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
아래의 정보는 매 패치마다 자동으로 갱신되는 것이 아닙니다. 워썬더 위키는 최신 정보를 담고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아래의 피해, 화재율 등의 값은 체감과는 다를 수 있으며, 가독성과 편의를 위해 일부 수정 및 단순화를 거친 값입니다.
탄도 특성 (Projectile properties) :
대부분 표에 설명된 말 그대로입니다. '예광' 부분 표 안의 색상은 게임 내에서의 예광탄 색을 나타냅니다.
'신관 민감도(Fuse Sensitivity)' 는 폭발성 탄의 신관이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두께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그 두께는 두랄루민 1mm 이상, 목재 0.1mm 이상, 캔버스 천 0.01mm 이상입니다. 탄이 신관 작동 없이 기체를 과관통하거나 과관통 후 기체 밖에서 신관이 작동하여 피해가 거의 없을 수 있습니다.
물리 (Physical projectile) :
'피해량(Damage Rating)' 은 MK103 미넨게쇼스 탄을 피해량 100으로 하고 이를 기준으로 모든 탄의 최대 피해량을 계산한 값입니다. 이때의 최대 피해량은 확률이 극히 낮은 예외(outlier)가 제외된 통계적인 최대치를 의미합니다.

(IT-소이 예광탄 , AP-I 철갑 소이탄)
'화재율(Fire Rating)' 은 마찬가지로 탄의 관통력을 반영하지만 고폭탄으로서의 화재 유발 능력은 반영되지 않은 값입니다. 즉, 화재율이 0으로 표기된 것은 화재를 일으킬 수 없다는 뜻이 아니라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최소한의 확률만 있음을 나타냅니다.
'최적 거리(Optimal)' 는 탄의 운동에너지가 반감되는 거리를 말합니다.
고폭 (High explosive) :

'피해량(Damage Rating)' 은 MK103 미넨게쇼스 탄을 피해량 100으로 하고 이를 기준으로 최대 피해 반경에서 낼 수 있는 평균 피해량을 계산한 값입니다. 이때의 최대 피해량은 확률이 극히 낮은 예외가 제외된 통계적인 최대치를 사용합니다.
'반경(Radius)' 은 3차원 공간에서의 폭발 반경을 나타냅니다. 피해 반경 안에 있는 모든 것은 피해를 입습니다.
파편 (Fragmentation) :
'피해량(Damage Rating)' 은 MK103 미넨게쇼스 탄을 피해량 100으로 하고 이를 기준으로 파편 피해량 총합에 파편이 반경 이내의 물체를 타격할 확률을 반영한 값입니다. 이때의 최대 피해량은 확률이 극히 낮은 예외가 제외된 통계적인 최대치를 사용합니다.
'반경(Radius)' 은 파편의 최대 이동 거리를 나타냅니다. 고폭탄과는 달리 반경 내의 모든 물체가 피해를 받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운 좋게 파편이 전부 새거나 파편이 목표에 닿기 전에 다른 물체에 의해 멈출 확률을 반영했기 때문입니다.
---
예시로 20mm 히스파노 Mk.V 기관포 (http://wiki.warthunder.com/index.php?title=Template:Hispano_mk_v_belt) 탄종을 어떻게 선택할지 골라보겠습니다. 다만 워썬더 위키의 탄종 정보와 게임 내에서의 탄종 정보가 정확히 1대1로 대응하는 것은 아니고 업데이트되지 않은 정보도 매우 많으니 어디까지나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꼭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Shells (탄알)
| 탄종 |
구경 |
예광 |
탄속 |
질량 |
민감도 |
지연
거리 |
100m |
250m |
500m |
750m |
1000m |
피해량 |
화재율 |
최적
거리 |
피해량 |
반경 |
관통 |
피해량 |
반경 |
관통 |
| 탄도 특성 |
신관 |
관통력 (mm) |
물리 |
High 고폭탄 |
파편 |
| He frag i |
20mm |
no |
833m/s |
130g |
0.10mm |
0.20m |
2.00 |
1.81 |
1.50 |
1.25 |
1.00 |
4.10 |
17.70 |
500m |
13.80 |
0.58m |
6.00mm |
57.30 |
1.50m |
3.00mm |
| Ball shell |
20mm |
no |
848m/s |
125g |
0.00mm |
0.00m |
15.00 |
13.50 |
11.00 |
9.00 |
7.00 |
34.90 |
0.00 |
900m |
0.00 |
0.00m |
0.00mm |
0.00 |
0.00m |
0.00mm |
| T shell |
20mm |
yes |
815m/s |
132g |
0.00mm |
0.00m |
15.00 |
13.50 |
11.00 |
9.00 |
7.00 |
32.30 |
26.50 |
600m |
0.00 |
0.00m |
0.00mm |
0.00 |
0.00m |
0.00mm |
| Sapi |
20mm |
no |
824m/s |
134g |
0.50mm |
1.00m |
3.00 |
2.63 |
2.00 |
1.50 |
1.00 |
33.10 |
42.60 |
500m |
2.80 |
0.33m |
6.00mm |
66.90 |
1.50m |
3.50mm |
| Ap |
20mm |
no |
801m/s |
141g |
0.00mm |
0.00m |
23.00 |
20.75 |
17.00 |
15.50 |
14.00 |
59.90 |
24.10 |
900m |
0.00 |
0.00m |
0.00mm |
0.00 |
0.00m |
0.00mm |
● 20mm 히스파노 Mk.V 기관포
| 탄종 |
구경 |
예광 |
탄속 |
질량 |
민감도 |
지연
거리 |
100m |
250m |
500m |
750m |
1000m |
피해량 |
화재율 |
최적
거리 |
피해량 |
반경 |
관통 |
피해량 |
반경 |
관통 |
| 탄도 특성 |
신관 |
관통(mm) |
물리 |
고폭 |
파편 |
| HEFI |
20mm |
X |
833m/s |
130g |
0.10mm |
0.20m |
2.00 |
1.81 |
1.50 |
1.25 |
1.00 |
4.10 |
17.70 |
500m |
13.80 |
0.58m |
6.00mm |
57.30 |
1.50m |
3.00mm |
| Ball |
20mm |
X |
848m/s |
125g |
0.00mm |
0.00m |
15.00 |
13.50 |
11.00 |
9.00 |
7.00 |
34.90 |
0.00 |
900m |
0.00 |
0.00m |
0.00mm |
0.00 |
0.00m |
0.00mm |
| T |
20mm |
O |
815m/s |
132g |
0.00mm |
0.00m |
15.00 |
13.50 |
11.00 |
9.00 |
7.00 |
32.30 |
26.50 |
600m |
0.00 |
0.00m |
0.00mm |
0.00 |
0.00m |
0.00mm |
| SAPI |
20mm |
X |
824m/s |
134g |
0.50mm |
1.00m |
3.00 |
2.63 |
2.00 |
1.50 |
1.00 |
33.10 |
42.60 |
500m |
2.80 |
0.33m |
6.00mm |
66.90 |
1.50m |
3.50mm |
| AP |
20mm |
X |
801m/s |
141g |
0.00mm |
0.00m |
23.00 |
20.75 |
17.00 |
15.50 |
14.00 |
59.90 |
24.10 |
900m |
0.00 |
0.00m |
0.00mm |
0.00 |
0.00m |
0.00mm |
일단 위 표에서 Ball은 인게임의 P와, SAPI는 인게임의 HEF-SAPI와 같은 탄입니다.
우선, P (Ball) 탄부터 보겠습니다. 관통 성능과 종합 피해량 면에서는 T탄과 흡사하지만 피해량 전부 물리피해량으로, 그나마 높은 것도 아니고 화재율이 0으로 표기된 것으로 보아 화재 확률이 최소이며, 예광도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얼핏 봐도 쓰레기의 냄새가 나는데 실제로 맨 위 링크의 영상 중 '연습탄' 부분 설명과도 부합합니다. 위 영상 링크 설명을 인용하자면 '페인트칠만 조금 벗길 수 있을 뿐 기체 자체에 심한 손상을 주지도 못'하므로 '빨리 다른 탄종을 연구해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주의하실 점이 있는데 영국제 히스파노 기관포를 복제한 미국제 20mm AN/M2, AN/M3의 경우 기본탄에는 P가 없는데 다른 탄종에 P가 섞여 들어가 있기도 합니다. 기본탄이라고 무조건 거를 것이 아니라 탄종 구성을 면밀히 보셔야 합니다.
T 탄의 경우 Ball 탄과 흡사한 성능을 보입니다. 하지만 다른 탄종과는 달리 유일하게 붉은색 예광을 가지고 있고 다른 탄과 탄속 차이도 크지 않은데다 위 영상 링크 설명대로 비교적 대구경이라 탄도의 변화가 적어 탄도를 볼 때 매우 유용합니다. Ball 탄에 비해 화재율도 높은 편입니다. 위 영상 링크 설명을 인용하자면 '갓 사격술을 배우는 초보에게 알맞습니다.'
이제 AP 탄을 보겠습니다. 모든 탄종 중 관통력이 가장 뛰어나고 물리 피해량 하나로 엄청난 위력을 과시합니다. 영상 설명을 인용하자면 '엔진, 라디에이터, 방향타 등의 모듈을 관통해 승무원을 사살하는 데에도 알맞습니다.' 하지만 물리 피해량만 높은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애매한 곳에 맞으면 추가적인 파편이나 고폭 피해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는 게임에서 모듈이나 승무원을 하나하나 노려서 쏘시지는 않을테니 (쏘는 족족 정확하게 골라서 맞추신다면 이 글을 더이상 읽으실 필요가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명중만 나고 끝날 가능성이 높으므로 역시 이 탄이 많이 들어간 탄띠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HEFI 탄과 HEF-SAPI (SAPI) 탄입니다. 관통력은 낮지만 고폭과 파편 피해가 뛰어나 AP 탄과 달리 항공기를 상대로는 어디를 맞춰도 큰 피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HEF-SAPI 탄의 경우 HI(고폭탄) + F(파편탄) + AP(철갑탄) + I(소이탄)의 효과가 전부 들어간 물건인데 표에서 보시는 것처럼 무지막지한 피해량과 함께 상당한 화재율과 강력한 파편을 발생시켜 적의 항공기에 치명타를 먹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탄이 많이 들어간 탄띠를 가장 추천드립니다.
위 결론을 모두 종합하면 히스파노 Mk.V 기관포는 HEFI 탄과 HEF-SAPI 탄이 1:1의 비율로 들어간 공대공 (Air Target) 탄띠를 쓰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는 결론이 나옵니다. 하지만 이 탄띠는 예광탄이 없어 탄도에 익숙하지 않으신 분이라면 쓰실 때 고생하실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예광탄이 들어간 기본, 공대지 (Ground Target), 다목적 (Universal)이나 예광탄띠 (Tracer) 네 가지 중에 고르게 되실텐데 이 중에서 HEFI 및 HEF-SAPI 탄의 비율이 가장 높은 다목적 탄띠를 고르는 것이 유리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