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기타] 미국 청년 비디오 게임 지출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74]


profile_image


(5873747)
32 | 74 | 32269 | 비추력 869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74
1
 댓글


(IP보기클릭)222.99.***.***

BEST
아니 진지하게 GTA라도 50만이면 안살꺼 같은데요.
25.07.06 00:57

(IP보기클릭)218.156.***.***

BEST
가격이 비싸지니 입문하기 어려워지는 추세
25.07.06 00:31

(IP보기클릭)211.234.***.***

BEST
이딴 소리하면서 아래 댓글은 정상인척 컨셉인가??
25.07.06 01:04

(IP보기클릭)115.23.***.***

BEST
통계보니까 기성세대는 지출량이 늘어난게 많은데 18-24는 돈이 점점 궁해지니 모든 분야에서 지출량이 줄어드네 청년 피빨아먹는건 어느나라나 그렇구만
25.07.06 01:00

(IP보기클릭)45.88.***.***

BEST
"젊은이들이 게임에 돈을 안쓴다"가 아님 "젊은이들이 돈이 없다"가 맞음 저런 헤드라인들은 요즘 보면 눈가리고 아웅거리는것 같아서 역겨움.
25.07.06 01:56

(IP보기클릭)218.156.***.***

BEST
가격이 비싸지니 입문하기 어려워지는 추세
25.07.06 00:31

(IP보기클릭)39.118.***.***

???: GTA6 50만원해도 산다!
25.07.06 00:41

(IP보기클릭)27.1.***.***

과장을잘해서 문과장
진지하게 말하면 GTA는 50만원해도 살거임ㅇㅇ 대신에 원기옥 모으듯이 GTA산다고 돈모으니 다른 게임이 안팔리겠지 | 25.07.06 00:53 | | |

(IP보기클릭)222.99.***.***

BEST
seele01
아니 진지하게 GTA라도 50만이면 안살꺼 같은데요. | 25.07.06 00:57 | | |

(IP보기클릭)211.234.***.***

BEST
seele01
이딴 소리하면서 아래 댓글은 정상인척 컨셉인가?? | 25.07.06 01:04 | | |

(IP보기클릭)175.207.***.***

seele01
냉정하게 50만원이면 흥행못하지 몇천만장이상 파는 흥행제작사가 미치지않고서 그가격에 내겠음? | 25.07.06 01:44 | | |

(IP보기클릭)74.12.***.***

seele01
난 안사. | 25.07.06 02:45 | | |

(IP보기클릭)24.150.***.***

인픽션
어디까지 알아보셨어요? 30만원은 괜찮을까요? | 25.07.06 03:45 | | |

(IP보기클릭)220.117.***.***

seele01
8만원만 넘어가도 다른 게임하다가 세일때 사야지 이 생각하는데 뭐 50만원이면 세일해도 안살듯 | 25.07.06 04:37 | | |

(IP보기클릭)121.152.***.***

과장을잘해서 문과장
마지노선은 10임... 아무리 명작이라고 해도 그 이상의 정가는 안 사고 말지. | 25.07.06 08:35 | | |

(IP보기클릭)116.40.***.***

seele01
전 진지하게 말해서, GTA 시리즈가 취향이 아니라서, GTA6 나와도, 공짜로 준다해도 안함. | 25.07.06 09:07 | | |

(IP보기클릭)125.130.***.***

과장을잘해서 문과장
스위치2도 비싸다고 안 사는 사람들이 많은데 게임 하나에 그 가격? | 25.07.06 11:33 | | |

(IP보기클릭)175.121.***.***

곰빠더
저두 | 25.07.06 13:31 | | |

삭제된 댓글입니다.

(IP보기클릭)14.58.***.***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구름따라흘러가며
미국은 버는 돈도 많이 올랐어요 50k가 미국 급여 노동자들의 최소 연봉이라고 여겨지는 시대임. | 25.07.06 09:19 | | |

(IP보기클릭)118.235.***.***

루티아미
그만큼 생활하는데 쓰는 돈도 많이 나가죠 | 25.07.06 11:07 | | |

(IP보기클릭)222.101.***.***

Corn Chip
그건 맞는데 가계의 어려움을 종래의 취미에서 메꿔야 하는 정도인가 하는 것. | 25.07.06 12:30 | | |

(IP보기클릭)14.58.***.***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구름따라흘러가며
한국돈으로 7천만원 조금 안 되는 돈이죠 | 25.07.06 09:19 | | |

(IP보기클릭)210.95.***.***

영화관 티켓값 상승같은거 아닐까 싶기도하네요. 소비자가 생각하는 마지노선이 있는거죠
25.07.06 00:53

(IP보기클릭)98.237.***.***

근육멋지면칭찬박음
영화는 OTT시장에 밀린게 더 커서 1대1 비교가 힘들죠. 넷플릭스는 가격 올려도 나날이 최고가 갱신 중임. | 25.07.06 01:42 | | |

(IP보기클릭)106.101.***.***

LuxDS
ott있어도 좋아하는 영화 두세번씩 보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여가 생활로 영화관 일부러 찾아가는 사람도 제법 있었고요 이제 표값이 비싸니 그러질 못하는거지 | 25.07.06 07:55 | | |

(IP보기클릭)27.1.***.***

이미 게임판 영화판하고 비슷하게 돌아가고 있음 하나하나 가격이 올라가니 들이는 돈만큼 좋은, 확실한 하나의 게임을 사고자하는 심리가 강해짐 게임 발매 초기에 커뮤니티에 악평 올라오고 스팀평가 ㅈ박고 동접자 ㅈ박으면 아무리 AAA게임이라도 사람들이 안삼 오죽하면 유비가 스팀 동접자 가려버리자는 소리까지 했을까 사실 고정팬이 있는 시리즈물이면 그나마 좀 사정이 나은데 완전 신작들은 진짜 요즘 환경 너무 힘들 듯
25.07.06 00:59

(IP보기클릭)118.34.***.***

seele01
유비 참 졸렬하네 | 25.07.06 04:19 | | |

(IP보기클릭)115.23.***.***

BEST
통계보니까 기성세대는 지출량이 늘어난게 많은데 18-24는 돈이 점점 궁해지니 모든 분야에서 지출량이 줄어드네 청년 피빨아먹는건 어느나라나 그렇구만
25.07.06 01:00

(IP보기클릭)121.132.***.***

내 경우는 용량 부담 없다면 그나마 좀 사겠는데 2테라 SSD의 한정 된 공간에 게임 하나당 이제 100기가 넘고 2~3백기가 가까이 되는 게임들도 적지 않아서 진짜 꼭 할 것만 사는 걸로 바뀌었음
25.07.06 01:01

(IP보기클릭)106.101.***.***

게임 싸다 술 한잔 마시면 게임값보다 훨씬 비싸다 이러는 루리웹 아저씨들 많은데 세계적으로 젊은 사람들 돈 못버니 술도 안마시고 소비도 줄임 게임도 비쌈 옛날 게임값 들고오는데 지금 물가로도 비쌈 지금 여가 취미 생활은 ott말고는 다 비쌈
25.07.06 01:07

(IP보기클릭)125.133.***.***

게임기 가격을 더 올리는 수 밖에 없겠네요
25.07.06 01:07

(IP보기클릭)203.243.***.***

저 나잇대에 되려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면 그거야말로 문제인데 게임업계의 생각은 다르겠다만 어쨌거나 감소세인게 오히려 청신호 아닌가
25.07.06 01:12

(IP보기클릭)121.174.***.***

과도한 PC 영향은 없을거 같나? 못생긴년놈들이 나와서 이상한 사상이 올바른거라고 가르치려드는 게임 천지인데.
25.07.06 01:16

(IP보기클릭)211.234.***.***

아재들이 그만큼의 양을 상쇄시켜주네 로블록스보단 아직 싱글게임이 살아남을지도
25.07.06 01:16

(IP보기클릭)211.234.***.***

루리웹-6308473106
디시 로블록스 갤러리에 그냥 아바타 전시 한 거 보면서 맘에 들면 유저가 아바타 구매 할 수 있는 양산형겜 만든 유저가 있었는데 알고리즘 타면서 그 사람 천만원 벌었음 로블록스는 그냥 상대가 안 됨.. | 25.07.06 01:34 | | |
파워링크 광고

(IP보기클릭)211.234.***.***

욕먹으려고만든계정
아 물론 로벅스를 단순 환산한 금액임 실수익은 좀 적을듯 | 25.07.06 01:36 | | |

(IP보기클릭)39.116.***.***

욕먹으려고만든계정
1. 미취업자가 아닌 이상 천만원은 그리 큰돈이 아니다 2. 게임으로 돈을 버는건 자랑할 일이 아니다(ex 블랙세이버좌) | 25.07.06 08:41 | | |

(IP보기클릭)111.171.***.***

그냥 요즘 젊은 미국청년들이 게임에 돈을 안쓰는거 아닌가? 옛날처럼 취미로 게임만 할 것도 아니고..
25.07.06 01:20

(IP보기클릭)218.48.***.***

Border🚦Down™
1년만에 25%가 빠진걸 요즘 청년들이 돈을 안쓴다곤 말하지 않지 ㅋㅋㅋㅋㅋ 누가 봐도 요인이 있다는건데 | 25.07.06 15:03 | | |

(IP보기클릭)98.237.***.***

전체적으로 다 줄어든 거 보면 제일 취미의 영역인 게임부터 줄일 정도로 소비력이 줄었단 말인데 너도 나도 깨어나서 투자한다고 돈을 안 쓰는게 아닌 이상 생활고에 시달리는 친구들이 많다는 얘기일 듯
25.07.06 01:32

(IP보기클릭)211.229.***.***

콘솔 팔아주는건 4050이 젤 많을텐데 매번 검열이나 하면서 수정하고 삭제하는 이유를 모르겠음
25.07.06 01:43

(IP보기클릭)162.210.***.***

포트나이트와 로블록스 같은 라이브겜시대에 , 싱글겜들이 가격도 점점올랐으니 페이션트게이머도 많이 늘어나고
25.07.06 01:45

(IP보기클릭)223.38.***.***

왠지 저기도 폰겜 가챠겜으로 옮겨갔을거 같은데
25.07.06 01:53

(IP보기클릭)182.209.***.***

멍청한루리Ai
이분 가챠겜 원하는거 하나 뽑는 비용이 플스5프로인걸 모르시나 보네 | 25.07.06 08:33 | | |

(IP보기클릭)45.88.***.***

BEST
"젊은이들이 게임에 돈을 안쓴다"가 아님 "젊은이들이 돈이 없다"가 맞음 저런 헤드라인들은 요즘 보면 눈가리고 아웅거리는것 같아서 역겨움.
25.07.06 01:56

(IP보기클릭)211.228.***.***

저 나이때 마지노선은 6.9야..
25.07.06 02:00

(IP보기클릭)115.138.***.***

당장 게임기 가격이 이번 세대에 팍 오른
25.07.06 02:48

(IP보기클릭)219.241.***.***

가격 부담땜에 그렇치 모..
25.07.06 03:16

(IP보기클릭)14.4.***.***

뭐 궁극적으로 보면 가격부담이랑 스마트폰이 파이 잡아먹는거긴 하지.
25.07.06 04:04

(IP보기클릭)27.117.***.***

몇년 기다렷다 풀프라이 3만에 dl 맛들어서 뭐....
25.07.06 04:26

(IP보기클릭)115.40.***.***

그 이상 연령층도 줄어들게 될거야 점점
25.07.06 05:17

(IP보기클릭)1.252.***.***

게임 가격이 8만원이면 청소년들한테 부담이죠. 부모님 한테 용돈 받아서 구입 하는건데 거기다 게임기 가격이 100만원 넘어가는 시점임..
25.07.06 06:21

(IP보기클릭)39.7.***.***

힘들면 취미부터 버리는게 맞지 굳이 게임 안해도 상관없으니
25.07.06 06:34

(IP보기클릭)121.178.***.***

pc는 진작에 패키지게임의 중고시장이 사라짐 콘솔도 비슷하게 예전만큼 실물패키지는 찍어내지않음 카피당 가격은 올라가고 주머니가 얇다못해 용돈받아쓰는 저세대는 다른취미로 넘어감
25.07.06 07:22

(IP보기클릭)172.56.***.***

게임만이 아니라 다른 모든 게 오른 것에 대한 반등이지 뭐. 애초에 10대들 사이에선 롤, 포트나이트 같은 게임이 무료라서 흥했던 거고... 그만큼 여유가 없이 빡빡하다는 거.
25.07.06 08:05

(IP보기클릭)125.185.***.***

레고나 디즈니도 젊고 어린사람 보다는 나이좀 있고 여유가 있는 사람 쪽으로 넘어가는 실정이라던데 그거랑 다른가???
25.07.06 08:24

(IP보기클릭)59.14.***.***

애들은 콘솔 자체를 안하니 뭐..
25.07.06 08:40

(IP보기클릭)180.83.***.***

코로나때에 지나치게 부풀려진 것이 정상으로 돌아온 거라고 생각됨
25.07.06 08:44

(IP보기클릭)175.195.***.***

세계적으로 대공황이 오고있는데 이렇게되면 뭐다??? 돈 돌게하려고 전쟁함
25.07.06 09:04

(IP보기클릭)118.235.***.***

우리 조카도 스위치 하나 사준다 했더니 관심도 없더만 걍 돈으로 달라고 함 ㅋ
25.07.06 09:24

(IP보기클릭)39.112.***.***

넘ㅂ싸 플스1시절로 돌아가고싶다
25.07.06 09:41

(IP보기클릭)125.128.***.***

루리웹-6880504205
난 SFC, 플스1때가 진짜 최고 비쌌다고 기억되는 시절인데… 돈없는 학생시절이었어서… | 25.07.06 11:00 | | |

(IP보기클릭)222.109.***.***

확실히 요새 느껴지는게, 게임업계의 주도권이 서양쪽에서 동양쪽으로 이동하는 느낌
25.07.06 09:49

(IP보기클릭)175.211.***.***

화제성은 sns 통해 젊은층 중심으로 되는데 큰 지출은 중장년이 하는
25.07.06 09:52

(IP보기클릭)180.80.***.***

당연히 안 사지. 이렇게 되면 좀 있다가 복돌이 등장함. 다시 기기 판매는 올라감. 소프트 웨어는 안 올라감. 그동안 게임 씨디 가격은 얼마 안 올랐다고 징징대면서 가격 올렸지만 가격인상 결과는 살 사람만 삼. 게임 업계 제일 침체기가 2000년쯤이었나? 그 때로 돌아갈 것 같음. 그 때도 일단 할만한 게임들이 없었음. 할만하면 오류뜨고, 작동안되고 난리 났었음. 그리고 정품씨디는 가격 인상이 있었나? 아니면 우리나라에서만 그전 보다 더 비싸게 팔았나? 하여튼 그랬음. 그 때 게임 가게들 전국적으로 80%이상 전부 문 닫음. 온라인으로만 거래하고 암흑기였음. 국전이 생기면서 다시 조금씩 활성화됐지. 그 때 살 게임도 많이 없고, 할 게임도 많이 없고, 최소에 2주에 한 번씩은 겜 가게 들렀던 나도 몇 달 간 아예 방문을 안 했음. 몇 달 뒤에 다시 가보니 그 가게 중국집으로 바뀌어있더라. 비디오 가게 사장님이 업종 전환했다면서 반갑게 맞아주던데 뭔가 짠 했음. 다른 가게 가 보니 그 가게도 신발 매장으로 변했음. 사장님께 인사하니 몇 달 동안 정품, 복돌이 뭐든 안 팔려서 도저히 버틸 수가 없다고 하면서 업종 전환함. 부산에 있든 가게들도 멸종해버렸고, 순천쪽에도 가게들 많았었는데 거기도 전부 업종 전환함. 대 암흑기였는데 다시 이 암흑기의 시기가 도래할 듯 함. 심상치 않음.
25.07.06 09:54
파워링크 광고

(IP보기클릭)211.177.***.***

빨리 직원들 개같이 굴리고 크런치 돌려서 발매기간 딱딱 맞추고 버그없이 완벽한 메타 90점 이상 게임을 찍어내란 말이다!!! 최적화랑 현지화는 기본인거 알지? 그리고 게임가격도 유지해ㅎㅎ 올리면 안사~
25.07.06 10:33

(IP보기클릭)140.248.***.***

걍 말장난이지. 뭐 옛날 아이들은 생활비 넉넉헤서 게임샀나
25.07.06 10:45

(IP보기클릭)122.32.***.***

비디오 게임 지출은 힘들고 원신같은 오덕게임 지출 500달러씩은 안 아깝쥬
25.07.06 10:47

(IP보기클릭)121.163.***.***

지금의 10대20대들이 예전에비해 게임에 별관심없는건 전 세계적인 추세라... 다른세대에 비해 돈이없는 세대인데 가격이 훨씬 더 저렴한 OTT와 SNS로 무한도파민을 채울수있는 시대.. 게임의 필요성을 못느끼는건 당연하지. 반대로 말하면 요즘 그래픽만 좋고 게임성이 떨어지는 작품들은 공짜 인스타나 유투브만도 못하다는 이야기임
25.07.06 10:49

(IP보기클릭)211.234.***.***

아오 트럼프 때매
25.07.06 10:54

(IP보기클릭)125.128.***.***

그냥 그 나이대에 재미있게 즐길거리가 다양하고 많아져서 소비종류는 다양해졌지만 각각의 소비금액은 1/N으로 쪼개진거임… 옛날에야 진짜 할게 게임, 만화책 뭐 이런거 밖에 더 있었나… 영화관도 당시 기억으로 막 마음대로 여러개 다 볼만큼 싸지도 않았음.
25.07.06 11:04

(IP보기클릭)59.6.***.***

게임 가격이 비싼게 문제가 아니라 그냥 청년층 소득이 줄어든게 문제. 이미 서구권에서 더이상 청년들이 자본 축적 못한다는 말 몇년전부터 계속 나옴.
25.07.06 11:18

(IP보기클릭)211.214.***.***

개인적으로 요즘 게임 구매 건수가 확실시 줄었음. 친구들도 비슷하고. 사놓고 안했던거나 오랫동안 즐길거 하나를 하다보니 애써 비싼 최신작 살 이유가 없어짐.
25.07.06 11:20

(IP보기클릭)115.40.***.***

게임의 가장 큰 경쟁자는 비게임아닌가 시스템이 너무 복잡해져서 배우고 익힐 시간에 다른 편한걸 찾겠지
25.07.06 11:31

(IP보기클릭)14.37.***.***

게임말고도 플랫폼들도 다양해져서 파이가 나누어진것도 영향이 크지...
25.07.06 11:37

(IP보기클릭)218.153.***.***

게임 보다 ott, sns로 시간을 더 보내니까.
25.07.06 12:14

(IP보기클릭)182.222.***.***

최적화, 과도한 PC주의, 현실이 살기 팍팍함.
25.07.06 12:45

(IP보기클릭)220.65.***.***

30년 전 파판6 SFC판이 1만엔 근처였음. 미국 게임들도 디아블로 1때는 49~59달러 수준임. 어떻게보면 그 동안 부분유료화나 스킨판매, 다양한 게임아이템 등으로 비용 분산시켜서 게임 가격 인상을 다른 방향으로 틀어서 눈이 보이게 인상 시키지는 않았음. 그런데 이런 것도 이제 옛말인 듯
25.07.06 13:24

(IP보기클릭)61.254.***.***

비디오게임 말고도 도파민 공급처가 많아진 것도 이유일 듯
25.07.06 15:32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348118 공지 메타크리틱 점수 게시는 한 페이지 당 하나로 제한합니다. (60) sickarl 57 1044833 2014.03.25
234281 공지 글을 작성하기전에 반드시 확인해주십시오. (33) 루리 55 1063950 2009.07.28
2336382 PS5소프트 뒤돌아 보지마 4 2801 2025.07.09
2336380 PS5소프트 이토 시즈카 10 7263 2025.07.09
2336378 PS5소프트 이토 시즈카 10 2374 2025.07.09
2336377 PS5소프트 이토 시즈카 15 5700 2025.07.09
2336376 PS5소프트 이토 시즈카 6 1111 2025.07.09
2336374 PS5소프트 이토 시즈카 8 3974 2025.07.09
2336370 PS5소프트 만년동안 8 9731 2025.07.09
2336362 제작사 루리웹-0498902825 51 41026 2025.07.09
2336361 PS5소프트 누룽누룽 17 16916 2025.07.09
2336360 PS5소프트 nokcha 46 44714 2025.07.09
2336359 PS5소프트 nokcha 8 6174 2025.07.09
2336356 PS5소프트 이토 시즈카 27 22209 2025.07.08
2336355 PS5소프트 roness 5 2976 2025.07.08
2336354 PS4소프트 Trust No.1 2 1998 2025.07.08
2336351 PS5소프트 에루디토 11 14952 2025.07.08
2336350 기타 만년동안 26 25168 2025.07.08
2336349 PS5소프트 에메랄드마운틴 12 6431 2025.07.08
2336346 PS5소프트 댄임 14 20870 2025.07.08
2336343 PS5소프트 nokcha 3 5645 2025.07.08
2336341 PS5소프트 이토 시즈카 12 5521 2025.07.08
2336338 PS5소프트 roness 6 3866 2025.07.08
2336337 PS5소프트 에루디토 26 22334 2025.07.08
2336334 인터뷰 BurnCrow 11 13211 2025.07.08
2336331 PS5소프트 nokcha 5 3657 2025.07.08
2336330 PS5소프트 로메오카이 6 2603 2025.07.08
2336329 PS5소프트 이토 시즈카 8 4299 2025.07.08
2336327 PS5소프트 이토 시즈카 3 2323 2025.07.08
2336326 PS5소프트 nokcha 10 6878 2025.07.08
글쓰기 219840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