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만간에 장만할 게이밍용 PC 견적입니다.
주로 하는 게임은 트리플 A급 게임이며,
FHD에다가 게임 사양 같은 경우는 중하옵 정도로만 세팅해서 게임을 합니다.
컴잘알도 아니고 여기저기서 얻은 정보를 토대로 견적을 짠 상태라서 몇가지 질문을 하겠습니다.
1. MSI PRO B650M A 메인보드 QVL목록을 보니 KLEVV DDR5 6000 CL30 FIT V 메모리가 없던대 어디서 본 기억으론 호환은 될 거라고 하는데 맞는지 모르겠네요.
만약 호환이 되지 않는다면 괜찮은 모델을 알고 계시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튜닝램을 고집하는 이유는 9600X는 램오버를 하는게 좋고, EXPO만 활성화할 경우 6000MHz CL30이 가장 안정적이라고 해서 그렇습니다.)
2. 그래픽 카드는 저 모델이 가성비가 좋다고 하여 선택을 했지만 혹시 비슷한 가격대에 괜찮은 모델이 있다면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3. 파워서플라이는 600W면 충분하다고 하여 600W를 선택했는데 700W로 늘리는게 좋을까요?
4. M.2 SSD 1TB를 OS만 넣을 파티션, 게임만 넣을 파티션으로 놔눌려고 하는데 몇 대 몇으로 나누는게 좋을까요?
뭔가 두서없이 막 글을 쓴거 같아서 죄송하며,
긴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IP보기클릭)112.167.***.***
1. 서린이 유통 판매하고 있는 램은 서린에 직접 물어보는 게 가장 좋습니다. 이 CPU, 이 보드를 서린이 판매하고 있는 이 램과 같이 쓰려고 하는데 아무 문제 없을까요? 하고 물어보면 됩니다. 서린이 이걸 굉장히 친절하게 잘 안내해주는 거로 램 유통 쪽에서 인지도를 높히고 있으니 장점을 써먹는 게 좋겠죠. 2. 위에 답변 잘 해주신 분이 있어서 패스 3. 600w 로도 문제가 생길 수준은 아닌데 게임 목적의 컴퓨터고 추후 그래픽카드를 교체하게 될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존재한다면 700w 브론즈급 (제조사에 따라 6~8만원선) 을 사용하시는 것도 고려해보세요. 4. ssd 는 파티션을 나누지 않는 쪽을 권장합니다. ssd 는 최대 용량에 근접할 수록 속도가 떨어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가능하다면 최대치의 7~80% 를 넘지 않는 선에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스팀의 고용량 AAA게임 같은 쪽을 즐기신다면 1테라는 용량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2테라 ssd 를 구매하는 쪽을 권장하며 만약 본인의 컴 관리 스타일상 윈도우 설치 되어 있는 파티션과 게임 설치 파티션을 분리하는 쪽을 원하신다면 개인적으로는 그리 추천하는 스타일은 아니지만) 1테라짜리 두개를 사서 하나는 OS용으로, 하나는 게임설치용으로 쓰시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겠습니다.
(IP보기클릭)39.116.***.***
9060xt는 16g모델이랑 성능차이가 큽니다. 5060이랑 래스터성능만 비슷하고, rt성능이나 각종작업성능은 오히려 5060보다도 크게 떨어지니 주의하셔야합니다.
(IP보기클릭)39.116.***.***
또한, 16g모델과 달리 8g모델은 pcie 버전에 따른 성능차이가 큰편입니다. 반드시 pcie 5.0지원하는 메인보드 쓰셔야합니다. 5060ti 8g도 그런데, 오히려 5060은 pcie 버전에 따른 성능하락이 적습니다. | 25.08.30 10:21 | |
(IP보기클릭)118.235.***.***
16gb짜리 그래픽은 상당히 값비싸네요.. 흠.... 그래픽카드는 8gb로 하는걸로 하고 메인보드를 b850으로 바꿔야 겠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 25.08.30 10:32 | |
(IP보기클릭)119.71.***.***
(IP보기클릭)118.235.***.***
현재도 fps는 7~80만 니와도 불편함 없이 하는데 굳이 램오버를 할 필요가 없군요 그럼 램을 다른 것으로 바꾸고 파워는 700w로 바꾸는고 m.2는 그대로 사용해야 겠네요. 그리고 m.2는 예산에 맞으면 차라리 용량을 큰걸로 바꾼게 좋겠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 25.08.30 11:34 | |
(IP보기클릭)118.235.***.***
죄송하지만 한가지만 더 물어볼게요 언더볼팅이 무엇인가요? | 25.08.30 11:45 | |
(IP보기클릭)119.71.***.***
오버는 전압 더 주고 클럭 높인단 의미고 언더볼팅은 기본클럭을 전압 낮춰 쓴단 얘기입니다. 라이젠 쓰면 razen master 라는 프로그램을 초반에 열심히 파게되실텐데 -10 ~ -20 정도는 무리없이 잘 먹힙니다. | 25.08.30 11:50 | |
(IP보기클릭)112.167.***.***
1. 서린이 유통 판매하고 있는 램은 서린에 직접 물어보는 게 가장 좋습니다. 이 CPU, 이 보드를 서린이 판매하고 있는 이 램과 같이 쓰려고 하는데 아무 문제 없을까요? 하고 물어보면 됩니다. 서린이 이걸 굉장히 친절하게 잘 안내해주는 거로 램 유통 쪽에서 인지도를 높히고 있으니 장점을 써먹는 게 좋겠죠. 2. 위에 답변 잘 해주신 분이 있어서 패스 3. 600w 로도 문제가 생길 수준은 아닌데 게임 목적의 컴퓨터고 추후 그래픽카드를 교체하게 될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존재한다면 700w 브론즈급 (제조사에 따라 6~8만원선) 을 사용하시는 것도 고려해보세요. 4. ssd 는 파티션을 나누지 않는 쪽을 권장합니다. ssd 는 최대 용량에 근접할 수록 속도가 떨어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가능하다면 최대치의 7~80% 를 넘지 않는 선에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스팀의 고용량 AAA게임 같은 쪽을 즐기신다면 1테라는 용량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2테라 ssd 를 구매하는 쪽을 권장하며 만약 본인의 컴 관리 스타일상 윈도우 설치 되어 있는 파티션과 게임 설치 파티션을 분리하는 쪽을 원하신다면 개인적으로는 그리 추천하는 스타일은 아니지만) 1테라짜리 두개를 사서 하나는 OS용으로, 하나는 게임설치용으로 쓰시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겠습니다.
(IP보기클릭)122.40.***.***
(IP보기클릭)122.40.***.***
최신보드에 투자하는 돈이 아깝지 않습니다 | 25.08.30 12:27 | |
(IP보기클릭)223.39.***.***