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세팅 메뉴의 각 항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쓰다보니 생각보다 시간이 좀 걸렸습니다.
먼저 QUICK SETTINGS(퀵 세팅)입니다.
게임을 맨처음 실행할 때도 나오는 초기 설정 중 하나라서 무조건 한 번은 설정하지만 이후에는 별로 쓸 일이 없을 겁니다.
제일 왼쪽의 YOUR NHL EXPERIENCE 항목 중 하나를 고르면 나머지 세팅이 추천 항목으로 골라집니다. 물론 각 항목들도 고쳐 선택할 수 있습니다.
위 스크린샷에서도 경험자 세팅이지만 난이도는 올스타로 고쳐저 있는 것이 보일 겁니다.
GAME SETTINGS(게임 세팅)
이제부터 이 게임 특유의 난잡한 설정지옥이 시작됩니다.
게임 세팅이라고는 하지만 필요한 모든 설정이 갖추어져 있지는 않습니다.
GAMEPLAY PRESETS(게임플레이 프리셋)
게임플레이 프리셋이라지만 기본적으로 NHL25란 프리셋 하나만 존재합니다. 여러 설정을 입맛대로 고치면 위 스샷처럼 UNSAVED PRESET으로 바뀌고 필요하다면 저장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이름을 짓고 저장만 가능하지 이름을 바꾸거나 삭제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잘못하면 프리셋 지옥이 펼쳐집니다.
RULES(룰)
국제경기, CHL, NHL 등 약간씩 상이한 각 리그별 룰을 고를 수 있습니다.
PERIOD LENGTH(피리어드 길이)
각 피리어드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실제 시간인 20분 씩으로도 할 수 있습니다.
DIFFICULTY(난이도)
말 그대로 CPU의 강함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CAMERA(카메라)
게임 카메라를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위 스샷에는 다이나믹 하이로 설정되엉 있지만 보통 팀 경기를 할 때는 링크 좌우를 다 볼 수 있는 클래식이나 오버헤드를 많이 사용합니다.
GOALIE CAMERA(골리 카메라)
플레이어 록, 비 어 프로 커리어, 슛아웃 모드 등에서 골리를 플레이할 때 카메라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SHOOTOUT CAMERA(슛아웃 카메라)
페널티샷이나 슛아웃 상황에서의 카메라를 설정합니다.
AWAY/HOME LINE CHANGE(원정/홈팀 라인 교체)
원정/홈팀의 라인 교체를 자동이나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AWAY/HOME SHOT AIM(원정/홈팀 샷 조준)
원정/홈팀의 샷을 자동/수동으로 조절할 것인가를 선택합니다.
AUDIO & VISUAL SETTINGS(오디오/비주얼 세팅)
메뉴 이름만 봐서는 음향이나 영상 세팅으로 생각하고 지나쳐버릴 수 있지만 정작 게임 플레이에 매우 중요한 항목들이 들어가 있습니다.
AUTO ZOOM(자동 확대)
상황에 맞춰 카메라 앵글을 자동으로 조정해줄 지를 선택합니다.
CAMERA(카메라)
아까 나왔던 카메라 설정이 또 나옵니다.(...)
CAMERA PERSPECTIVE(카메라 시점)
위 스샷처럼 PREFER UP이라고 되어 있으면 우리 진형이 아래, 상대 진형이 위로 고정됩니다. 즉 공격은 항상 위를 향해 진행됩니다.
이 외에도 반대로 아래쪽으로 고정하거나 피리어드마다 방향이 바뀌게 할 수 있고, 홈팀이나 원정팀을 특정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습니다.
SKATER FATIGUE INDICATOR(스케이터 피로도 표시)
선수 인디케이터에 피로도 게이지를 표시할 것인지를 선택합니다.
PLAYER INDICATOR SIZE(플레이어 인디케이터 크기)
지난 글에서 액세서빌리티 항목에 있던 그것입니다.
OFF SCREEN PLAYER INDICATOR(오프 스크린 플레이어 인디케이터)
이 옵션은 포지션 록이나 월드 오브 챌, 비 어 프로 커리어 등 한 선수만 컨트롤할 때 플레이어가 화면 밖에 있을 때 대략적인 방향에 인디케이터를 표시해줍니다.
PRESSURE METER(압박 미터)
NHL 24부터 게임 시스템에 적용된 압박 시스템의 게이지를 표시하거나 끌 수 있습니다.
전작에서 유저들이 게이지를 끄게 해주라고 원성이 자자해서 그랬는지 이번작에서 끌 수 있게 해줬습니다. 단순히 게이지 표시만 끄는 거라서 압박 시스템 자체를 없앨 수는 없습니다.
SKILL BASED ONE-TIMER VISUALIZATION(스킬 베이스 원타이머 표시)
이번작부터 적용된 타이밍에 맞춘 원타이머 샷의 타이밍을 표시해주는 옵션입니다.
타이밍이 맞을 때는 선수 발 밑에 연두색 원이 표시되고 어긋났을 때는 붉은색 원이 표시됩니다.
이것도 단순히 표시만 끄는 거라서 본 기능 자체를 없애진 못합니다. 다만 타이밍이 맞았다고 다 골이 되는 것도 아니고 맞지 않았다고 골이 안들어가는 것도 아니니 너무 연연할 필요는 없습니다.
ICON PASSING(아이콘 패싱)
컨트롤러 레이아웃을 토탈 컨트롤이나 스킬 스틱으로 했을 때 오른쪽 트리거를 누르고 있으면 동료 선수들 머리 위로 버튼 아이콘이 나타나고 해당 버튼을 눌러 그 선수에게 패스를 할 수 있습니다.
FACEOFF LIGHTSHOW(페이스오프 라이트쇼)
페이스오프를 할 때 조명쇼를 켜거나 끌 수 있습니다.
댈러스 스타스나 에드먼턴 오일러스 같은 몇몇 팀들의 라이트쇼가 너무 현란해 눈뽕이 심해서 게임에 지장이 있을 정도라 전작부터 유저들이 제발 조정 좀 해주라고 난리였는데 이번작에 옵션이 생겨서 필요하면 끌 수 있습니다.
GOALIE ANTICIPATION INDICATOR(골리 예측 인디케이터)
골리로 플레이할 때 상대방의 접근방향이나 샷 등을 경고해주는 기능을 켜고 끕니다.
PLAYER NAME INDICATOR(선수 이름 인디케이터)
저번에 소개했듯 선수 이름을 표시하거나 끄는 옵션입니다.
TOGGLE INDICATOR SHIFT LENGTH(시프트 시간 표시)
플레이어 록, 월드 오브 첼, 비 어 프로 커리어 등의 모드에서 링크에 나와 있는 선수의 시프트 시간을 표시하거나 끕니다.
X-FACTOR ABILITY VISUALS(X-팩터 어빌리티 표시)
X-팩터 어빌리티를 지닌 선수의 발 밑에 해당 능력의 아이콘을 표시해주거나 끌 수 있습니다.
TOGGLE POST-GOAL FLOW PLAYER OVERLAY(포스트 골 플레이어 오버레이 토글)
골이 난 후 삐까삐까한 모션그래픽으로 해당 선수를 표시해주는 기능을 켜거나 끕니다.
FIGHTING INSTRUCTIONS(싸움 안내)
싸움이 났을 때 조작키를 안내해줍니다.
일단 조금 더 설명을 하자면 오른쪽 스틱을 위로 하면 스트레이트, 아레로 하면 어퍼컷이 나갑니다.
오른쪽 트리거를 누르면 회피, 왼쪽 트리거는 잡기입니다. 왼쪽 스틱은 상대랑 거리를 두고 있을 때는 해당 방향으로 이동, 서로 멱살을 잡고 붙어있는 상태에서는 상대 선수를 해당 방향으로 밀어붙입니다.
GOALIE CAMERA(골리 카메라)
이전에 나왔던 골리 플레이시 카메라 설정입니다.
DEFENSIVE POSITIONING(수비 포지션 안내)
플레이어 록이나 비 어 프로 커리어 플레이 시 수비 지역에서 조작하고 있는 선수의 커버 지역과 마크할 방향을 표시해주는 기능을 켜거나 끕니다.
OFFENSIVE POSITIONING(공격 포지션 안내)
플레이어 록이나 비 어 프로 커리어 플레이 시 공격 지역에서 조작하고 있는 선수의 커버 지역과 움직여야 할 위치를 표시해주는 기능을 켜거나 끕니다.
POSITIONAL INDICATOR(포지션 안내)
플레이어 록이나 비 어 프로 커리어 플레이 시 조작 선수가 포지션을 벗어나 있을 때 화살표로 이동 방향을 표시해줍니다.
PUCK HIGHLIGHT(퍽 하이라이트)
지난 글에 소개한 것과 동일합니다.
PUCK SIZE(퍽 크기)
지난 글에 소개한 것과 동일합니다.
SCORE CLOCK OVERLAY(점수판 오버레이)
득점 상황, 시간 표시를 켜거나 끕니다.
SHOOTOUT CAMERA(슛아웃 카메라)
지난 글에 소개한 것과 동일합니다.
VOLUME SETTINGS(음량 설정)
이쪽은 다른 게임들에서도 볼 수 있는 평범한 오디오 설정이니 넘어가겠습니다.
BROADCAST SETTINGS(중계 설정)
해설진의 코멘터리를 설정합니다.
위 스샷처럼 플레이 바이 플레이로 해놓을 경우 계속 코멘터리가 나오며, 완전히 끄거나 골이 났을 때만 나오게 할 수 있습니다.
ON-ICE TRAINER(온-아이스 트레이너)
온-아이스 트레이너는 게임 플레이 시 도움이 되는 각종 가이드나 정보를 표시해주는 기능입니다.
항목 별로 켜고 끌 수 있으니 자기에 적합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CONTROL HINTS(조작 힌트)
선수의 머리 위에 지금 상황에서 도움이 되는 조작키를 표시해줍니다.
FEEDBACK HINTS(피드백 힌트)
내가 한 플레이에 따라 칭찬이나 질책이 표시됩니다.
SHOT AIM TARGETING(샷 조준 표시)
상대팀 골대의 어느 부분을 조준하고 있는지 타겟 마크가 표시됩니다.
GOALIE COVERAGE GRID(골리 커버지역 표시)
상대팀 골리가 골대를 커버하는 정도를 격자로 표시해줍니다.
SHOT LANE(샷 레인)
현재 위치와 조준에서 샷이 방해받는 정도를 표시해줍니다.
PASS AIM TARGETING(패스 조준 표시)
패스의 방향과 시선을 표시해줍니다.
PASS SUGGESTIONS(패스 제안)
위의 패스 조준과는 별개로 열려있는 선수 쪽을 푸른색 점선으로 표시해줍니다.
OFFSIDE WARNING(오프사이드 경고)
우리 팀 선수가 퍽보다 먼저 상대 진형에 진입해 있는 등 오프사이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일 때 상대 진형에 붉은 빗금을 채워서 경고를 표시합니다.
DEFENSIVE POSITIONING(수비 포지션 안내)
이전에 설명한 것과 동일합니다.
OEFENSIVE POSITIONING(공격 포지션 안내)
이전에 설명한 것과 동일합니다.
CONTROLS
CONTROLLER SETTINGS
조작에 대해 설정할 수 있는 항목들이 모여 있습니다. 나머지 탭들은 컨틀롤러 레이아웃을 보여주고 공격이나 수비 시의 각종 조작법을 표시해주는 페이지들입니다.
CONTROLS
컨트롤러의 레이아웃을 토탈 컨트롤, 스킬 스틱, 하이브리드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들이 버튼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어 하이브리드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시리즈가 거듭되면서 정교한 조작이 필요하게 되어서 조작에 한계가 있는 하이브리드 세팅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전작부터 나온 토탈 컨트롤은 특히 이번작 부터는 더욱 다듬어져 기존 스킬 스틱과도 거의 차이가 없고 오히려 더 편한점들이 많아져서 토탈 컨트롤로 넘어가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AUTO BACK-SKATE(오토 백스케이트)
수비시 왼쪽 트리거를 누르지 않아도 조작 선수가 자동으로 백스케이팅을 하는 기능입니다.
얼핏 보면 좋은 기능인 것 같지만 항상 백스케이팅으로 움직이게 되면 속도나 방향전환에 굉장히 불리해서 오히려 수비가 더 힘들어질 때가 많아지니 끄는 것을 추천합니다.
SHOOTING CONTROLS
토탈 컨트롤이나 스킬 스틱 레이아웃으로 슈팅을 할 때 스틱을 조작하는 방향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위 스샷처럼 CAMERA RELATIVE로 되어 있다면 공격 방향에 따라 조작이 바뀝니다.
즉 아래에서 위로 공격한다면 오른쪽 스틱을 위로 올리면 샷이 나가고 진형이 바뀌어서 위에서 아래로 공격한다면 스틱을 아래로 내려야 합니다. 그리고 브로드캐스트 등 축구 게임처럼 좌우로 공격이 진행된다면 거기에 맞춰 스틱을 조작하게 됩니다.
ALWAYS UP으로 선택하면 공격 방향에 관계없이 오른쪽 스틱을 위로 올리면 샷이 나갑니다.
VIBARTION
컨트롤러 진동입니다. 좋은 것이죠~
ONLINE PASS ASSISTANCE PERSENTAGE(온라인 패스 보조)
온라인 게임시 패스를 보정하는 정도를 설정합니다.
이 게임은 패스를 의도대로 하기가 꽤 힘들어서 렉까지 있는 온라인에서는 정말 엉뚱한 방향으로 패스가 나갈 때가 많아서 보통 유저들은 95~100으로 세팅하는 편입니다.
GOALIE CONTROLS
골리를 컨트롤할 때 일부 키의 위치를 바꿉니다.
HUMAN GOALIE COVERS(유저 골리 커버)
골리 플레이시 퍽을 덮는 동작을 자동/수동으로 설정합니다.
HUG POST(골포스트에 기대기)
골리 풀레이시 코너를 방어할 때 골포스트를 껴안는 동작을 자동/수동으로 설정합니다.
THTHER(테더)
골리 플레이시 이동범위를 한계짓거나 끌 수 있습니다.
켜져 있으면 아무리 스틱을 움직여도 골포스트 근처로 움직임이 제한되고 끄면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RULES(룰)
하키룰을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룰 자체에 대해서는 제가 전에 써놓은 하키 규칙에 대한 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RULES
NHL, INTERNATIONAL, CHL, OFF 등에서 고를 수 있습니다. 선택에 따라 아래의 FINGHTING에서부터 TRAPEZOID RULE 까지의 항목이 자동으로 바뀌고 여기에 없는 규칙들도 바뀝니다.
예를 들어 싸움을 할 경우 NHL 세팅에서는 5분 메이저 페널티를 받지만 CHL과 INTERNATIONAL 세팅에서는 게임 미스컨덕트로 바로 퇴장이 되는 식입니다.
FIGHTING
0으로 세팅하면 싸움이 일어나지 않고 2일 때는 조금만 강한 바디체킹이 나와도 싸움이 벌어집니다.
ICING
아이싱을 켜거나 끌 수 있습니다.
INJURIES
선수의 부상을 켜거나 끌 수 있습니다.
OFFSIDES
오프사이드를 켜거나 끌 수 있습니다.
PENALTIES
반칙이 선언되는 정도를 설정합니다. 0에서는 아이싱, 오프사이드를 제외한 모든 반칙이 선언되지 않는 무법지대이고 4에서는 굉장히 엄격하게 선언됩니다.
TIE BREAK
정규 피리어드가 무승부로 끝났을 때 연장전이나 슛아웃에 대해 설정할 수 있습니다.
TRAPEZOID RULE
골리의 트랩조이드 룰을 켜거나 끌 수 있습니다.
PENALTY TIME SCALINGS
파워플레이/페널티킬의 시간을 조정합니다.
세팅이 6일 때는 피리어드 길이 설정과 무관하게 파워플레이/페널티킬 시간은 해당 페널티의 실제 시간으로 진행됩니다. 즉 게임을 피리어드 당 3분으로 설정했더라도 반칙으로 파워플레이/페널티킬이 진행되면 해당 시간만큼은 실제 시간으로 2분이나 5분 등으로 진행됩니다.
0일 때는 파워플레이/페널티킬도 피리어드 길이 설정에서 맞춘 시간 안에서 진행됩니다.
POST WHISTLE RULES
심판이 휘슬을 불어 플레이 데드가 된 상황에서도 의도하던 의도치 않았던 무시하고 플레이를 하다 반칙이 선언되는 빈도를 설정합니다.
CONCIDENTAL PENALTY TIME SCALINGS
양 진형에 동시에 반칙이 선언되어 4대 4나 3대 3 등 같은 숫자로 플레이가 진행될 때 시간을 조정합니다.
위의 페널티 타임 스케일링과 설정은 같습니다만 어차피 누구에게 유불리가 없어서 0으로 선택해놓는 것이 기본입니다.
일단 살펴볼 세팅은 이 정도입니다. 슬라이더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은 별 거 없으니 무시하셔도 됩니다.
그럼 다음 글에서 게임플레이 슬라이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P보기클릭)58.29.***.***
(IP보기클릭)211.117.***.***
기본적으로 이 게임은 CPU의 능력치에 훨씬 버프를 줍니다. 난이도가 올라갈 수록 CPU가 더 전술적으로 뛰어나게 움직여 잘하는 게 아니라 그냥 움직임, 패스, 바디체킹 등 전방위적인 능력치가 유저나 동료 AI보다 높게 적용됩니다. 제가 다음에 올릴 게임플레이 슬라이더의 항목들을 조금씩 만저가며 입맛에 맞는 세팅을 찾을 수도 있겠지만 우선은 슬라이더 세팅 중 위 스샷의 AI항목의 AI LEARNING과 CPU DIFFICULTY ADJUSTMENT를 낮추는 것이 도움이 될 겁니다. | 25.01.14 12:52 | |
(IP보기클릭)211.117.***.***
https://youtu.be/fvXC-C_fY6E 참고로 위 동영상은 AI LEARNING만 0으로 놓은 올스타 난이도의 게임인데 동료 AI들도 굉장히 효과적으로 움직여줍니다. | 25.01.14 12:54 | |
(IP보기클릭)58.29.***.***
Orbiter 감사합니다 cpu difficulty adjustment가 6이었는데 5로 한단계 내렸는데 상대ai가 순해졌습니다 그위에 러닝부분도 어떤의미인지 무슨효과인지도..다음 글에서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 25.01.14 16:33 | |
(IP보기클릭)219.249.***.***
적절한 조치가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AI 러닝은 CPU가 내 버릇을 분석해 대처하는 건데 이게 말이 좋아 대처고 실제로 보면 내 조작키 입력을 읽고 반응하는 겁니다. 마치 소울류 게임에서 보스들이 에스트 캐치를 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난이도가 올라갈 수록 저 슬라이더 수치가 높으면 반응속도가 미쳐서 저 반대편에 있다해도 날아오다시피 해서 바디 체킹을 날리고 샷을 날림과 동시에 번개처럼 블록을 하는 등 로봇같다고 할까 반응이 너무 부자연스러워집니다. | 25.01.14 17:39 | |
(IP보기클릭)106.102.***.***
👍👍👍정말 감사합니다ㅠㅠ 그런뜻이었군요 처음 알았습니다. 내 패턴을 알고 나에게 맞춰준다? 그정도로 ai가 뛰어난가?라고만 생각했거든요. 행동들이 내 버튼과 동시에 움직여서 기계같다고 투덜댔었는데 그게느 에스트 캐치란 거군요 큰 도움 되었어요~ 오래전부터있었던 슬라이더였는데 이제야 이해되었네요 중간정도에 놓고하면 좀 실제 같을수있겠네요 감사합니다!!! | 25.01.14 18:37 | |
(IP보기클릭)5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