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적벽돌입니다. (닉네임 누르시면 블로그로 이동합니다)
정말 터무니 없이 긴 글이라 죄송합니다. 제가 작성했던 글 중에서도 가장 깁니다.
요즘 슈퍼로봇대전도 새로 발매되었다고 하고, 많은 슈퍼로봇들이 프라모델로 나오고 있습니다.
제품 품질은 좀 많이 오락가락하지만요;;;
모두 축제처럼 즐겼으면 좋겠네요.
많은 로봇 팬들에게 읽을 거리로서 작성했습니다.
작업 자체는 기초 공작+ 약간의 프로포션 개조 및 디테일업, 컬러링은 원작의 설정을 여러가지로 재해석, 도색 방향성은,
모리시타 나오치카 Naochika Morishita 森下直親 씨나,
에스케 요시노부 @EskeYoshinob 씨의
일러스트 분위기를 어떻게 하면 구현할 수 있을까에서 추구되었습니다.
* 한가지 언급이 빠졌는데요.
볼트론의 빨간색은 몸통에 쓰이는 것과 적사자의 것을 구분되도록 하고, 적사자쪽이 좀 더 어둡게 되도록 했습니다.
몸통의 적색과 적사자의 컬러가 같을 경우, 몸통 중앙 부위의 레드가 오른팔로 이어지는 느낌이 되어 버려 전체적으로 오른쪽으로 쏠리는 느낌이 되기 때문입니다.
정말 많은 슈퍼로봇 작례를 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즐겁게 읽어주십시오. 감사합니다.
https://hjweb.jp/article/1524361/
요즘 건담 이외의 메카닉들의 모형화가 많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정말 로봇 애니 팬으로서 얼마나 즐거운지 모를 일입니다. 물론 제품의 퀄리티가 너무 오락가락 하지만요;
smp와 모데로이드가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 전에는 코토부키야에서 용자물 위주로 좀 나오기는 했습니다만 장르적 다양성은 부족했죠.
그러나 해당 원작들 대부분이 한동안 완제품만 출시되었던 경향이 강하여 다채로운 해석은 아직 나오지 않는 편입니다.
완제품 위주의 시장이 되면 대부분은 고증 위주의 해석이 주류를 이루게 되는 경향이 있거든요.
컬러링만이 아니라 프로포션마저 다양하게 해석되고, 유저들 사이에서도 지지를 받는 새 해석이 나오고,
그 해석이 다시 공식에 반영되거나 차기 건담 작품에 제작진으로 유입되는 이런 현상은 건담 이외에서는 보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고요.
(건담 센티넬 같은 경우가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볼트론의 팬 분들이 다양한 스타일의 볼트론 겟타도 마징가도 볼테스도 더 다양한 작품을 보기를 바라시고 모델러들을 응원해주시면 더 풍성해지지 않으려나 싶습니다.
실은 저 자신이 다양한 로봇물의 재해석을 보고 싶거든요.
그러나 다 만들 수도 없고 그럴 시간도 없으니 많은 모델러들이 함께 붐을 일으키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2차 창작은 보통 라이센서(공식)의 1차 저작물이 시들해지면 같이 시들해진다고 여기는 분들이 있는데요.
실은 2차 창작이 활발하면 거꾸로 그 원작의 수명이 길어지고 더러는 차기작이 나오거나 리메이크가 되거나 하게 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2차 창작은 소비자만 있는게 아니라 의외로 업자이기도 합니다. 슈퍼로봇대전 시리즈나 옛날 모델그라픽스의 건담 센티넬이 그런 거죠.
당시 센티넬 제작진의 ZZ 에 대한 반발심은 꽤 유명한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센티넬은 훌륭한 건담 시리즈의 하나로 편입되어 있죠.
수많은 로봇물의 책자(마스터파일 등등)들도 실은 대부분 공식이 아닙니다.
건담이 백과사전(약 160만자로 구성된 책이었습니다)으로 나왔을 때에 토미노씨는 감탄하며 서평을 남겼는데
그 중 대략 이런 내용이 쓰여 있습니다.
"만약 기획자인 당신이 3년전 백지 상태에서 이런 걸 기획한다고 하면 납득, 이해할 수 있었을까?....이것은 철저하게 "놀이"로부터 태어난 결과다. 그러나 여기까지의 것을 모두 모아 하나의 활자 매체로 만들어내는 가치는 이미 놀이(장난)도 아니다, 그러나 놀이이기 때문에 정말 재미있는 것, 창작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가 이런 놀이가 놀이니까 장난스럽기도 하지만 "한없이" 진지해지기도 하거든요.
만약 일, 업이라면 이렇게 한없이 진지해지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기획자 입장에서 설정을 모아서 160만자가 되는 백과사전을 펼쳐내자라고 하면 그게 돈이 되냐 수익성은 어떠냐 등등 시작부터 좌초할 수 있죠.
실제로 존재하면 어떤 전술이 될지 따져서 일년전쟁사라는 글을 써내질 않나 코로니가 실제 회전하면 시속은 얼마여야 하고 그 회전하는 태양전지 패널에 부딪히면 어떻게 된다느니... 이런 걸 애니메이션 기획 단계에서 구상할 수는 없을 겁니다.
후에 계속 분석되고 재해석되고 덧붙여지고 하는 거죠. 공식이 뭘 알아의 대표적인 예이기도 합니다.
(물론, 이런 것을 일본 애니 업계에서도 잃고 있습니다.. 후속작이 이상한게 나오는 주 원인인데, 팬들이 리스펙하는 원작의 핵심 요소를 모르고 만드는 후속작들이라거나 애니화 등이 예라고 할 수 있죠.)
최근 감탄하며 보고 있는 건 용자로봇 팬들이 3D 프린터로 이것저것 만들어내는 겁니다.
이런 시도가 로봇물 전반에 다양하게 퍼졌으면 좋겠다 싶기도 하고요.
볼트론도 그 유명한 페크 모형이 있었듯이 더 다양한 디자인과 채색, 조형이 나오면 좋겠어요.
살면서 처음이자 마지막 고라이온 제작이었기 때문에 말이 길었습니다.
읽어주시는 한분 한분께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IP보기클릭)118.235.***.***
고라이온(볼트론)디자이너 정보 무라카미 카츠시 : 마징가Z방영당시 초합금 브랜드창시자로 라이딘 볼테스 다이모스 철인28호(태양의 사자) 알베가스 다이라가 갓마즈 등 포피(반다이)사의 70~80년대 변형합체로봇을 대부분 디자인, 우주형사 시리즈 등 메탈히어로 창시자이기도하며 전시리즈 디자인 파워레인저로 통용되는 슈퍼전대시리즈의 99년도작까지 슈트및 로봇디자인 (바이오맨,체인지맨 이후부터는 2호로봇이나 머리만 디자인) 반다이를지금의 기업으로 키워낸1등공신으로 캐릭터비즈니스의 신으로 추앙됩니다. 이분의 직계제자가 초대 파워레인저 메가조드(대수신)을 디자인하고 모데로이드커버일러스트도 하고계신 노나카 츠요시. 메가조드 머리디자인은 무라카미님이 하셨습니다. 스승과 제자가 디자인한 로봇이 나란히 미국을 제패했네요ㅎ
(IP보기클릭)211.234.***.***
히야..... 멋진 작품도 작품이지만, 애니관련 썰 작성하신 거 읽어보니 애니판 볼트론의 색 배치는 정말 제멋대로였군요. 기준을 잡기 힘드니 만드실 때 고생이 많으셨을 듯 합니다.
(IP보기클릭)183.99.***.***
와.. 긴 스크롤 속에서 제목을 까먹고, 이건 무슨 버전의 고라이온인가 하고 봤더니.. 모데로이드??? 우리집에 있는 애랑 너무 다른데??
(IP보기클릭)211.208.***.***
초등학교 1학년때 좋지 못한 가정형편에 볼트론이 너무 가지고 싶어서 부모님께 사달라고 말씀드렸는데 구구단 전체 외우면 사준다고 하셨던 기억이 나네요^^
(IP보기클릭)211.234.***.***
히야..... 멋진 작품도 작품이지만, 애니관련 썰 작성하신 거 읽어보니 애니판 볼트론의 색 배치는 정말 제멋대로였군요. 기준을 잡기 힘드니 만드실 때 고생이 많으셨을 듯 합니다.
(IP보기클릭)183.99.***.***
와.. 긴 스크롤 속에서 제목을 까먹고, 이건 무슨 버전의 고라이온인가 하고 봤더니.. 모데로이드??? 우리집에 있는 애랑 너무 다른데??
(IP보기클릭)112.185.***.***
(IP보기클릭)118.235.***.***
고라이온(볼트론)디자이너 정보 무라카미 카츠시 : 마징가Z방영당시 초합금 브랜드창시자로 라이딘 볼테스 다이모스 철인28호(태양의 사자) 알베가스 다이라가 갓마즈 등 포피(반다이)사의 70~80년대 변형합체로봇을 대부분 디자인, 우주형사 시리즈 등 메탈히어로 창시자이기도하며 전시리즈 디자인 파워레인저로 통용되는 슈퍼전대시리즈의 99년도작까지 슈트및 로봇디자인 (바이오맨,체인지맨 이후부터는 2호로봇이나 머리만 디자인) 반다이를지금의 기업으로 키워낸1등공신으로 캐릭터비즈니스의 신으로 추앙됩니다. 이분의 직계제자가 초대 파워레인저 메가조드(대수신)을 디자인하고 모데로이드커버일러스트도 하고계신 노나카 츠요시. 메가조드 머리디자인은 무라카미님이 하셨습니다. 스승과 제자가 디자인한 로봇이 나란히 미국을 제패했네요ㅎ
(IP보기클릭)121.170.***.***
(IP보기클릭)211.208.***.***
초등학교 1학년때 좋지 못한 가정형편에 볼트론이 너무 가지고 싶어서 부모님께 사달라고 말씀드렸는데 구구단 전체 외우면 사준다고 하셨던 기억이 나네요^^
(IP보기클릭)175.196.***.***
(IP보기클릭)221.168.***.***
(IP보기클릭)211.51.***.***
(IP보기클릭)218.144.***.***
(IP보기클릭)182.212.***.***
(IP보기클릭)59.6.***.***
근 10년 이내 출시된 고라이온 프라모델은 반다이의 슈퍼미니프라(2018), 그리고 본문의 재료가 된 모데로이드(2024) 단 2종인데, 비교샷에서 보이듯 모데로이드 쪽이 크기도 훨씬 크고, 합체시 다리를 접는 기믹을 구현하고 있기 때문에 옛날 킹라이온의 감성을 프라로 최대한 가깝게 느끼고자 한다면 모데로이드 이상의 선택지는 없습니다. | 25.09.18 22:13 | |
(IP보기클릭)211.198.***.***
답변 감사드립니다 모데로이드 구입하겠습니다~ | 25.09.19 09:21 | |
(IP보기클릭)61.35.***.***
(IP보기클릭)27.116.***.***
(IP보기클릭)185.228.***.***
(IP보기클릭)24.157.***.***
으잉? 왜요? | 25.09.19 03:32 | |
(IP보기클릭)94.156.***.***
미국으로 판권이 완전 넘어가버려서 | 25.09.19 04:22 | |
(IP보기클릭)209.171.***.***
허업.....마크로스 처럼 먼 훗날에나 보겠군요 ㅠㅠ 시봥검!! | 25.09.19 05:33 | |
(IP보기클릭)24.157.***.***
(IP보기클릭)221.160.***.***
(IP보기클릭)61.4.***.***
볼트론.. 리메이크 게이 엔딩 때문에 아직도 잊혀지지 않는 이름
(IP보기클릭)222.98.***.***
(IP보기클릭)222.234.***.***
(IP보기클릭)21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