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질문] 기도촉매 성인 관련 질문 [16]


profile_image_default


(5037538)
0 | 16 | 1081 | 비추력 10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16
1
 댓글


(IP보기클릭)124.59.***.***

일단 엘든 링에서 마법의 총합 데미지는 좀 복잡합니다. 마법의 데미지는 기본적으로 마법위력 보정 능력치를 많이 올려야 하는데 1. 사용하는 마법의 촉매 강화.(강화 불가능한 일부 촉매는 여기서 제외.) 마술이면 지팡이. 기도면 "성인" 으로 분류 됩니다. 강화는 직접적으로 마법위력보정치를 올려줍니다. 하지만, 여기서 함정이 있는데 마술이면 지력. 기도면 신앙 스탯을 올려야 하나. 이 스탯이 40 정도에서 좋은 촉매와 80 이상을 찍는 걸 권장할 정도로 매우 높은 고스탯일 때 효율이 좋은 촉매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무작정 스탯 보정치가 높기만 한 촉매는 무기들과 마찬가지로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없지요. 거기다 보정치가 낮은 성인들은 깡스탯 보정이나 강화에 의한 효율이 좋은 건 무기와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니 올린 스탯에 적절한 성인을 찾아 강화를 끝마치고 써보는 게 기도의 데미지를 올릴 방법이지요. 딱히 엄청 공략 정보를 살필 것도 없이 성인을 +24,+9 강화 까지만 해놓고 보셔도 됩니다. 최종 강화 재료는 귀하고 얻기 힘들지만, 그 직전까지의 강화는 룬만 벌면 강화석 재료를 결국에는 상점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니까요.(엘든 링 기준으로 합니다. 나이트리전은 다른 방식이니 해당 되지 않습니다.) 또한 촉매들 중엔 이중 스탯으로부터 보정치를 합치는 촉매들이 일부 있고. 개중에는 마술과 기도를 동시에 사용이 가능한(물론 마법 사용 자체는 한번에 하나만 시전 가능합니다. 그저 촉매를 바꾸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왑할 필요성을 낮추지요.) 촉매도 있습니다만, 해당 촉매들은 굉장히 높은 스탯을 찍어야 효율이 제대로 나오기 때문에 350레벨쯤은 생각해야 될겁니다. 80/80 부터 그 이상의 지력/신앙을 찍어야 제대로 효율이 나오니 말이죠...(단순 스탯만이 아니라 버프 효율까지 전부 따졌을 때 살짝 차이가 납니다.) 2. 사용하는 마법의 카테고리와 속성에 따른 탈리스만 장비. 두번째로 중요합니다. 마술도 기도도 해당 카테고리의 마법 공격력을 올려주는 효과를 가진 탈리스만이 2개씩은 있고 해당 탈리스만들은 % 비율로 데미지를 무조건 올라가게 해주기에 기초 데미지 배율 증가에 도움을 줍니다. 다음으로 마법의 카테고리와 별개로 속성 데미지를 올려주는 전갈 시리즈가 있습니다. 마력,불,벼락등. 눈에 뜨이는 속성 공격의 데미지를 올려주지요. 무기도 해당은 되지만, 속성 데미지 비중이 매우 높은 무기여야 효과를 보나 전갈 시리즈는 방어력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감소되기 때문에 용찬 기도 시리즈나 시전 후 딜레이가 매우 긴 주문들과는 상성이 그리 좋지가 않습니다. 데미지 자체는 속성만 맞추면 그만큼 정직하게 오르지만, 맞기 쉬워서 그냥 잊는 게 좋을 수 있습니다. 기본은 해당 방법으로 데미지를 맞추게 됩니다.
25.11.06 10:41

(IP보기클릭)124.59.***.***

뷰너맨
3. 버프&버프 그리고 디버프. 촉매의 스탯 보정과는 별개로 특정 계열의 마법위력을 강화 시켜주는 효과를 가집니다. 예를 들어 조약돌 성인이라면 도읍 고룡신앙의 기도를 강화하고 용찬의 표식 촉매는 용찬기도 계열을 강화 해주고 이건 해당 촉매들의 설명을 읽어보면 ~~ 마법을 강화한다. 라는 설명이 따로 붙어있습니다. 이 배율치도 낮게는 10% 정도지만, 15%,20% 를 올려주는 효과를 부여하기 때문에 해당 카테고리 맞춰 쓰면 좋으나 아쉽게도 마법위력치 자체가 충분하지 않아 마법위력이 높은 촉매만 들고 쓰는 것에 비해 효율이 나지 않을 것 같아 무의미한 것 같지만, 촉매도 왼손,오른손에 모두 장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저 특정 계열의 마법을 무조건 강화 시켜주는 효과는 패시브로 작용되므로 왼손에 특정계열 마법을 강화시켜주는 촉매. 오른손에 주력으로 마법을 사용할 촉매를 들면 해당 마법의 데미지 배율이 더 올라갑니다. 대신 방패 사용이 봉쇄되니 후술할 철항아리 항약병을 머금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다음 버프는 "영약" 입니다. 실질적인 데미지 배율 UP 효과의 끝판이라 할 수 있는데 영약은 1개의 휴대만 가능하며 축복에 앉았을 때,죽었을 때나 충전이 가능하다는 제약이 있는 대신. 그만큼 강화량이 높습니다. ~~ 두른 깨진 물방울 재료로 해당 속성 데미지가 20% 증가하고. 흡혈의 깨진 물방울로 다시 20%를 올리거나 FP 소모를 짧은 시간 동안 0으로 만들어주는 물방울. 혹은 다른 방어력 증가 계열 물방울로 딜레이가 긴 주문을 안전하게 쓰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캐스팅 딜레이가 그리 길지 않은 실전성이 높은 마법은 상관이 없으나 포르삭스의 뇌창같이 딜레이가 엄청 긴 주문들은 그냥 대놓고 쓰기엔 힘듭니다. 라이오넬,큰 산양 세트쯤 되는 중갑을 입고 용표식 대형 방패의 탈리스만을 장비한 다음. 이 상태에서 항약병들 중. 철항아리 항약병(조향병 제작 아이템입니다. 제한된 갯수 까지 제작 가능하고 항아리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소모와 제작을 병행합니다.) 을 머금으면 웬만한 데미지는 못 버틸 일이 없는 수준이 됩니다. 포르삭스의 뇌창같이 딜레이가 엄청나게 긴 주문을 쓰면 기동성을 살리는 것도 어려우니 차라리 움직임이 크게 느려져도 대놓고 마법을 써대는 게 훨씬 편해지는 맞딜 전법을 보완해주는 것도 마법 사용이 수월해집니다. 가급적이면 HP를 지속적으로 회복 시켜주는 기도를 미리 써주는 것이 성배병을 마시지 못해 받는 피해를 잘못 계산해서 버티지 못하는 상황을 좀 더 커버할 수 있고 아니면 촉매 패시브 버프를 포기하고 신성화의 방패와 은혜의 물방울 동시에 착용해주면 초당 HP 회복량이 적지만 소소하게 들어오는 양을 무시할 수 없으니 함께 사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말고도 온 지혜의 왕홀 전용 전투기술로 특정 내성을 낮춘다거나 벼락의 데미지를 올릴 요소로 비가 오는 날씨에 필드에서 싸운다거나 물로 가득한 장소에서 벼락계열 속성의 마법을 쓰면 그 | 25.11.06 11:08 | |

(IP보기클릭)123.212.***.***

참고로 성인을 제외한 다른 모든 조건은 ( 탈리스만 등등 ) 동일한 상태였고 데미지 테스트는 모그윈 룬 노가다 장소 에서 해봤습니다.
25.11.06 10:57

(IP보기클릭)123.212.***.***

답변 감사합니다. 단순 아이템 설명 외에도 랩 구간 에따른 변경 등등 고려 사항이 많은가 보네요. 잘 참고 하겠습니다 꾸벅
25.11.06 11:53

(IP보기클릭)211.60.***.***

아 설명 드리려고 들어왔는데 이미 뷰너맨 님이 다 설명 해 주셨네요 ㅎㅎ
25.11.06 12:07

(IP보기클릭)211.60.***.***

성인이나 지팡이 중에는 특정 기도와 마술에 보너스 강화를 해주는 것들이 존재합니다. 황금률의 기도는 황금률 성인이 황금나무는 황금나무가 용찬의 기도는 용찬의 성인이.. 이런식이에요. 거기에 황금률은 자체 보정이 신앙과 지력이 보정되니까. 지력까지 찍으셨다면 보정치가 더 높게 나올겁니다.
25.11.06 12:11

(IP보기클릭)211.60.***.***

궁금하신경우 어떤 기도를 쓰려고 하는데 어떤 세팅으로 마출까요? 이런식이면 예를 들어 들이기 좋아요.
25.11.06 12:11

(IP보기클릭)14.37.***.***

1. 기본적으로 주문의 "공격력"은 "주문위력 보정치"를 봐야합니다 2. 일부 촉매는 특정 주문의 "최종 피해량"을 올려줍니다 https://m.ruliweb.com/family/4892/board/185738/read/85590 https://www.youtube.com/watch?v=iulW43Og2d8
25.11.06 13:49

(IP보기클릭)14.37.***.***

참고로 기도위력 보정은 기본이 100 이고 추가적으로 강화수치, 촉매의 스탯 보정치(이것도 강화로 오름), 님 캐릭터의 스탯에 따라서 추가적으로 더 오릅니다 일반적으로 근력, 기량, 지력, 신앙, 신비 뭘로 올라간 보정치든 상관없이 공격력에 더해집니다 대신 인챈트, 힐(도트힐 제외)는 제한적으로 올라요 힐 : 신앙으로 오른 기도 보정치만 적용됨 인챈트 : 기본 100과 지력(신앙)으로 오른 마술(기도) 보정치만 적용됨
25.11.06 13:52

(IP보기클릭)124.59.***.***

극극심해어
문득 궁금한 게 하나 올라 댓글 남깁니다. 마법이야 보정치가 여러 겹쳐 표기 표시만큼은 웬만한 촉매들 보다 높고 그걸 그대로 작용하게 하면 지나치게 인첸트,힐의 효율이 올라가 다른 촉매의 가치가 떨어지니 제한을 둔 것은 이해할만한데 복합속성 무기에 ~~기름류도 부여가 안됩니다만,... 부여한다고 그렇게 높은 데미지가 올라가지는 않을텐데. 실 데미지가 대충 어느정도 나올까 궁금하군요. 인첸트를 한다고 해도 과연 충분히 높은 데미지가 나올까 싶습니다.(워낙 대부분의 복합속성 무기들의 속성 데미지가 그렇게 높지는 않았던 걸로 기억하고 있다보니...) 그래도 엘든 링은 무기 데미지의 배율 피해량을 전투기술로 입힐 수 있으니 일부 무기는 굉장히 고점이 높을 것 같지만, 데몬즈&다크 소울 시리즈나 블러드본까지만 해도 된다고 한들. 과연 큰 영향을 줬을까 궁금합니다. | 25.11.09 21:52 | |

(IP보기클릭)14.37.***.***

뷰너맨
엄청커요 실제로 엘든링과 방어력 공식이 똑같은 다크소울3에서 혼돈/화염 변질한 까마귀인간의 대형 단도나 유귀의 사브르에 글리치로 오닉스 블레이드의 인챈트를 바르면 상상을 초월하는 대미지가 나와요 | 25.11.09 21:53 | |

(IP보기클릭)14.37.***.***

뷰너맨
아 참고로 보통 인챈트로 바른건 모션 밸류 안따라가고 1.0배에요 쌍수 모션이면 0.6 ~ 0.8 이런식으로 낮추고요 (닼3에서도 이거때문에 쌍곡검, 쌍단검 하향시켜놨다가 엘든링에서도 똑같이 1.0 인챈트 배율 들어가게 해놓고 나중에 고친걸로 기억해요) | 25.11.09 21:58 | |

(IP보기클릭)124.59.***.***

극극심해어
아. 충분한 수치가 붙은 상태에선 확실히 데미지가 올라갔군요... 원체 송진이나 기름같이 딱 고정치만 붙다보니 그렇게 크게는 위력이 올라가지 않겠으나 인첸트가 안되는 건 그거 때문이었군요. 끙. 워낙 인첸트를 잘 하지 않았다보니 그걸 잊고 있었습니다. 이래저래 허용한다쳐도 송진,기름류 같이 딱 고정치만 오르는 소모성 아이템에 한정해 붙이는 게 고작이겠고 그나마 이 것도 레벨을 잔-뜩 올리는 캐릭터나 큰 차이가 없는 편이지 저점에선 사정이 또 달라질 수 있을테니. 끙... | 25.11.10 15:03 | |

(IP보기클릭)14.37.***.***

뷰너맨
정확히는 똑같이 벼락 120을 붙이더라도 이미 벼락 공격력이 있는 로스릭 기사의 대검이나 용을 가르는 도끼에 바르면 실제 피해량이 더 많이 오르는 겁니다 (방어력 계산 공식 때문에) 위에 언급한 오닉스 블레이드 글리치도 마찬가지 | 25.11.10 15:05 | |

(IP보기클릭)124.59.***.***

극극심해어
그러고보니 예외적으로 다크 소울 3때 용을 가르는 도끼와 로스릭 기사의 대검은 송진과 인첸트가 가능했던게 떠올랐습니다. 지금 다시 떠올리고 정보를 좀 찾아보니 왜 하지 않는 게 좋은지를 다시 느꼈네요.(...) 된다면 멋지긴 한데. 실제 벨런스를 감안하면 어지간해선 허용을 안하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 25.11.10 15:18 | |

(IP보기클릭)14.37.***.***

뷰너맨
이건 순수히 제 뇌피셜입니다만 1. 방어력 계산 공식때문에 이미 속성 공격력이 있는 무기에는 속성 공격인챈을 하지 못하게 하는게 맞다 2. 하나하나 예외 만들기 귀찮으니까 속성, 상태이상 변질한 무기 + 특수 무기들에는 인챈을 못하게 하자! 3. 로대검이랑 용가도 만들때는 그걸 까먹고 일반무기임에도 기본적으로 속성 공격력을 붙였다 4. 그래서 변질 안하거나 조제, 중후, 예리, 숙련 변질하면 인챈이 가능한 개사기 무기 탄생 5. 심지어 컨셉질한다고 중갑들에 벼락 감소율(엘든링의 경감률)을 낮게 설정해서 딜이 더더욱 미친듯이 잘나왔다 | 25.11.10 15:23 | |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엘든 링 밤의 통치자

평점
6.1
장르
액션
한글 지원
한국어지원(자막)


플랫폼
PC, PS4, XBOX ONE, PS5, XSX
가격정책
패키지구매


일정
[출시] 2025.05.30 (PC)
[출시] 2025.05.30 (PS4)
[출시] 2025.05.30 (PS5)
[출시] 2025.05.30 (XBOX ONE)
[출시] 2025.05.30 (XSX)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