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제작사] 세가 게임기 투쟁사 한국어판 국내 출간 [47]


profile_image


(148186)
20 | 47 | 11286 | 비추력 9880
프로필 열기/닫기
마지막 수정 시간: 25.07.01 18:28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47
1
 댓글


(IP보기클릭)23.106.***.***

BEST
세가가 콘솔사업에서 결국 밀려난 이유라고 생각되는게 그 당시 닌텐도같이 콘솔 하나하나에 선택과 집중을 하지 못하고 하드를 무분별하게 발매하고 방치했던 결과라고 봅니다. 32X라던지 메가 CD라던지. 콘솔가격이 그 당시에도 물가에 비해 싼 가격은 아니었는데 발매하고 나서 초반부터 글럿다 싶으면 바로 나몰라라 방치해서 점점 소비자들이 이 회사 제품은 처음부터는 믿고 살만한게 못된다 싶었던걸 학습한거고. 그런식으로 초반 판매량 러쉬에서 소위 닌텐도나 플스에 밀리게 되는 결과로 그후에 계속 판매량에서 만회를 못하는 그런 악순환에 빠지게 된게 아닐까 싶네요. 그리고 닌텐도가 워낙 그 당시에 자기 밥그릇을 잘 방어한것도 있겠지만. 신참 소니한테까지 밀린건 자기들이 그렇게 발매하고 버린 게임기들의 업보라고 생각이 듭니다. 드림캐스트가 마지막 게임기 발매였지만 결국 세가의 그런 고질적인 문제는 끝끝내 벗어나질 못했죠. 지금 이런 전철을 요새 마소가 보여주는 상황이라 역사는 되풀이된다 싶기도 하고.
25.07.01 18:42

(IP보기클릭)140.248.***.***

BEST
결말부가 새드엔딩이라 ㅠㅠ
25.07.01 18:21

(IP보기클릭)211.217.***.***

BEST
이세계 삼촌이 보면 오열할 자료 ㅎㅎㅎ
25.07.01 18:25

(IP보기클릭)211.197.***.***

BEST

하하 다른 게임기로는 제왕이 됐다구
25.07.01 18:32

(IP보기클릭)27.110.***.***

BEST
드림캐스트는 진짜 내 인생에서 제일 기억에 남는 게임기였어 두대가 그래픽카드가 똑같이 나갔었거든.
25.07.01 18:22

(IP보기클릭)140.248.***.***

BEST
결말부가 새드엔딩이라 ㅠㅠ
25.07.01 18:21

(IP보기클릭)211.197.***.***

BEST
미역메소

하하 다른 게임기로는 제왕이 됐다구 | 25.07.01 18:32 | | |

(IP보기클릭)210.96.***.***

미역메소
근데 또 소프트는 그 때보다 더 팔린다는 아이러니 | 25.07.01 18:35 | | |

(IP보기클릭)180.65.***.***

takejun
... 아이러니가 아니라... 그때 장사를 정말 개떡같이 했다는 증거라고 봄 ... | 25.07.01 21:55 | | |

(IP보기클릭)223.38.***.***

내 인생 첫 게임기 세가 마스터 시스템. 일명 삼성 겜보이
25.07.01 18:21

(IP보기클릭)27.110.***.***

BEST
드림캐스트는 진짜 내 인생에서 제일 기억에 남는 게임기였어 두대가 그래픽카드가 똑같이 나갔었거든.
25.07.01 18:22

(IP보기클릭)211.217.***.***

BEST
이세계 삼촌이 보면 오열할 자료 ㅎㅎㅎ
25.07.01 18:25

(IP보기클릭)211.36.***.***

드캐 부분에서 젠슨 황 얘기 있을려나 ㅋㅋㅋ 결과적으론 드캐는 망했지만 이때 투자해준 세가가 고마운 황회장은 세가에 감동해 지금도 세가에 감사함 느껴 세가 연 이어가니 ㅋㅋ
25.07.01 18:27

(IP보기클릭)175.204.***.***

나도 겜보이 슈퍼겜보이 세가새턴으로 세가를 응원하는 진영이었는데.. 오락실에선 버파에 어마어마한 돈을 쏟아부으며 매출에 기여했고..
25.07.01 18:34

(IP보기클릭)172.225.***.***

무지성 구매완료
25.07.01 18:35

(IP보기클릭)106.101.***.***

예전 국내에서 발매된 웃는 닌텐도 달리는 세가 기억나네 (아련..)
25.07.01 18:37

(IP보기클릭)140.248.***.***

스코즈마
30년 전 제우미디어였던가요? 게임챔프 내던 곳 | 25.07.02 11:16 | | |

(IP보기클릭)121.165.***.***

첫 꼐임 입문이 메가드라이브(그 당시 슈퍼 알라딘보이였나?) 소닉2였고 새턴쓸때까지만 해도 좋았는데 추억돋네.
25.07.01 18:38

(IP보기클릭)118.235.***.***

삼촌이 좋아합니다
25.07.01 18:39

(IP보기클릭)115.94.***.***

이미 지나간 역사를 그때는 알지 못했던 이야기를 책으로 풀어낸걸 보면 다른 재미가 확실히 있긴함
25.07.01 18:39

(IP보기클릭)23.106.***.***

BEST
세가가 콘솔사업에서 결국 밀려난 이유라고 생각되는게 그 당시 닌텐도같이 콘솔 하나하나에 선택과 집중을 하지 못하고 하드를 무분별하게 발매하고 방치했던 결과라고 봅니다. 32X라던지 메가 CD라던지. 콘솔가격이 그 당시에도 물가에 비해 싼 가격은 아니었는데 발매하고 나서 초반부터 글럿다 싶으면 바로 나몰라라 방치해서 점점 소비자들이 이 회사 제품은 처음부터는 믿고 살만한게 못된다 싶었던걸 학습한거고. 그런식으로 초반 판매량 러쉬에서 소위 닌텐도나 플스에 밀리게 되는 결과로 그후에 계속 판매량에서 만회를 못하는 그런 악순환에 빠지게 된게 아닐까 싶네요. 그리고 닌텐도가 워낙 그 당시에 자기 밥그릇을 잘 방어한것도 있겠지만. 신참 소니한테까지 밀린건 자기들이 그렇게 발매하고 버린 게임기들의 업보라고 생각이 듭니다. 드림캐스트가 마지막 게임기 발매였지만 결국 세가의 그런 고질적인 문제는 끝끝내 벗어나질 못했죠. 지금 이런 전철을 요새 마소가 보여주는 상황이라 역사는 되풀이된다 싶기도 하고.
25.07.01 18:42

(IP보기클릭)175.204.***.***

루리웹-7874892277
전 세가의 콘솔 사업을 기울게 만든 최고의 요인은 스퀘닉스 라고 생각됩니다. 스퀘닉스의 플스 서드 가입 이전에는 솔직히 막상막하 였거든요. 그리고 킬러 알피지의 부재. 소니쪽은 스퀘닉스의 가입 이후로 최상급 알피지들이 줄줄이 튀어 나왔었으니.. 이미 기울대로 기울어진 배에서 젊은 드림캐스트 선장이 키를 잡아 보았지만 이미 배는 반쯤 가라앉았던 상황.. | 25.07.01 18:51 | | |

(IP보기클릭)222.239.***.***

루리웹-7874892277
그런 이유도 어느 정도는 영향은 있을 수 있겠네요 세가가 드캐를 이후로 콘솔 사업을 접게된 이유는 복합적이긴한데 가장 큰 이유는 사업을 잘 못했습니다. 세턴의 하드웨어 구조도 그랬고, 특히 마지막 드캐때는 론칭 후 흐름 탔을때 한참 하드웨어 보급을 해서 시장을 빠르게 장악해야하는데... 물량을 재때 맞추지 못햇죠...이래서 부품 계약을 잘해야하는데 그러지 못했구요..ㅎㅎ;; 그래도 낭만이 있던 회사였죠. 혼자서 이런 저런 하드웨어와 각종 게임 장르도 다 만들어보고 나름의 퀄리티도 보장했으며, 한때 전성기 닌텐도와 1:1도 해왔죠 | 25.07.01 18:54 | | |

(IP보기클릭)23.106.***.***

말랑젤리55
스퀘어가 그당시 플스와 새턴의 콘솔경쟁에서 결정타였다면 개인적으로 소니와 세가가 초반 비등비등하게 싸움할수 있었던 상황을 만든게 저런 세가게임기에 대한 유저의 신뢰가 낮았던게 문제였다고 생각하거든요. 뭐 스퀘어가 소니로 이적하기 전에는 닌텐도 신형을 기다리는 유저들이 더 많아겠지만요. | 25.07.01 18:55 | | |

(IP보기클릭)23.106.***.***

Rent-A-Hero
결국 제가 하고 싶은말도 비슷하긴 합니다 마찬가지로 그당시 실패가 무조건 세가탓이라고만 하기에는 그때 닌텐도가 많이 쩔긴 했지요. | 25.07.01 18:57 | | |

(IP보기클릭)125.186.***.***

말랑젤리55
스퀘어는 영향이 있었어도 에닉스는 영향이 없었어요. 드퀘가 일본에서나 국민게임이지 해외에서는 듣보 게임이었습니다. 그 동안 드래곤 워리어라는 제목으로 해외시장에 진출 했지만 망했거든요. 파판은 일본에선 드퀘의 라이벌이고 해외에서는 엄청나게 유명한 타이틀인데 반해 드퀘는 일본내에서만 유명한 일본 내수용 게임이었습니다. 이후에 PS2로 나온 드퀘8에서 기존 드퀘가 가지고 있던 요소들을 대거 버리고 해외 유저들의 성향에 맞추기 시작하죠. 1인칭이었던 전투를 3인칭으로 변경하고, 탑뷰 형식의 게임화면을 3인칭에 캐릭터 뒤에서 보는 화면으로 바꾸고, 플레이어가 맵도 입체적으로 변하고 플레이어가 맵을 직접 돌아 다니는 느낌을 주게 변경. 토리야마 아키라씨의 그림이 느껴지지 않은 SD캐릭터를 버리고 토리야마 아키라씨의 그림이 느껴지는 리얼사이즈의 캐릭터로 변경(8편은 카툰렌더링도 더해짐), 그리고 해외판 한정으로 음성 더빙. 이런식으로 바꾸죠. 여기에 타이틀도 일본명과 동일한 드퀘를 사용하기도 하구요. | 25.07.01 19:11 | | |

(IP보기클릭)220.80.***.***

말랑젤리55
메가드라이브 vs 슈퍼패미컴 때는 스트리트파이터2가 슈패 쪽에 먼저 출시된 덕에 이때부터 슈패 쪽으로 기울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 25.07.01 19:15 | | |

(IP보기클릭)1.243.***.***

<소중한 사람>
드퀘가 일본내수용이였었지만, 드퀘전성기때는 일본이 세계 최대 게임시장이였슴. 말그대로 게임계는 일본이 꽉 잡고있던 시절이고, ps3시절부터 서양으로 주도권이 넘어간거죠. 그래서 단순히 내수용이라고 폄하하기엔.. 세계 최고 게임국가의 국민 게임으로 지금과는 뭔가 느낌이 완전 달랐죠 | 25.07.01 19:40 | | |

(IP보기클릭)49.163.***.***

루리웹-7874892277
이게사내정치의 결과물이죠. 미국지사사장을 메인으로 대동단결햐서 밀어줬어야했는데 세턴 미국시장 32x 메가시디 다 파벌이달랐음... | 25.07.01 19:57 | | |

(IP보기클릭)125.186.***.***

hustler
세계 최대 게임 시장은 지금도 그렇고 그 시절도 그렇고 미국입니다. 일본에서 플스와 새턴에 밀려 3위인 닌텐도 64가 미국 시장의 힘으로 2위를 했고, 일본에서 2위였던 새턴이 해외시장에선 폭망해서 3위 한걸로 모자라 '새턴은 세가의 미래가 아니다.'라는 말과 함께 세가가 포기하기까지 했죠. 당시 일본 게임시장이 상당히 컸지만 해외 시장을 무시 할수 없었어요. 에닉스가 드퀘를 해외시장에서 실패해도 왜 꾸준히 진출했으며, 드퀘 8에선 해외시장에서 성공을 하기 위해서 드퀘를 바꾸기까지 했는지를 보면 알죠. 일본 내수만으로 만족했으면 드퀘를 바꾸지 않고 그대로 1 ~ 7 스타일로 유지 했어도 되었겠죠. | 25.07.01 20:05 | | |

(IP보기클릭)125.186.***.***

hustler
그리고 메가드라이브는 일본에선 PC엔진 보다도 안 팔렸지만 해외시장에서는 크게 성공했죠. 특히 미국에선 닌텐도의 SNES를 앞선적도 있고요. 그렇기 때문에 그 시절에도 해외시장 진출이 매우 중요 했읍니다. | 25.07.01 20:11 | | |

(IP보기클릭)1.243.***.***

<소중한 사람>
제가 기억하기론 2000년 정도까진 일본게임시장이 세계에서 가장 컸던걸로 기억하네요. 잡지에서 봤던것 같은대, 워낙 오래됐으니 증거를 가지고 오기도 힘드네요. 인터넷검색을 해봐도 자세한건 못찾겠지만.. 이런게 있네요. 콘솔을 장악하고 있는 일본과 pc를 장악한 미국 두 국가가 전세계 시장의 90%를 차지한다는 대목이 있는데.. 기사가 아니라 요즘의 게임백서같은 옛날 보고서 같네요. 근데 시장크기는 넘어가더라도, 확실한건 그시기에 일본이 주도권을 가지고 있던 시기였던건 맞고 게임시장을 지배하고 있었죠. 그냥 일본이라는 나라자체가.. 지금보다 위상이 비교도안되게 어미어마하게 높던시절이라.. 일본에서 1위면 일본에서 인정받으면 그건 대단한거라는 인식이 있던 시절같네요. | 25.07.01 20:24 | | |

(IP보기클릭)180.65.***.***

말랑젤리55
... 아닐걸요 ... 메가드라이브 두개 합쳐서 새턴 만들 때 이미 ... | 25.07.01 21:56 | | |

(IP보기클릭)175.212.***.***

내가 세가 좋아했어서 플스 안사고 버티다가 산게 플스3...;;; 게임 좋아할 당시에 있던 게임사가 닌텐도랑 세가였어서 갑자기 굴러들어온 소니가 좀 얄미웠었음ㅋㅋ
25.07.01 18:48

(IP보기클릭)125.186.***.***

세가가 콘솔 사업은 오래 했지만 성공한 게 '메가드라이브' 하나. 새턴과 드캐는 망했다고 하는 위유, 비타 보다도 안 팔렸음. 심지어 자사의 휴대용 게임기인 '게임기어' 보다도 안 팔림.
25.07.01 18:49
파워링크 광고

(IP보기클릭)1.232.***.***

<소중한 사람>
세가 마스터 시스템도 성공했었죠 일본에서 단기간 팔고 단종시켰는데 서양에서는 엄청난 인기라서 2천만대 이상 팔았으니 | 25.07.01 19:05 | | |

(IP보기클릭)125.186.***.***

제타맨
마스터 시스템이 남미쪽에서 인기가 많았다고 하더라고요. | 25.07.01 20:12 | | |

(IP보기클릭)1.217.***.***

이전에 펀딩으로 신청해서 봤었는데. 꽤 재밌었습니다.
25.07.01 19:07

(IP보기클릭)14.53.***.***

정말 읽을 만 합니다. 세가 팬보이들은 꼭 읽으십시오!
25.07.01 19:15

(IP보기클릭)1.215.***.***

세가랑 닌텐도가 북미쪽에서 박터지게 싸웠던건 콘솔워즈 라는 책에 잘 나와 있습니다.
25.07.01 19:16

(IP보기클릭)115.91.***.***

MD, SS, GG까지 있었네요. 지금도 게임음악하면 MD음원이 가장 먼저 떠오릅니다.
25.07.01 19:19

(IP보기클릭)211.218.***.***

왕년엔 그래도 엄청 잘싸웠다 세가
25.07.01 19:21

(IP보기클릭)121.139.***.***

오 퍼펙트 카탈로그 시리즈 쭉 모으고 있었는데, 이런 책도 새로 나와줘서 좋네요~ 구매해야겠음.
25.07.01 19:31

(IP보기클릭)112.175.***.***

예전 세가 아메리카 사장이 쓴 책을 보면 32비트 차세대기 개발시 3d에 집중해야 한다고 했지만 세가 재팬에서는 아직 시기상조라고 해서 2d로 갔다고 하죠. 세가 아메리카에서 실리콘 그래픽스와 제휴까지 컨택했었는데
25.07.01 19:31

(IP보기클릭)49.163.***.***

마리안느
이게파벌싸움의결과물이죠..드캐때서야 정신차렸는데.... | 25.07.01 19:58 | | |

(IP보기클릭)118.235.***.***

마리안느
그 제휴의 결과물이 닌텐도 64의 보조 프로세서인 것도 아이러니긴하죠. 꽤 고성능 칩이었던 만큼 만큼 원래 의도대로 새턴에 썼다면 어떻게 됐을지 몰랐을 듯. 3D/2D도 왜 그랬는지 의문인게 3D 게임의 가능성을 보여준 게임 중 하나가 세가의 버추어 파이터 시리즈였죠. 가정용 게임기로 그걸 구현하기 위한 부품들 단가 때문인가 싶기도 한데...... | 25.07.02 10:03 | | |

(IP보기클릭)112.175.***.***

windraven00
책에 서술된 내용을 보면 메가드라이브의 북미 성공으로 세가 재팬에서 세가 아메리카를 시기와 질투했고 그래서 의도적으로 세가 아메리카의 의견을 무시했다고 하더군요 | 25.07.02 11:17 | | |

(IP보기클릭)223.38.***.***

새턴 플스 거의 동시에 나왔는데 버파1 팬저드래군때문에 새턴부터 샀었죠 저때 새턴,플스 겹치는 게임이 거의 없어서 정말 게임기 특징에 따라 즐거웠던 기억이 나네요
25.07.01 20:13

(IP보기클릭)223.38.***.***

살짝 먼저 나온 3do는 지금 이정재가 광고했던 기억이 ㅎㅎ
25.07.01 20:14

(IP보기클릭)220.94.***.***

드림캐스트는 내 어머니가 되어줄 게임기였다
25.07.01 21:54

(IP보기클릭)207.244.***.***

책이 뭔가 되게 옛날거같아 디자인이 막 옛날 이정재 3DO얼라이브 광고하던 그때 그 시절
25.07.01 22:49

(IP보기클릭)106.101.***.***

새턴, 드캐. 내 인생의 한페이지..
25.07.02 11:29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348118 공지 메타크리틱 점수 게시는 한 페이지 당 하나로 제한합니다. (60) sickarl 57 1044833 2014.03.25
234281 공지 글을 작성하기전에 반드시 확인해주십시오. (33) 루리 55 1063950 2009.07.28
2336118 PS5소프트 nokcha 9 8432 2025.07.03
2336117 PS5소프트 이토 시즈카 3 2478 2025.07.03
2336115 PS5소프트 nokcha 23 19450 2025.07.03
2336114 사설 따따블따따 3 3742 2025.07.03
2336112 PS5소프트 nokcha 8 4859 2025.07.03
2336108 PS5소프트 댄임 13 14597 2025.07.03
2336107 PS5소프트 이토 시즈카 4 1745 2025.07.03
2336106 기타 아오키 료 14 10454 2025.07.03
2336103 PS5소프트 nokcha 12 6057 2025.07.03
2336101 PS5소프트 이토 시즈카 6 6999 2025.07.03
2336100 정보 선인장국 17 12209 2025.07.03
2336098 PS5소프트 이토 시즈카 4 2217 2025.07.03
2336097 PS5소프트 nokcha 4 3845 2025.07.03
2336095 PS5소프트 루리웹-9399335340 15 23639 2025.07.03
2336092 PS5소프트 이토 시즈카 3 1063 2025.07.03
2336091 PS5소프트 Trust No.1 4 8570 2025.07.03
2336090 기타 둠 닥터 16 15298 2025.07.03
2336089 정보 루리웹-6076331358 14 8773 2025.07.03
2336088 PS5소프트 nokcha 5 3857 2025.07.03
2336083 PS5소프트 이토 시즈카 3 1985 2025.07.03
2336081 PS5소프트 nokcha 6 5774 2025.07.03
2336079 PS5소프트 nokcha 8 10949 2025.07.03
2336075 PS5소프트 기본삭제대1 10 9893 2025.07.03
2336074 PS5소프트 기본삭제대1 6 7557 2025.07.03
2336073 PS5소프트 효모덩어리 2 3199 2025.07.03
2336072 제작사 따따블따따 46 41723 2025.07.03
2336069 PS5소프트 기본삭제대1 9 10460 2025.07.03
2336067 PS5소프트 Trust No.1 9 4777 2025.07.03
글쓰기 219840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