋㅋㅋㅋㅋㅋ
17.03.15 11:45

(IP보기클릭)163.152.***.***

BEST
Further study = 이 연구의 원래 목적이었는데, 내가 하지 못한 것
17.03.15 11:46

(IP보기클릭)175.223.***.***

늑대맛향신료
혹은 해봤는데 안됨. | 17.03.15 11:54 | | |

(IP보기클릭)202.30.***.***

괴물생태학
ㅇㄱㄹㅇ ㅂㅂㅂㄱ | 17.03.15 15:09 | | |

(IP보기클릭)121.137.***.***

내 논문의 근거와 주장은 주석으로 달린 센빠이 과학자들의 업적으로 커버친다!!
17.03.15 11:54

(IP보기클릭)203.249.***.***

그래프 이쁜거 ㅋㅋㅋ개공감간다 --> 결과값 가장 좋은거 보여줌 ㅋㅋㅋ
17.03.15 11:54

(IP보기클릭)220.79.***.***

비슷한것으로 책의 서문 끝에 '이 책을 쓰는데 도움을 주신~~~~"<=이게들어가면 거르는게답임. 해석하자면 출판사에서 돈이되겠다고하여 누구누구누구가 모은것을 누구누구가 짜깁기해서 내이름을 얹어서 내가 한 번 훑어보고 말 몇마디바꾸고 내놓습니다.임 하지만 반대의경우도 봤었음
17.03.15 11:54

(IP보기클릭)115.93.***.***

BEST

.
17.03.15 11:55

(IP보기클릭)218.233.***.***

BEST
몽환의시니아
와 ㅋㅋㅋ 나도 이거 교수새.끼 가지고 만들었었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 | 17.03.15 12:58 | | |

(IP보기클릭)59.26.***.***

몽환의시니아
대박 ㅋㅋㅋㅋㅋㅋㅋㅋ 대학원때 교수시키 싱크로 100% | 17.03.15 15:34 | | |

(IP보기클릭)119.207.***.***

그런데 웃긴게 저렇게 써야 교수들이 점수를 잘줌...그냥 심플하게 써놓으면 막 점수 안주고.. 00이 00해서 000되었습니다. 이거를 00이 000게 함으로 000게 되었기에 000된 것을 000하여서 000하고 00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써야 같은 내용이라도 점수를 잘줌..적어도 교양에선..
17.03.15 11:55

(IP보기클릭)114.70.***.***

이익....!!!! 공감가는 문장들이 많네요.. 논문에도 트렌드가 있듯이 요즘 저런 문장은 사용잘 않합니다.. 리뷰어한테 좋지 않은 인상을 주거든요. 그래서인지 강한 표현들이 많이 나오죠. 예를 들어 '내 논문 짱임 암튼 짱임' 이라던지..
17.03.15 11:56

(IP보기클릭)203.255.***.***

참된 과학용어 인정합니다
17.03.15 12:04

(IP보기클릭)165.132.***.***

이게 팩트라 앵간한 논문은 다 믿으면서 볼수가 없음ㅋㅋㅋ
17.03.15 12:06

(IP보기클릭)166.104.***.***

BEST
It suggests that~: 그 결과는 ~를 암시한다 -> 결과보고 생각한 내 의견이다. data was not shown: 당연한 결과라 안넣었다 -> 데이터가 찌끄레기거나 이쁜 모양이 아니라 결과만 봐두쇼. the number of question remain: 관심있음 후속연구는 너희가 하도록. 우리가 바쁘거나 돈이 없어서 더 못하겠다. It is significant~: 이 결과는 유의성(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 -> 이 실험에서만 유의성 있는 데이터를 만들었다. It is not significant but: 좀 연관 있는거 같은데 유의성이 안나왔는데 내가 실험한거니까 좀 봐줘. 막대그래프: 평균은 나왔는데 오차범위가 아주 아름답게 흩어져 있어서 표시를 못할 떄 쓰임. dot 그래프: 내가 이렇게 많은 실험체를 이용하여 멋진 결과를 냈다. Thanks to~: 이 논문은 다음 스폰서에 의해 기획되었으며..
17.03.15 12:10

(IP보기클릭)58.148.***.***

패러다임에 맞지 않는 데이터는 버린다!
17.03.15 12:32

(IP보기클릭)125.181.***.***

ㄹㅇ
17.03.15 12:49

(IP보기클릭)119.149.***.***

미친;;
17.03.15 12:59

(IP보기클릭)202.212.***.***

이야.. 번역한사람이 더 대단.. ㅡ0ㅡ)!!!
17.03.15 13:58

(IP보기클릭)182.251.***.***

ㅋㅋ미친
17.03.15 14:03

(IP보기클릭)59.7.***.***

정립하지 못한 논문은 똥.떵.어.리! 끄하하하학!!! ㅋㅋㅋㅋ
17.03.15 15:48

(IP보기클릭)27.1.***.***

문과에서 자주 보는 표현은 아니지만 문과는 또 나른대로 있지.....사실 더 심함;ㅋㅋ
17.03.15 22:02


1
 댓글





읽을거리
[게임툰] 완전 게 같은 게임이네... 어나더 크랩스 트레저 (27)
[MULTI] MMORPG를 보전하는 법, 드래곤 퀘스트 X 오프라인 (55)
[NS] 명작을 더욱 가치 있게,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13)
[MULTI] 아! 혼을 쏙 빼 놓으셨다, MMO가 된 '레이븐2' (96)
[게임툰] 냥팔자가 상팔자, 리틀 키티 빅 시티 (52)
[MULTI] 부실한 이야기와 좋은 전투 그리고 높은 잠재력, '명조' (64)
[XSX|S] 세누아의 전설: 헬블레이드 2, 체험으로서의 게임이란 (89)
[게임툰] 황야에 피어난 메카의 로망, 샌드랜드 (23)
[게임툰] 레트로로 그린 잔혹동화, 리틀 구디 투 슈즈 (58)
[PC] 2년 기다림이 아깝지 않은 장독대 묵은지, 브이 라이징 (25)
[PS5] 국산 게임의 별로서 기억될 칼, 스텔라 블레이드 (177)
[MULTI] 탐험으로 가득한 사막과 맛있는 메카 전투, 샌드랜드 (40)


파워링크 광고 24시간 안보기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49 전체공지 존경하는 루리웹 회원 여러분, 8[RULIWEB] 2024.06.21
32989909 유머 블랙하트항만 469 63127 2017.03.15
32989893 유머 느그이름은 116 53350 2017.03.15
32989877 유머 니들출근길따라간다 58 15477 2017.03.15
32989866 유머 제갈공명 32 19642 2017.03.15
32989826 유머 고라파덕™ 6 9835 2017.03.15
32989802 유머 aqir 315 60095 2017.03.15
32989752 유머 타카오 부장 96 24830 2017.03.15
32989750 유머 제갈공명 124 59861 2017.03.15
32989747 유머 MAHISHA 127 50520 2017.03.15
32989627 잡담 Munsanism 86 24527 2017.03.15
32989598 유머 Red Velvet 115 63682 2017.03.15
32989591 유머 silver line 77 21179 2017.03.15
32989572 유머 silver line 89 24415 2017.03.15
32989564 애니/만화 기뮤식의노예- 25 6971 2017.03.15
32989549 잡담 위대한일본의딸우즈키 7 2751 2017.03.15
32989529 유머 갸랑갸랑 71 13891 2017.03.15
32989521 유머 갸랑갸랑 48 19846 2017.03.15
32989494 유머 갸랑갸랑 69 22080 2017.03.15
32989480 유머 여우는사랑 41 21140 2017.03.15
32989447 유머 silver line 68 22492 2017.03.15
32989445 유머 단호박+ 168 71472 2017.03.15
32989440 유머 roness 73 14181 2017.03.15
32989403 유머 아테네의 타이먼 162 53789 2017.03.15
32989399 유머 【사타냐】 34 14829 2017.03.15
32989396 유머 츠나데1 35 16360 2017.03.15
32989381 유머 【사타냐】 23 13519 2017.03.15
32989363 유머 프로비우스 59 47452 2017.03.15
32989356 유머 straycat0706 19 6662 2017.03.15
글쓰기 614450개의 글이 있습니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